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53B1 - 자동차 시트용 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153B1
KR101692153B1 KR1020150078482A KR20150078482A KR101692153B1 KR 101692153 B1 KR101692153 B1 KR 101692153B1 KR 1020150078482 A KR1020150078482 A KR 1020150078482A KR 20150078482 A KR20150078482 A KR 20150078482A KR 101692153 B1 KR101692153 B1 KR 10169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member
bracket
vibration
damper
mem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577A (ko
Inventor
여태호
석상호
손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Priority to KR102015007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16F7/1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plastic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8Inert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와 브라켓이 별도로 제조되어 장착시 브라켓을 먼저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시킨 후 브라켓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를 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댐퍼{VIBRATION DAMPER FOR CAR SEAT}
본 발명은 진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원인에는 울퉁불퉁한 노면과 타이어와의 접촉, 엔진의 거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등 무수히 많은 요소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한 진동은 차량에 따라 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과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등 차량의 승차감을 나쁘게 만들며, 소음을 발생시켜 소음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을 감쇠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차량 곳곳에 부착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쇠시키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는 이미 선행기술에 공지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는 상기 댐퍼의 진동 질량 부재와 상기 진동 질량 부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이 고무재질 서포터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댐퍼의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하여 질량부재와 브라켓을 고무재질의 서포터를 이용하여 일체화하는 가류작업 시 금형에 수용할 수 있는 수량이 적어 생산성이 매우 저조한 단점이 있었다.
또 질량부재가 브라켓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사상작업(고무 BUR 제거)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능률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댐퍼는 반드시 가류작업을 마친 후 별도의 도장작업을 시행해야하므로 가류와 도장공정이 일렬로 이어지면서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 또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자동차 시트에 댐퍼를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댐퍼는 진동 질량 부재와 브라켓 사이의 좁은 공간에 공구를 넣어 조립 해야하므로 상기 댐퍼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브라켓의 고정구멍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는 부피가 커짐에 따라 보관, 운반, 포장 등에 비효율적이고, 시트의 장착여건이 협소할 경우 다시 설계를 하여야 하는 등 많은 제한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00617호(진동댐퍼, 특히 자동차 시트에 적용하기 위한 진동댐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질량 부재의 가류작업 및 사상작업을 용이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동 질량 부재의 가류작업 뒤 별도의 도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별도의 공정으로 미리 브라켓을 도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댐퍼의 분해 조립과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는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와 브라켓을 별도로 구성하여 시트에 설치시 너트의 체결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는 상기 진동 질량 부재의 양측에 가류 작업을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무 서포터 및 상기 고무 서포터의 외측에 고정볼트를 구비한다.
브라켓은 상기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의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갖고 고정구멍부를 진동 질량 부재가 위치한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부피를 줄이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진동 질량 부재를 조립체로 구성하고 브라켓과 별도로 형성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류작업시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만을 가류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가류작업 시 한꺼번에 많은 숫자의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를 투입하여 작업할 수있으므로 가류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로 인하여 금형제조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불필요한 브라켓의 가류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가류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가류작업 후 진동 질량 부재에 별도의 도장을 할 필요가 없이 미리 브라켓에 도장을 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과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은 진동 질량 부재와 브라켓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브라켓에 각종 피막, 도금, 도장 작업 중 어떠한 종류의 후처리 과정이든 상관없이 거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스프레이 도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진동 질량 부재의 가류작업이 진행 되는 동안 브라켓을 따로 후처리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3) 본 발명은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와 브라켓을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브라켓을 시트에 먼저 살치한 후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를 결합하면 되므로 브라켓을 시트에 볼트로 고정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브라켓의 부피가 최소화되었으므로 시트의 설치장소 여건에 구애받는 경우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며, 보관이나 운반, 포장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진동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댐퍼(1)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1)는 자동차 시트(2)에 직접 고정되는 브라켓(20)과, 브라켓(20)에 설치되는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를 별도로 제조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안출되었다.
브라켓(20)은 철판 재질을 이용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만들어 지며, 상부 양측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가 설치될수 있도록 고정홈(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조립홀(23)을 갖는 고정부(24)을 형성하되, 고정부(24)는 내측으로 마주보면서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설치에 필요한 공간과 고정홀(23)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홈(21)의 부근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5)가 구성되어 양측 고정홈(21)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가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는 진동 질량 부재(11)가 중앙에 위치하고 그 양측에 고정볼트(13)가 구성되며, 진동 질량 부재(11)와 고정볼트(13)의 사이에 가류작업을 통하여 고무 서포터(12)가 일체화 된다.
상기 고정볼트(13)는 일측에 직경이 확대된 확장부(14)를 갖는데, 이러한 확장부(14)의 측면과 진동 질량 부재(11)의 측면 사이에 고무 서포터(12)가 가류되면서 일체화도록 하여 결합력과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가 브라켓(20)에 설치되면 확장부(14)는 양측 고정홈(2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고정볼트(13)에 고정너트(22)를 체결하면, 고정너트(22)가 브라켓(20)의 고정홈(21) 바깥쪽에 밀착되고 확장부(14)가 안쪽에 밀착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20)과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로 구성되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1)는 제조시 브라켓(20)과 함께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진동 질량 부재(11)와 확장부(14)를 갖는 고정볼트(13)를 제조한 후, 가류장치에 투입한 후 가류함으로써 확장부(14)와 고정볼트(13)의 확장부(14) 사이에 고무 서포트(12)가 일체화 되면서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가류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 브라켓(20)에 미리 표면처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20)에 대한 표면처리는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와 관계없이 별도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고가인 스프레이 도장을 할 필요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피막이나 도금, 또는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에 대한 표면처리는 가류작업 중에 외부 표면에 고무재질을 씌우는 작업으로 대신할 수 있다.
설치시에는 자동차 시트(2)의 미리 마련된 위치에 브라켓(20)을 먼저 고정시키는데, 고정부(24) 마련된 조립홀(23)에 볼트를 체결하여 자동차 시트(2)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는 브라켓(20)에 결합이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브라켓(20)의 고정부(24)가 내측으로 위치하더라도 볼트 체결을 위한 공구를 사용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브라켓 설치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고정홈(21)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의 고정볼트(13)를 끼우고 바깥에서 고정너트(22)를 체결하면 자동차 시트용 댐퍼(1)의 조립과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시트용 댐퍼(1)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이 자동차 시트(2)를 통하여 브라켓(20)에 전달되면, 상기 진동은 브라켓(20)을 통하여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로 전달 된다.
상기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로 진동이 전달되면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서포터(12)에 연결된 진동 질량 부재(11)가 진동하게 되는데, 이 때, 고무 서포터(12)가 진동 질량 부재(11)에서 발생한 고유 진동수와 위상각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불쾌한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그래프에 의하면 댐퍼 장착 후의 진동은 댐펴 장착 전의 진동에 비하여 진동 횟수가 두번으로 분산되면서 진동량의 최소점과 최대점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진동이 멈출 때에도 댐퍼를 장착한 상태의 진동이 좀 더 급격히 소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동차 시트용 댐퍼
2 : 자동차 시트
10 :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
11 : 진동 질량 부재
12 : 고무 서포터
13 : 고정볼트
14: 확장부
20 : 브라켓
21 : 고정홈
22 : 고정너트
23 : 조립홀
24: 고정부
25: 연결부

Claims (3)

  1.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와 브라켓이 별도로 제조되어 장착시 브라켓을 먼저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시킨 후 브라켓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는 진동 질량 부재(11)가 중앙에 위치하고 진동 질량 부재(11) 양측에 고정볼트(13)가 구성되며, 진동 질량 부재(11)와 고정볼트(13)의 사이에 가류작업을 통하여 고무 서포터(12)가 일체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20)은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 제조와는 별도의 공정으로 표면처리가 된 후 설치되며, 상부 양측에 진동 질량 부재 조립체(10)가 설치될수 있도록 고정홈(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조립홀(23)을 갖는 고정부(24)을 형성하되, 고정부(24)는 내측으로 마주보면서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KR1020150078482A 2015-06-03 2015-06-03 자동차 시트용 댐퍼 KR10169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82A KR101692153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차 시트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82A KR101692153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차 시트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77A KR20160142577A (ko) 2016-12-13
KR101692153B1 true KR101692153B1 (ko) 2017-01-03

Family

ID=5757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482A KR101692153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차 시트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553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7840B8 (de) * 2017-11-24 2019-08-14 Vorwerk Autotec Gmbh & Co. Kg Kfz-Schwingungstilger
EP3524846B1 (en) * 2018-02-09 2020-09-23 Vibracoustic Forsheda AB A frequency tuned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damper assembly
KR102494220B1 (ko) * 2021-02-18 2023-02-06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비접착식 차량 시트용 댐퍼
KR102501740B1 (ko) * 2021-03-19 2023-02-21 최종철 신축 조립 방식 차량용 댐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1641B1 (ko) * 2021-11-23 2023-07-05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79A (ja) * 2002-02-04 2003-08-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の防振構造
JP2006029549A (ja) * 2004-07-21 2006-02-02 Toyoda Gosei Co Ltd 制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095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다이내믹 댐퍼
KR100365222B1 (ko) * 2000-08-18 2002-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DE102005019323B3 (de) 2005-04-26 2006-07-13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Schwingungstilger zum Anbringen an einem Kraft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79A (ja) * 2002-02-04 2003-08-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の防振構造
JP2006029549A (ja) * 2004-07-21 2006-02-02 Toyoda Gosei Co Ltd 制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553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KR102329111B1 (ko) * 2020-01-16 2021-11-19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77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153B1 (ko) 자동차 시트용 댐퍼
JP4177363B2 (ja) クレードル組立体
JP6450935B2 (ja) 乗物用シート
JP7229246B2 (ja) ダンパユニット、ダンパアセンブリおよびダンパ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11059024A1 (ja) 衝撃吸収具及び車両用バンパ装置
JP5629575B2 (ja) 車両座席の構造
US938296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6166972A (zh) 头枕和具有头枕的交通工具座椅
WO2015119158A1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2041028B1 (ko) 베어링 요소 및 차량의 스태빌라이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03822927U (zh) 一种吸振器及吸振组件
KR101887387B1 (ko) 절곡된 고정용 돌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KR101282637B1 (ko)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KR20170111356A (ko) 자동차용 로워암
CN107499301B (zh) 一种真空泵安装支架总成
KR101765640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633686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03184937A (ja) ウレタン製アッパーサポ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
CN207431697U (zh) 谐振块预装台架
KR102501740B1 (ko) 신축 조립 방식 차량용 댐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5202B1 (ko) 도어 임팩트바 브라켓,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조립체 및 차량용 도어 조립체의 제조방법
JP6366444B2 (ja) トルクロッドの防振構造
JP2020523240A (ja) 車両スタビライザバー用スタビライザバー接着マウント、スタビライザバー接着マウントを有する車両スタビライザバー、およびスタビライザバー接着マウントを車両スタビライザバーに形成する方法
JP2005090600A (ja) 防振装置
KR101553808B1 (ko) 차량용 부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