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382B1 - 전사필름 - Google Patents

전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382B1
KR101696382B1 KR1020160052130A KR20160052130A KR101696382B1 KR 101696382 B1 KR101696382 B1 KR 101696382B1 KR 1020160052130 A KR1020160052130 A KR 1020160052130A KR 20160052130 A KR20160052130 A KR 20160052130A KR 101696382 B1 KR101696382 B1 KR 10169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layer
curable coating
film
plast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규
이경민
정광수
빙광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Priority to KR102016005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7/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층 및 UV 경화형 코팅층을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전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사필름은 상기 두 층 사이에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기재층과 이형층 사이의 표면장력 불균형에 따른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우수한 외관(표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층으로부터 코팅층의 박리가 용이하여, 기계적,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전사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사필름{TRANSFER FILM}
본 발명은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코팅층의 박리가 용이한 전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TSP),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 패널(PDP) 등의 디스플레이 용도에 사용되는 전사필름은 대부분 기재층 위에 유기 및/또는 무기 프라이머층 또는 하드코팅층 등이 코팅된 구성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 위에서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야 하고, 가공공정 동안 기재층과의 완전한 박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기재층과 코팅층 사이에 이형처리(이형층 형성)를 하게 되며, 상기 이형층은 전사 필름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형처리 방법은 기재층 위에 실리콘 및/또는 불소 계열 이형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120253호는 실리콘계 이형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전사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층은 기재 표면에 30 dyne/cm 이하의 낮은 표면 장력구배를 형성하여, 이후 이형층 위에 프라이머층 또는 하드코팅층 코팅 시 표면장력 차이에 의해 표면 균일도를 떨어뜨려 필름 표면의 외관적 불량을 야기한다.
상기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표면장력이 높은 멜라민계 이형층이나 다관능기 탄소사슬을 가진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장력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필름 외관적 불량을 완벽히 해결할 수 없었고, 오히려, 기재층과의 밀착성이 높아져 전사 시 부분적으로만 전사가 되는 등의 불량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전사필름의 생산 효율과 직결되어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12025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표면장력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외관 및 물성적 문제를 해결하여 필름 표면의 외관이 우수하고, 기계적,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전사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층; 및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코팅층을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사필름은 기재층 위에 UV 경화형 코팅층이 직접 적층된 형태로, 상기 두 층 사이에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기재층과 이형층 사이의 표면장력 불균형에 따른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우수한 외관(표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층으로부터 코팅층의 박리가 용이하여, 기계적,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전사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사필름은 보호필름, 저반사필름, 눈부심 방지필름 등 다양한 광학필름으로서(디스플레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필름 등 산업적 목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크기나 간격 등이 과장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은 도시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층; 및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코팅층을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전사필름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과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 사이에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플라스틱 기재층 위에 직접 UV 경화형 코팅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층(101) 및 UV 경화형 코팅층(102)을 포함하는 전사필름(100)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흡수제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이드록시페닐-트라이아진(HPT),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등일 수 있다. UV 흡수제는 코팅층 형성을 위한 UV 노광 시, 기재층과 코팅층의 계면에 도달하는 UV 에너지의 양을 낮추어 줌으로써, 기재층과 코팅층 간의 부착력(결합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코팅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흡수제를 0.1 내지 10 중량%, 자세하게는 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흡수제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이트륨,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텅스텐, 산화주석,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니켈, 산화코발트, 티탄산바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흡수제일 수 있고, 자세하게는 이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아연 등일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코팅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흡수제를 0.01 내지 3.0중량%, 자세하게는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UV 흡수제를 상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기재층과 코팅층 간의 부착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낮추면서도 코팅층의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프라이머층이거나 하드코팅층일 수 있고, 상기 두 층이 복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인쇄나 몰드 처리 등을 통해 그 위에 복층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막 계면의 결합력이 높은 프라이머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안티블로킹, 지문방지, 표면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성 수지는 광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광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로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올리고머로는 라디칼 중합형 올리고머와 양이온 중합형 올리고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라디칼 중합형 올리고머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양이온 중합형 올리고머로는 에폭시계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UV 경화성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UV 경화성 수지는 1종의 수지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의 수지들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및 에폭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광경화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 개시제는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광경화 개시제의 예로서는 I184(Irgacure 184), TPO(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아세트페놀, 2,2-디메톡시-2-페닐아세트페논, 벤조페놀, 2-메틸안트라퀴논, 2-메틸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광경화성 올리고머를 포함할 경우, 광경화 개시제의 예로서는 방향족 술포늄 이온, 방향족 옥소술포늄 이온,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등의 오늄(onium)과,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경화 개시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으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광안정제(예 :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 켄처(quencher), 라디칼 스캐빈저(radical scavenger), 슬립(slip) 방지제, 실리카 등의 입자 분산 졸, 대전방지제 또는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실리콘(Si)계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실란계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비닐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알콕시실란; 트리에폭시실란과 같은 에폭시실란; 부틸아미노실란 및 에폭시-아미노실란과 같은 아미노실란; 및 메틸실란, 디메틸실란, 비닐메틸디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틸실란-옥소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실실란 및 사이클로헥실디실란과 같은 알킬실란; 실란; 디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은 10 내지 200μm, 자세하게는 38 내지 12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상기 기재층에 의한 도막의 눌림성 불량 감소 및 후가공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1.0 내지 20μm, 자세하게는 3.0 내지 1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헤이즈 및 광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0.1 내지 1.0J의 광량으로 20초 내지 120초동안 UV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자세하게는, 0.3 내지 0.5J의 광량으로 30초 내지 60초동안 UV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UV 광량 및 UV 조사 시간이 상기 범위 내일 때 기재층과 코팅층 간의 부착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낮추면서도 코팅층의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은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에 대해 3 내지 20gf/in.의 부착력을 가질 수 있고, 자세하게는 4 내지 15gf/in.의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층간 부착력이 상기 범위 내일 때, 공정 혹은 취급 과정에서 기재층과 UV 경화형 코팅층 간의 박리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상기 두 층간의 박리가 깨끗하게 이루어지면서 잔류물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이 합지된 것일 수 있고, 자세하게는 PET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은 1.5% 이하의 길이 방향(기계방향) 열수축률 및 2.0% 이하의 폭 방향(텐더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등 열적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필름은, 플라스틱 기재층 상에 UV 경화형 코팅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는 기재필름을 권출 롤로부터 권출한 다음, 기재필름 상에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으로 코팅하여 UV 경화형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을 UV 경화하여, 플라스틱 기재층과 UV 경화형 코팅층이 적층된 전사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UV 경화 공정은 UV 램프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V 램프는 블랙 라이트(black light, BL) 램프, 블랙 라이트 블루(black light blue, BLB) 램프 등일 수 있으며, 약 200nm 내지 약 400nm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층 및 UV 경화형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사필름은 상술한 구성 외에도, 이형층, 점착층, 기재층 등의 다양한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사필름은 기재층 위에 UV 경화형 코팅층이 직접 적층된 형태로, 상기 두 층 사이에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기재층과 이형층 사이의 표면장력 불균형에 따른 외관 불량을 방지하여 우수한 외관(표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층으로부터 코팅층의 박리가 용이하여, 기계적,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전사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사필름은 보호필름, 저반사필름, 눈부심 방지필름 등 다양한 광학필름으로서(디스플레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필름 등 산업적 목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4에는 상기 추가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사필름을 도시하였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200)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층(201) 및 UV 경화형 코팅층(202)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201)의 일면에 이형층(203)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300)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층(301) 및 UV 경화형 코팅층(302)을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302)의 일면에 이형층(303) 및 기재층(304)을 적층된 형태로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400)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층(401) 및 UV 경화형 코팅층(402)을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402)의 일면에 점착층(405), 이형층(403) 및 기재층(404)을 적층된 형태로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사 필름의 제조
우레탄아크릴계 올리고머(UV1700B, NIPPON GOHSEI사) 24 중량%,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M340, 미원사) 6 중량% 및 광개시제(1-184, Ciba사) 5 중량%를 메틸에틸케톤(MEK) 65 중량%에 용해시켰다(고형분 함량 35%).
상기 희석 용액에 고형분 대비 0.1, 0.5, 1.0, 1.5, 5.0 및 10.0 중량%의 UV 흡수제(Tinuvin 400, basf사)를 각각 첨가하여 조액(UV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조액을 두께 100㎛의 PET 필름에 Meyer bar를 사용하여 3, 6 및 10㎛의 두께로 각각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3, 0.4 및 0.5J의 광량으로 30초 동안 UV 경화시켜 UV 경화형 코팅층을 갖는 전사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박리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5종류의 전사필름의 박리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전사필름의 UV 경화형 코팅층 면에 3M 810 tape을 밀착시킨 후 벗겨내어, 박리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코팅 두께 3㎛, 표 2는 코팅 두께 6㎛, 표 3은 코팅 두께 10㎛의 도막에 관한 것이다(도막 박리불가 : X, 도막 부분박리 : △, 도막 박리양호 : ○).
코팅두께 3μm UV 광량
Tinuvin 400 함량 0.3J 0.4J 0.5J
0.1중량% X X X
0.5 중량% X X
1.0 중량% X
5.0 중량%
10.0 중량%
코팅두께 6μm UV 광량
Tinuvin 400 함량 0.3J 0.4J 0.5J
0.1 중량% X X
0.5 중량% X
1.0 중량%
5.0 중량%
10.0 중량%
코팅두께 10μm UV 광량
Tinuvin 400 함량 0.3J 0.4J 0.5J
0.1 중량% X X X
0.5 중량% X X
1.0 중량%
5.0 중량%
10.0 중량%
상기 표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사필름은 모두 Tinuvin 400을 5 중량% 및 10 중량% 포함하는 경우, 박리력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두께, UV광량 및 UV 흡수제 첨가량에 따라 코팅층이 전사되는 정도가 다르게 평가되므로, 적용되는 제품의 쓰임새에 따라 원하는 두께와 물성으로의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UV 흡수제를 10%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하면 코팅면의 경화도를 떨어뜨려 물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100, 200, 300, 400 : 전사필름
101, 201, 301, 401 : 플라스틱 기재층
102, 202, 302, 402 : UV 경화형 코팅층
203, 303, 403 : 이형층
304, 404 : 기재층
405 : 점착층

Claims (12)

  1. 플라스틱 기재층; 및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코팅층을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되,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과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 사이에 이형층을 포함하지 않고, 이때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1종 이상의 UV 경화성 수지, 광개시제 및 UV 흡수제로 구성되고, 코팅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UV 흡수제로서 유기흡수제를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또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3 내지 20 μ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에 대해 3 내지 20 gf/in.의 부착력을 갖고,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프라이머층이며,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이 1.5% 이하의 길이 방향 열수축률 및 2.0% 이하의 폭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전사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필름이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 및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전사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흡수제가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및 트라이아진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전사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및 에폭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전사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이 10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3 내지 15 μm의 두께를 갖는, 전사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0.1 내지 1.0J의 광량으로 20초 내지 120초동안 UV 경화되어 형성된 것인, 전사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코팅층이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에 대해 4 내지 15 gf/in.의 부착력을 갖는, 전사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이 합지된 것인, 전사필름.
KR1020160052130A 2016-04-28 2016-04-28 전사필름 KR10169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30A KR101696382B1 (ko) 2016-04-28 2016-04-28 전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30A KR101696382B1 (ko) 2016-04-28 2016-04-28 전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382B1 true KR101696382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130A KR101696382B1 (ko) 2016-04-28 2016-04-28 전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253A (ko) 2004-06-18 2005-12-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실리콘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6299019A (ja) * 2005-04-18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支持基材を有しない紫外線硬化型粘着テープまたはフィルム
KR20130061848A (ko) * 2011-12-02 2013-06-12 (주)엘지하우시스 입체패턴을 나타내는 인몰드 사출용 전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35819A (ko) * 2012-09-14 2014-03-24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흡수성 하드 코트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253A (ko) 2004-06-18 2005-12-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실리콘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6299019A (ja) * 2005-04-18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支持基材を有しない紫外線硬化型粘着テープまたはフィルム
KR20130061848A (ko) * 2011-12-02 2013-06-12 (주)엘지하우시스 입체패턴을 나타내는 인몰드 사출용 전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35819A (ko) * 2012-09-14 2014-03-24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흡수성 하드 코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291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20160146978A1 (e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s amended)
US20160152002A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uch panel
KR101671430B1 (ko)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43936A (ja) 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成形体
JP2014130298A (ja) 転写媒体、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70022734A (ko) 표시 화면용 기능 필름 및 그 제조법
KR10165645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6024626A1 (ja) 保護フィルム、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偏光板
WO2014125976A1 (ja) 樹脂積層体
JP2004143201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皮膜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ならびに反射防止体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7240441B (zh) 层叠体及保护膜
TW201506114A (zh) 光學元件之製造方法
KR101696382B1 (ko) 전사필름
JP2015194555A (ja)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201256A (ja) 印刷段差の無い加飾印刷フィルム積層体
TWI791502B (zh) 功能性薄膜及裝置
JP5927902B2 (ja) 微細凹凸構造を表面に有する物品、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物品
JP3887913B2 (ja) 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ター
KR101758295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비산방지필름
WO2014204273A1 (ko) 편광자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JP2019108247A (ja)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3202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皮膜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ならびに反射防止体
KR101370202B1 (ko) 자외선 경화를 통한 필름 라미네이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