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524B1 -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524B1
KR101689524B1 KR1020130013226A KR20130013226A KR101689524B1 KR 101689524 B1 KR101689524 B1 KR 101689524B1 KR 1020130013226 A KR1020130013226 A KR 1020130013226A KR 20130013226 A KR20130013226 A KR 20130013226A KR 101689524 B1 KR101689524 B1 KR 10168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data
area
image
rang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465A (ko
Inventor
히데아키 삼본스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3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ark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화소의 화소 어레이를 갖는 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는,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판독된 제1영역의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하고;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를,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대응한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로부터 판독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갱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갱신된 범위는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와 관계없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등의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영시에 촬상소자로부터 취득한 보정 데이터 생성용의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보정 데이터에 의해 촬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등의 촬상장치에서는, 촬상소자의 출력을 보정하는 보정 데이터를 미리 카메라에 유지하고, 해당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양질의 화상을 얻는다. 그렇지만, 장시간 촬상소자를 연속해서 구동하면, 촬상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 특성이 변화된다. 그 촬상소자의 특성이 변화되면, 미리 유지된 보정 데이터에 의하여 양호한 보정을 행하지 못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온도등 촬영시의 조건이 변화되면, 보정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구성의 촬상장치를 제공한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57691호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57691호에 기재된 촬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촬상조건이 변화되었을 때에 보정 데이터를 재생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동화상과 같이 연속해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의 취득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보정 데이터의 재생성시에 상기 취득된 화상이 그 화상에 단절을 갖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 촬상조건이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화상 데이터의 취득을 중단하지 않고 촬상 데이터의 보정을 행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한 화소 어레이를 가지고, 상기 화소 어레이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가지는 촬상소자; 상기 제1영역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판독된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대응한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에 있는 화소로부터 판독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갱신하는 갱신부를 구비하고, 그 갱신된 범위는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와 관계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의 메모리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의 판독 영역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8b, 8c, 8d, 8e, 8f, 8g, 8h 및 8i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기억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9b, 9c, 9d, 9e, 9f, 9g, 9h 및 9i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판독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11b, 11c, 11d, 11e 및 11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기억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12b, 12c, 12d, 12e 및 12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판독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의 판독 영역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18b, 18c, 18d, 18e, 18f, 18g, 18h 및 18i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기억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19b, 19c, 19d, 19e, 19f, 19g, 19h 및 19i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판독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21b, 21c, 21d, 21e 및 21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기억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22b, 22c, 22d, 22e 및 22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판독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의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 및 2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의 판독 영역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모드 변경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및 28i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기억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 29b, 29c, 29d, 29e, 29f, 29g, 29h 및 29i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의 판독시의 메모리 액세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시된 촬상장치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가지고, 피사체를 촬상해서 화상신호를 취득하는 촬상소자(10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촬상소자(100)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에 의해 전기신호(아날로그 신호, 즉,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촬상소자(10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102)로 게인이 조정됨과 아울러, 소정의 양자화 비트에 따라 디지털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촬상소자(100) 및 AFE(102)은 타이밍 제너레이터(TG)(101)에 의해 구동 타이밍이 제어된다. TG(101) 자체는 CPU(103)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된다.
RAM(107)은, AFE(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후술하는 화상처리부(108)로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화상 메모리)이다. RAM(107)은, 후술하는 CPU(103)에 의해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메모리 및 워크 메모리로서 RAM(107)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속도가 문제없는 레벨의 메모리인 경우만, 다른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된다.
ROM(105)에는, CPU(103)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105)으로서 플래쉬ROM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속도가 문제없는 레벨의 메모리인 경우만, 다른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된다.
CPU(103)는, ROM(10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로딩해서 실행함으로써, 촬상장치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화상처리부(108)는 촬영을 통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보정과 압축 등의 처리를 행하고, 후술하는 화상보정부(300)를 포함한다.
기록부(109)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갖고, 정지화상 데이터 및 동화상 데이터등의 화상 데이터와, 그것들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기록부(109)가 촬상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대신에, 이 부는, 커넥터를 거쳐서 착탈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록 장치이어도 된다.
조작부(104)는, 촬영 명령 및 촬상조건등의 설정을 CPU(103)에 대하여 행할 때에 유저의 지시와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시부(106)는, CPU(103)의 제어하에서, 촬영을 통해 얻어진 정지화상 및 동화상과,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도 2는, 상기 촬상소자(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촬상소자는, 광전변환소자인 화소를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한 화소 어레이(100a), 화소 어레이(100a)의 행을 선택하는 수직선택 회로(100d), 및 화소 어레이(100a)의 열을 선택하는 수평선택 회로(100c)를 구비한다. 촬상소자(100)는, 화소 어레이(100a)에 배열되어 있는 화소 중, 수직선택 회로(100d) 및 수평선택 회로(100c)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회로(100b)를 더 구비한다.
화소 어레이(100a)는, 차광된 화소(Optical Black, OB)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영역과, 개구되어 있는 화소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영역을 구비한다. 수직선택 회로(100d)는 화소 어레이(100a)의 행을 선택하고, CPU(103)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의거하여 TG(101)로부터 출력된 판독 펄스를, 선택 행에 있어서 유효하게 한다. 판독 회로(100b)는 열마다 앰프(amplifier)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선택된 행의 화소신호가 열단위로 앰프를 거쳐서 메모리에 기억된다. 메모리에 기억된 1행분의 화상신호는, 수평선택 회로(100c)에 의해 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앰프(100e)를 거쳐서 외부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화소 어레이(100a)의 화소를 선택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이 동작을 화소 어레이(100a)의 행의 수만큼 반복함으로써, 모든 화소의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촬상소자(100)의 수평선택 회로(100c)는, 설정에 근거한 CPU(103)의 제어하에서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화소의 열의 범위를 복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0∼제n열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에 있어서, 제0∼제k열, 제m∼제n열만 판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선택 회로(100d)도 화상신호를 판독하지만, 이 회로는 화소의 수직방향의 범위, 즉 행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B영역과 차광되지 않은 화소영역 각각에 대해서 판독 범위를 별개로 설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설정은, 미리 CPU(103)에 설치해 두어도 된다. 또한, 그 설정은, 조작부(104)에 의해 적당하게 제공 또는 변경되어도 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되지 않은 화소의 판독 영역에 대해서 조작부(104)에 의한 설정을 한다.
수직선택 회로(100d)는, TG(101)로부터 입력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OB화소 선택 펄스가 하이레벨(High)인 경우에는, OB화소의 화소행을 순차로 선택해서 최하행을 선택 후에, 다시 OB화소의 최초의 행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순회 동작). 예를 들면, 제5행 내지 제14행이 OB화소일 경우, OB화소 선택 펄스가 High가 되면, 제5, 제6, …, 제14행을 순차로 선택하고, 그 후 다시 제5, 제6, …, 제14행을 선택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러한 동작(순회)의 10회 반복은, 100행의 OB화소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작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CPU(103)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처리부(108)에 포함된 화상보정부(3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에 있어서, 메모리(301)는, 화상의 열마다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는 입력 데이터(화상 데이터)와 일시적으로 메모리(301)에 기억되어 있는 계산 과정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소배열의 열마다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 열단위에 대하여 보정 데이터의 생성 공정이 반복되고, 이미 메모리(301)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데이터가 소거된 후에, 최종의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에 기록된다.
어드레스 지정 회로(303)는, 화상위치 지정회로(302)로부터 출력된 화상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301)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메모리(301)는 입력된 어드레스 위치에 기억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동작들은, 화상 데이터의 보정시나, 보정 데이터의 생성 및 갱신시의 화상 데이터의 열과 보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연관시킨다.
도 4는 촬상소자(100)의 화소 어레이(100a) 열과 보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간의 연관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상위치 지정회로(302)는,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화소 어레이(100a)의 제K∼제L열과의 연관에 대한 정보를 어드레스 지정 회로(303)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지정 회로는, 입력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301)에 어드레스A0∼A1을 출력한다. 메모리(301)는 어드레스A0∼A1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제K∼제L열의 각각에 대해서 보정 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마찬가지로, 화상보정부(300)에 제M∼제N열의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화소 어레이(100a)의 제M∼제N열과의 연관에 대한 정보를, 어드레스 지정 회로(303)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지정 회로는,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301)에 대하여 어드레스A2∼A3을 출력한다. 메모리(301)는, 입력된 어드레스A2∼A3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제M∼제N열의 각 열에 대해서 보정 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데이터가 입력되고, 갱신 대상이 되는 열에 대응한 어드레스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입력된다.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는 소정의 처리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다. 갱신 처리가 종료한 후, 셀렉터(307)에 의해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선택되고, 갱신 대상이 되는 보정 데이터가 기억된 어드레스에 재기억된다.
화상 데이터가 보정될 때, 보정대상이 되는 열에 대응한 어드레스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보정회로(306)에 입력된다. 보정회로(306)는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해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된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동화상 촬영 모드로서 화면의 일부를 잘라내서 표시하는 크롭(crop)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조작부(104)의 조작에 의해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된 후, 단계S501에서, CPU(103)는 TG(101)에 대하여, 화상신호의 판독 기간내에서 소정 시간에만 OB화소 선택 펄스를 하이레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순회 설정).
다음에, 단계S502에서, CPU(103)는, 수평선택 회로(100c)에 대해서 수평방향의 판독 영역(열의 범위)을 설정한다.
도 6a는 촬상소자(100)의 화소 어레이(100a)의 화소구성과 판독영역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사선부는, 차광 화소가 배열되어 있는 화소영역이다. 수평방향의 범위H2∼H7, 수직방향의 범위V0∼V1로 정의(설정)되어 있는 영역은 VOB영역이며, VOB(a), VOB(b), VOB(c)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수평방향H0∼H1, 수직방향V0∼V2로 정의되는 영역은 HOB영역이며, HOB(0)과, 후술하는 크롭 영역과 같은 행 범위에서의 HOB(1)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처럼, 촬상소자(100)는 화소 어레이(100a)로부터 판독하는 행과 열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단계S502에서는 상기 판독하는 행 및 열의 범위를 HOB영역과 VOB(a)에 설정한다.
그 후, 단계S503에서, CPU(103)는 화소 어레이(100a)로부터의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을 시작한다. 판독시에는, OB화소 선택 펄스가 소정 기간 하이레벨이 되어서, 수직방향V0∼V1의 영역이 반복적으로 판독된다(순회 동작). 그 결과, 판독되는 화상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HOB(0)가 반복되는 HOB순회 영역과, VOB(a)순회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700)로 구성된다.
이 화상은 AFE(1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에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에 근거해 열마다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8a 내지 8i는 보정 데이터 생성시에 액세스된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다. 생성된 H0∼H1의 각 열의 보정 데이터는 도 8a의 사선부에 나타낸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다. VOB(a)영역의 H2∼H3의 범위의 열마다의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h2∼h3에 기억된다. 어드레스h0는 화소 어레이(100a)의 H0열에 대응하고, 어드레스h2는 H2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h0∼h1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0∼H1의 열수는 같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h2∼h3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2∼H3의 열수는 같다.
다음에, 단계S504에서, 보정 데이터 생성이 종료했는지를 CPU(103)는 판단한다. 이때, 촬상소자(100)의 H0∼H3의 열의 보정 데이터 생성은 종료되지만, H4∼H7의 열의 보정 데이터는 미생성된다. 이에 따라, 단계S5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502에서, CPU(103)는 화소 어레이(100a)로부터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열의 범위를 HOB영역과 VOB(b)에 설정한다.
그 후, 단계S503에서, CPU(103)는 촬상소자(100)에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시에는, OB화소 선택 펄스가 소정기간 하이레벨이 되고, 수직방향V0∼V1의 영역이 반복적으로 판독된다(순회 동작). 그 결과,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HOB(0)이 반복되는 HOB순회 영역과 VOB(b)순회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710)로 구성된다.
이 화상신호는 AFE(10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에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근거해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H0∼H1의 열의 보정 데이터는 이미 생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단계에서는 그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번에 생성된 보정 데이터는, VOB(b)영역의 H4∼H5의 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h4∼h5(도 8b의 사선부)에 기억된다. 어드레스h4∼h5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4∼H5에 포함되는 열의 수는 같다.
다음에, 단계S504에서, 보정 데이터 생성이 종료했는지를 CPU(103)는 판단한다. 이때, 촬상소자(100)의 H0∼H5의 열의 보정 데이터 생성은 종료하지만, H6∼H7의 열의 보정 데이터는 미생성한다. 이에 따라, 단계S5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상기의 동작과 같은 방법으로, VOB(c)영역의 H6∼H7의 열의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의 어드레스h6∼h7에 기억된다.
화소 어레이의 모든 열의 보정 데이터의 생성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서, 단계S504에서의 판정으로 처리를 단계S505에 진행시킨다.
단계S505에서는, CPU(103)는 TG(101)에 대하여, OB화소 선택 펄스를 판독기간내에서 소정시간 로(low) 레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비순회 설정).
다음에, 단계S506에서, 차광되지 않고 있는 화소(개구 화소) 중, 판독하는 화소의 범위를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유저에 의한 조작부(104)의 조작에 따라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화소의 범위(크롭 영역)가 지정되어 있다. CPU(103)는, 그 지정에 의거하여 촬상소자(100)에 대하여, 도 6a에 나타낸 열범위H8∼H9와 행범위V3∼V4로 정의된 크롭(A)영역을 판독하는 설정을 행한다.
그 후, 단계S507에서, VOB의 판독 범위를 VOB(a)영역에 설정한다. 이 설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OB(0), HOB(1), VOB(a) 및 크롭(A)영역이 설정된다.
그 설정 후, 단계S508에서, CPU(103)는 촬상소자(100)에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되는 화상신호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HOB(0), HOB(1), VOB(a) 및 크롭(A)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740)로 이루어진다.
이 화상신호는, AFE(10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HOB(0) 및 VOB(a)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의 갱신이 행하여진다. 도 8d는 갱신시에 액세스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0)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h0∼h1에 재기억된다. VOB(a)영역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h2∼h3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h2∼h3에 재기억된다.
크롭(A)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상기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9d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1)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2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크롭(A)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8∼h9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h8과 화소 어레이(100a)의 H8열이 대응한다. 어드레스h9와 화소 어레이의 H9열이 대응한다. 어드레스h8∼h9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8∼H9에 포함된 화소의 수는 같다.
상기 동작에 따라, 1회의 판독(1프레임)에서, VOB영역(a)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 후, 크롭(A)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S509에서, 촬영 종료를 CPU(103)가 판단한다.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5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10에서는, 크롭 영역이 유저에 의해 변경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크롭 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507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다음 프레임을 판독한다.
단계S507에서는, 다음 프레임에서 판독하는 VOB영역으로서 VOB(b)를 설정한다. 이 설정은, VOB영역의 보정 데이터(어드레스h4∼h5)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OB(0), HOB(1), VOB(b) 및 크롭(A)영역이 설정된다.
그 설정 후, 단계S508에서, CPU(103)는 촬상소자(100)에 화소의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HOB(0), HOB(1), VOB(b) 및 크롭(A)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750)로 이루어진다.
이 화상신호는 AFE(1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HOB(0)와 VOB(b)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에 근거해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다. 도 8e는 갱신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0)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h0∼h1에 재기억된다. VOB(b)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h4∼h5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h4∼h5에 재기억된다.
크롭(A)영역의 화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9e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1)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크롭(A)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8∼h9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마찬가지로, 크롭 영역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에서는 VOB(c)이 선택되고, 도 7의 방식 760으로 판독되고, 보정 데이터가 갱신되며(도 8f), 화상 데이터가 보정된다(도 9f).
유저에 의해 크롭 영역이 변경될 때까지는, 도 7에 나타낸 방식 770내지 790으로 표시된 것처럼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VOB영역이 순차로 변경되어 설정되고,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이 반복되며, 보정 데이터의 갱신과 화상 데이터의 보정이 행해진다.
단계S510에서, 크롭 영역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506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CPU(103)는 촬상소자(100)에서, 판독된 개구 화소영역을 재설정한다. 도 6b는 그 경우의 영역을 나타낸다. 변경된 크롭 영역은 수평방향의 범위가 H10∼H11이고, 수직방향의 범위가 V3∼V4이다.
도 10에 나타낸 시간 1030에 있어서, 단계S506에서, 크롭 영역의 변경이 판단되었다고 한다. 그 전에는, 전술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도 10의 시간 1010 내지 1060은 후술하는 도 11a 내지 11f 및 도 12a 내지 12f에 대응한다.
이어서, 단계S507에서, VOB의 판독 열로서, VOB(c)영역을 판독하는 설정을 행한다. 이 설정은, 앞의 프레임의 판독에서 VOB(b)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 후 다음 VOB(c)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OB(0), HOB(1), VOB(c) 및 크롭(B)영역이 판독영역으로서 설정된다.
이 설정 후, 단계S508에서, CPU(103)는 촬상소자(100)에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되는 화상신호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HOB(0), HOB(1), VOB(c) 및 크롭(B)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1030)가 된다.
이 화상신호(1030)는 AFE(1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HOB(0) 및 VOB(c)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에 근거해 보정 데이터의 갱신이 행하여진다. 도 11c는 갱신시에 액세스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0)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 후에 어드레스h0∼h1에 재기억된다. VOB(c)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6∼h7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 후에 어드레스h6∼h7에 재기억된다.
크롭(B)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것처럼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12c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HOB(1)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0∼h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크롭(B)영역의 데이터를 보정할 경우에는, 어드레스h10∼h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그 후는 크롭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509 및 단계S510의 처리를 행하고 그 프레임의 판독이 반복된다(도 10의 1040 내지 1060). 판독되어서 보정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RAM(107)에 기억된 후, 화상처리부(108)에서 압축되어, 동화상으로서 기록부(109)에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각 프레임의 판독시에 판독되는 VOB영역을 VOB(a), VOB(b), VOB(c)의 순서로 변화시킨다. 각 VOB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 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해서, 그 영역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항상 촬상소자(100)의 화소 어레이(100a)의 모든 열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면서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 보정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 어레이상에서의 열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열마다 보정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크롭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된 크롭 영역의 각 화소열에 대응한 메모리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화상 데이터의 열에 대응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정 데이터의 재생성으로 인해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소실을 막을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시된 촬상장치는, 오토 포커스(AF)기능(초점검출부)을 사용해서 동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가지고, 피사체를 촬상해서 화상신호를 취득하는 촬상소자(1300)를 구비한다. 이 촬상소자(1300)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에 의해 전기신호(아날로그 신호, 즉,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화소배열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촬상소자는, AF기능을 행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판독해낼 수 있도록, 후술하는 2개의 광전변환소자(A, B)를 포함하는 화소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촬상소자는, 광전변환소자A의 화상신호(A상신호) 또는 광전변환소자B의 화상신호(B상신호), 또는 A+B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A+B상신호와 A상신호를 판독하면, 소정의 처리에 따라 B상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A상신호와 A+B상신호를 판독한다. A+B상신호가 화상신호로서 사용된다. A+B상신호로부터 대응하는 화소의 A상신호를 감산해서 B상신호가 작성되어, A상신호와 함께 AF의 연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보정 데이터가, A상신호와 A+B상신호 각각에 대해서 생성 및 갱신되는 구성을 채택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촬상소자(130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1302)로 게인이 조정됨과 아울러, 소정의 양자화 비트에 따라 디지털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촬상소자(1300) 및 AFE(1302)는 타이밍 제너레이터(TG)(1301)에 의해 구동 타이밍이 제어된다. TG(1301) 자체는 CPU(1303)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된다.
RAM(1307)은, AFE(130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및 후술하는 화상처리부(1308)로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다. 또한, RAM(1307)은 후술하는 CPU(1303)에 의해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메모리 및 워크 메모리로서 RAM(1307)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속도가 문제없는 레벨의 메모리이면, 다른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된다.
ROM(1305)은, CPU(1303)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1305)으로서 플래쉬ROM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속도가 문제없는 레벨의 메모리이면, 플래쉬ROM이외의 다른 메모리를 사용하여도 된다.
CPU(1303)는, ROM(130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해서 실행함에 의해, 촬상장치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화상처리부(1308)는 촬영을 통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보정과 압축 등의 처리를 행하고, 후술하는 화상보정부(300)를 포함한다.
기록부(1309)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가지고, 정지화상 데이터 및 동화상 데이터등의 화상 데이터나, 그것들에 관련되는 정보등을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기록부(1309)가 촬상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대신에, 이 기록부는, 커넥터를 거쳐서 착탈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록 장치이어도 된다.
조작부(1304)는, 촬영 명령 및 촬상조건등의 설정을 CPU(1303)에 대하여 행할 때에 유저의 지시와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시부(1306)는 CPU(1303)의 제어하에서, 촬영을 통해 얻어진 정지화상 및 동화상과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제1렌즈 군(1319)은 촬영 광학계(결상광학계)의 선단에 배치되고, 광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다. 조리개(1318)는, 그 개구경을 조절하여 촬영시의 광량 조절을 행한다. 제2렌즈 군(1317)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리개(1318) 및 제2렌즈 군(1317)은 일체로 되어서 광축방향으로 진퇴하고, 상기 제1렌즈 군(1319)의 진퇴 동작과 연동시킴으로써, 변배작용(줌 기능)을 한다.
제3렌즈 군(1316)은, 광축방향의 진퇴에 의해 초점조절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칼 플레인 셔터가 정지 화상 촬영시에 노광 시간을 조절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그렇지만, 이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촬상소자(1300)가 전자셔터 기능을 가지고, CPU(1303)의 제어하에 제어 펄스에 따라 노광 시간을 조절하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된다.
포커스 구동부(1312)는, AF연산부(1310)의 초점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포커스 액추에이터(1314)를 구동 제어하고, 제3렌즈 군(1316)을 구동해서 광축방향으로 진퇴해서 초점을 조절한다. 조리개 구동부(1313)는, 조리개 액추에이터(1315)를 구동제어해서 조리개(1318)의 개구를 제어한다.
도 14a는 촬상소자(13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4a에 있어서, 촬상소자는, 광전변환소자인 화소를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한 화소 어레이(1300a), 화소 어레이(1300a)의 행을 선택하는 수직선택 회로(1300d), 및 화소 어레이(1300a)의 열을 선택하는 수평선택 회로(1300c)를 가진다. 촬상소자(1300)는, 화소 어레이(1300a)에 배열된 화소 중, 수직선택 회로(1300d) 및 수평선택 회로(1300c)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회로(1300b)를 가진다.
화소 어레이(1300a)의 화소배열의 일부에는, 차광된 화소(OB)의 배열을 포함한다. 수직선택 회로(1300d)는 화소 어레이(1300a)의 행을 선택하고, CPU(1303)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의거하여 TG(1301)로부터 출력된 판독 펄스를, 선택행에 있어서 유효하게 한다. 판독 회로(1300b)는 열마다 앰프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선택된 행의 화소신호가 열단위로 앰프를 거쳐서 메모리에 기억된다. 메모리에 기억된 1행분의 화상신호는, 수평선택 회로(1300c)에 의해 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앰프(1300e)를 거쳐서 외부에 출력된다.
이 동작을 화소 어레이(1300a)의 행의 수만큼 반복하여서, 모든 화소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수직선택 회로(1300d)는, TG(1301)로부터 입력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OB화소 선택 펄스가 하이레벨(High)인 경우에는, OB화소의 화소행을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최하행을 선택 후에, 다시 OB화소의 최초의 행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순회 동작). 예를 들면, 제5행 내지 제14행이 OB화소일 경우, OB화소 선택 펄스가 High가 되면, 제5, 제6, …, 제14행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그 후 다시 제5, 제6, …, 제14행이 선택된다고 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러한 동작을 10회 반복하면, 100행분의 OB화소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동작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CPU(1303)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1300)는, 도 14b에 나타낸 화소 어레이의 구조를 고려하여, 화상출력과 함께 위상차 측거를 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b는, 화소 어레이(1300a)의 화소의 배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화소 어레이(1300a)는, 2차원의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서,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동 도면에는, 마이크로렌즈(1300f)와, 광전변환을 행하는 포토다이오드(PD)(1300g, 1300h)를 나타낸다. 각 화소는 2개의 PD로 구성된다. 1개의 화소에 대하여 1개의 마이크로렌즈가 상부에 배치된다. 이 화소들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하, 좌측PD(1300g)의 신호를 A상 데이터, 우측PD(1300h)의 신호를 B상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300)는, A상 데이터, B상 데이터 또는 A+B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화소판독을 제어할 수 있다. A+B상신호와 A상신호를 판독하면, 소정의 처리에 따라 B상신호를 산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상신호와 A+B상신호를 판독한다.
화상신호로서는, A+B상신호가 사용된다. A+B상신호로부터 대응한 화소의 A상신호를 감산해서 B상신호를 작성하고, A상신호와 함께 후술하는 오토 포커스(AF)의 연산에 사용한다.
또한 A상신호를 판독하는 화소영역(AF영역)의 열은, 유저에 의한 조작부(1304)의 조작에 의해 촬상소자(130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OB부의 A상신호의 판독 영역은 개구 화소영역과는 별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설정은, 미리 CPU(1303)에 구성될 수 있거나, 조작부(1304)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 또는 변경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되지 않은 화소의 판독 영역에 대해서 조작부(1304)에 의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화상처리부(1308)는,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화상보정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생성 또는 갱신된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하기 위한 기억 어드레스와 화소 어레이의 각 열간의 대응관계의 제어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부(1304)의 조작에 의해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된 후, 단계S1501에서, CPU(1303)는 TG(1301)에 대하여, 화상신호의 판독 기간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OB화소 선택 펄스를 하이레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순회 설정).
다음에, 단계S1502에서, CPU(1303)는, 수평선택 회로(1300c)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판독 영역(열의 범위)을 설정한다.
화상신호는, 화소 어레이의 1행단위로 판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신호의 판독시에, 수평방향으로 열영역이 설정된 A상신호를 판독한 후에, A+B상신호를 판독한다. 여기에서는, A상신호의 VOB영역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A+B상의 판독 영역은, 전체 개구 화소영역이다.
도 16a는, 화소 어레이(1300a)의 화소배열 구성과 판독영역의 배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방향의 범위H0∼H5와, 수직방향의 범위V0∼V1로 정의되어 있는 영역은 VOB영역이며, VOB(a), VOB(b) 및 VOB(c)의 3영역으로 나누어진다(설정된다).
전술한 것처럼, 촬상소자(1300)는 화소 어레이(1300a)로부터 판독하는 열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단계S1502에서는, CPU(1303)는 VOB영역에 관한 A상신호의 열의 판독 범위가 VOB(a)이도록 촬상소자(1300)를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상신호의 VOB(a)순회 영역과,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순회 영역이 설정된다.
그 후, 단계S1503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해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시에는, OB화소 선택 펄스가 소정기간 하이레벨이 되어서, 수직방향V0∼V1의 영역이 반복적으로 판독된다(순회 동작). 그 결과, 판독된 화상(1710)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상신호의 VOB(a)순회 영역과,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순회 영역을 포함한다.
도 17의 화상 1710 내지 1790은, 후술하는 도 18a 내지 18i와 도 19a 내지 19i에 대응한다.
이 화상은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에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화소 어레이의 각 열의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18a는 보정 데이터 생성시에 액세스된 메모리(301)의 어드레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다. 생성된 VOB(a)영역인 H0∼H1열의 A상 데이터의 생성된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a0∼a1에 기억된다. VOB(a), VOB(b) 및 VOB(c)영역인 H0∼H5열의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S1504에서, 보정 데이터 생성이 종료했는지를 CPU(1303)가 판단한다. 이때, 촬상소자(1300)의 H0∼H1열의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의 생성은 종료하지만, H2∼H5열의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미생성된다. 이에 따라, 단계S15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1502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VOB영역에 관한 A상신호를 판독하는 열의 범위를 VOB(b)에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상신호의 VOB(b)순회 영역과,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순회 영역을 설정한다.
그 후, 단계S1503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화상 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시에는, OB화소 선택 펄스가 소정기간 하이레벨이 되고, 수직방향의 V0∼V1의 영역이 반복적으로 판독된다(순회 동작). 그 결과,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상신호의 VOB(b)순회 영역과,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순회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1720)를 포함한다.
이 화상은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에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18b는 보정값 생성시에 액세스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다. 생성된 VOB(b)영역인 H2∼H3열의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a2∼a3에 기억된다. 여기에서는, H0∼H5의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이미 생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정 데이터는 생성 및 기억되지 않는다.
다음에, 단계S1504에서, 보정 데이터 생성이 종료했는지를 CPU(1303)가 판단한다. 이때, 화소 어레이(1300a)의 H0∼H3열의 A상신호의 보정 데이터 생성은 종료되지만, H4∼H5열의 A상신호의 보정 데이터는 미생성된다. 이에 따라, 단계S15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상기 동작과 같이, VOB(c)영역의 H4∼H5열의 보정 데이터가 생성되어서, 메모리의 어드레스a4∼a5에 기억된다.
이어서, 단계S1504에서는, 모든 열의 보정 데이터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확인된다. 단계S1505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1505에서, CPU(1303)는, TG(1301)에 대하여, OB화소 선택 펄스를 판독 기간내에서 소정 시간에 로(low) 레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비순회 설정).
다음에, 단계S1506에서, 차광되지 않은 화소(개구 화소) 중, A상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화소의 범위를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전에 유저에 의한 조작부(1304)의 조작에 따라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영역(AF영역)이 지정되어 있다. CPU(1303)는, 그 지정에 의거하여,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도 16a에 나타낸 열범위H6∼H7 및 행범위V2∼V3으로 정의된 A상신호를 판독하는 영역의 설정을 행한다.
그 후, 단계S1507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VOB영역에 관한 A상신호의 판독 열의 범위를 VOB(a)에 설정한다. 이 설정은, 메모리에 기억된 A상신호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이것들의 설정과 아울러, A+B상용에,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영역과, A+B상신호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이 설정된다.
설정 후, 단계S1508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해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설정된 각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1740)를 포함한다. 즉, 그 신호는, A상 데이터의 VOB(a)영역, A+B상 데이터의 VOB(a), VOB(b) 및 VOB(c)영역,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 및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포함한다.
이 화상은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VOB(a)영역의 A상 데이터는,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다. 도 18d는 갱신시에 액세스된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0∼a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는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0∼a1에 재기억된다.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6∼a11에 재기억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19d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어드레스a12∼a13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a12는, 촬상소자(1300)의 H6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13은 H7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12∼a13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6∼H7의 범위의 열의 수는 같다.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19d에 나타낸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a6은 화소 어레이(1300a)의 H0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11은 H5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6∼a11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0∼H5의 범위의 열의 수는 같다.
상기 동작에 따라, 1회의 판독(1프레임)에서, VOB영역의 화상신호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 후,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S1509에서는, AF동작을 행한다.
보정된 화상 데이터는 AF연산부(1310)에 입력된다. A상 데이터와 A+B상 데이터로부터 B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A상 데이터와 B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연산을 행해서 디포커스량을 산출한다. AF연산부(1310)는, 포커스 구동부(1312)에 산출된 디포커스량을 출력한다. 포커스 구동부(1312)는, AF연산부(1310)로부터 취득한 디포커스량에 근거하여 제3렌즈 군(1316)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포커스 액추에이터(1314)에 구동명령을 출력한다. 제3렌즈 군(1316)은 포커스 액추에이터(1314)에 의해 합초 위치까지이동되어, 촬상소자(1300)의 촬영 광학계에 있어서 합초 상태를 달성한다.
다음에, 단계S1510에서, 촬영 종료를 CPU(1303)가 판단한다.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5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511에서는, AF영역이 유저에 의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AF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50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단계S1507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서,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열을 VOB(b)에 설정한다. 이 설정은, 전번의 프레임으로부터 순차로 메모리에 기억된 A상신호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이것들의 설정과 아울러, A+B상용에,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영역과, A+B상신호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이 설정된다.
설정 후, 단계S1508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설정된 영역 각각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1750)를 포함한다. 즉, 그 신호는, A상 데이터의 VOB(b)영역과, A+B상 데이터의 VOB(a), VOB(b) 및 VOB(c)영역과,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과,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포함한다.
이 화상신호는,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VOB(b)영역의 A상 데이터가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다. 도 18e는, 갱신시에 액세스된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2∼a3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2∼a3에 재기억된다.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6∼a11에 재기억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것처럼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19e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어드레스a12∼a13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개구 화소영역인 A상(A)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열마다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것처럼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19d에 나타낸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그 후에, 단계S1509에서, 전술한 동작과 같이 AF동작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열로서 VOB(c)가 선택되고, 도 17에 나타낸 화상 1760의 방식으로 판독되어서, 보정 데이터가 갱신되고(도 18f), 화상 데이터가 보정된다(도 19f). 그 후, AF동작이 행해진다.
유저에 의해 AF영역이 변경될 때까지는, 도 17에 나타낸 화상 1760 내지 1790의 방식으로 판독이 반복되어서, 보정 데이터의 갱신과 화상 데이터의 보정, 및 AF동작이 순차로 행해진다.
단계S1511에서, AF영역이 변경된 것이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1506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서, 판독되는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을 재설정한다. 도 16b는, 변경된 AF영역을 나타낸다. AF영역은, 수평방향의 범위가 H8∼H9이고, 수직방향의 범위가 V2∼V3이라고 한다.
도 20에 나타낸 시간 2030에, 단계S1511에서, AF영역이 변경되었다고 가정한다. 그 전에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20에 나타낸 화상 2010 내지 2060은, 후술하는 도 21a 내지 21f와 도 22a 내지 22f에 대응한다.
그 후, 단계S1507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열을 VOB(c)에 설정한다. 이 설정은, 앞의 프레임의 판독에서 VOB(b)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 후에 다음 VOB(c)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이것들의 설정과 아울러, A+B상용에, A+B상신호의 VOB(a), VOB(b) 및 VOB(c)영역과, A+B상신호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이 설정된다.
설정 후, 단계S1508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20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와 같이 설정된 각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2030)를 포함한다. 즉, 그 신호는, A상 데이터의 VOB(c)영역, A+B상 데이터의 VOB(a), VOB(b) 및 VOB(c)영역,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인 A상(B)영역, 및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포함한다.
이 화상신호는,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VOB(c)영역의 A상 데이터는,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다. 도 21c는, 갱신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4∼a5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4∼a5에 재기억된다.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갱신될 때,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a6∼a11에 재기억된다.
개구 화소영역인 A상(B)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것처럼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22c는, 보정시에 액세스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어드레스a13∼a14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개구 화소영역인 A상(B)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a13은 화소 어레이(1300a)의 H8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14는 H9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a13∼a14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8∼H9의 범위의 열의 수는 같다.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은, 전술한 것처럼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22c에 나타낸 어드레스a6∼a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그 후, 단계S1509에서 AF동작을 행한 후, 단계S1510 및 S1511의 처리를 행하고 나서, AF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의 프레임의 판독이 반복된다(도 20의 화상 2040 내지 2060).
판독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A+B상 데이터)는, RAM(1307)에 기억된 후, 화상처리부(1308)에서 압축되고, 동화상 데이터로서 기록부(1309)에 기록된다.
상술한 것처럼, 프레임의 판독시에 판독하는 A상신호의 VOB영역을 VOB(a), VOB(b), VOB(c)의 순서로 변화시킨다. 각 VOB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사용해서 보정 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해서 각 영역에 대응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항상 촬상소자(1300)의 화소 어레이(1300a)의 모든 열의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때, 보정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 어레이에서의 열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함에 의해, 열마다 보정할 수 있다.
AF영역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A상 데이터의 각 화소열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화상 데이터의 화소 어레이에서의 열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정 데이터의 재생성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소실을 막을 수 있다. AF영역이 변경된 후에, 프레임마다의 AF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직후로부터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AF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가 화상신호의 판독 모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또 화상보정부의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가, 갱신량에 게인을 가하여, 이 게인을 갱신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록 구성은, 제2실시예의 촬상장치와 같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동작은, 상기 게인 설정과 판독 모드 변경에 관련되는 것이외는, 제2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되지만 적절한 주석이 추가된다.
최초에,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부(300)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의 화상보정부(300)에서의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갱신량 산출 회로(2300)는, 메모리(30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그 입력 데이터로부터 보정 데이터의 갱신량을 산출한다. 갱신량은 곱셈기(2302)에 입력된다. 곱셈기에서 설정된 게인을 그 갱신량에 가한다. 연산 결과는, 데이터 갱신회로(2301)에 입력된다. 데이터 갱신회로(2301)는 입력된 보정 데이터와 상기 연산 결과로부터, 새로운 보정 데이터를 산출해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에 입력된 게인의 값은, CPU(1303)에 의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1300)는, 판독 모드에서, 수평방향의 화소의 가산 기능을 가진다. CPU(1303)에 의해 수평방향의 3화소의 가산의 설정이 행해진 후, 인접한 3화소의 신호를 가산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가산 판독 모드는, 유저가 조작부(1304)를 조작해서 표시부(1306)에 표시된 동화상을 도 26a에 나타낸 것으로 설정한 상태에 대응한다. 비가산(non-addition) 판독 모드는, 도 2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확대 표시 설정을 행했을 경우에 대응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15와 같은 처리 단계는 동일한 부호로 부여된다.
이하, 도 24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부(1304)의 조작에 의해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된 후, 단계S2401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서, 가산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드는 수평방향의 3화소 가산 모드로 설정된다.
다음에,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단계S1501 내지 단계1504에서 보정 데이터의 생성 종료가 판단될 때까지는 제2실시예와 같은 처리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a는, 수평방향의 3화소 가산의 판독 모드에서의 화소 어레이에서의 판독 영역을 나타낸다. 수평방향의 범위(열의 범위)Ha0∼Ha5, 수직방향의 범위(행의 범위)Va0∼Va1로 정의되어 있는 영역은, VOB영역으로서, VOB(a), VOB(b) 및 VOB(c)의 3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다음에, 화상신호 판독을 위한 설정을 행한다. 단계S1505 내지 단계S1507에서의 영역설정은 제2실시예와 같다. 그러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설정된 판독 영역은, A상 데이터의 VOB(a)영역과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과 아울러, A+B상 데이터의 VOB(a), VOB(b) 및 VOB(c)영역과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이다.
이 영역들 설정 후, 본 실시예에서, 단계S2402에 있어서, CPU(1303)는 갱신 게인을 설정한다. 앞의 동작으로, 메모리(301)에 보정 데이터가 생성되어서 기억된 경우에, 노이즈의 영향으로 갱신량이 오산출된 경우에도 보정 데이터에 가해진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게인A값을 설정한다.
설정 후, 단계S1508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A상 데이터의 VOB(a)영역, A+B상 데이터의 VOB(a), VOB(b), VOB(c)영역,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인 A상영역, 및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보정 데이터의 갱신과 화상 데이터의 보정은, 제2실시예와 같다. 그러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1508에서의 동작에 의해, 1회의 판독(1프레임)에서, VOB영역에서 보정 데이터를 갱신 후,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S1509에서, AF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도 제2실시예와 같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단계S1510에서, 촬영 종료를 CPU(1303)가 판단한다.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403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2403에서는, 후술하는 판독 모드가 유저에 의해 변경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판독 모드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단계S1511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1511에서는, AF영역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AF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50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 후의 단계S1507이후의 동작은, 제2실시예와 같이,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가 판독하는 열을 프레임마다 변경하고, 단계S1507∼S1511의 동작을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판독된 각 프레임 화상(A+B상 데이터)은, RAM(1307)에 기억된 후, 화상처리부(1308)에서 압축되고, 동화상으로서 기록부(1309)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계S2403에서 판독 모드가 변경된 경우를 설명한다.
유저가 표시부(1306)에 표시된 동화상을 도 26의 상태 2610으로부터 조작부(1304)를 조작해서 도 26의 상태 2620으로 나타내는 확대 표시의 설정을 행했다고 한다. 이 표시 설정이 변경되므로, 단계S2403에서는, CPU(1303)는 판독 모드가 변경된다고 판단하여, 단계S2401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2401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도 26에 나타낸 확대 표시의 설정 2620에 따라 비가산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 단계S1501과 S1502에서의 설정 동작은 제2실시예와 같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b는, 비가산의 판독 모드에서의 화소 어레이의 판독 영역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범위(열범위)Hb0∼Hb5, 수직방향의 범위(행범위)Vb0∼Vb1로 정의되어 있는 영역이 VOB영역으로서, VOB(e), VOB(d) 및 VOB(f)의 3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 27에 나타낸 시간 2730에, 단계S2403에서 판독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한다. 이 동작 전에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27의 화상 2710 내지 2790은, 후술하는 도 28a 내지 28f 및 도 29a 내지 29f에 대응한다.
제2실시예에서 서술한 것처럼, 촬상소자(1300)는 수평방향으로 판독하는 열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S1502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열을 VOB(e)에 설정한다.
여기에서 VOB(e)영역은, 판독 모드 변경 직후는 도 25b에 나타낸 개구 화소의 A상 데이터 영역을 AF영역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설정된다. 판독 모드 변경 직후에 다른 영역을 최초의 AF영역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판독된 개구 화소의 A상 데이터와 같은 열의 VOB영역을 설정하여도 된다.
그 후, 단계S1503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로부터의 화상신호의 판독 동작을 시작한다. 판독시에, OB화소 선택 펄스가 소정기간 하이레벨이 되고, 수직방향의 범위Vb0∼Vb1의 영역이 반복적으로 판독된다(순회 동작). 그 결과,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27에 나타낸 것처럼, A상 데이터의 VOB(e)순회 영역과, A+B상 데이터의 VOB(d), VOB(e), VOB(f)순회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2730)를 포함한다.
이 화상신호는,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304)에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새롭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메모리(301)를 리셋트한 후에, 소정의 처리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VOB(e)영역에서 Hb2∼Hb3열의 A상 데이터의 상기 생성된 보정 데이터는, 도 28c에 나타낸 것처럼, 메모리의 어드레스b2∼b3에 기억된다. VOB(d), VOB(e), VOB(f)영역에서 Hb0∼Hb5의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b6∼b11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S1504에서, 보정 데이터 생성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CPU(1303)가 판단한다. 이때, AF영역에서 Hb2∼Hb3열의 보정 데이터는 생성되어 있다. 단계S1505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1506에서, CPU(1303)는, TG(1301)에 대하여, OB화소 선택 펄스를 판독 기간내에서 소정시간 로 레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비순회 설정).
다음에, 단계S1506에서, 차광되지 않은 화소(개구 화소) 중,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도 25b에 나타낸, 수평방향의 범위Hb2∼Hb3과 수직방향의 범위Vb2∼Vb3으로 정의된 영역의 A상신호를 판독하는 설정을 행한다.
그 후, 단계S1507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대하여, VOB영역에 관한 A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열의 범위를 VOB(d)에 설정한다. 이 설정은, A상 데이터용의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이 설정과 아울러, A+B상용에, A+B상신호의 VOB(d), VOB(e) 및 VOB(f)영역과, A+B상신호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이 설정된다.
다음에, 단계S2402에서, 갱신 게인의 설정을 행한다. 단계S1503에서의 메모리의 리셋트에 의해, VOB(d)영역에 대응한 열의 보정 데이터는 메모리(301)에 기억되지 않는다. 따라서, 게인A값보다 큰 게인B값을 설정한다.
설정 후, 단계S1508에서, CPU(1303)는 촬상소자(1300)에 판독 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된 화상신호는,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정된 각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2740)이다. 즉, 이 신호는, A상 데이터의 VOB(d)영역, A+B상 데이터의 VOB(d), VOB(e), VOB(f)영역, A상 데이터의 개구 화소영역인 A상영역, 및 A+B상 데이터의 개구 영역인 A+B상영역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포함한다.
이 화상신호는, AFE(1302)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보정부(300)에 입력된다. 화상보정부(300)에서는, VOB(d)영역의 A상 데이터가 보정 데이터 갱신회로(305)에 입력되고, 소정의 처리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가 갱신된다.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도 28d에 나타낸 것처럼, 보정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보정 데이터의 갱신을 한 후에 어드레스b0∼b1에 기억된다. A+B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어드레스b6∼b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고, 보정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어드레스b6∼b11에 재기억된다.
이 단계에서,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는, Hb0∼Hb1의 범위의 열을 보정하는 계산 과정동안 제공된 데이터다.
개구 화소영역인 A상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도 29d에 나타낸 것처럼, 어드레스b2∼b3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b2는 화소 어레이(1300a)의 Hb2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b3은 Hb3열에 대응한다. 어드레스b2∼b3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b2∼Hb3의 범위의 열의 수는 같다.
개구 화소영역인 A+B상영역의 화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된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열마다 보정된다. 어드레스b6∼b1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가 메모리(301)로부터 출력되어, 화상 데이터가 열마다 보정된다.
또한, 어드레스b6과 화소 어레이(1300a)의 Hb0열이, 어드레스b11과 Hb5열이 각각 대응하고 있어, 어드레스b6∼b11의 보정 데이터의 수와, Hb0∼Hb5의 범위의 보정 데이터의 수는 같다.
다음에, 단계S1509에서 AF동작을 한 후에, 단계S1501에서 촬영의 속행이 판단된다.
그 후, 단계S2403에서 판독 모드의 변경이 없으면, 단계S1511의 처리에 진행되고, AF영역의 변경이 없으면, 단계S1507의 처리에 진행된다.
단계S1507이후는, 프레임은, 도 27에 나타낸 화상 2750 내지 2790의 방식으로 판독된다.
도 27의 화상 2750의 단계S2402에서는, 게인의 크기가, 게인A <게인C <게인B가 되는 게인C를 설정한다. 이때, 어드레스b0∼b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는, 계산 과정이다.
도 27의 화상 2760의 단계S2402에서는, 게인의 크기가 상기 게인C보다 작은 게인A를 설정한다. 이때, 어드레스b0∼b1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는, 보정 데이터로서 산출된다.
이상과 같이, 같은 A상 데이터의 VOB영역을 연속해서 판독해서 보정 데이터를 순차로 갱신하는 과정에 있어서, 갱신 게인을 높은 값으로부터 낮은 값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VOB영역의 데이터 수에 의거하여 빨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다른 게인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게인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영역VOB(f)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은 게인 설정과 판독에 의해 보정 데이터를 생성해서 갱신한다(도 27의 화상 2770 내지 2790; 도 28g 내지 28i).
각 영역의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 후에는, 게인은 게인A에 설정되고, A상 데이터에 관해서 각 VOB영역을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상기 동작에 의해 가산과 비가산 등의 판독 모드를 전환하여 보정 데이터가 한번 리셋트된 경우에도, AF에 사용된 영역의 A상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음 프레임으로부터 AF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때, 한정된 VOB영역으로부터 갱신 게인을 변경시켜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순회 동작을 하는 프레임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화상 프레임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판독 모드의 설정 변경에 따르는 보정 데이터의 생성, 갱신 동작 및 갱신 게인의 변경 제어는, 상기 제2실시예 및 본 실시예와 같이 초점검출용의 화소를 가지는 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은 제1실시예의 촬상장치의 동작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상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와 그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의 RAM이나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시스템,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를 실시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고, 하나의 장비로 이루어진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원격으로 공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시스템 또는 그 장치의 컴퓨터가 상기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컴퓨터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도 본 발명을 실현한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도 포함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 및 OS에 공급된 스크립트 데이터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및 광자기디스크 중 임의의 것이어도 된다. 한층 더, 상기 매체는, MO, CD-ROM, CD-R, CD-RW, 자기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DVD(DVD-ROM, DVD-R) 중 임의의 것이어도 된다.
또 다른 프로그램의 공급 방법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접속된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그 프로그램은, 상기 웹사이트로로부터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 혹은 압축되어 자동 인스톨 기능을 포함하는 파일을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매체에 다운로딩함으로써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여, 그 파일들을 다른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을 복수의 유저에 대하여 다운로드시키는 WWW서버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암호화하고, CD-ROM등의 기억매체에 기억하고, 그 매체를 유저에게 배포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저에 대하여, 인터넷을 거쳐서 웹사이트로부터 암호화를 푸는 열쇠정보를 다운로드시킨다. 이 방법은, 그 열쇠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컴퓨터에 인스톨시켜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는,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한다. 한층 더,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가,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방법에 의하면,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추어진 메모리에 기록된다.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근거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추어진 CPU는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한다. 그 처리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이 실현된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는, 구체적 실시를 위한 일례를 나타낼 뿐이다. 이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3)

  1.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한 화소 어레이를 가지고, 상기 화소 어레이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가지는 촬상소자;
    상기 제1영역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수단;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판독된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에 대응한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수단; 및
    상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대응한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에 있는 화소로부터 판독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된 범위는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와 관계없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에 있는 화소로부터 판독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갱신하고, 상기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에 있는 화소는, 프레임마다 순차로 변경된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대응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수평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제3영역을 가지고,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보정수단이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화소의 화상신호를 판독할 때마다,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를 상기 복수의 제3영역의 사이에서 순차로 변경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영역에 있어서, 화상신호를 판독하는 화소의 수평방향의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영역의 화소로부터 화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더 구비한,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이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상기 수평방향의 범위를 변경할 때,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변경된 제2영역의 범위에 대응한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를 한층 더 변경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복수의 광전변환수단을 가지고,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의 화소의 소정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제1 화상신호를 판독함과 아울러, 상기 제2영역의 화소의 상기 복수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제2 화상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소정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제1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상기 복수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제2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생성된 제1 보정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상기 제1 보정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화상신호를 판독한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와 연관시킴과 아울러, 상기 생성된 제2 보정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보정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화상신호를 판독한 상기 제1영역의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와 연관시키는, 촬상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제1 화상신호를,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에 대응한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제1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하고, 제2 화상신호를, 상기 제2영역의 화소들의 위치에 대응한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제2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보정하는, 촬상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1 화상신호와 제2 화상신호를 사용해서 초점검출을 행하는 초점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초점검출수단이 초점검출을 행할 때,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화상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갱신수단은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를 갱신하는, 촬상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한층 더 상기 촬상소자의 판독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수단이 상기 판독 모드를 변경했을 때, 상기 판독 모드의 변경 후에 상기 제1영역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이미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촬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보정 데이터의 갱신 게인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 게인을 설정하는 수단은, 상기 생성수단이 생성한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이 상기 메모리에 기억한 후에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갱신수단이 갱신할 때마다 상기 갱신 게인의 값을 변경하는, 촬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배열된 화소는 차광된 화소이고, 상기 제2영역에 배열된 화소는 개구 화소이며,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장치.
  12.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한 화소 어레이를 가지고, 상기 화소 어레이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가지는 촬상소자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영역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판독된 화소의 수평방향의 위치에 대응한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단계;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수평방향의 범위에 대응한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보정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의 화소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의 범위에 대응한 상기 제1영역의 수평방향의 범위에 있는 화소로부터 판독한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갱신된 범위가 상기 제2영역에 설정된 범위와 관계없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KR1020130013226A 2012-02-10 2013-02-06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8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368 2012-02-10
JP2012027368A JP5921239B2 (ja) 2012-02-10 2012-02-10 撮像装置ならび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65A KR20130092465A (ko) 2013-08-20
KR101689524B1 true KR101689524B1 (ko) 2016-12-26

Family

ID=4787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26A KR101689524B1 (ko) 2012-02-10 2013-02-06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56151B2 (ko)
EP (1) EP2627077A3 (ko)
JP (1) JP5921239B2 (ko)
KR (1) KR101689524B1 (ko)
CN (1) CN103248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1055B1 (en) * 2013-10-02 2022-07-13 Nikon Corporation Imaging element and imaging apparatus
JP6557451B2 (ja) 2014-05-07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0009544B2 (en) * 2014-09-02 2018-06-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image sensor
US9906749B2 (en) 2014-09-02 2018-02-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nd adding pixel region information to image dat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sensor
CN112714252B (zh) * 2015-09-30 2023-04-07 株式会社尼康 摄像装置
JP7042025B2 (ja) 2017-01-23 2022-03-2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170921B1 (ko) * 2018-11-13 2020-10-28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촬영 시스템 및 촬영 시스템 제어방법
JP7276427B2 (ja) * 2019-02-18 2023-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1464755B (zh) * 2020-04-20 2021-06-18 北京理工大学 星载相机短曝光图像序列信噪比实时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605A (ja) * 2007-03-30 2008-10-1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9239337A (ja) 2008-03-25 2009-10-15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0074648A (ja) * 2008-09-19 2010-04-02 Canon Inc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7765A (ja) 2008-12-18 2010-07-01 Victor Co Of Japan Ltd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128B2 (ja) * 1996-07-12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カメラ
US7782377B2 (en) * 2003-02-26 2010-08-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and program to create correction data
JP2004260699A (ja) 2003-02-27 2004-09-16 Canon Inc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57691A (ja) 2003-08-07 2005-03-03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方法
US7948531B2 (en) * 2004-08-24 2011-05-24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correction method of image data
JP4581814B2 (ja) * 2005-04-26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742359B2 (ja) 2005-05-19 2011-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013292A (ja) * 2005-06-28 2007-01-18 Olympus Corp 撮像装置
JP4768448B2 (ja) * 2006-01-13 2011-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62253B2 (ja) * 2006-02-08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を有する撮像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カメラ
JP2007243558A (ja) * 2006-03-08 2007-09-20 Fujifilm Corp 固体撮像装置
JP4886378B2 (ja) * 2006-06-16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補正装置及び画像データ補正方法
US7999866B2 (en) * 2007-05-21 2011-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335356B2 (ja) * 2008-10-03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JP5589760B2 (ja) * 2010-10-27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96947B2 (ja) * 2013-03-26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605A (ja) * 2007-03-30 2008-10-1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9239337A (ja) 2008-03-25 2009-10-15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0074648A (ja) * 2008-09-19 2010-04-02 Canon Inc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7765A (ja) 2008-12-18 2010-07-01 Victor Co Of Japan Ltd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7077A2 (en) 2013-08-14
CN103248820B (zh) 2017-04-12
US20130208159A1 (en) 2013-08-15
JP2013165394A (ja) 2013-08-22
US9456151B2 (en) 2016-09-27
EP2627077A3 (en) 2016-12-28
JP5921239B2 (ja) 2016-05-24
KR20130092465A (ko) 2013-08-20
CN103248820A (zh)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524B1 (ko) 촬상장치 및 제어 방법
JP6222908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処理装置を有する撮像装置
JP6016412B2 (ja) 撮像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WO2012117774A1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432603B2 (en) Imaging apparatus
JP574652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5282431A (zh) 摄像装置及摄像装置的控制方法
JP7125466B2 (ja) マルチセンサ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イメージング
JP6579782B2 (ja) 撮像装置
JP4827524B2 (ja) 撮像装置
JP5222068B2 (ja) 撮像装置
US20180220058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475701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50096224A (ko) 고체 촬상 소자, 전자기기 및 오토 포커싱 방법
JP591715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5094656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0320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having signal readouts using distance measurement region
US2015032679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21660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30221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43512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99102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3090088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018202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3090087A (ja) 撮像素子、その駆動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