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59B1 -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59B1
KR101690959B1 KR1020137001561A KR20137001561A KR101690959B1 KR 101690959 B1 KR101690959 B1 KR 101690959B1 KR 1020137001561 A KR1020137001561 A KR 1020137001561A KR 20137001561 A KR20137001561 A KR 20137001561A KR 101690959 B1 KR101690959 B1 KR 10169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delete delete
compositions
keratinoc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964A (ko
Inventor
체리 린 스완슨
도모히로 하코자키
레오 티모시 2세 레플린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02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이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미드,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배경기술에서 확인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AR2 ACTIVATION OF KERATINOCYTES}
본 발명은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Laminaria Saccharina)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PAR2 억제를 상승(boosting)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피부 색소침착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화합물이다. 멜라닌은 기본 수준으로 효소 타이로시나제 및 기질로서의 L-타이로신을 포함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 내에서의 복잡한 세트의 반응들에 의해 생성된다. 타이로시나제는 L-타이로신의 DOPA (L-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로의 전환 및 DOPA의 도파퀴논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도파퀴논은 추가의 전환을 거쳐서 멜라닌을 형성한다. 멜라닌은 멜라노좀으로서 알려진 세포소기관 내에서 응집되며, 이 멜라노좀은 수상돌기로서 알려진 멜라닌세포의 가느다란 필라멘트(slender filament)를 따라 각질세포로 전달된다. 멜라노좀 내에 발현된 대략 1500개의 유전자 산물이 있으며, 이들 중 600개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발현되고 이들 중 100개는 그 멜라노좀에 대해 특유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신호 전달에, 멜라닌세포 내의 멜라노좀의 수송에, 그리고 각질세포로의 멜라노좀의 전달에 관여하는 많은 조절 요소가 있다.
멜라닌 생성 사이클에 있어서의 한 가지 메커니즘은 식세포 작용에 의한 멜라닌세포(melanocyte)로부터 각질세포로의 멜라노좀의 전달이다. 연구에서는 각질세포에서 발현된 프로테아제-활성화 수용체 2 (PAR-2)가 멜라노좀 전달에 관련되며 따라서 색소침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Seiberg, M. et al., The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Regulates Pigmentation via Keratinocyte-Melanocyte Interactions, Experimental Cell Research 254, 25-32 (2000)]을 참조한다. 트립신 (또는 트립신-유사 프로테아제)에 의한 (또는 펩티드 작용제 SLIGRL에 의한) PAR-2의 활성화는 색소침착을 유발하며, 이는 일부 경우에 과다색소침착된 반점 또는 불균일한 피부톤으로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PAR-2의 트립신 (또는 트립신-유사 프로테아제) 활성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은 각질세포에 의한 멜라닌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붕괴 또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은 과다색소침착 및 멜라닌 과다생성을 이와 같이 조절할 것이다.
멜라닌의 과다생성과 연관된 병태를 과다색소침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흑색증(melanosis) 또는 기미(melasma)는 보통 뺨, 이마, 및 때때로 윗입술 및 목 위의 대칭적 분포의, 뚜렷하게 경계지워진, 얼룩덜룩한 갈색 반점의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병태이다. 이러한 병태는 흔히 임신 동안 (임신성 기미 또는 "임신 마스크"(mask of pregnancy)), 그리고 폐경기에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병태는 경구 피임약 복용자에게 흔히 나타나며,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는 임신하지 않은 여성에게 가끔 나타나며, 및 남자에게 때때로 나타난다. 상기한 바와 유사한 안면 과다색소침착의 패턴은 간반(chloasma)이라 불리는 만성 간 질환과 연관될 수 있다. 노화 피부와 연관된 다른 일반적인 병태는 때때로 "검버섯"(age spot)으로 지칭되는 진한 반점(dark spot)의 발현이다. 다른 형태의 과다색소침착은 UV 조사 또는 다른 염증성 자극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과다색소침착은 또한 그러한 병태에 대한 유전적 소인에 의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상처 치유의 과정 동안 발생할 수 있다.
과다색소침착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활성 성분이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어,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예를 들어, N-아실 페닐알라닌 및 N-아실 티로신 및 비타민 B3의 사용은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생성의 조절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Millikin, C.L. et al. (2008, February). Undecyl-10-enoyl-phenylalanine (Sepiwhite®) provides additional benefits to the cosmetic ingredients N-acetyl glucosamine and niacinamide in the regulation of melanin production in vitro], 미국 텍사스주 산 안토니오 소재의 아메리칸 아카데미 오브 더마톨로지(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에서 2008년에 제공된 포스터를 참조한다. 기존 제품이 과다색소침착을 조절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더욱 효과적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갈조류의 하나의 종인 라미나리아 사카리나의 추출물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일 예는 프랑스 소재의 바이오텍 마린(Biotech Marine)에 의해 상표명 플로로진(Phlorogine)으로 판매된다. 플로로진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119527A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피지선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항지루제로 알려져 있다. 갈조류에 대한 추출 방법이 또한 알려져 있다. 유럽 특허 제1074262B1호는 파에오피세아에(Phaeophyceae) 강 및 라미나리아 오크로레우카(Laminaria Ochroleuca) 종에 있어서의 추출 방법을 기술한다. 이들 추출물은 화장 조성물에서 내삼투압제(osmoprotector), 자유-라디칼 포착제로서 또는 피부 노화 효과의 영향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브랜드명 SK-II 페이셜 클리어 솔루션(SK-II Facial Clear Solution)(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프록터 앤드 갬블 (Procter & Gamble))으로 판매되는 화장 조성물은 플로로진의 농도가 약 1.25%이다. SK-II 페이셜 클리어 솔루션은 지성 번들거림(oily shine)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피부를 보습시키는 겔형 수화제(gel hydrator)로서 시판된다.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은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미드,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시된 조성물을 적용하여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 확인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형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후속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된 도면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
도 1은 점적기(dropper) 형태의 예시적인 어플리케이터이다.
<도 2>
도 2는 완드(wand) 형태의 예시적인 어플리케이터이다.
<도 3>
도 3은 내로우-팁 팁의 폭이 좁은(narrow-tip) 튜브 형태의 예시적인 어플리케이터이다.
<도 4>
도 4는 참가자의 풀 컬러 영상(image)이다.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백분율과 비는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모든 측정은 25℃에서 행해진 것이다. 모든 수치 범위는 더 좁은 범위를 포괄하며; 기재된 상한 및 하한 범위 한계치는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의 범위를 생성하기 위해 상호 교환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필수 성분뿐만 아니라 선택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것은 조성물 또는 성분이 부가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 부가 성분이 청구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는 않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조성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적용하다" 또는 "적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표피와 같은 사람 피부 표면에 도포하거나 펴바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기술되는 조성물 또는 성분이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사람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긍정적인 이익을 유의하게 유도하기에 충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은, 특히 진한 피부 대상에서, 일시적 염증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서 색소침착에 있어서의 급성 또는 일시적인 증가를 말한다.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은 일단 일시적 염증 사건이 소멸되면 전형적으로는 진정된다. 일시적 염증 사건의 예에는 여드름 병변, 내향성 모발(ingrown hair), 긁힘, 곤충 자상, 계면활성제 손상, 및 단기간의 UV 노출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은 국부화되고 만성적 또는 전신적인 멜라닌 과다생성으로 인해 피부의 인접 영역보다 색소침착이 더 큰 피부의 한정된 영역을 말한다.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은 전형적으로 직경이 약 2 ㎜ 내지 약 10 ㎜이지만, 더 작거나 더 큰 반점도 가능하다.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은 검버섯, 일광 반점(sun spot), 일광 흑색점(solar lentigo), 멜라닌 저하 병변(hypo-melanotic lesion), 주근깨, 및 흑반(melasma spo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검버섯"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노화 인자에 의해 야기된 국부화되고 만성적인 멜라닌 과다생성으로 인해 인접 피부보다 색소침착이 더 큰 피부의 한정된 영역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피부톤 제제"(skin tone agent)는 멜라닌 생성 신호, 멜라닌의 합성, 멜라닌세포와 각질세포 사이의 멜라닌의 전신적 전달, 및/또는 멜라닌 분해를 조절하는 제제를 말한다. 피부톤 제제는 라이트닝(lightening) 또는 색소침착 감소 화장 제제로서 작용함으로써 불균일한 피부톤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피부톤"은 일시적이라기보다는 전신적인 멜라닌의 합성에 의해 야기된 피부 내의 멜라닌의 전체적인 외관을 말한다. 피부톤은 전형적으로 피부의 더 큰 영역에 걸쳐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영역은 이상적으로는 100 ㎟보다 더 클 수 있지만, 안면 피부 전체 또는 임의의 안면 피부 표면과 같은 더 큰 영역도 고려된다. 피부톤은 영상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적인 밝기(lightness)는 L*a*b* 색 공간(국제조명협회)에서 L* 좌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멜라닌 농도 및 멜라닌 매핑과 같은 발색단 매핑이 전체적인 피부톤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평균 멜라닌은 발색단 맵 데이터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피부톤 균일성(evenness)은 멜라닌 균일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멜라닌 균일성은 또한 발색단 맵 데이터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적합한 발색단 매핑 기술이 하기 실시예에서 논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안면 피부 표면"은 이마, 눈주위, 뺨, 입주위, 턱, 및 코의 피부 표면 중 하나 이상을 말한다.
I.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다색소침착의 치료, 조절,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포유류 피부 표면에, 그리고 특히 사람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로션, 크림, 겔, 토너, 스틱, 펜슬, 스프레이, 에어로졸, 연고, 클렌징 액체 워시 및 고체 바, 샴푸 및 헤어 컨디셔너, 페이스트, 폼, 파우더,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스트립, 패치, 전동 패치, 상처 드레싱 및 접착 밴드, 하이드로겔, 필름-형성 제품, 안면 및 피부 마스크(불용성 시트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 파운데이션, 아이 라이너 및 아이 셰도우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매우 다양한 제품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 형태는, 조성물에 존재할 경우, 선택된 특정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부터 이어질 수 있다.
A.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 즉,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추출물은 프랑스 소재의 마린 바이오텍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플로로진 및/또는 플로로진 BG이다. 다른 적합한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은 프랑스 소재의 에나그람(Ennagram)으로부터 제품 코드 HG 657로 입수가능하다. 본 조성물은 플로로진 및/또는 플로로진 BG를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1% 0.0006%, 0.2%, 또는 1% 이상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플로로진 및/또는 플로로진 BG를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0%, 20%, 10%, 5%, 또는 1% 미만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플로로진 및/또는 플로로진 BG의 예시적인 사용 범위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0.008% 내지 50%, 약 0.04% 내지 20%, 0.2% 내지 10%, 1% 내지 5%, 및 1% 내지 3%를 포함한다.
본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다른 활성제의 과다색소침착 치료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비타민 B3 화합물 및/또는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의 효능을 상승시키거나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은 나이아신아미드 및/또는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의 효능을 상승시키거나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다른 활성제의 PAR-2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은 나이아신아미드 및/또는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의 PAR-2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다른 성분의 PAR2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비타민 B3 화합물 및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의 조성물의 다른 성분의 PAR2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은, 예를 들어 물, 증점제, 습윤제, 용매 및 가용화제 등과 같은 다른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로진 및/또는 플로로진 BG는 대략적으로 약 1% 내지 약 2.5%의 건조 추출물을 함유하며, 이때 나머지 재료는 불활성 담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001% 내지 약 1.25%,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0006% 내지 약 0.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02% 내지 약 0.25%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125%, 그리고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0.01% 내지 0.075%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한다.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1074262B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B.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본 조성물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아미노산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아미노산 중 하나일 수 있다.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에는 N-아실 아미노산, 그의 이성체, 그의 염, 및 이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에 해당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1
여기서, R은 수소,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된 분지쇄 또는 직쇄), 아릴, 또는 알킬 기와 방향족 기의 조합일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아미노산의 가능한 측쇄의 목록은 문헌[Stryer, Biochemistry, 1981, published by W.H. Freeman and Company]에 설명되어 있다. R1은 C1 내지 C3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은 N-아실 페닐알라닌, N-아실 타이로신, 그의 이성체, 그의 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아미노산은 D 또는 L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N-아실 페닐알라닌은 하기 화학식 II에 해당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2
여기서, R1은 C1 내지 C3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N-아실 타이로신은 하기 화학식 III에 해당된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3
여기서, R1은 C1 내지 C3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이 국소용 피부톤 균일화 (라이트닝 또는 색소침착 감소) 화장 제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 제제는 N-아실 페닐알라닌 유도체의 광범한 부류에 속하는데, 이때 그의 아실 기는 C11 모노-불포화 지방산 부분이고, 아미노산은 페닐알라닌의 L-이성체이다.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은 하기 화학식 IV에 해당된다:
[화학식 IV]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4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은 세픽(SEPPIC)으로부터 상표명 세피화이트(Sepiwhite)(등록상표)로 구매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01 내지 약 25%, 약 0.001 내지 약 10%, 약 0.01 내지 약 5%, 또는 약 0.02 내지 약 2.5%의 N-아실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C. 비타민 B3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비타민 B3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939,08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타민 B3 화합물은 피부 병태를 조절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50%, 약 0.1% 내지 약 20%, 약 0.5% 내지 약 10%, 약 1% 내지 약 5%, 또는 약 2% 내지 약 5%의 비타민 B3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타민 B3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를 갖는 화합물, 그 유도체, 및 임의의 전술한 것의 염을 의미한다:
[화학식 V]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5
(여기서, R은 -CONH2 (즉, 나이아신아미드), -COOH (즉, 니코틴산) 또는 -CH2OH (즉, 니코티닐 알코올)임).
전술한 비타민 B3 화합물의 예시적인 유도체는, 니코틴산의 비-혈관확장(non-vasodilating) 에스테르 (예를 들어,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미리스틸 니코티네이트)를 포함하는 니코틴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타민 B3 화합물의 예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공급처 (예를 들어, 더 시그마 케미칼 컴퍼니(the Sigma Chemical Company), 아이씨엔 바이오메디칼스, 인크.(ICN Biomedicals, Inc.), 및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Aldrich Chemical Company))로부터 구매가능하다.
D.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을 위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담체"로도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라는 어구는 담체가 각질 조직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우수한 미적 특성을 가지며, 조성물 내의 활성제와 상용성이고, 어떠한 과도한 안전성 또는 독성 문제도 야기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담체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 약 60% 내지 약 98%, 약 70% 내지 약 98%, 또는 대안적으로 약 80% 내지 약 95%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담체는 매우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는 단순 용액 (예를 들어, 수성, 유기 용매, 또는 유성), 에멀젼, 및 고체 형태 (예를 들어, 겔, 스틱, 유동성 고체, 또는 비정질 물질)가 포함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에멀젼의 형태이다.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연속 수성 상 (예컨대, 수중유 및 수중유중수) 또는 연속 오일 상 (예컨대, 유중수 및 유중수중유)을 갖는 것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상은 실리콘유, 비실리콘유, 예를 들어 탄화수소유, 에스테르, 에테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상은 전형적으로 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수성 상은 수용성 보습제, 컨디셔닝제, 항미생물제, 습윤제 및/또는 다른 수용성 피부 케어 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물이 아닌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의 물 이외의 성분은 글리세린 및/또는 다른 폴리올과 같은 습윤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무수(즉, 1% 미만의 물)이거나 완전히 무수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원하는 제품 형태를 생성하도록 적합한 담체가 선택된다. 더욱이, 성분들(예컨대,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 썬스크린 활성제, 추가 성분)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은 담체의 형태 및 특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에멀젼은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담체를 충분히 유화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백분율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중량 범위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또는 약 0.2% 내지 약 5%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유화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755,560호, 미국 특허 제4,421,769호 및 문헌[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North American Edition, pages 317-324 (1986)]에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에멀젼은 원하는 제품 형태에 따라 광범위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담체는 적합한 점도 및 유동 특징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 선택적 성분
일부 실시 형태에서,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과 조합하여, 조성물에 피부톤 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부톤 제제는 전체 피부톤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0%, 40%, 30%, 20%, 10%, 5%, 또는 3% 이하의 피부톤 제제를 함유한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1%, 0.01%, 0.1%, 0.2%, 0.5%, 또는 1% 이상의 피부톤 제제를 함유한다. 적합한 범위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피부톤 제제의 약 0.1% 내지 약 50%; 약 0.2% 내지 약 20%; 또는 약 1% 내지 약 10%의 적합한 범위를 포함하는 하한 한계치와 상한 한계치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피부톤 제제의 최적량은 활성제의 효능이 상당히 다양해서 선택된 특정 활성제에 따라 좌우될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열거된 양은 단지 지침으로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적합한 피부톤 제제에는, 당 아민, 아르뷰틴, 데옥시아르뷰틴, 1,3-다이하이드록시-4-알킬벤젠, 예를 들어, 헥실레소르시놀, 수크로스 다이라우레이트, 바쿠치올 (4-[(1E, 3S)-3-에테닐-3,7-다이메틸-1,6 옥타다이에닐] 페놀 또는 몬테르펜 페놀), 파이레노인(pyrenoine; 프랑스 소재의 바이오텍 마린으로부터 입수가능함), 기장(panicum miliaceum) 종자 추출물, 아르라톤 이산(arlatone dioic acid), 신남산, 페룰산, 아크로막실(achromaxyl), 메틸 니코틴아미드, 유용성 감초 추출물, 엽산, 운데실렌산 (즉, 운데센산), 운데실렌산아연, 티아민 (비타민 B1) 및 그의 염산염, L-트립토판, 헬리안투스 안누스 (helianthus annuus; 해바라기) 및 비티스 비니페라 (vitis vinifera; 포도) 잎 추출물, 카르노신 (즉, 드라고신(dragosine)), 메틸 겐티세이트, 1,2-헥산다이올 및 1,2-옥탄다이올 (즉, 독일 소재의 심라이즈 아게(Symrise AG)에 의해 심다이올(Symdiol) 68로서 판매되는 배합물), 이노시톨, 코직산, 헥사미딘 화합물, 살리실산, 및 레티놀 및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레티노이드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추가적인 피부톤 제제는 당 아민, 헥사미딘 화합물, 살리실산, 1,3-다이하이드록시-4-알킬벤젠, 예를 들어, 헥실레소르시놀, 및 레티노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당 아민"은 그의 이성체 및 호변이성체와 그의 염(예컨대, HCl 염)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당 아민의 예에는 글루코사민, N-아세틸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N-아세틸 만노사민, 갈락토사민, N-아세틸 갈락토사민, 그의 이성체(예를 들어, 입체이성체), 및 그의 염(예를 들어, HCl 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헥사미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VI]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6
여기서, R1 및 R2는 선택적이거나 또는 유기 산(예를 들어, 설폰산 등)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헥사미딘 화합물은 헥사미딘 다이이세티오네이트이다.
과다색소침착은 피부 염증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과다색소침착,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을 촉발하는 일시적 염증 사건에는 여드름 병변, 내향성 모발, 긁힘, 곤충 자상, 계면활성제 손상, 알레르겐 및 단기간의 UV 노출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을 비롯한 염증 유도 과다색소침착은 항염증제를 본 발명의 조성물 내로 혼입시킴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20%, 10%, 5%, 3%, 또는 1% 이하의 항염증제를 함유한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1%, 0.01%, 0.1%, 0.2%, 0.3%, 0.5%, 또는 1% 이상의 항염증제를 함유한다. 적합한 범위는 하한 한계치와 상한 한계치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항염증제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페남산, 에토페나메이트, 아스피린,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피록시캄 및 펠비낙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NSAID),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 글리시릭신산(glycyrrhixinic acid), 및 글리시레틴산 글리코사이드로도 알려짐) 및 염, 예를 들어 다이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글리시레텐산, 감초 추출물, 비사볼올 (예컨대, 알파 비사볼올), 만지샤 (manjistha; 루비아(Rubia) 속의 식물, 특히 루비아 코르디폴리아(Rubia cordifolia)로부터 추출됨), 및 구갈(guggal) (코미포라(Commiphora) 속의 식물, 특히 코미포라 무쿨(Commiphora mukul)로부터 추출됨), 콜라 추출물, 카모마일, 붉은 토끼풀 추출물, 및 바다채찍산호 추출물 (해양목의 식물로부터의 추출물)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썬스크린 활성제(또는 썬스크린제) 및/또는 자외광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썬스크린 활성제"는 썬스크린 활성제, 썬스크린제, 및/또는 자외광 흡수제를 일괄하여 포함한다. 썬스크린 활성제는 썬스크린제 및 물리적 썬블록(physical sunblock) 둘 모두를 포함한다. 썬스크린 활성제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적합한 썬스크린 활성제의 예가 문헌[Personal Care Product Council's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Thirteenth Edition]에 "썬스크린제"로 개시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썬스크린 활성제는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파르솔(PARSOL)™ MCX로서 구매가능함), 4,4'-t-부틸 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파르솔™ 1789로서 구매가능함),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옥틸다이메틸-p-아미노벤조산, 다이갈로일트라이올레에이트, 2,2-다이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에틸-4-(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글리세릴-p-아미노벤조에이트, 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살리실레이트,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p-다이메틸-아미노벤조산 또는 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p-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2-(p-다이메틸아미노페닐)-5-설포닉벤족사조산, 옥토크릴렌, 산화아연, 벤질리덴 캄포르 및 그의 유도체, 이산화티타늄,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 그리고 대안적으로 약 2% 내지 약 10%의 썬스크린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한 양은 선택되는 썬스크린 활성제 및 요망되는 자외선 차단 지수 (Sun Protection Factor, SPF)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는 당업자의 지식 이내에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이익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변경시키지 않는다면 다양한 기타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0.0001% 내지 약 50%; 약 0.001% 내지 약 20%; 또는, 대안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의 선택적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에 사용되는 선택적 성분의 최적량은 활성제의 효능이 상당히 다양해서 선택된 특정 활성제에 따라 좌우될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열거된 양은 단지 지침으로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유용한 일부 선택적 성분의 양은 본 명세서에 열거된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조성물 내로 혼입될 경우, 선택적 성분은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사람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여드름 활성제, 박리 활성제, 항셀룰라이트제, 킬레이팅제, 플라보노이드, 태닝 활성제, 비타민외 산화방지제 및 라디칼 포착제, 모발 성장 조절제, 주름살 방지 활성제, 위축 방지 활성제, 미네랄, 피토스테롤 및/또는 식물 호르몬,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항미생물 또는 항진균 활성제, 및 기타 유용한 피부 케어 활성제와 같은 선택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75237A1호 및 제2004/0175347A1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문헌[Personal Care Product Council's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Thirteenth Edition]은 피부 케어 산업에서 통상 사용되는 매우 다양한 비제한적인 화장품 및 제약 성분들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선택적 성분이다. 이들 성분 부류의 예에는 연마제, 흡수제, 미적 성분, 예를 들어 향수, 안료, 색소/착색제, 정유, 고결방지제, 소포제, 항미생물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벌킹제, 킬레이팅제, 화학 첨가제, 착색제, 화장품용 수렴제, 화장품용 살생제, 변성제, 약물용 수렴제, 연화제, 외용 진통제, 필름 형성제 또는 물질, 불투명화제, pH 조정제, 방부제, 추진제, 환원제, 금속 이온 봉쇄제, 피부 냉감제(skin cooling agent), 피부 보호제, 증점제, 점도 조절제, 비타민,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II. 예시적인 조성물
하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제한적 예이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는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인지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농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량%로 열거되며, 희석제, 충전제 등과 같은 미량(minor) 물질은 제외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열거된 제형은 열거된 성분 및 그러한 성분과 연관된 임의의 미량 물질을 포함한다. 당업계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하듯이, 이러한 미량 물질의 선택은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되도록 선택되는 특정 성분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모든 실시예가 과다색소침착의 치료, 조절,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에 의한 하나 이상의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의 국부화된 치료를 포함하는 계획(regimen), 또는 조성물에 의한 더욱 넓은 또는 일반적인 안면 피부 치료를 포함하는 계획과 또한 관련될 수 있다.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7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한 방법은 전형적으로, 가열, 냉각, 진공 적용 등이 있거나 없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성분들을 비교적 균일한 상태로 혼합하는 것을 수반한다. 전형적으로, 에멀젼은 지방 상 물질들과 별도로 수성 상 물질들을 먼저 혼합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이들 2개의 상을 합하여 원하는 연속 상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조성물은 활성 물질의 안정성(물리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광안정성) 및/또는 전달이 최적화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최적화에는 적절한 pH(예를 들어, 7 미만), 활성제와 복합되어 안정성 또는 전달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배제(예를 들어, 오염성 철의 배제), 복합체 형성의 방지를 위한 시도의 이용(예를 들어, 적절한 분산제 또는 이중 구획 패키징), 적절한 광안정성 시도의 이용(예를 들어, 썬스크린/썬블록의 혼입, 불투명 포장의 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II. 치료 방법
치료, 적용, 조절, 또는 개선의 다양한 방법은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PAR2 억제가 필요한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과다색소침착된 반점 또는 불균일한 톤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멜라닌 조절 및/또는 감소가 필요한 피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가장 관심이 있는 피부 표면은 안면 피부 표면, 손 및 팔의 피부 표면, 발 및 다리의 피부 표면, 및 목 및 가슴의 피부 표면(예컨대, 데콜타주(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8
))과 같이 전형적으로 의복에 의해 덮이지 않는 것들이 되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은 이마, 입주위, 턱, 눈주위, 코, 및/또는 뺨의 피부 표면을 포함하는 안면 피부 표면 상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본 조성물에 의한 치료를 위한 피부 표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피부과 의사, 미용 전문가, 또는 다른 보호자(caregiver)와 같은 제3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확인은 크기 및/또는 색에 기초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대한 피부의 시각적 검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멜라닌의 확인은 시아스코프(SIAscope)(등록상표) V (영국 소재의 아스트론 클리니카, 리미티드(Astron Clinica, Ltd.)로부터 입수가능함) 또는 비시아(VISIA)(등록상표) 안색 분석(Complexion Analysis) 시스템 (미국 뉴저지주 페어필드 소재의 캔필드 사이언티픽, 인크.(Canfield Scientific, Inc.)로부터 입수가능함)과 같은 구매가능한 영상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두 장치 모두는 피부의 영상을 수집하고 멜라닌과 같은 발색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영상을 사용하여 과다색소침착된 반점 또는 불균일한 톤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 표면에 대한 조성물의 적용을 위한 많은 투여 계획이 존재한다. 조성물은 치료 기간 동안 적어도 일일 1회, 일일 2회, 또는 매일 더 빈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매일 2회 적용될 때, 제1 적용과 제2 적용은 1시간 이상 내지 약 12시간 이상 분리된다. 전형적으로, 조성물은 아침에 및/또는 저녁에, 자기 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요망되는 PAR2 억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접촉 시간 동안 피부 표면에 적용하고 잔류시키고/잔류시키거나 충분한 횟수로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접촉 시간은 약 1 시간, 2 시간, 6 시간, 8 시간, 12 시간, 또는 24 시간 초과이다. 접촉 시간은 조성물의 적용으로부터 조성물이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기재를 헹구거나 세척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치료 기간은 PAR2 억제를 얻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치료 기간은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의 외관의 개선, 멜라닌의 감소, 또는 피부톤의 균일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과다색소침착된 반점 크기의 현저한 감소,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이 엷게 됨(예컨대, 색이 더 엷어짐), 또는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의 멜라닌 감소일 수 있다. 치료 기간은 단회 적용 또는 다회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 2회 적용된다. 다회 적용은 약 1주 이상에 걸쳐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료 기간은 약 4주 초과 또는 약 8주 초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치료 기간은 수개월 (즉, 3 내지 12개월) 또는 수년간 계속 될 것이다.
조성물을 피부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는 국부화된 적용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조성물의 적용과 관련하여, 용어 "국부화된", "국부적", 또는 "국부적으로"는 조성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피부 표면으로의 전달을 최소화하면서 표적 영역(예를 들어,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전달됨을 의미한다. 국부화된 적용은 합리적인 양의 조성물이 과다색소침착된 반점과 같은 표적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즉, 조성물은 어떠한 펴바름 없이는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의 경계 내에 남아 있거나 적용될 가능성이 낮다). 조성물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형태는 국부화된 적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 형태는 조성물을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국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지만, 안면 피부 부위 내의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의 외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안면 피부 표면에 더 전체적으로 또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국부화 및 전신 적용에 적절한 다양한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어플리케이터가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적합한 어플리케이터(10)는 점적기(12)일 수 있는데, 이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병(14)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는 하우징(24)을 갖는 완드(22)로서의 어플리케이터(20)를 도시한다. 완드(22)는 손잡이(26), 스템(27) 및 어플리케이터 헤드(2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헤드(28)는 섬유, 폼(foam), 면, 또는 조성물을 방출가능하게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몸체(34) 및 소폭의 분배 팁(36)을 갖는 팁의 폭이 좁은 튜브(32)로서의 어플리케이터(30)를 도시한다. 조성물은 몸체(34) 내에 저장되고 뾰족한 팁(36)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제1 조성물을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국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어 면봉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어플리케이터에는 타이완 소재의 샤 신 플라스틱 웍스, 인크.(Shya Hsin Plastic Work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H-0127 펜 어플리케이터 및 중국 소재의 스왑플러스, 인크.(SwabPlu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엑스프레스 팁(Xpress Tip) 또는 액체 충전 면봉이 포함된다. 어플리케이터는, 대략 직경이 약 2 ㎜ 내지 약 10 ㎜이고 조성물의 정량 투여량이 약 1 내지 약 50 uL/㎠ 또는 약 1 내지 약 5 uL/㎠가 되게 하는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조성물을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과다색소침착된 반점에,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안면 피부 표면에 동시에 (즉, 30분 미만 또는 더 전형적으로는 5분 미만의 기간에 걸쳐)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부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로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지만, 어플리케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본 발명의 조성물이 또한 손가락을 사용하여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적합한 방법은 상기 언급된 단계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한 가지 적합한 방법은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피부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다른 적합한 방법은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적어도 매일 적용됨 - 를 포함한다.
IV. 시험 방법
하기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소정의 특징 및 이점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그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PAR-2 억제 분석 - 분석 원리는 정량될 수 있는 발광 신호를 야기하는 기질을 절단할 수 있는 활성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효소의 형성을 야기하는 활성화된 PAR-2 수용체에 대한 베타 아레스틴의 동원(recruitment)에 의존한다. PAR-2는 트립신을 첨가하여, 또한 SLIGRL 펩티드를 첨가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의 알파 단편에 커플링되는 PAR-2 수용체를 발현하고 베타 갈락토시다아제의 베타 단편에 커플링되는 베타 아레스틴을 발현하는 세포를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 소재의 디스커버렉스 코포레이션(DiscoveRx Corp.)으로부터 입수한다. 37℃에서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T75 또는 T150 배양 플라스크 (모든 배지 성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Invitrogen Corp.)으로부터 입수가능)에서, 10% 열-불활성화 소태아 혈청, 500 단위/mL 페니실린, 500 ug/mL 스트렙토마이신, 800 ug/mL 젠티마이신, 및 300 ug/mL 하이드로마이신으로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의 배양 배지에서 세포를 증식시킨다. 세포가 대략 80% 융합도(confluency)에 도달했을 때, 세포 해리 완충제 (Cell Dissociation Buffer;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으로부터 항목 번호 13151-014로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세포를 플라스크로부터 탈착시킨다. 혈구계수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계수하고 20 uL/웰의 옵티(Opti)-MEM (등록상표) 배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에서 10000 세포/웰로 384 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한다. 세포를 24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트립신에 의한 PAR2 활성화의 잠재적인 억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웰을 물 중에서 1 uL의 시험 물질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시험 물질을 3회 중복시험한다. 세포를 CO2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팅하고, 그 후에 1 uL의 트립신을 첨가한다 (대략 0.1 ug/uL). 세포를 CO2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고, 그 후에 세포 융해 기질 용액 (11 uL/웰)을 첨가한다. 융해 기질 용액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 소재의 디스커버렉스 코포레이션으로부터의 패스헌터(PathHunter™) 검출 키트 (카탈로그 #93-0001)에서 입수가능하며, 여기서, 성분들은 하기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분석 완충제: 기질 1: 기질 2 = 19:5:1
플레이트를 800 X g에서 잠시 (대략 5분) 원심분리하여 버블을 제거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한다. 인비젼(Envision™) 2101 다중표지 판독기(Multilabel Reader)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소재의 퍼킨엘머, 인크(PerkinElmer, Inc.)로부터 입수가능)에서 각각의 웰에 대해 발광을 판독한다. 용매 대조군 + 트립신을 사용한 웰 (고 대조군), 및 용매 대조군은 사용하고 트립신은 사용하지 않은 웰 (저 대조군)에 의해서 범위를 결정한다. 각각의 처리의 퍼센트 PAR2 억제율을 발광 신호의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한다:
Figure 112013005654895-pct00009
T-시험 함수, 불균일 분포 함수들을 갖는 단일 꼬리(single tail)를 사용하여, 미국 워싱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엑셀에서 통계 처리(statistics)를 행한다.
상기에 요약된 분석을 사용하여,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 (예를 들어, 플로로진), N-아실 아미노산 (예를 들어, 세피화이트), 및 비타민 B3 (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미드)의 다양한 농도 및 조합을 시험하였다. 1% 플로로진 (즉, 조성물은 대략 0.025% 내지 0.01%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함), 1% 세피화이트, 5% 나이아신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의 스톡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사용 전에 희석한다. 0.045, 0.023, 및 0.006의 희석 인자에서 시험 실시를 수행한다. 명확히 하면, 0.045의 인자로 희석된 1% 세피화이트 조성물은 0.045% 세피화이트를 포함하는 시험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표에 보고된 값은 PAR2 활성화의 퍼센트 억제율이다. 하기 표에 보고된 모든 값은 대략 p ≤ 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도 4는 Y 축이 퍼센트 PAR2 억제율인, 표의 데이터의 그래프이다. 화합물들의 조합의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3개의 막대 그래프는 0.045, 0.023, 및 0.006의 희석 인자를 나타낸다. 100%의 값은 트립신 개시제가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과 동등한 PAR2 활성화의 억제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05654895-pct00010
플로로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시험 조성물은 억제 효과를 거의 내지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세피화이트 및 나이아신아미드는 개별적으로, 더 높은 희석에서 뚜렷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세피화이트 및 나이아신아미드는 함께 하여, 특히 더 높은 희석에서,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세피화이트, 나이아신아미드, 및 플로로진의 조합은 세피화이트와 나이아신아미드의 조합보다 훨씬 더 큰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플로로진이 단독으로는 억제 효과를 거의 내지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는 예상치 않은 것이다. 이론에 의해 구애됨이 없이, 플로로진이 나이아신아미드/세피화이트의 PAR2 억제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PAR2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식세포 작용에 의한 멜라닌세포로부터 각질세포로의 멜라노좀의 전달이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각질세포에 존재하는 멜라닌을 더 적게 감소시키거나 한정함으로써 PAR2 활성화의 증가된 억제가 나타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언급된 값 및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모두를 의미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고자 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되거나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확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인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거나, 그 자체 또는 임의의 다른 참고문헌 또는 참고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인 인용이 임의의 이러한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한다는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문헌의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설명되고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비타민 B3 화합물,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 및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화장 조성물로서, 상기 비타민 B3 화합물은 나이아신아미드를 포함하고, 상기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은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의 비타민 B3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의 N-아실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20. 삭제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비타민 B3 화합물 및 N-아실 아미노산 화합물의 PAR2 억제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23. 삭제
  24. 제16항에 있어서,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25. 제16항에 있어서, 톤 제제, 썬스크린 활성제, 항염증 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26. a.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의 나이아신아미드,
    b.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의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 및
    c. 나이아신아미드 및 N-운데실엔오일-L-페닐알라닌의 PAR2 억제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라미나리아 사카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화장 조성물.
KR1020137001561A 2010-07-22 2010-07-22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101690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42861 WO2012011908A1 (en) 2010-07-22 2010-07-22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ar2 activation of keratinocy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964A KR20130020964A (ko) 2013-03-04
KR101690959B1 true KR101690959B1 (ko) 2016-12-29

Family

ID=4356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561A KR101690959B1 (ko) 2010-07-22 2010-07-22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42784B1 (ko)
JP (1) JP2012519735A (ko)
KR (1) KR101690959B1 (ko)
CN (1) CN103002869B (ko)
CA (1) CA2805480C (ko)
WO (1) WO2012011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6498A (zh) 2009-04-27 2016-08-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KR20150048918A (ko) * 2010-07-22 2015-05-0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활성제를 사용하여 과다색소침착된 반점(들)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DE202012013018U1 (de) 2011-12-19 2014-08-20 Mary Kay Inc.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JP2015514769A (ja) * 2012-04-20 2015-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顔の毛穴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15010071A (ja) *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JP2015010070A (ja) *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KR102323049B1 (ko) 2014-03-10 2021-11-05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라이트닝 조성물
KR102323455B1 (ko) * 2015-03-20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미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2218616A (zh) 2018-03-23 2021-01-12 玫琳凯有限公司 局部用组合物和方法
WO2023063118A1 (ja) * 2021-10-14 2023-04-20 株式会社 資生堂 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剤、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方法、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並びに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9356A1 (en) 2003-07-25 200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N-acyl amino acid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5560A (en) 1971-06-30 1973-08-28 Dow Chemical Co Nongreasy cosmetic lotions
US4421769A (en) 1981-09-29 1983-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JPH0288592A (ja) * 1988-09-22 1990-03-28 T Ee C Gijutsu Kagaku Kenkyusho:Kk メラニン形成阻害物質
JPH03251514A (ja) * 1990-02-28 1991-11-11 T Ee C Gijutsu Kagaku Kenkyusho:Kk メラニン分解物質
US5939082A (en) 1995-11-06 1999-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regulating skin appearance with vitamin B3 compound
DE19654508C1 (de) * 1996-12-18 1998-08-13 Lancaster Group Gmbh Kosmetisches Reinigungs- und Pflegepräparat
FR2797187B1 (fr) 1999-08-03 2001-09-21 Engrais Composes Mineraux Et A Extrait d'algues laminaria,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le contenant
KR20020088004A (ko) * 2001-05-07 2002-11-25 박종문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KR100728443B1 (ko) * 2001-06-08 2007-06-13 애경산업(주) 해조 추출물 함유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화장료
FR2838340B1 (fr) * 2002-04-10 2005-06-17 Gelyma Utilisation d'un extrait d'algue brune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et dermatologique
US20040175347A1 (en) 2003-03-04 2004-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hexamidine compositions
US20060275237A1 (en) 2005-05-09 2006-12-07 Bissett Donald L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idebenone
FR2905859B1 (fr) * 2006-09-15 2008-11-14 Oreal Composition contre l'hyperpigmentation localisee des peaux foncees
DE102007024138A1 (de) * 2007-05-23 2008-11-27 Coty Prestige Lancaster Group Gmbh Kosmetisches Hautreinigungsmittel
FR2921561B1 (fr) * 2007-10-02 2012-11-09 Jean 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 ameliorer l'etat de peau
JP2009161458A (ja) * 2007-12-28 2009-07-23 Rohto Pharmaceut Co Ltd 細胞のアスコルビン酸類の取り込み促進剤
US9676696B2 (en) * 2009-01-29 2017-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skin and/or hair care actives
KR20150048918A (ko) * 2010-07-22 2015-05-0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활성제를 사용하여 과다색소침착된 반점(들)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9356A1 (en) 2003-07-25 200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N-acyl amino acid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Vol. 8, pages 260-266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908A1 (en) 2012-01-26
EP2442784B1 (en) 2013-05-01
CA2805480A1 (en) 2012-01-26
CA2805480C (en) 2016-08-23
CN103002869B (zh) 2015-08-05
EP2442784A1 (en) 2012-04-25
CN103002869A (zh) 2013-03-27
JP2012519735A (ja) 2012-08-30
KR20130020964A (ko)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59B1 (ko)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방법
US20160317431A1 (en) Methods of inhibiting par2 activation of keratinocytes and methods of making compositions therefor
CA2804917C (en)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pot(s) using an extract of laminaria saccharina
JP5819966B2 (ja) フィカス美容液画分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過剰な色素沈着の発生を低減する方法
EP2448548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pot(s) using an extract of laminaria saccharina
AU2016265959A1 (en) Bioa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Ficus serum fraction and methods to reduce the appearance of skin hyperpigmentation
US8673372B2 (en)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kin using a synergistic composition comprising banyan tree, lotus, and clover serum fractions
AU2017203699B2 (en) Composition comprising banyan tree, lotus, and clover serum fractions (hyperpigmentation)
US11766397B2 (en) Bioa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ficus serum fracton and methods to reduce the appearance of skin hyperpigmentation
JP5719050B2 (ja) 角化細胞のpar2活性化を阻害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130022558A1 (en) Methods For Imrproving the Appearance of Hyperpigmented Spot(s) and Skin Tone
WO2012011907A1 (en) Laminaria saccharina extract and vitamin b3 as whitening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