KR101696503B1 -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03B1
KR101696503B1 KR1020127008151A KR20127008151A KR101696503B1 KR 101696503 B1 KR101696503 B1 KR 101696503B1 KR 1020127008151 A KR1020127008151 A KR 1020127008151A KR 20127008151 A KR20127008151 A KR 20127008151A KR 101696503 B1 KR101696503 B1 KR 10169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tate
valve body
valv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710A (ko
Inventor
히로히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8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13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80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1397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1)는, 용기 본체(2A)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그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압입을 받는 것에 의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동시에, 압입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개폐 밸브(20)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는 로크 부재(16)의 동작을 개폐 밸브(20)에 대한 압입 조작으로서 전달하고, 또한 스트로 캡(9)이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개폐 밸브(20)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도록 개폐 밸브(20)로부터 이격하는 전달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본 발명은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가 장착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아 등을 사용자로서 상정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에는 외부로 노출하는 스트로가 미사용시에 폐색되도록 스트로를 절곡한 상태에서 숨길 수 있는 스트로 캡이 설치되어 있다. 그 스트로 캡이 사용시에 열리면 스트로의 폐색이 해제되므로, 용기에 수납되었던 음료를 스트로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마실 수 있다.
그런데, 외기보다도 온도가 높은 온수 등의 따뜻한 음료가 용기에 수납되어 있을 경우에는 밀폐된 용기의 내압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스트로 캡이 열리면, 그 개방과 동시에 폐색이 해제되어 스트로로부터 음료가 분출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는 내압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로서, 스트로 캡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부재와 용기에 설치된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의 밸브체가 일체화되고, 로크 부재의 조작에 의해 스트로 캡의 로크가 해제되었을 때에 공기 구멍이 밸브체에의해 열리는 것에 의해 내압을 배출할 수 있는 음료 용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2174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음료 용기는, 스트로 캡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부재의 조작에 의해 내압을 배출할 수 있지만, 일단 열린 공기 구멍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로크 부재를 스트로 캡이 열린 상태에서 다시 조작할 필요가 있다. 즉, 스트로 캡이 열려서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게 된 후에 공기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로크 부재의 조작을 사용자에 강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로크 부재에 대한 조작이 사용자로서는 번잡한 일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트로 캡이 열린 후에 행해야 할 로크 부재의 조작을 사용자가 잊었을 경우에는 공기 구멍이 열린 채로 되므로, 예를 들어 음료 용기를 기울여서 사용할 때에 공기 구멍으로부터의 음료의 누설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음료 용기는, 스트로 캡의 로크 해제에 의해 내압을 배출한 후에, 스트로 캡이 열린 상태에서 로크 부재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공기 구멍을 폐쇄할 수 있다. 그런데, 여름철과 같이 외부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는, 스트로 캡이 개방된 사용 상태에서 공기 구멍이 폐쇄된 상태로 방치되면, 용기 내의 공기가 팽창함으로써 스트로로부터 음료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의 음료 용기의 경우에는 스트로 캡이 개방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를 조작해서 공기 구멍을 개방하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후 스트로 캡을 폐쇄해서 사용을 멈추려고 할 경우에는 다시 로크 부재를 조작해서 공기 구멍을 폐쇄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음료 누설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특허문헌 1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로크 부재에 대한 조작이 사용자에 있어서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에 대한 번잡함을 사용자가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된 스트로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가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를 숨기는 폐쇄 위치와 상기 스트로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캡과, 상기 스트로 캡을 상기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소정 조작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동시에, 상기 소정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동작을 상기 개폐 밸브에 대한 상기 소정 조작으로서 전달하고, 또한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밸브에 대한 상기 소정 조작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 밸브로부터 이격하는 전달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 음료 용기에 따르면, 로크 부재의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는 동작에 의해 개폐 밸브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스트로 캡이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소정 조작이 해제되므로 개폐 밸브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스트로 캡에 대한 로크의 해제에 의해 내압을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스트로 캡이 열린 후에는 개폐 밸브가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트로 캡을 개방할 때에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내압을 배출할 수 있고, 게다가 스트로 캡이 열린 후에 로크 부재에 대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개폐 밸브를 통한 음료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 필요한 조작에 대한 번잡함을 사용자가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밸브의 구조나 재질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소정 조작으로서의 압입 조작이 상기 전달 부재에서 행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입 조작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상기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한 탄성 변형의 해소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부품으로 개폐 밸브를 구성하지 않아도,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용이하게 삭감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구획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주위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압입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보유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판부에는, 상기 압입 조작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밸브체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릿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밸브체의 보유지지부에 대하여 압입 조작이 행해지면 그 압입 조작에 수반해서 판부가 변형한다. 그 판부의 변형에 의해 슬릿의 양단간 거리가 짧아지므로 슬릿이 개방되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한다. 이러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었을 경우, 밸브체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서 판부 및 보유지지부의 양자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슬릿이 폐쇄되어 폐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 판부의 형상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상기 판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판부를 경계로 해서 용기 본체의 내부측 압력이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 밸브체에는 슬릿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판부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의 유체의 통과가 저지된다. 따라서, 밸브체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용기 본체로부터 외부로의 음료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부를 경계로 해서 용기 본체의 내부측 압력이 대기압보다도 낮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 즉 내압이 부압으로 된 경우, 밸브체에는 슬릿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판부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내압이 대기압력도 낮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에 의한 음료의 흡입에 따라 용기 본체내의 음료량이 줄어 들어가는 과정에서 내압이 부압으로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라도 그 부압의 크기가 슬릿이 개방되는 한계를 초과하면 밸브체를 통해서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도입된다. 그 때문에, 스트로를 사용해서 음료를 흡입하는 사용자에 엄청난 흡인력이 요구될 일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는 경우, 상기 스트로는 상기 밸브체와 동일 재료로 구성된 흡입구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부와 상기 밸브체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트로 캡이 폐쇄되었을 때에 흡입구부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게다가, 그 흡입구부와 밸브체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음료 용기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캡은, 지지축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트로 캡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와 일체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해서 동작시키고 나서 스트로 캡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동작시킴으로써, 스트로 캡과 함께 로크 부재와 전달 부재가 스트로 어댑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로 인해, 전달 부재를 개폐 밸브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스트로 캡의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전달 부재를 개폐 밸브로부터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된 스트로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가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를 숨기는 폐쇄 위치와 상기 스트로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캡과, 압입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압입 조작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상기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한 탄성 변형의 해소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 밸브와, 상기 밸브체에 인접하도록 해서 상기 스트로 어댑터 또는 상기 스트로 캡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체에 대하여 상기 압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로 캡에 접촉해서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압입 조작을 해제할 수 있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음료 용기에 따르면, 밸브체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 부품으로 개폐 밸브를 구성하지 않아도, 밸브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용이하게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음료 용기에 따르면, 스트로 캡이 개방 위치의 상태에서, 조작 부재를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조작 부재에 의해 밸브체에 압입 조작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가 결합부에 결합하고 있는 한에 있어서 밸브체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트로 캡이 열린 상태에서 외부 기온이 상승했을 경우라도, 용기 본체의 내외가 연통함으로써 내압을 상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스트로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로 캡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동작시켰을 경우에는, 그 동작의 과정에서 조작 부재와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밸브체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므로, 밸브체는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밸브체가 개방 상태인 채로 스트로 캡이 폐쇄 위치로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스트로 캡을 폐쇄하는 것만으로 운반시 등에 밸브체를 통해서 음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요구되는 조작 기회가 종래보다도 줄어 들므로, 조작에 대한 번잡함을 사용자가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 부재의 구조나 재질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밸브체와 동일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조작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일의 가공으로 밸브체와 조작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부품 점수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음료 용기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는 돌출부가 상기 조작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들어올림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트로 캡에 접촉해서 밀어 내려짐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를 결합부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한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는 돌출부가, 스트로 캡이 폐쇄되었을 때에 조작 부재와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러한 각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을 따로따로 준비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음료 용기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구획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주위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압입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보유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판부에는, 상기 압입 조작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밸브체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릿이 폐쇄됨으로 밸브체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밸브체의 보유지지부에 대하여 압입 조작이 행해지면 그 압입해 조작에 수반해서 판부가 변형한다. 그 판부의 변형에 의해 슬릿의 양단부간 거리가 짧아지므로 슬릿이 열려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한다. 이러한 압입 조작이 해제된 경우, 밸브체의 탄성 변형이 해소해서 판부 및 보유지지부의 양자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슬릿을 폐쇄되어 폐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의 일부를 절단해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개폐 밸브의 밸브체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며, 그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개폐 밸브의 밸브체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며, 그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로크 부재에 대한 조작이 개시된 후 로크 부재와 구속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까지 사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로크 부재에 대한 조작이 개시된 후 로크 부재와 구속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까지 사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로크 부재와 구속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로크 부재와 구속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스트로 캡이 개방 위치측으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에 의해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로의 보유지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에 의해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가 보유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스트로 캡이 폐쇄 위치로 조작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2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3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4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5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개폐 밸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의 일부를 절단해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이하, "음료 용기"라 함)(1)는 개구부(2a)를 갖고 음료를 보유지지할 수 있는 용기 본체(2)와, 개구부(2a)를 막도록 해서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스트로 어댑터(3)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에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1)를 잡기 쉽게 하기 위해서 소정 형상의 핸들(H)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상부 외주부에는 수나사(4)가 설치되어 있고, 스트로 어댑터(3)의 내주부에는 그 수나사(4)에 맞물리는 암나사(5)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 어댑터(3)는 각 나사(4, 5)를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용기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스트로 어댑터(3)에는 용기 본체(2) 내에 수납된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6)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로(6)는 가요성을 갖고 사용자가 입에 넣는 흡입구부(7)와, 용기 본체(2) 내에 수용되어 있는 본체부(8)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부(7)와 본체부(8)는 서로 이종(異種)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부(7)는 탄성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그것에 연결되는 본체부(8)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로 어댑터(3)에는, 스트로(6)를 감추는 폐쇄 위치(도 1 참조)와 스트로(6)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도 7 참조)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캡(9)이 장착되어 있다. 스트로 캡(9)은 지지축(10)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스트로 어댑터(3)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스트로 캡(9)에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절곡된 상태의 스트로(6)를 찌그러뜨려 폐색시키기 위한 돌기부(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돌기부(11)는 스트로 캡(9)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스트로(6)를 찌그러뜨릴 수 있도록 음료 용기(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음료 용기(1)에는, 스트로 캡(9)을 폐쇄 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로크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15)는, 스트로 캡(9)을 폐쇄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 위치(도 1, 도 2)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도 5a, 도 5b)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캡(9)에 장착된 로크 부재(16)와, 그 로크 부재(16)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와 스트로 어댑터(3)를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도 2)와, 로크 부재(16)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6)는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수평 방향으로(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로크 부재(16)는 스트로 캡(9)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9a)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된 부분에는 사용자에게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구속부(17)는 로크 부재(16)의 동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홈의 길이는 로크 부재(16)가 해제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로크 부재(16)와 스트로 어댑터(3)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길이를 갖고 있다(도 5a 참조). 리턴 스프링(18)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로크 부재(16)가 사용자에서 해제 위치까지 조작되어서 이격되면 리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부재(16)는 로크 위치까지 복귀할 수 있다.
음료 용기(1)에는, 내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2)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용기 본체(2)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개폐 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21)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1)는 스트로 어댑터(3)에 형성된 관통 구멍(22)에 밀착 상태로 스트로 어댑터(3)에 장착되어 있다. 음료 용기(1)에 있어서는, 밸브체(21)는 스트로(6)의 흡입구부(7)와 동일 재료인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흡입구부(7)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음료 용기(1)는 흡입구부(7)와 밸브체(21)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밸브체(21)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3a는 그 폐쇄 상태를, 도 3b는 그 개방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1)는 용기 본체(2)의 내외를 구획하는 판부(25)와, 그 판부(25)의 주위를 보유지지하는 통형상의 보유지지부(26)를 구비하고 있고, 판부(25)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의 경우에는, 밸브체(21)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아 슬릿(27)이 밀착 상태로 폐쇄되므로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1)의 보유지지부(26)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조작인 압입 조작이 행해지면 그 압입해 조작에 수반해서 판부(25)가 탄성 변형한다. 슬릿(27)은 압입 조작의 조작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판부(2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슬릿(27)의 양단부간 거리(X)가 도 3a의 폐쇄 상태에 비해 짧아지므로, 슬릿(27)이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한다. 그 압입 조작이 해제된 경우, 밸브체(21)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어 판부(25) 및 보유지지부(26)의 양자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슬릿(27)이 폐쇄되어 도 3a의 폐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에 대한 압입 조작과, 상술한 로크 기구(15)의 로크 부재(16)의 동작을 연계시키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 용기(1)에는, 로크 부재(16)의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는 동작을 개폐 밸브(20)에 대한 압입 조작으로서 개폐 밸브(20)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30)는 로크 부재(2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전달 부재(30)는 로크 부재(16)와 일체 이동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상태로부터 로크 부재(16)가 해제 위치 측으로 조작되고 나서 스트로 캡(9)이 개방 위치측으로 개방되기까지의 음료 용기(1)의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로크 부재(16)에 대한 조작이 개시되고 나서 로크 부재(16)와 구속부(17)의 맞물림이 해제되기까지 사이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는 그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로크 부재(16)와 구속부(17)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a는 그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스트로 캡(9)이 개방 위치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로크 부재(16)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는, 전달 부재(30)와 개폐 밸브(20)[밸브체(21)]는 이격되어 있어서 밸브체(21)가 폐쇄 상태이며, 또한 스트로 캡(9)이 폐쇄 위치에 있어서 스트로(6)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는 밀봉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6)의 조작이 개시되어 로크 부재(16)가 해제 위치측으로 조금 이동함으로써 전달 부재(30)가 밸브체(21)의 보유지지부(26)에 부딪쳐 밸브체(21)의 탄성 변형이 개시된다. 즉, 전달 부재(30)에 의해 밸브체(21)에 대하여 압입 조작이 개시되어 슬릿(27)이 개방되기 시작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21)를 통해서 용기 본체(2) 내의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해 음료 용기(1)의 내압 감소가 개시된다.
계속해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6)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하면, 로크 부재(16)와 구속부(17)의 맞물림이 해제되어서 스트로 캡(9)의 로크가 해제된다. 그와 병행해서, 밸브체(21)가 전달 부재(30)에 의해 다시 압입되어서 밸브체(21)의 변형이 최대로 되는 결과, 슬릿(27)의 개방 상태도 최대가 된다. 그것에 의해, 스트로(6)가 폐쇄된 상태에서 음료 용기(1)의 내압이 완전히 배출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16)가 해제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은 스트로 캡(9)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스트로 캡(9)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 캡(9)의 개방 위치측으로의 동작에 따라, 스트로 캡(9)과 함께 이동하는 전달 부재(30)가 밸브체(21)로부터 이격하므로, 밸브체(21)에 대하여 전달 부재(30)에서 행해지고 있었던 압입 조작이 해제된다. 그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해 밸브체(21)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도 3a 참조), 밸브체(21)는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스트로 캡(9)의 개방 위치측으로의 동작에 의해 스트로 캡(9)에 의한 스트로(6)의 폐쇄가 해제되어서 스트로(6)의 흡입구부(7)가 곧바로 신장된 상태로 되어 스트로(6)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1)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트로 캡(9)의 로크를 해제하고 나서 스트로 캡(9)을 개방 위치측으로 개방하는 과정에서 내압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로 캡(9)이 개방되어 스트로(6)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단계에서는 개폐 밸브(20)가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복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식해서 개폐 밸브(20)에 대하여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사용시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20)로부터의 음료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 필요한 조작에 대한 번잡함을 사용자에게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용기(1)는 전달 부재(30)가 스트로 캡(9)에 설치된 로크 부재(16)와 일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로크 부재(1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21)에 대하여 압입 조작을 행하고 있는 중에 전달 부재(30)를 개폐 밸브(20)[밸브체(2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스트로 캡(9)의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전달 부재(30)를 개폐 밸브(2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음료 용기(1)의 개폐 밸브(20)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달리, 탄성 재료로 구성된 단일 밸브체(21)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용이하게 삭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개폐 밸브(20)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도 1 및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20)는, 그 밸브체(21)의 판부(25)가 용기 본체(2)의 내부측을 향해서 볼록으로 되는 곡면 형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판부(25)를 경계로 해서 용기 본체(2)의 내부측 압력이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 밸브체(21)에는 슬릿(27)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판부(25)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2)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의 유체의 통과가 저지된다. 따라서, 밸브체(21)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용기 본체(2)로부터 외부로의 음료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부(25)를 경계로 해서 용기 본체(2)의 내부측 압력이 대기압보다도 낮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 즉 내압이 부압으로 된 경우, 밸브체(21)에는 슬릿(27)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판부(25)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압력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는 방향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6)에 의한 음료의 흡입에 따라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량이 줄어들어 가는 과정에서 내압이 부압으로 되는 일이 있지만, 그 경우에도 그 부압의 크기가 슬릿(27)이 개방되는 한계를 초과하면 밸브체(21)를 통해서 외기가 용기 본체(2) 내부로 도입된다. 그 때문에, 스트로(6)를 사용해서 음료를 흡입하는 사용자에 엄청난 흡인력이 요구되는 일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음료 용기(1)에는, 여름철 등의 외부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의 스트로(6)로부터 음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로 캡(9)이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 밸브(20)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에 의해 개폐 밸브(20)의 개방 상태에의 보유지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8은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에 의해 개폐 밸브(20)의 개방 상태가 보유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스트로 캡(9)이 폐쇄 위치로 조작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상태 보유지지 기구(40)는 스트로 어댑터(3)에 설치된 결합부(41)와, 그 결합부(41)에의 결합 및 그 해제에 의해 밸브체(21)에 대한 압입 조작의 실시 및 그 해제를 전환할 수 있는 조작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41)는 밸브체(21)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밸브체(21)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42)는 결합부(41)와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보유지지부(26)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부재(42)는 밸브체(21)와 동일한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밸브체(2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21)와 조작 부재(42)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단일 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부품 점수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42)에는 용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스트로 캡(9)과 접촉 가능한 돌출부로서의 접촉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스트로 캡(9)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형상의 보유지지부(26)의 도 7에 있어서 상방 좌측 단부를 도 7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그 탄성에 의해 조작 부재(42)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조작 부재(42)는 결합부(41)에 올라탐으로써 결합부(41)에 결합한다(도 8). 조작 부재(42)의 기단부가 보유지지부(26)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42)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보유지지부(26)가 비스듬하게 변형한다. 즉, 조작 부재(42)가 결합부(41)에 결합함으로써, 밸브체(21)에 대하여 압입 조작이 가해지고, 또한 그 조작이 유지된다. 도 8의 상태가 본 발명에 관한 제1 상태에 상당한다.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압입 조작은 상술한 전달 부재(30)에 의한 조작과는 역방향으로 가해지게 되지만, 조작 부재(42)에 의한 압입 조작에 의해서도 슬릿(27)이 그 조작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도 3b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릿(27)이 개방되어 밸브체(21)는 개방 상태로 된다. 조작 부재(42)가 결합부(41)에 결합하고 있는 한에 있어서 밸브체(21)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므로, 스트로 캡(9)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 기온이 상승했을 경우라도, 용기 본체(2)의 내외가 연통함으로써 내압을 상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스트로(6)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체(21)가 개방 상태로 유지된 채로 스트로 캡(9)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동작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2)에 형성된 접촉부(42a)가 스트로 캡(9)에 접촉해서 조작 부재(42)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42)의 결합부(41)와의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42)에 의한 압입 조작이 해제된다. 도 9의 상태가 본 발명에 관한 제2 상태에 상당한다.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해 밸브체(21)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어 밸브체(21)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밸브체(21)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복귀해 음료 용기(1)가 밀봉된다. 즉, 밸브체(21)가 개방 상태인 채로 스트로 캡(9)이 폐쇄 위치로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음료 용기(1)가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체(21)를 개방 상태로 한 후에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스트로 캡(9)을 폐쇄하는 것만으로 운반시 등에 밸브체(21)를 통해서 음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1)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요구되는 조작 기회가 종래보다도 감소되므로, 조작에 대한 번잡함을 사용자에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 보유지지 기구(40)는 결합부(41)가 스트로 어댑터(3)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결합부(41)를 스트로 캡(9)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7의 위치와 동일 위치로 되도록 결합부(41)를 스트로 캡(9)에 설치하면, 그 결합부(41)에 조작 부재(42)가 올라탄 상태에서 스트로 캡(9)이 폐쇄 위치측으로 동작함으로써 결합부(41)가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므로, 조작 부재(42)와 결합부(41)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로크 부재(16)는 스트로 캡(9)에 설치되어 있고, 그 동작으로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전달 부재(30)는 로크 부재(16)와 일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음료 용기를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로크 부재의 설치 장소나 동작 형태, 전달 부재의 구성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도면부호를 도면에 부여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1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 관한 음료 용기(1A)에는, 스트로 캡(9A)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5A)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크 기구(15A)는 도시한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스트로 어댑터(3A)에 장착된 로크 부재(16A)를 갖고 있다. 로크 기구(15A)는, 로크 부재(16A)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A)와 스트로 캡(9A)을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A)와, 로크 부재(16A)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A)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6A)에는 그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전달 부재(30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A)는, 로크 부재(16A)가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되어서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 부재(30A)가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6A)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함으로써, 스트로 캡(9A)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스트로 캡(9A)을 개방 위치 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트로 캡(9A)이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16A)는 리턴 스프링(18A)에 의해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므로, 전달 부재(30A)가 개폐 밸브(20)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에 대한 전달 부재(30A)에 의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2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관한 음료 용기(1B)에는, 스트로 캡(9B)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5B)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크 기구(15B)는 도시한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어댑터(3B)에 장착된 로크 부재(16B)를 갖고 있다. 로크 기구(15B)는, 로크 부재(16B)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B)와 스트로 캡(9B)을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B)와, 로크 부재(16B)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B)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6B)에는 그 회전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달 부재(30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B)는, 로크 부재(16B)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해서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 부재(30B)가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6B)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함으로써, 스트로 캡(9B)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스트로 캡(9B)을 개방 위치 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트로 캡(9B)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크 부재(16B)는 리턴 스프링(18B)에 의해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므로, 전달 부재(30B)가 개폐 밸브(20)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에 대한 전달 부재(30B)에 의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2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에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관한 음료 용기(1C)에는, 스트로 캡(9C)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5C)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크 기구(15C)는 도시한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캡(9C)에 장착된 로크 부재(16C)를 갖고 있다. 로크 기구(15C)는, 로크 부재(16C)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C)와 스트로 어댑터(3C)를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C)와, 로크 부재(16C)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C)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6C)에는 그 회전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달 부재(30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C)는, 로크 부재(16C)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해서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 부재(30C)가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6C)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함으로써, 스트로 캡(9C)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스트로 캡(9C)을 개방 위치 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트로 캡(9C)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크 부재(16C)는 리턴 스프링(18C)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므로, 전달 부재(30C)가 개폐 밸브(20)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전달 부재(30C)에 의한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2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3은 제4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도 13에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4 변형예에 관한 음료 용기(1D)는, 스트로 캡(9D)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5D)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크 기구(15D)가 가지고 있는 로크 부재(16D)의 회전 축선 방향이 제2 및 제3 변형예와는 상이하다. 즉, 로크 부재(16D)는, 그 회전 축선 방향이 음료 용기(1D)의 상하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시한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회전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어댑터(3D)에 장착되어 있다. 로크 기구(15D)는, 로크 부재(16D)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D)와 스트로 캡(9D)을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D)와, 로크 부재(16D)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D)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6D)에는 그 회전 중심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 부재(30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D)는, 로크 부재(16D)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해서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 부재(30D)가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6D)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함으로써, 스트로 캡(9D)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스트로 캡(9D)을 개방 위치 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트로 캡(9D)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크 부재(16D)는 리턴 스프링(18D)에 의해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므로, 전달 부재(30D)가 개폐 밸브(20)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전달 부재(30D)에 의한 개폐 밸브(20)의 밸브체(21)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2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로크 부재(16D)가 스트로 캡(9D)측에 설치되도록 다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제5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변형예에 관한 음료 용기(1E)에는, 스트로 캡(9E)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15E)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크 기구(15E)는 도시한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스트로 어댑터(3E)에 장착된 로크 부재(16E)를 갖고 있다. 로크 기구(15E)는, 로크 부재(16E)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부재(16E)와 스트로 캡(9E)을 맞물리게 하는 구속부(17E)와, 로크 부재(16E)를 로크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8E)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밸브(20E)는, 상기 각 예와는 달리 밸브체(21E)가 스트로 어댑터(3E)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있고, 로크 부재(16E)와 일체 이동 가능하게 로크 부재(16E)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로 어댑터(8E)에는 밸브체(21E)에 인접하도록 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전달 부재(30E)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E)는, 로크 부재(16E)가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되어서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로크 부재(16E)와 함께 밸브체(21E)가 이동해서 전달 부재(30E)에 부딪치므로, 밸브체(21E)에 대한 압입 조작이 전달 부재(30E)에 가해져서 밸브체(21E)가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로크 부재(16E)가 해제 위치까지 동작함으로써, 스트로 캡(9E)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스트로 캡(9E)을 개방 위치 측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스트로 캡(9E)이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16E)는 리턴 스프링(18E)에 의해, 또는 로크 부재(16E)가 스트로 캡(9E)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 전달 부재(30E)가 개폐 밸브(20E)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전달 부재(30E)에 의한 밸브체(21E)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20E)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형태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각 변형예에 관한 개폐 밸브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고, 그 밸브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것 같은 구조의 개폐 밸브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5는 개폐 밸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개폐 밸브(50)는, 용기 본체(2)의 내외를 구획하는 구획판(51)과, 그 구획판(51)과 밀착하면서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이동 밸브체(52)와, 이동 밸브체(52)를 도시한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53)과, 이동 밸브체(53)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54)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판(51)의 중앙에는 이동 밸브체(52)에의해 막을 수 있는 크기의 관통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밸브체(52)에는 구획판(51)의 관통 구멍(51a)보다도 큰 관통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구획판(51)의 관통 구멍(51a)의 위치와 이동 밸브체(52)의 관통 구멍(52a)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고, 구획판(51)의 관통 구멍(51a)이 이동 밸브체(52)로 막혀 있다. 그 때문에, 개폐 밸브(50)는 용기 본체(2)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로 된다. 도시한 상태로부터, 이동 밸브체(52)가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 조작되면, 각 관통 구멍(51a, 52a)의 위치가 일치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내외가 연통해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한다. 개방 상태로 이행한 상태에서 이동 밸브체(52)에 대한 압입 조작이 해제되면, 이동 밸브체(52)가 리턴 스프링(53)에 의해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개폐 밸브(50)는 압입 조작의 해제와 함께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형태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각 변형예에 관한 개폐 밸브를 도 15에 도시한 개폐 밸브(50)로 치환해도, 그 개폐 밸브(50)에 대하여 각 전달 부재로 소정 조작인 압입 조작을 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50)를 이용한 음료 용기는 상기 형태 및 각 변형예의 음료 용기와 동등하게 기능한다.
개폐 밸브에 가하는 소정 조작은 개폐 밸브의 구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떠한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개폐 밸브인 경우에는 인장 조작이 소정 조작에 해당한다. 또한, 어떠한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개폐 밸브인 경우에는 회전 조작이 소정 조작에 해당한다.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밸브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시한 형태의 밸브체와는 다른 구조의 밸브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조작 부재가 밸브체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고, 조작 부재가 밸브체와 독립하여 동작하도록, 조작 부재를 밸브체와 별개 부품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된 스트로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가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를 숨기는 폐쇄 위치와 상기 스트로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설치된 스트로 캡과,
    상기 스트로 캡을 상기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소정 조작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동시에, 상기 소정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하는 상기 로크 부재의 동작을 상기 개폐 밸브에 대한 상기 소정 조작으로서 전달하고, 또한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 밸브에 대한 상기 소정 조작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 밸브로부터 이격하는 전달 부재를 구비하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소정 조작으로서의 압입 조작이 상기 전달 부재에서 행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입 조작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상기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한 탄성 변형의 해소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구획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주위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압입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보유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판부에는, 상기 압입 조작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을 향해 볼록하게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상기 밸브체와 동일 재료로 구성된 흡입구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부와 상기 밸브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캡은, 지지축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트로 캡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로크 부재와 일체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7.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된 스트로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내의 음료를 흡입하기 위한 스트로가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장착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를 숨기는 폐쇄 위치와 상기 스트로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트로 어댑터에 설치된 스트로 캡과,
    압입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압입 조작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상기 압입 조작의 해제에 의한 탄성 변형의 해소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 밸브와,
    상기 밸브체에 인접하도록 해서 상기 스트로 어댑터 또는 상기 스트로 캡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체에 대하여 상기 압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로 캡에 접촉해서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압입 조작을 해제할 수 있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밸브체와 동일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밸브체와 상기 조작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는 돌출부가 상기 조작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들어올림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트로 캡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트로 캡에 접촉해서 밀어 내려짐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를 구획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주위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압입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통 형상의 보유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판부에는, 상기 압입 조작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KR1020127008151A 2009-09-09 2010-09-09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KR101696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8002A JP5301398B2 (ja) 2009-09-09 2009-09-09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JP-P-2009-208000 2009-09-09
JPJP-P-2009-208002 2009-09-09
JP2009208000A JP5301397B2 (ja) 2009-09-09 2009-09-09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PCT/JP2010/065539 WO2011030830A1 (ja) 2009-09-09 2010-09-09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710A KR20120078710A (ko) 2012-07-10
KR101696503B1 true KR101696503B1 (ko) 2017-01-13

Family

ID=4373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151A KR101696503B1 (ko) 2009-09-09 2010-09-09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76628A4 (ko)
KR (1) KR101696503B1 (ko)
CN (1) CN102482010B (ko)
HK (1) HK1167248A1 (ko)
TW (1) TWI501903B (ko)
WO (1) WO2011030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0360B2 (en) * 2011-05-31 2015-12-29 Pigeon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US8550269B2 (en) 2011-06-08 2013-10-08 Thermos L.L.C. Drink bottle and lid with cover for drink spout
JP5354040B2 (ja) * 2012-02-23 2013-11-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US9150335B2 (en) 2012-02-28 2015-10-06 Thermos L.L.C. Beverage container system with button release for lid
US8689989B2 (en) 2012-02-28 2014-04-08 Thermos L.L.C. Drink bottle and lid with button release at back of lid
US9724629B2 (en) 2013-05-20 2017-08-08 Thermos L.L.C. Bottle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or treating a beverage
USD725966S1 (en) 2013-05-20 2015-04-07 Thermos L.L.C. Combined drink bottle and lid
TWI569754B (zh) * 2014-08-25 2017-02-11 Apex Medical Corp Gas connection device
EP3045402B1 (en) * 2015-01-16 2017-09-13 Aegis Global Resources (HK) Limited Lid with twistable spout unit and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204822508U (zh) * 2015-07-14 2015-12-02 徐江勇 杯盖吸嘴一键式开启结构
JP6566556B2 (ja) * 2015-07-31 2019-08-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USD815889S1 (en) 2016-12-02 2018-04-24 Yongkang Lingying Industrial and Trading Co., Ltd. Cap
AU2018203169B1 (en) * 2018-05-07 2018-11-08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Drinking vessel and ventilation members
USD935276S1 (en) 2018-08-20 2021-11-09 Thermos L.L.C. Beverage bottle with lid
AU2019203320C1 (en) * 2019-05-13 2023-08-17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Drinking cup
KR102318570B1 (ko) * 2020-06-15 2021-10-27 천성배 접이식 빨대컵용 뚜껑
US20230382607A1 (en) * 2020-10-13 2023-11-30 Fitson Singapore Pte. Ltd. Drinking vessel with straw
MX2023008166A (es) 2021-01-08 2023-07-25 Yeti Coolers Llc Montaje de tapa para un recipiente de bebidas.
CN114698980A (zh) * 2022-03-28 2022-07-0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防喷容器盖及防喷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77Y2 (ko) * 1986-04-04 1992-02-10
JP4748433B2 (ja) * 2000-09-26 2011-08-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4610777B2 (ja) 2001-04-25 2011-01-12 コンビ株式会社 ストロー付飲料容器
DE20115489U1 (de) * 2001-09-20 2001-12-06 Seaquist Loeffler Kunststoffwerk Gmbh Abgabeverschluß für fließfähiges Gut enthaltende Behälter
JP2004042982A (ja) * 2002-07-15 2004-02-12 Richell Corp 飲料容器
JP4699096B2 (ja) * 2005-06-06 2011-06-08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CN200954907Y (zh) * 2006-06-15 2007-10-03 周华坤 翻开式瓶盖
US8336724B2 (en) * 2006-06-23 2012-12-25 Pigeon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JP5088785B2 (ja) * 2007-11-30 2012-1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CN201240581Y (zh) * 2008-07-08 2009-05-20 昆山富隆家庭用品有限公司 吸水口内藏式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0830A1 (ja) 2011-03-17
EP2476628A1 (en) 2012-07-18
KR20120078710A (ko) 2012-07-10
HK1167248A1 (en) 2012-11-23
EP2476628A4 (en) 2013-04-03
TW201114655A (en) 2011-05-01
CN102482010B (zh) 2014-03-12
TWI501903B (zh) 2015-10-01
CN102482010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503B1 (ko)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
JP5301397B2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5831288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411054B1 (ko) 음료용 용기
US20080272134A1 (en) Button actuated spill-proof lid for travel mug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CN106395118B (zh) 饮料容器
CN104417958B (zh) 饮料用容器
JP200519394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939892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JP5301398B2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6186665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US20090127285A1 (en) Dispensing device
JP5332815B2 (ja) ボトルの蓋制動構造
JP2017030794A (ja) 外容器を減容変形させた状態に維持できる二重容器
TWI686333B (zh) 蓋體及附蓋容器
CN214803958U (zh) 一种饮水容器的内塞盖及饮水容器
TWM305811U (en) Coupling mechanism of buckling switch and air release valve of vacuum storage container
KR20047406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JP6899726B2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JPH11171257A (ja) 減圧容器
TWI734184B (zh) 氣密罐鎖固裝置(二)
CN110811362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02068260A (ja) 燃料キャップおよび給油装置
JP3588341B2 (ja) 粒状物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