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072B1 - 에어나이프 - Google Patents

에어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072B1
KR101696072B1 KR1020150078630A KR20150078630A KR101696072B1 KR 101696072 B1 KR101696072 B1 KR 101696072B1 KR 1020150078630 A KR1020150078630 A KR 1020150078630A KR 20150078630 A KR20150078630 A KR 20150078630A KR 101696072 B1 KR101696072 B1 KR 10169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lip
lip
air knif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936A (ko
Inventor
지창운
권용훈
정연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7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072B1/ko
Priority to PCT/KR2016/005947 priority patent/WO2016195437A1/ko
Priority to CN201680032442.1A priority patent/CN108012548A/zh
Priority to JP2017562276A priority patent/JP6537634B2/ja
Priority to EP16803790.1A priority patent/EP3305937A1/en
Priority to US15/578,954 priority patent/US10472711B2/en
Publication of KR2016014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3/125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the work being a web, band, strip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어나이프의 노즐립이 강판의 폭방향 반곡에 대응하여 변형되며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주변설비와의 간섭을 피하고, 현장 작업 및 유지 보수의 문제도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나이프는 강판의 폭에 대응하여 기체를 분사하도록 제공된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출구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분사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노즐립; 및 상기 노즐립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립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변곡되며 강판의 폭방향 위치에 따라 다른 노즐립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단면적이 달라지도록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멘트 발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표면에 직접 또는 브래킷을 매개로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모멘트량에 따라 상기 노즐립을 강판의 폭방향에 대해 휘어지도록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나이프 {AIR KNIF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 소재의 폭방향 반곡에 대응하여 도금량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에어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강 제품으로는 강판 제품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강판은 제조된 후 별도의 후처리 없이 출하, 판매되는 경우도 있으며,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 공정으로는 강판의 표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처리하는 도금공정이 대표적이다.
도금공정에서는 강판을 용융도금용액에 침지시킨 후, 강판에 묻은 용융도금액을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나이프에 통과하여 강판 표면에 부착되는 도금량을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강판은 에어나이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폭방향으로 반곡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판에 부착되는 도금량에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80042호로, 에어나이프의 노즐 갭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이 기술에서는 강판의 폭방향 반곡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 나이프의 폭방향으로 공기의 공급을 다르게 하기 위해 에어나이프의 갭을 조절하고 있다.
종래에는 에어나이프의 갭을 조절하기 위해 전동 모터와 볼나사 기구가 사용된 다수의 에어나이프 노즐립 갭 제어기로 구성된 갭 프로파일 제어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기술은 에어나이프의 노즐립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거대하고, 노즐립을 변형하기 위해 설치된 변위기구가 조업에 간섭이 되고 있으며, 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강판의 폭방향 반곡에 대응하여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에어나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80042호 중국 특허출원 제2012-10205671호 일본 특허출원 제1996-29357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어나이프의 노즐립이 강판의 폭방향 반곡에 대응하여 변형되며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주변설비와의 간섭을 피하고, 현장 작업 및 유지 보수의 문제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나이프는 강판의 폭에 대응하여 기체를 분사하도록 제공된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출구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분사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노즐립; 및 상기 노즐립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립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변곡되며 강판의 폭방향 위치에 따라 다른 노즐립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단면적이 달라지도록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멘트 발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표면에 직접 또는 브래킷을 매개로 강판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강판의 반곡된 크기에 따라 프로파일된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여 상기 노즐립을 강판의 폭방향에 대해 휘어지도록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즐립의 표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일단이 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이 신축가능토록 연계되어 상기 노즐립의 다른 일측 표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폭방향 양단부 외측 표면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립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상기 노즐립을 변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에 발생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시켜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에 발생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여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가 반대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의 반곡에 대응하여 분사되는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도금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변 설비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를 갖는 연속도금설비를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가 변곡된 강판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강판 폭방향 반곡이 발생하는 경우의 도금 부착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강판과 에어나이프 사이의 거리 및 에어나이프의 노즐립 간격에 대한 도금 부착량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9의 (a) 내지 (e)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노즐립 변곡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를 갖는 연속도금설비를 도시한 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가 변곡된 강판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50)는 용융도금액이 부착된 강판(S)의 표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도금량을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강판(S)은 용융도금액이 저장된 도금조(10)에 침지되고, 싱크롤(12) 및 강판(S)을 안내하는 가이드롤(14)을 거쳐 이동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용융도금액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강판(S)은 싱크롤(12) 및 가이드롤(14)을 거쳐 이동하는 과정에서, 에어나이프(5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잉여의 용융도금액이 제거될 수 있다.
에어나이프(50)는 강판(S)에 묻은 용융도금액을 조절하기 위해 강판(S)에 대해 직교하게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성능 향상을 위해 공기를 경사지게 분사하도록 설치되거나, 별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른 에어나이프(5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나이프(50)는 강판(S)의 폭에 대응하여 기체를 분사하도록 제공된 노즐본체(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본체(52)는 일측으로부터 고압, 고온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를 강판(S)으로 분사하여 강판(S) 표면에 부착된 도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노즐본체(52)의 출구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쌍의 노즐립(54)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립(54)은 노즐본체(52)의 출구 상부와 하부 모두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노즐립(54)의 설치된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노즐립(54)은 노즐본체(52)의 출구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때 노즐립(54)의 작용은 노즐립(54)이 출구 상부와 하부 모두에 설치된 실시예에 준용하여 설명될 수 있으므로, 노즐립(54)이 노즐본체(52)의 출구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노즐립(54)은 노즐본체(52)의 출구 단면적으로 좁혀 공기의 분사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를 위해 한 쌍의 노즐립(54)은 기체의 분사 단면적을 좁힐 수 있도록 서로의 단부가 강판(S)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노즐립(54)의 일측에는 노즐립(54)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멘트 발생유닛(6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모멘트 발생유닛(60)은, 한 쌍의 노즐립 중 어느 하나의 노즐립이 강판의 폭방향으로 변곡되며 다른 하나의 노즐립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멘트 발생유닛(60)의 한 쌍의 노즐립(54)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노즐립(54)의 폭방향 양쪽 단부 외측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양단부에 발생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시켜 노즐립(54)의 양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양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노즐립(54)을 폭방향에 대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표면에 직접 설치되는 액츄에이터(62)를 포함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62)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액츄에이터(62)의 설치를 위해 브래킷(66a, 66b)이 매개될 수 있다.
일례로, 액츄에이터(62)는 노즐립(54)에 외측 표면의 일단이 설치되는 작동로드(63)와, 이 작동로드(63)를 신축토록 연계되어 노즐립(54)의 다른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실린더(6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로드(63)와 실린더(64)의 단부는 각각 노즐립(54)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 브래킷(66a, 66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립(54)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노즐립(54)이 휘어질 경우에도 액츄에이터(62)가 노즐립(54)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합 유지될 수 있다.
실린더(64)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 공압식 실린더(6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석, 모터 등을 이용하는 전기 실린더(64)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노즐립(54), 예컨대 상부의 노즐립(54)은 모멘트 발생유닛(60)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변형에 의해 폭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마주 보며 쌍을 이루는 다른 노즐립(54), 예컨대 하부의 노즐립(54)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노즐립(54)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는 단면적도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나이프(50)는 모멘트 발생유닛(60)의 실린더(64)가 작동로드(63)를 팽창시키게 되면, 노즐립(54)의 양쪽 단부(54a, 54b)에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회전 모멘트(M1)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 하부 노즐립(54)은 중앙부(54c)는 볼록하고, 양쪽 단부(54a, 54b)는 오목한 형태인 볼록렌즈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립(54)은 중앙부(54c)가 볼록하고, 양쪽 단부(54a, 54b)는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에어나이프(50)의 중앙에서는 공기의 분사량이 증가하고, 양쪽에서는 공기의 분사량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에어나이프(50)는 모멘트 발생유닛(60)의 실린더(64)가 작동로드(63)를 수축시키게 되면, 노즐립(54)의 양쪽 단부(54a, 54b)에 폭방향의 안쪽으로의 회전하는 회전 모멘트(M2)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 하부 노즐립(54)은 중앙부는 오목하고, 양쪽 단부는 볼록한 오목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립(54)은 중앙부(54c)는 오목하고, 양쪽 단부(54a, 54b)는 볼록하게 형성될 경우, 에어나이프(50)의 중앙에서는 공기의 분사량이 감소하고, 양쪽에서는 공기의 분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의 분사량은 공기의 분사압과 비례관계에 있으며, 공기의 분사량/분사압에 따라 부착된 도금층을 제거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공기의 분사량/분사압을 조절하여 도금량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강판 폭방향 반곡이 발생하는 경우의 도금 부착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강판(S)의 폭방향으로 반곡이 없이 평탄한 경우는 강판(S)의 전폭에 대하여 에어나이프(50)와 강판(S)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도금작업을 한 후에 강판(S)의 상, 하면 각각에 대하여 도금 부착량이 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에어나이프(50)와 강판(S) 사이의 간격이 동일할 경우, 강판(S)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공기량이 분사되고, 잉여의 용융도금액을 제거하는 강판(S)의 표면까지의 거리도 동일하므로 강판(S)의 표면에서 잉여의 용융도금액을 제거하는 압력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강판(S)은 용융도금시 강판(S)의 이동을 안내하는 싱크롤(12), 가이드롤(14) 등의 롤에 의한 강판(S) 내부 잔류응력에 의해 강판(S)의 폭방향에 대해 반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용융도금과정에서 강판(S)의 폭방향에 대해 발생하는 반곡은, 강판(S)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부분의 중앙부가 강판(S)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강판(S)이 폭 방향으로 반곡될 경우, 강판(S)의 폭방향으로 에어나이프(50)와 강판(S)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강판(S)은 원호 형태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강판(S)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강판(S)의 상면 쪽에 배치된 에어나이프(50)(50a) 사이의 거리(L11)가 최대가 되며, 강판(S)의 가장자리에서는 그 거리(L12)가 최소가 된다.
이러한 거리의 분포는 강판(S)의 하면 쪽에 배치된 에어나이프(50) 사이의 거리는 반대로 될 수 있다. 즉, 강판(s)과 강판(S)의 하면 쪽에 배치된 에어나이프(50b) 사이의 거리(L21)는 최소가 되며, 강판(S)의 가장자리에서는 그 거리(L22)가 최대가 되는 원호 형태의 분포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강판(S) 상면 또는 하면과 에어나이프(50)와의 거리 불균일 때문에 동일한 양의 공기가 에어나이프(50)에서 전폭에 걸쳐 분사되더라도 강판(S) 면에서는 잉여 도금을 제거하는 공기의 압력은 차이가 나게 되고, 따라서 도 7의 그래프와 같이 강판(S)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최대의 도금이 부착되고, 하부면에서는 반대로 최소의 도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강판(S)과 에어나이프(50)의 노즐립(54) 사이의 거리와, 이때 부착된 도금량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이때, 강판면과 에어나이프(50)의 노즐립(54)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강판(S)에 남아 있는 도금의 부착량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강판(S)에 반곡이 형성될 경우, 도금 작업에서는 목표 도금량 부착을 위해 기준 위치를 강판(S)의 상부에서 최소 도금량(C1)이 형성되는 강판(S)의 가장자리로 이동하게 되며, 강판(S)의 하부에서는 최소 도금량(C2)이 형성되는 강판(S)의 중앙부를 기준 위치로 정하여 도금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강판(S)은 상부면에서는 가장자리, 강판(S)의 하부면에서는 중앙부만 목표 도금량이 도달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목표 사양보다 많은 과도금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도금은 귀중하고 유한한 자원인 용융도금액을 낭비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며, 가열에 의한 합금화 반응으로 표면을 성형하는 합금화 도금강에서는 과도금 부위와 중앙 도금 부위의 표면 합금화 차이를 유발하여 제품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도금으로 목표 도금량 이상으로 도금하지 않을 경우, 미도금으로 사양 외 제품을 만들어서 경제적인 손실과 수요자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8은 강판과 에어나이프 사이의 거리 및 에어나이프의 노즐립 간격에 대한 도금 부착량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의 선도는 노즐간격이 수백 ㎛차이 나는 두 노즐 사이의 도금 부착량 차이를 강판(S)과 에어나이프(50)의 노즐 사이 거리별로 나타내고 있으며, 노즐 간격이 크면 잉여 용융도금액의 제거 능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여기서, X1과 X2는 공기압력이 P1일 경우로, X1의 노즐간격은 H1이고, X2의 노즐간격은 H2이다. 이때, 노즐간격은 H2가 H1에 비해 더 크며(H2>H1), 따라서 노즐간격이 클수록 공기량이 증가하며, 도금 부착량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X3과 X4는 공기압력이 P2일 경우로, X3의 노즐간격은 H1이고, X2의 노즐간격은 H2이다. 이때, 노즐간격은 H2가 H1에 비해 더 크며(H2>H1), 따라서 압력이 P1에서 P2로 증가할 경우에도 노즐간격이 클수록 공기량이 증가하며, 도금 부착량을 더욱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 등에서 강판(S)의 반곡된 크기는 수백 ㎛에서 수 mm까지 관측되며, 이 크기에 따라 프로파일된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여 에어나이프(5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나이프(50)는 강판(S)의 폭방향 반곡에 대응하여 잉여 용융도금액의 제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분사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나이프(50)는 노즐립(54)에 제공된 모멘트 발생부를 이용하여 노즐립(5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있으며, 강판(S)의 반곡 정도에 따라 노즐립(5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기량 및 이에 따른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에어나이프(50)는 공기량의 조절에 따라 잉여 도금액을 강판(S)의 폭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에 설치된 에어나이프(50)의 노즐립(54)은 강판(S)을 향해 연장된 방향의 길이가 50~200mm이고, 두께는 5~15mm이며, 강판(S)의 폭방향 길이가 2,000~2,500mm 정도의 길고 얇은 판상 보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길고 얇은 판상 보에 대하여 10kg 정도의 힘을 작용하는 경우, 최대 10~20mm의 굽힘변형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이는데,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에어나이프(50)의 노즐간 간격은 1~2mm의 범위로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수백 ㎛의 확장 또는 축소 변동에도 잉여 용융도금액의 제거 능력에 영향을 주는 충분한 공기량의 변동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시켜 노즐립(54)의 양단부를, 도 9의 (a), (b)와 같이, 대칭인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노즐립(54)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양단부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의 크기를 다르게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도 9의 (c)와 같이, 노즐립(54)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의 크기를 다르게 발생할 경우, 노즐립(54)의 굽은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노즐립(54)의 최대 변형이 발생한 위치가 중앙부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강판(S)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쪽으로 편향되어 이동할 경우, 에어나이프(50)의 노즐립(54)이 변곡된 형태를 강판(S)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판(S)이 편향되어 이동하는 경우에도, 도금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의 양단부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노즐립의 양단부가 비대칭, 예컨대 반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9의 (d)와 같이,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노즐립(54) 양단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발생시킴에 따라 노즐립(54)의 양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며 물결 형태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모멘트 발생유닛(60)은 도 9의 (e)와 같이, 상부의 노즐립(54)의 굽은 형태와, 하부의 노즐립(54)의 굽은 형태를 반대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도금조 12: 싱크롤
14: 가이드롤 50: 에어나이프
52: 노즐본체 54: 노즐립
60: 모멘트 발생유닛 62: 액츄에이터

Claims (6)

  1. 강판의 폭에 대응하여 기체를 분사하도록 제공된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출구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분사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노즐립; 및 상기 노즐립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립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변곡되며 강판의 폭방향 위치에 따라 다른 노즐립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단면적이 달라지도록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멘트 발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표면에 직접 또는 브래킷을 매개로 강판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강판의 반곡된 크기에 따라 프로파일된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여 상기 노즐립을 강판의 폭방향에 대해 휘어지도록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나이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즐립의 표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일단이 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이 신축가능토록 연계되어 상기 노즐립의 다른 일측 표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에어나이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폭방향 양단부 외측 표면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립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켜 상기 노즐립을 변곡시키는 에어나이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에 발생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시켜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나이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 발생유닛은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에 발생하는 각각의 회전 모멘트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여 상기 노즐립의 양단부가 반대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나이프.
KR1020150078630A 2015-06-03 2015-06-03 에어나이프 KR10169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30A KR101696072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나이프
PCT/KR2016/005947 WO2016195437A1 (ko) 2015-06-03 2016-06-03 에어나이프
CN201680032442.1A CN108012548A (zh) 2015-06-03 2016-06-03 气刀
JP2017562276A JP6537634B2 (ja) 2015-06-03 2016-06-03 エアーナイフ
EP16803790.1A EP3305937A1 (en) 2015-06-03 2016-06-03 Air knife
US15/578,954 US10472711B2 (en) 2015-06-03 2016-06-03 Air knif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30A KR101696072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나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36A KR20160142936A (ko) 2016-12-14
KR101696072B1 true KR101696072B1 (ko) 2017-01-13

Family

ID=5744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30A KR101696072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나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72711B2 (ko)
EP (1) EP3305937A1 (ko)
JP (1) JP6537634B2 (ko)
KR (1) KR101696072B1 (ko)
CN (1) CN108012548A (ko)
WO (1) WO2016195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836B2 (en) * 2015-02-06 2019-09-17 Michael James McIntyre Cooking apparatus and air delivery and circulation device therefore
KR102180798B1 (ko) * 2018-10-19 2020-11-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CN109943797B (zh) * 2019-04-30 2024-04-26 太仓巨仁光伏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宽型光伏焊带的风刀
KR102301966B1 (ko) * 2020-03-06 2021-09-14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도금강판용 에어나이프
KR102351757B1 (ko) * 2020-05-14 2022-01-17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나이프 및, 도금장치
CN115537700B (zh) * 2022-08-30 2024-04-23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气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96B1 (ko) 1995-08-22 2002-11-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식용융도금라인에서의폭방향도금두께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4127Y1 (ko) 1967-08-10 1972-10-16
DE2118253A1 (de) 1971-04-15 1972-10-26 Demag Ag, 4100 Duis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ln der Luftbeaufschlagung bei Bandbeschichtungsanlagen
JPS6060910A (ja) * 1983-09-14 1985-04-08 Tokuyama Soda Co Ltd 窒化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US4697542A (en) * 1985-05-13 1987-10-06 The Kohler Coating Machinery Corporation Adjustable nozzle for coating equipment
JPH0559514A (ja) * 1991-08-30 1993-03-09 Nisshin Steel Co Ltd 連続溶融めつきにおける吹拭ノズル
JPH0589445A (ja) * 1991-09-27 199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浮動型磁気ヘツド
US5423913A (en) * 1991-10-30 1995-06-13 Fontaine; Paul 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metallic coating-weight by the use of gas knives
JPH0589445U (ja) * 1992-05-06 1993-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ワイピング装置
JPH08293571A (ja) 1995-04-25 1996-11-05 Hitachi Ltd パッケー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048123B2 (ja) * 1996-03-08 2000-06-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ギャップ可変式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JPH10140315A (ja) 1996-11-06 1998-05-26 Nippon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板の幅方向目付制御方法
KR20020050858A (ko)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에어나이프의 노즐 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3702213B2 (ja) * 2001-10-05 2005-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ギャップ可変式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040048263A (ko)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포스코 폭방향 에어 송풍량이 조절이 가능한 에어나이프 장치
JP4552586B2 (ja) * 2003-10-10 2010-09-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および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装置
KR100843923B1 (ko) * 2006-12-08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다단 노즐형 가스 와이핑 장치
DE102010008989B4 (de) * 2009-03-06 2018-07-26 Primetals Technologies Japan, Ltd. Gasabstreifvorrichtung
CN103510032B (zh) 2012-06-20 2015-12-02 鞍钢股份有限公司 冷轧热镀锌镀层均匀度的偏差值控制方法
KR101560924B1 (ko) 2013-12-20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용융도금라인에서의 폭방향 도금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96B1 (ko) 1995-08-22 2002-11-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식용융도금라인에서의폭방향도금두께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5937A4 (en) 2018-04-11
CN108012548A (zh) 2018-05-08
KR20160142936A (ko) 2016-12-14
WO2016195437A1 (ko) 2016-12-08
US20180171461A1 (en) 2018-06-21
US10472711B2 (en) 2019-11-12
EP3305937A1 (en) 2018-04-11
JP6537634B2 (ja) 2019-07-03
JP2018517845A (ja)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072B1 (ko) 에어나이프
KR101651313B1 (ko) 금속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신장-굽힘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01854B1 (en) Protective coating application system
KR101722005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CA3034334C (en) Method and coating device for coating a metal strip
WO2014103164A1 (ja) 熱延鋼帯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US20240018639A1 (en) Hot dip coating device and method
WO2012172648A1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JP6863023B2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JP5842855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1791108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KR20010007192A (ko) 금속밴드의 쇠녹제거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쇠녹제거장치
JP5577588B2 (ja) 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50074993A (ko) 에어나이프의 노즐갭 조절장치
JPH0826444B2 (ja) 連続式溶融メッキ装置
JP4552586B2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および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装置
KR102219559B1 (ko)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JP6112040B2 (ja) 金属帯の非接触制御装置および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
JP2009068040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方法
JP7180636B2 (ja) 金属板の焼入れ装置及び金属板の焼入れ方法並びに鋼板の製造方法
KR101722015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KR960004774B1 (ko) 연속식 용융도금라인의 도금두께 제어장치
RU27159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стабилизации непрерывно протягиваем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JPS63145760A (ja) 連続式溶融金属メツキ装置
JP2003155550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