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571B1 - 고압 연료 펌프 - Google Patents

고압 연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571B1
KR101694571B1 KR1020127004316A KR20127004316A KR101694571B1 KR 101694571 B1 KR101694571 B1 KR 101694571B1 KR 1020127004316 A KR1020127004316 A KR 1020127004316A KR 20127004316 A KR20127004316 A KR 20127004316A KR 101694571 B1 KR101694571 B1 KR 10169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mp
section
pump housing
hou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750A (ko
Inventor
아르놀트 겐테
요혠 알레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4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8Assembling; Disassembling; Repl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1)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며,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에는, 펌프 하우징(1)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부재의 작동을 위해, 캠 구동 장치 또는 편심 구동 장치(3)를 포함하는 구동 샤프트(2)가 수용되어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펌프 하우징(1)은, 구동 샤프트(2)를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베어링 보어부(6)를 구비하고 펌프 하우징(1)과 연결되는 하우징 부재(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부재(5)는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7)를 통해 펌프 하우징(1)과 결합되고,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7)는 하우징 부재(5)가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섹션(a, b)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부 내로는 하우징 부재(5)가 삽입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압 연료 펌프{HIGH-PRESSURE FUEL PUMP}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고압 펌프는 종래 기술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었다. 고압 펌프는 자동차에서 특히 연료, 바람직하게는 경유를 고압 어큐뮬레이터로 토출하고 이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연료가 고압 하에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분사되게끔 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압 펌프는 캠 구동 장치 또는 편심 구동 장치를 구비한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고, 이 구동 샤프트에 의해서는 하나 이상의 펌프 부재의 펌프 플런저가 구동되어 행정 운동을 수행한다. 펌프 플런저의 흡입 행정 시에 연료는 저압 영역으로부터 흡입되고, 펌프 플런저의 토출 행정 시에는 이후 고압 상태로 고압 어큐뮬레이터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펌프 작동 챔버에서 압축된다.
상기 유형의 펌프의 경우 높은 토출 압력으로 인해, 구동 샤프트의 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해 흡수되어야만 하는 큰 힘이,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뿐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작용하는 힘이 구동 샤프트에 작용하는 문제가 정기적으로 발생한다. 높은 반경 방향 힘이 발생하고 이에 수반되어 구동 샤프트가 경사 위치에 있을 때 베어링 어셈블리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심한 테두리 압착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공개 공보 DE 10 2006 051 332 A1에서는, 베어링 보어부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샤프트의 베어링 샤프트 섹션을, 또는 베어링 보어부의 윤곽을 공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어링 가장자리 영역에서보다 더욱 작은 베어링 간극이 베어링 중심에서 유지되게 하는 점이 제안된다. 이에 따라, 반경 방향 힘이 작용함으로써 구동 샤프트가 소정의 경사 위치에 있는 상태가 더욱 잘 허용될 수 있다. 축방향 힘을 흡수하기 위해, 베어링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나사 연결부를 통해 고압 펌프의 하우징과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유형의 일반적인 고압 펌프를 기초로 하여, 구동 샤프트의 향상된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고압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펌프를 간단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고압 펌프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제시된다.
제안되는 고압 연료 펌프는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펌프 하우징 내부에는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부재의 작동을 위해 캠 구동 장치 또는 편심 구동 장치를 구비한 구동 샤프트가 수용되어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펌프 하우징은 베어링 보어부를 구비한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부재는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press connection)를 통해 펌프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는, 펌프 하우징의 리세스부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하우징 부재가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 내로는 하우징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여기서 압입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와 관련하여 구동 샤프트를 통해 유도되는 축방향 힘도 흡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나사 연결부는 불필요해지며, 그럼으로써 펌프 하우징에서 하우징 부재의 고정이 나사 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랜지의 형성도 불필요해지며,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재료와 이에 따른 중량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나사들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부들의 복잡한 제조도 생략되며,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제조는 단순화되고 이에 따라 더욱 경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부재는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의 형성을 위해 펌프 하우징의 리세스부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제1 섹션(a) 및 제2 섹션(b)을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펌프 하우징과 하우징 부재를 마찰 결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2개의 압입 끼워 맞춤부(press fitting)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섹션(a) 및 제 섹션(b)은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과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큰 축방향 이격 간격은 축방향으로 긴 길이에 걸쳐 하우징 부재가 배향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펌프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 부재의 동심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방식으로 축방향 이격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크게 선택된다.
또한,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압입 끼워 맞춤부를 통한 펌프 하우징과 하우징 부재의 마찰 결합식 결합은,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두 섹션(a와 b) 사이에 리턴 그루브(return groove)로서 이용될 수 있는 환형 챔버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리턴 흐름(system return flow) 내로 베어링 윤활량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보어부가 상기 환형 챔버 내로 통한다. 리턴 보어부는 반경 방향 보어부(radial bore)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 부재의 벽부 영역 내에 경사져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턴 그루브로서의 환형 챔버는, 다시 말하면 원형 리턴 그루브는, 하우징 부재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 리턴 보어부들의 각도 위치가 서로 다를 경우에도 시스템 리턴 흐름에 대한 연결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리턴 그루브는 펌프 내부 챔버에 대해 더욱 안쪽에 위치하는 섹션(a)의 압입 결합부에 의해 밀봉된다. 그럼으로써 밀봉 링의 배치가 생략될 수 있다. 그럼에도 누출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영향은 기대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누출이 펌프 내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하우징의 리세스부에 대한 하우징 부재의 제1 섹션(a)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는 제2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와 차이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는 제1 섹션(a)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섹션들(a 및 b)을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한편으로 두 섹션 내 충분한 압입 결합부가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입 과정이 수월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압입 결합부는 제2 섹션(b)의 영역에서 마찬가지로 밀봉 기능을 보유한다. 이에 따라, 요건이 까다롭지 않은 적용예에서, 다시 말하면 구동 샤프트에 작용하는 힘이 적은 적용예에서, 압입 결합부는 외부 챔버에 대해 환형 챔버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링을 대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입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섹션(a) 및/또는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 및 축방향 연장부는 최소 압입력이 5kN를 초과하면서 약 1kN의 통상적인 축방향 압입력이 흡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압입 오버사이즈로 인해 압입 결합부의 영역에서 베어링 보어부와 이에 인접하는 구조 부재의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평 베어링(plain bearing)의 형성을 위해 예컨대 평 베어링 부시가 베어링 보어부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압입 오버사이즈가 베어링 부시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경우에 따라 베어링의 하중 지지 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형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압입 결합부 영역에 환형 그루브가 제공되고, 이 환형 그루브는 펌프 하우징의 탄성 변형과, 이에 따라 압입 결합부 영역 내의 분리(decoupling)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인접한 구조 부재의 소성 변형 없이, 그리고 압입 영역 내 응력 형성 없이 높은 고정력이 실현될 수 있다. 심지어 분리에 의해 압입력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펌프 하우징의 분리를 위해 제공되는 환형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펌프 하우징의 리세스부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환형 그루브는 펌프 하우징의 선단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노치(notch)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에 대체되거나 보충되는 실시예에서는, 원하지 않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부재의 선단면에도 대응하는 환형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의 베어링 보어부 내에 평 베어링 부시가 배치되는 점에 한해서, 상기 평 베어링 부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플랜지 부시로서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의 분리를 위해 환형 그루브가 이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환형 그루브의 축방향 연장부는 각각의 압입 영역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더 크게 선택되고, 환형 그루브는 각각의 압입 영역의 축방향 연장부의 하중 완화에 기여한다. 다시 말하면, 환형 그루브의 축방향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섹션들(a 또는 b)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그럼으로써 종방향에서 불균일한 표면 압력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환형 그루브의 축방향 연장부는 각각의 압입 영역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20% 이상 더 크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펌프 하우징의 리세스부 내부에서 하우징 부재의 축방향 위치 고정을 위해 추가로 펌프 하우징과 하우징 부재의 형태 결합식 결합부가 제공된다. 형태 결합식 결합부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나사나 하나 이상의 핀(pin)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나사나 하나 이상의 핀은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에 대해 수직으로 안내된다. 또한,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서, 형태 결합식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리테이닝 링 또는 스냅 링이 이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형태 결합식 결합부를 바탕으로 고압 펌프는 또한 특히 까다로운 요건을 갖는 적용예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재와 펌프 하우징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하우징 부재와 펌프 하우징은 탄성 계수 및 온도 팽창 계수와 관련하여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압입 결합부가 작동 조건에 따라 분리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형태 결합식 결합부는 대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압입 영역에서의 가능한 밀봉 기능도 계속해서 보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하우징 부재와 펌프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재료가 이용된다면, (특히 하나 이상의 압입 결합부를 통해 펌프 하우징에 하우징 부재를 고정하기만 하면 되는 경우에는) 작동 온도 범위 전체에 걸쳐서 고정력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 압입력이 충분한 점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에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구동 샤프트의 베어링 어셈블리 영역에서 공지된 고압 펌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베어링 영역을 확대 도시한 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펌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베어링 영역을 확대 도시한 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펌프의 대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고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고압 펌프는 펌프 하우징(1)을 포함하고, 펌프 하우징 내부에는 구동 샤프트(2)를 수용하고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부재(5)가 수용된다. 평 베어링의 형성을 위해, 하우징 부재(5)의 베어링 보어부(6) 내에는 평 베어링 부시(11)가 삽입된다. 구동 샤프트(2)는 평 베어링 부시(11)를 통과하여 안내되고 말단 측에서는 펌프 하우징(1) 내부에 평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추가 베어링 어셈블리 내에서 고정 유지된다. 두 평 베어링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2)는 연료 토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펌프 부재(미도시)의 펌프 플런저(마찬가지로 미도시)를 작동하기 위한 캠 구동 장치(3)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5)는 자신의 플랜지(14)를 통해 축방향에서 펌프 하우징(1)에 맞닿는다. 고정을 위해 플랜지(14)는 하나 이상의 나사(15)를 통해 펌프 하우징과 나사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4개 또는 6개의 나사(15)가 상호 간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하우징 부재(5)의 고정을 위해 플랜지(14) 내에 배치된다. 나사들(15)은 구동 샤프트(2)를 통해 유도되는 축방향 힘이 흡수될 수 있게 하는 형태 결합식 결합부를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14)에서의 원통형 견부를 통해서는 하우징 부재(5)가 반경 방향에서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 내에서 지지된다.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와 하우징 부재(5)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 윤활량의 유출을 방지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링(13)이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동 샤프트(2)와 하우징 부재(5) 사이의 베어링 간극을 외부 방향으로 밀봉하는 샤프트 밀봉 링(16)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 부재(5)의 선단면에는, 베어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하우징 부재(5)의 소정의 탄성 변형성을 보장하는 환형 그루브(12)가 형성된다. 특히, 환형 그루브(12)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 변형성은 높은 횡력이 캠 구동 장치(3)로부터 구동 샤프트(2) 상에 작용하고 이에 따라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4)에 대해 구동 샤프트(2)의 틸팅을 초래할 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베어링의 가장자리 영역들에서는 높은 하중이 발생하는데, 그러나 상기 높은 하중은 대응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펌프는, 하우징 부재(5)가 압입 결합부(7)를 통해 펌프 하우징(1)과 마찰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는 하우징 부재(5)가 하나 이상의 섹션(a, b)에서, 내부에 하우징 부재(5)가 수용되는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보유함으로써 형성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고압 펌프와 구별된다. 따라서 펌프 하우징(1)과 하우징 부재(5)의 나사 결합은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럼으로써 플랜지(14)의 형성 역시도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럼으로써 재료와 중량이 절감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의 실시예의 하우징 부재(5)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펌프 하우징(1)에서 하우징 부재(5)를 고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섹션(a)만을 통한 압입 결합부(7)의 형성이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기는 하지만, 2개의 압입 끼워 맞춤부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다음에서 언급되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 부재(5)는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2개의 섹션(a 및 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섹션들(a 및 b) 내에서 각각의 압입 결합부(7)가 형성된다. 섹션들(a 및 b)은 축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하우징 부재(5)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섹션들(a 및 b) 사이에는 환형 챔버(9)가 형성된다. 환형 챔버(9)는, 리턴 보어부(10)를 통해 소정의 베어링 윤활량을 다시 시스템 리턴 흐름(미도시)으로 공급하기 위해 리턴 그루브로서 이용된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리턴 보어부(10)는 반경 방향 보어로서 형성된다. 펌프 내부 챔버에 대해 환형 챔버(9)는 압입 결합부(7)가 동시에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섹션(a)의 압입 결합부(7)에 의해 밀봉된다. 이에 비해서 섹션(b)은 밀봉 기능을 수행할 만큼 충분한 축방향 오버사이즈를 갖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환형 챔버(9)는 밀봉 링(13)을 통해 외부를 향해 밀봉된다. 상기 밀봉 링(13)은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도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보다 대응하는 치수만큼 증가된다면 필요하지 않다. 하우징 부재(5)에 대한 구동 샤프트(2)의 밀봉은 샤프트 밀봉 링(16)이 수행한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 부재(5)의 베어링 보어부(6) 내로 플랜지 부시가 평 베어링 부시(11)로서 삽입된다. 섹션(a)의 압입 오버사이즈로 인한 평 베어링 부시(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영역에서 하우징 부재(5)는 선단 측에 형성되는 환형 그루브(12)를 포함하고, 이 환형 그루브를 바탕으로 하우징 부재(5)의 가장자리 영역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평 베어링 부시의 변형은 방지되며, 그럼으로써 또한 베어링의 하중 지지 능력도 보장되게 된다.
도 3의 제2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 그루브(12)는 펌프 하우징(1)의 선단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환형 그루브(12)는 본 실시예의 경우 펌프 하우징(1)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면서 섹션(b)의 압입 결합부(7)의 압입 오버사이즈를 보상한다.
또한, 도 3의 실시예는, 평 베어링 부시(11)가 원통형이면서 플랜지 부시로서 형성되지 않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평 베어링 부시(11)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 영역(18)이 하우징 부재(5)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구별 특징으로서 리턴 보어부(10)가 반경 방향 보어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져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환형 챔버(10)를 통해서는 리턴 보어부(10)가 하우징 보어부(17)와 연결되고, 하우징 보어부는 다시 시스템 리턴 흐름에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재한 다양한 구성상 특징들은 각각 대체되거나 임의의 조합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Claims (9)

  1. 펌프 하우징(1)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이며,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에는 펌프 하우징(1)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부재의 작동을 위해 캠 구동 장치 또는 편심 구동 장치(3)를 구비한 구동 샤프트(2)가 수용되어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펌프 하우징(1)은 상기 구동 샤프트(2)를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베어링 보어부(6)를 구비한 하우징 부재(5)를 포함하는, 상기 고압 연료 펌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5)는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7)를 통해 상기 펌프 하우징(1)과 결합되고, 상기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7)는 상기 하우징 부재(5)가 상기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섹션(a, b)을 보유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 내로는 상기 하우징 부재(5)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5)는 상기 마찰 결합식 압입 결합부(7)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제1 섹션(a) 및 제2 섹션(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섹션(a) 및 상기 제2 섹션(b)은 상기 종방향 구동 샤프트 축(4)과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고,
    상기 제1 섹션(a) 및 제2 섹션(b) 사이에서는 환형 챔버(9)가 리턴 그루브로서 유지되며, 상기 환형 챔버의 내부로는 리턴 보어부(10)가 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5)의 제1 섹션(a)과 제2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는 서로 구별되며, 상기 제2 섹션(b)의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가 더욱 크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영역 내 압입 결합부는 추가로 밀봉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펌프 하우징(1)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 부재(5)의 베어링 보어부(6) 또는 이 베어링 보어부(6) 내에 배치되는 평 베어링 부시(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압입 결합부(7)의 영역에, 상기 펌프 하우징(1)의 탄성 변형과, 이에 따라 상기 압입 결합부(7) 영역 내 분리를 야기하는 환형 그루브(12)가 제공되며, 상기 환형 그루브(12)는 상기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노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펌프 하우징(1) 내 상기 환형 그루브(12)의 축방향 연장부는 반경 방향 오버사이즈를 갖는 각각의 섹션(a, b)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더 크게 선택되며, 상기 환형 그루브(12)의 축방향 연장부가 20% 이상 더 크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1)의 리세스부(8)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 부재(5)의 축방향 위치 고정을 위해, 추가로 상기 펌프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 부재(5)의 형태 결합식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5)와 상기 펌프 하우징(1)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KR1020127004316A 2009-08-21 2010-06-23 고압 연료 펌프 KR101694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8795.7 2009-08-21
DE200910028795 DE102009028795A1 (de) 2009-08-21 2009-08-21 Kraftstoffhochdruckpumpe
PCT/EP2010/058914 WO2011020635A1 (de) 2009-08-21 2010-06-23 Kraftstoffhochdruckpu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750A KR20120046750A (ko) 2012-05-10
KR101694571B1 true KR101694571B1 (ko) 2017-01-17

Family

ID=4267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316A KR101694571B1 (ko) 2009-08-21 2010-06-23 고압 연료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67592B1 (ko)
JP (1) JP5379307B2 (ko)
KR (1) KR101694571B1 (ko)
CN (1) CN102483017B (ko)
DE (1) DE102009028795A1 (ko)
RU (1) RU2556954C2 (ko)
WO (1) WO2011020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0184A1 (de) * 2012-06-18 2013-12-19 Robert Bosch Gmbh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WO2017134332A1 (en) * 2016-02-02 2017-08-10 Wärtsilä Finland Oy Bearing arrangement
DE102018216850A1 (de) * 2018-10-01 2020-04-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mit einem Anschlussstutz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6376A1 (de) 1999-04-12 2000-10-19 Mannesmann Rexroth Ag Pumpengehäuse
JP2001207938A (ja) 2000-01-26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ポンプ
DE102008007224A1 (de) * 2008-02-01 2009-08-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umpenanordnung zur Förderung eines Fluid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umpenanordnung und System mit einer Pump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449A (en) * 1991-12-05 1993-06-01 Stanadyne Automotive Corp. Distributor type fuel injection pump
US5688110A (en) * 1995-06-02 1997-11-18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pump arrangement having cam driven low and high pressure reciprocating plunger pump units
KR100362808B1 (ko) * 2000-04-21 2002-11-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수지몰드형 무브러시 직류모터 및 그 제조방법
DE10029431A1 (de) * 2000-06-15 2001-12-20 Siemens Ag Bohrungsanordnung mit einer aus mindestens zwei Bohrungen gebildeten Verschneid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21305A1 (de) * 2002-05-14 2003-11-27 Bosch Gmbh Robert Radialkolbenpumpe für Kraftstoffeinspritzsystem mit verbesserter Hochdruckfestigkeit
DE10259178A1 (de) * 2002-12-18 2004-07-08 Robert Bosch Gmbh Hochdruckpumpe für eine Kraftstoffspritzein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JP4614740B2 (ja) * 2004-11-17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DE102006051332A1 (de) 2006-10-31 2008-05-08 Robert Bosch Gmbh Förderpumpe, insbesondere zur Förderung von Dieselkraftstoff mit einer verbesserten Lagerung der Antriebswelle
DE102007048853A1 (de) * 2007-10-11 2009-04-16 Robert Bosch Gmbh Flansch einer Hochdruckkraftstoffpum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6376A1 (de) 1999-04-12 2000-10-19 Mannesmann Rexroth Ag Pumpengehäuse
JP2001207938A (ja) 2000-01-26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ポンプ
DE102008007224A1 (de) * 2008-02-01 2009-08-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umpenanordnung zur Förderung eines Fluid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umpenanordnung und System mit einer Pumpen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56954C2 (ru) 2015-07-20
EP2467592B1 (de) 2013-08-14
CN102483017A (zh) 2012-05-30
EP2467592A1 (de) 2012-06-27
DE102009028795A1 (de) 2011-02-24
RU2012110484A (ru) 2013-10-27
KR20120046750A (ko) 2012-05-10
JP5379307B2 (ja) 2013-12-25
JP2013502523A (ja) 2013-01-24
WO2011020635A1 (de) 2011-02-24
CN102483017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643B1 (ko) 피스톤 펌프
US5899136A (en) Low leakage plunger and barrel assembly for high pressure fluid system
US20030194331A1 (en) Compressor housing with clamp
US7107967B2 (en) Fuel supply pump having inner lubricating groove
CN105074172B (zh) 用于内燃机的活门装置
KR970007655B1 (ko)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
WO2011043128A1 (ja) 高圧燃料ポンプ
US20090121443A1 (en) Sealing Device
KR101815796B1 (ko) 고압펌프
KR101694571B1 (ko) 고압 연료 펌프
US20110070112A1 (en) Piston pump assembly
US6514050B1 (en) High pressure seal means for a radial piston pump
US10072533B2 (en) Cam follower roller device
JP4199930B2 (ja) 燃料高圧供給用のピストンポンプ
CN111448388A (zh) 连接器
KR20030013473A (ko) 연료 분사 유닛
KR20200033254A (ko) 피스톤 펌프, 특히 내연기관용 고압 연료 펌프
US7083203B2 (en)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a fuel line to a fuel injector
EP3181837A1 (en) Cam follower roller device with tappet body made in two parts
US20180106228A1 (en) Gasket for fuel injector
CN219366202U (zh) 用于燃料喷射系统的高压泵和用于车辆的燃料喷射系统
US20220235819A1 (en) Elastic bearing
JP2021173346A (ja) 密封構造
US11815102B2 (en) Axial securing of a pump
JPH08144934A (ja) 低粘性燃料用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