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947B1 -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 Google Patents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947B1
KR101692947B1 KR1020140134291A KR20140134291A KR101692947B1 KR 101692947 B1 KR101692947 B1 KR 101692947B1 KR 1020140134291 A KR1020140134291 A KR 1020140134291A KR 20140134291 A KR20140134291 A KR 20140134291A KR 101692947 B1 KR101692947 B1 KR 10169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path
leds
scor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714A (ko
Inventor
유재수
Original Assignee
(주)타임앤플레이스
(주)타임투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임앤플레이스, (주)타임투미디어 filed Critical (주)타임앤플레이스
Publication of KR2016002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20Scoring or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의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LED; 상기 당구대에 위치하는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득점경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당구공의 위치와 가장 유사한 배치에 따른 득점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득점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석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LED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삽입홀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당구 초보자도 인터페이스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당구 연습을 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당구 게임을 하는 경우 초보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SMART BILLIARD TABLE FOR PROVIDING POINT ROUTE}
본 발명은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대의 바닥면인 석판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를 이용하여 득점 경로를 표시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수평이 유지되는 사각 당구대 안에 당구공을 게임의 종류에 따라 배치하고 인원수를 정해 게임에 참여한 사람의 순서대로 큐대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타구해서 원하는 공을 접촉하여 일정 점수가 달성되면 게임이 종료되는 스포츠 오락 경기의 한 종류이다.
당구가 스포츠의 한 분야에 속하고 세계적인 당구 대회도 전세계적으로 많이 개최되는 실정이지만, 실내에서 행해지고, 전신을 이용하는 다른 스포츠와는 달리 주로 팔 동작에 의해 행해지고 유희적인 요소가 많은 게임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당구는 다른 구기종목과 구별된다. 즉, 당구는 일명 손맛을 느끼면서 치는 게임적 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당구는 대한민국에서 활성화된 스포츠 중에 하나이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각광받아 지지층이 매우 두텁다. 이러한 당구 열기에 발맞춰 대한민국에서는 세계 대회를 주최하거나, 세계 대회에서 입상하는 선수들이 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당구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당구장에서 당구를 배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정 실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게임을 하면서 배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초급의 당구 실력을 가진 사람들이 당구를 배우기 위해서는 일정 실력을 갖춘 사람들과 게임을 계속해서 해야만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일정 실력을 갖춘 사람들은 초급의 당구 실력을 가진 사람들과 게임을 하는 경우에 재미가 반감되어 같이 하지 않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보자들로 쉽게 당구를 배울 수 있도록 빔 프로젝트를 당구대의 상부 공간에 설치하고, 빔 프로젝트로 당구 연습에 관한 영상을 투영시켜 당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빔 프로젝트를 이용한 종래의 당구 가이드 장치는 당구대 하나당 설치 비용이 수백만원대를 호가하게 되므로, 당구 업주들은 초기 투자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이에 관한 제품 구매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578호(2012.10.1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당구대 바닥면인 석판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당구공의 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분석한 후 당구공의 배치와 유사한 상황의 득점 경로를 LED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의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LED; 상기 당구대에 위치하는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득점경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당구공의 위치와 가장 유사한 배치에 따른 득점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득점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석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LED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삽입홀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는, 상기 당구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득점경로의 표시 및 당구공을 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당구공의 제1경로로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1경로표시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당구공의 제2경로로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2경로표시스위치와, 당구공을 제1경로 또는 제2경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당구공을 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스킬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킬제공부는 사용자가 타격해야 할 당구공인 수구의 타격점을 보여주는 당점표시부와, 상기 수구가 타격해야 할 당구공인 목적구의 두께를 보여주는 두께표시부와, 상기 수구의 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스크로트 표시부와, 상기 제1경로 또는 제2경로의 난이도를 표시하는 난이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투명의 아크릴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는 당구 초보자도 인터페이스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당구 연습을 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당구 게임을 하는 경우 초보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당구대의 LED가 점등하여 득점 경로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당구대의 LED가 점등하여 득점 경로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100)는 복수의 센서(110)와, 복수의 LED(120)와, 데이터베이스(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150)와, 밀폐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구대(100)는 석판(100a)과, 상기 석판(100a)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00b)와, 상기 석판(100a)과 상기 지지부재(100b)를 외측에서 감싸는 틀(100c)과, 상기 석판(100a)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찰재인 직물지(100d)와, 상기 석판(100a)의 상부 및 상기 틀(100c)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쿠션(100e)을 포함하며, 상기 석판(100a), 지지부재(100b), 틀(100c), 직물지(100d), 쿠션(100e)은 상기 당구대(1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틀(100c)과 상기 지지부재(100d)는 고정수단(F)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F)으로는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석판(100a)의 상부에 구비되며 당구공(B)과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직물지(100d)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100b)에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직물지(100d)가 상기 석판(100a)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홀(H)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H)로는 복수의 센서(110)와 복수의 LED(120)가 삽입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110)는 상기 석판(100a)의 삽입홀(H)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됨으로써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110)는 상기 석판(100a)의 상부에 위치되는 당구공(B)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110)는 당구공(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110)가 감지한 당구공(B)의 위치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되어 저장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110)로 사용되는 압력 센서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110)와 인접하도록 상기 석판(100a)에는 복수의 LED(120)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LED(120) 역시 상기 삽입홀(H)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LED(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40)에 의해 전등되면서 당구공(B)의 득점 경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LED(1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당구대(100)에 위치하는 당구공(B)의 위치에 따른 득점 경로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게 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당구대(10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당구대(100)와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득점 경로는 제어부(140)에 의해 추출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추출된 득점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LED(120)를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복수의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당구공(B)의 위치와 가장 유사한 당구공(B)의 배치에 따른 득점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득점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120)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득점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홀(H)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110)와 상기 복수의 LED(120)가 교차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센서(110)와 상기 복수의 LED(120)가 하나의 삽입홀(H)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110)와 상기 복수의 LED(120)가 하나의 삽입홀(H)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삽입홀(H)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당구공(B)의 득점 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삽입홀(H)에는 밀폐부재(16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폐부재(160)는 상기 삽입홀(H)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역할 및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홀(H)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이 상기 삽입홀(H)로 인하여 고르지 않게 되나, 상기 삽입홀(H)에 상기 밀폐부재(160)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석판(100a)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하여 당구공(B)의 진행에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160)는 투명의 아크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부재(160)가 투명의 아크릴 재질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LED(120)가 점등될 때 사용자에게 득점 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당구대(100)의 틀(100c)에는 인터페이스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추출된 득점 경로를 선택적으로 표시 및 당구공(B)을 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스위치(151), 제1경로표시스위치(152), 제2경로표시스위치(153), 및 스킬제공부(154)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스위치(151)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경로표시스위치(152)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당구공(B)의 이동경로를 작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1경로 상의 복수의 LED(120)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경로표시스위치(153)는 제2경로 상의 복수의 LED(120)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하나 이상의 득점 경로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1경로표시스위치(152) 또는 제2경로표시스위치(153)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140)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득점 경로 중 실력에 맞는 득점 경로를 선택하여 득점 경로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스킬제공부(154)는 당구공(B)을 제1경로 또는 제2경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당구공(B)을 치거나 타격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킬제공부(154)는 당점표시부(154a)와, 두께표시부(154b), 스트로크 표시부(154c), 및 난이도 표시부(154d)를 포함한다.
상기 당점표시부(154a)는 사용자가 타격해야 할 당구공(B)인 수구(B1)의 타격점을 보여주며, 상기 수구(B1)의 타격점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몇시 방향 몇 팁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께표시부(154b)는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수구(B1)가 진행하면서 타격해야 할 당구공(B)인 목적구(B2)의 두께를 보여준다. 상기 두께표시부(154b)에서 상기 수구(B1)와 목적구(B2)를 중복되게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수구(B1)가 타격해야 할 목적구(B2)의 두께를 알 수 있게된다.
상기 스트로크 표시부(154c)는 상기 수구(B1)의 타격하는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트로크 표시부(154c)는 사용자가 상기 수구(B1)을 밀어치기(롱)를 해야하는지 또는 끌어치기(숏)를 해야하는지 또는 밀어치기와 끌어치기의 중간(미들)으로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초급자의 경우 상기 수구(B1)를 어떻게 스트로크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상기 스트로크 표시부(154c)가 사용자에게 타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초급자의 경우에도 상황에 맞는 타격방식으로 수구(B1)를 타격하여 득점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난이도 표시부(154d)는 사용자가 상기 제1경로표시스위치(152) 또는 제2경로표시스위치(153)를 조작하여 제공받는 제1경로 또는 제2경로의 난이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는 상기 난이도 표시부(154d)에서 제공되는 난이도를 참조하여 제1경로 또는 제2경로를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당구 초보자도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당구 연습을 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당구 게임을 하는 경우 초보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110 : 센서 120 : LED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제어부
150 : 인터페이스부 151 : 전원스위치
152 : 제1경로표시스위치 153 : 제2경로표시스위치
154 : 스킬제공부

Claims (6)

  1.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의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석판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LED;
    상기 당구대에 위치하는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득점경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당구공의 위치와 가장 유사한 배치에 따른 득점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득점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석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LED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삽입홀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득점경로의 표시 및 당구공을 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당구공의 제1경로로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1경로표시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당구공의 제2경로로 상기 복수의 LED를 점등시키는 제2경로표시스위치와,
    당구공을 제1경로 또는 제2경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당구공을 치기 위한 스킬을 제공하는 스킬제공부를 포함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킬제공부는,
    사용자가 타격해야 할 당구공인 수구의 타격점을 보여주는 당점표시부와,
    상기 수구가 타격해야 할 당구공인 목적구의 두께를 보여주는 두께표시부와,
    상기 수구의 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스크로트 표시부와,
    상기 제1경로 또는 제2경로의 난이도를 표시하는 난이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투명의 아크릴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KR1020140134291A 2014-08-25 2014-10-06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KR101692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0792 2014-08-25
KR1020140110792 201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714A KR20160024714A (ko) 2016-03-07
KR101692947B1 true KR101692947B1 (ko) 2017-01-04

Family

ID=5554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291A KR101692947B1 (ko) 2014-08-25 2014-10-06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743B1 (ko) 2016-10-26 2018-04-05 손승희 관성측정부가 구비된 큐 및 이를 이용한 당구 연습 시스템
KR20230017375A (ko) 2021-07-27 2023-02-06 한다위 이러닝 스마트 당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00Y1 (ko) * 2016-07-11 2017-07-31 박명희 구슬치기놀이 게임용구
KR102630251B1 (ko) * 2022-10-14 2024-01-29 주식회사 스마일스퀘어 당구 학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554A (ja) 2000-05-15 2001-11-20 Taito Corp 遊戯台装置
JP2006043017A (ja) 2004-08-03 2006-02-1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101386034B1 (ko) 2012-10-15 2014-04-16 김종석 당구 교육 시스템 및 당구 교육 시스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904A (ko) * 2013-01-10 2014-07-18 이상용 전자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당구코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554A (ja) 2000-05-15 2001-11-20 Taito Corp 遊戯台装置
JP2006043017A (ja) 2004-08-03 2006-02-1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101386034B1 (ko) 2012-10-15 2014-04-16 김종석 당구 교육 시스템 및 당구 교육 시스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743B1 (ko) 2016-10-26 2018-04-05 손승희 관성측정부가 구비된 큐 및 이를 이용한 당구 연습 시스템
KR20230017375A (ko) 2021-07-27 2023-02-06 한다위 이러닝 스마트 당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714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733B2 (en)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dynamically augmented game surfaces for interactive fun and learning
JP6356676B2 (ja) ダーツゲームシステム
KR101692947B1 (ko)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US8182373B2 (en) Hockey training device
KR100932708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471437A (en) Golfing game apparatus
JPS58192570A (ja) シミユレ−トボ−ル表示装置を備えたピンボ−ルゲ−ム機
JP2007000552A (ja) 遊技機
AU2019100654A4 (en) Trampoline Game Field and Trampoline Game
US20140265132A1 (en) Electronic game and method
US2021021333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laying a word game utilizing golf equipment
AU2020201389A1 (en) Sporting or amusement apparatus
KR20080007503A (ko) 퍼팅 연습 보조기
KR20180031234A (ko) 비접촉 또는 간접 타격식 터치 게임 장치
US20080254846A1 (en) Game piece advancing skill game and methods
Kraaijenbrink et al. Balancing skills to optimize fun in interactive board games
JP2007097898A (ja) 弾球遊技機
JP2008093279A (ja) ラケット
KR100292563B1 (ko) 테이블당구골프대
JP7049063B2 (ja) 遊技機
KR102004055B1 (ko) 당구기구
KR20240000763U (ko) 샷 착지지점 인식이 가능한 스크린 골프용 골프타격매트
JP3195534U (ja) 麻雀卓成績順位表示システム
JP2018198728A (ja) 玉入れ健康遊具システム
KR20240000277U (ko) 정글월드 아케이드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