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111B1 -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 Google Patents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111B1
KR102329111B1 KR1020200006082A KR20200006082A KR102329111B1 KR 102329111 B1 KR102329111 B1 KR 102329111B1 KR 1020200006082 A KR1020200006082 A KR 1020200006082A KR 20200006082 A KR20200006082 A KR 20200006082A KR 102329111 B1 KR102329111 B1 KR 10232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mounting
mounting plate
bracket
dynamic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553A (ko
Inventor
조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20000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부재와 중량체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과, 이와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을 서로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과 탄성부재를 가류 접착하지 않아 브라켓을 별도로 도장이 가능하여 브라켓의 내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DYNAMIC DAMPER}
본 발명은, 탄성부재와 중량체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과, 이와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을 서로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중에는 엔진이나 동력 전달계, 머플러 유닛과 같은 다양한 부품에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이나믹 댐퍼가 설치된다.
즉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는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다이나믹 댐퍼의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형태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나믹 댐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나믹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는, 중량체인 중량체(50, mass)와, 진동 발생부(미도시)에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51)과, 중량체(50)와 브라켓(51) 사이에 동강성을 지닌 고무재의 탄성부재(52)를 가류 접합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서 탄성부재(52)는 오직 한 개가 제공되며, 도 2에서 탄성부재(52)는 중량체(50)의 양측에 쌍으로 제공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나믹 댐퍼는, 중량체(50)와 브라켓(51)이 고무재의 탄성부재(52)의 가류 접착 방식으로 연결된 후, 브라켓(51)의 내식성 확보를 위하여 가류 접착 후 브라켓(51)의 도장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가류 접착 공정으로 인하여 가류 접착 이전에 도장 작업을 실시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러나 브라켓(51)의 도장 작업으로 인하여 탄성부재(52)에도 도장 가루가 묻어나게 되며, 이 도장가루는 차량 조립 과정에서 날리면서 작업자의 눈을 위협하게 되므로, 도장 작업 후에는 탄성부재(52)에 묻은 도장가루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51)의 도장 작업을 수행할 때 브라켓(51)을 가열하여 도장 성능(내식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탄성부재(52)도 함께 가열되므로 탄성부재(52)의 성능 유지를 위하여 가열 온도를 높일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로만 브라켓(51)을 가열하게 되어 브라켓(51)의 내식 성능을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27호 "다이나믹 댐퍼" (2016. 8. 9.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5083호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2019.12. 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부재와 중량체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과, 이와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을 서로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라켓과 탄성부재를 가류 접착하지 않고 브라켓만을 별도로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브라켓의 고온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브라켓의 내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장 가루가 탄성부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량체, 진동 발생부에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 상기 중량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재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에 있어서 : 상기 브라켓은, 장착구멍과, 상기 장착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장착구멍에 연결되는 내측 개방 단부와 상기 내측 개방 단부로부터 외측 개방 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폭이 확대되는 형태를 가진 장착 안내홈이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원통 형태의 탄성부재 몸체와, 상기 탄성부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에 가류 접합되는 중량체 접합부와, 상기 탄성부재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 안내홈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구멍에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장착 안내홈의 내측 개방 단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구멍에 삽입 장착되는 삽입 기둥부와 상기 삽입 기둥부의 양측에 상기 장착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 날개부와 상기 삽입 기둥부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 몸체에 의하여 막힌 형태인 축경 유도용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착판 조립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양측에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재 각각에 조립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 장착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축경 유도용 홈에는 축경 방지용 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부재와 중량체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과, 이와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을 서로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라켓과 탄성부재를 가류 접착하지 않고 브라켓을 별도로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브라켓의 고온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브라켓의 내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장 가루가 탄성부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나믹 댐퍼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나믹 댐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가 조립되기 직전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중량체 가류품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A-A 기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가 조립되기 직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중량체 가류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A-A 기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인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는, 중량체(100, mass)와 한 쌍의 탄성부재(200)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10)과, 이와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브라켓(300)을 설명한다.
브라켓(300)은 차량의 진동 발생부(미도시)에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브라켓(300)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장착판(310)과, 한 쌍의 탄성부재 장착판(3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320)과, 탄성부재 장착판(310)에서 절곡되면서 탄성부재 장착판(310)마다 마련되는 진동 발생부 장착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의 한 쌍의 탄성부재 장착판(310)과 연결판(32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이다.
각각의 탄성부재 장착판(310)에는, 장착구멍(311)과 장착 안내홈(312)이 형성된다.
장착구멍(311)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200)의 삽입 기둥부(231)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안내홈(312)은, 탄성부재 장착판(310)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내측 개방 단부와, 탄성 부재 장착판(310)의 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외측 개방 단부를 가지면서 대략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장착 안내홈(312)의 내측 개방 단부는 장착구멍(311)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장착구멍(311)에 연결되며, 장착 안내홈(312)은 내측 개방 단부로부터 외측 개방 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폭이 확대되는 삼각형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장착 안내홈(312)은 후술하는 탄성부재(200)의 삽입 기둥부(231)가 외부로부터 장착구멍(311)에 강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아울러 장착구멍(311)에 삽입 장착된 탄성부재(200)의 삽입 기둥부(231)가 장착구멍(3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중량체(100, mass)와 한 쌍의 탄성부재(200)로 이루어진 중량체 가류품(10)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 중량체(100, mass)는 금속재로서, 원기둥 형태로서, 원형 단면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중량체(100)의 양측에 한 쌍의 탄성부재(200)가 마련된다.
한 쌍의 탄성부재(200)는 가류 접합에 의하여 중량체(100)와 일체가 된다.
각각의 탄성부재(200)는 탄성부재 몸체(210)와 중량체 접합부(220)와 장착판 조립 결합부(230)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 몸체(210)는 중량체(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동강성을 가진다. 탄성부재 몸체(210)는 다이나믹 댐퍼의 탄성체로서 기능한다.
탄성부재 몸체(210)는 탄성부재 장착판(3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즉 내부가 가득 찬 원통 형태이다.
중량체 접합부(220)는 탄성부재 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중량체(100)에 가류 접합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례에서 2개의 탄성부재(200)의 중량체 접합부(220)는 서로 일체를 이루면서 중량체(100) 전체를 감싸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장착판 조립 결합부(230)는 탄성부재 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되되 탄성부재 장착판(310)에 조립 결합되기 위한 부위이다.
장착판 조립 결합부(230)는 삽입 기둥부(231)와 한 쌍의 이탈방지 날개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 기둥부(2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안내홈(312)의 내측 개방 단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탄성부재 장착판(31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탄성부재 장착판(310)의 장착구멍(311)에 삽입 장착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삽입 기둥부(231)는 강제 압입 작업에 의하여 탄성부재 장착판(310)의 장착 안내홈(312)을 통하여 탄성부재 장착판(310)의 장착구멍(311)에 삽입 장착된다.
한편 삽입 기둥부(231)의 삽입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례에서는 삽입 기둥부(231)에 삽입 기둥부(231)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축경 유도용 홈(231a)이 형성되어 있다.
축경 유도용 홈(231a)은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탄성부재 몸체(210)에 의하여 막힌 형태이다. 즉 축경 유도용 홈(231a)은 삽입 기둥부(231)에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축경 유도용 홈(231a)으로 인하여 삽입 기둥부(231)는 장착 안내홈(312)의 내측 개방 단부를 축경된 상태로 용이하게 통과한 후 장착구멍(311)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물론 장착 안내홈(312)의 내측 개방 단부는 장착구멍(311)에 삽입 장착된 삽입 기둥부(231)가 쉽게 이탈될 수 없는 폭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장착구멍(311)에 삽입 기둥부(231)가 삽입 장착된 후, 축경 유도용 홈(231a)에는 금속재의 축경 방지용 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삽입 기둥부(231)가 장착구멍(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도 있다.
삽입 기둥부(23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 날개부(23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이탈방지 날개부(232)는 장착구멍(3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 장착판(31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며, 이에 의하여 삽입 기둥부(231)가 축방향으로 장착구멍(311)을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중량체 가류품(10)과 브라켓(300)을 도 4와 같이 준비한다.
이때 브라켓(300)은, 중량체 가류품(10)과는 별도로 전착 도장 등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00)의 전착 도장 작업 중에 도장 가루가 중량체 가류품(10)에 묻어날 위험이 전혀 없다.
이와 같이 중량체 가류품(10)과 브라켓(300)을 준비한 후, 중량체 가류품(10)을 브라켓(300)에 강제 압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인 조립식 다이나믹 댐퍼가 완성된다.
본 실시례는 도 2의 종래 기술에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도록 하였지만, 도 1의 종래 기술에 발명의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중량체 가류품
100 : 중량체
200 : 탄성부재
210 : 탄성부재 몸체
220 : 중량체 접합부
230 : 장착판 조립 결합부
231 : 삽입 기둥부 231a : 축경 유도용 홈
232 : 이탈방지 날개부
300 : 브라켓
310 : 탄성부재 장착판 311 : 장착구멍
312 : 장착 안내홈
320 : 연결판 330 : 진동 발생부 장착판

Claims (4)

  1. 중량체, 진동 발생부에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 상기 중량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재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에 있어서 :
    상기 브라켓은, 장착구멍과, 상기 장착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장착구멍에 연결되는 내측 개방 단부와 상기 내측 개방 단부로부터 외측 개방 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폭이 확대되는 형태를 가진 장착 안내홈이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원통 형태의 탄성부재 몸체와, 상기 탄성부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에 가류 접합되는 중량체 접합부와, 상기 탄성부재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 안내홈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구멍에 삽입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장착 안내홈의 내측 개방 단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장착구멍에 삽입 장착되는 삽입 기둥부와 상기 삽입 기둥부의 양측에 상기 장착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 날개부와 상기 삽입 기둥부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 몸체에 의하여 막힌 형태인 축경 유도용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착판 조립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양측에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판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재 각각에 조립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 장착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 유도용 홈에는 축경 방지용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KR1020200006082A 2020-01-16 2020-01-16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KR10232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82A KR102329111B1 (ko) 2020-01-16 2020-01-16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82A KR102329111B1 (ko) 2020-01-16 2020-01-16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53A KR20210092553A (ko) 2021-07-26
KR102329111B1 true KR102329111B1 (ko) 2021-11-19

Family

ID=7712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82A KR102329111B1 (ko) 2020-01-16 2020-01-16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960A (ko) * 2021-03-19 2022-09-27 최종철 신축 조립 방식 차량용 댐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641B1 (ko) 2021-11-23 2023-07-05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53B1 (ko) * 2015-06-03 2017-01-03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자동차 시트용 댐퍼
WO2019072796A1 (en) 2017-10-09 2019-04-18 Vibracoustic Forsheda Ab FREQUENCY-ASSIGNED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USE IN MAKING SAID SHOCK 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732A (ja) * 1995-11-29 1997-06-10 Toyota Motor Corp ラジエータ支持構造
JPH09184538A (ja) * 1995-12-28 1997-07-15 Bridgestone Corp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101648427B1 (ko) 2014-12-16 2016-08-16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다이나믹 댐퍼
KR102115200B1 (ko) 2018-05-28 2020-05-26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53B1 (ko) * 2015-06-03 2017-01-03 주식회사 성림티앤티 자동차 시트용 댐퍼
WO2019072796A1 (en) 2017-10-09 2019-04-18 Vibracoustic Forsheda Ab FREQUENCY-ASSIGNED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USE IN MAKING SAID SHOCK ABSOR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960A (ko) * 2021-03-19 2022-09-27 최종철 신축 조립 방식 차량용 댐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740B1 (ko) * 2021-03-19 2023-02-21 최종철 신축 조립 방식 차량용 댐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53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417B2 (en) Stabilizer bush
KR102329111B1 (ko)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EP3326846A1 (en) Stabilizer bar bushing assembly having brackets integrated with rubbers and stabilizer bar assembly using the same
US7441759B2 (en) Elastomeric bush bear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4356641B2 (ja) トルクロッド
JP6343535B2 (ja) 筒型防振装置
CZ9904532A3 (cs) Dutá hnací hřídel se zabudovaným tlumičem kmitů
KR101748434B1 (ko) 자동차 배기관 고정용 행거
JP6785612B2 (ja) 防振装置構造
US11421733B2 (en) Bea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peller shaft
KR101705169B1 (ko) 부시형 마운트
KR102371045B1 (ko)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KR102551641B1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WO2018070505A1 (ja) 防振装置
JP2001295886A (ja) 防振装置
US20180073674A1 (en) Structure for mounting engine mount
JP3932025B2 (ja) 防振ブッシュ
KR102454512B1 (ko) 마운팅 부시
JP6811597B2 (ja) 防振ブッシュ
JP5622467B2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の製造方法
JP6479395B2 (ja) 防振装置
KR102290743B1 (ko) 특장차용 고무부싱
KR101923030B1 (ko) 내경에 금속부쉬가 적용된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용 강화 부쉬
KR101860828B1 (ko)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JPH07280013A (ja) 防振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