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75B1 -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75B1
KR101688775B1 KR1020160082936A KR20160082936A KR101688775B1 KR 101688775 B1 KR101688775 B1 KR 101688775B1 KR 1020160082936 A KR1020160082936 A KR 1020160082936A KR 20160082936 A KR20160082936 A KR 20160082936A KR 101688775 B1 KR101688775 B1 KR 10168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old
tape
under cover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길
Original Assignee
장우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길 filed Critical 장우길
Priority to KR102016008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은, 소재(M)를 급송시켜서 순차금형(170)으로 급송시킬 때, 상부롤(150)의 기어롤(151)이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135)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슬립을 방지하여 이송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 형성된 홀(240)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량품과 양품을 원활하게 구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bracket undercover for suspension}
본 발명은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순차금형을 이용하여 소재를 성형할 때 급송되는 소재가 슬립되어 이송피치가 가변되므로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해서 제조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해서 제조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가 차량의 서스펜션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배경기술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브래킷 언더커버(C)는 도 1에서처럼, 평평한 베이스 플레이트(B)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의 양측에는 사이드 플레이트(S)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에는 프론트 플레이트(F)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에는 볼트(L)를 끼울 수 있도록 홀(H)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 언더커버(C)는 도 2에서처럼, 차량의 서스펜션(N)에 용접되어 하부판(E)이 결합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즉, 양측의 사이드 플레이트(S)는 서스펜션(N)에 용접되고 볼트(L)가 홀(H)과 하부판(E)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하고 상기 볼트(L)에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하므로 서스펜션(N)에 용이하게 하부판(E)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 언더커버(C)는 도 3에서 도시한 제조 시스템(1)을 통해서 실현된다.
상기 제조 시스템(1)은 판상의 소재(M)가 감긴 언와인딩롤(10)이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10)에서 풀려난 소재(M)를 이송시키도록 소재(M)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된 급송롤러(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송롤러(20)를 통과한 소재(M)를 순차적으로 압축하여 상기 브래킷 언더커버(C)를 성형하는 순차금형(30)이 구성된다. 상기 순차금형(30)은 상형(31)과 하형(33)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급송롤러(20)를 회전시켜서 소재(M)를 정해진 피치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순차금형(30)의 상형(31)과 하형(33)이 결합과 이탈을 반복하면서 다음과 같이 브래킷 언더커버(C)의 제조방법이 이루어지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소재(M)의 전방 종단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F)가 미리 형성되고 벤딩되지 않고 펴진 상태인 것으로 한다.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F)의 후방에 홀(H)이 천공되는 피어싱단계(T1)가 이루어진다.
상기 피어싱단계(T1) 이후에,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H)의 후방부의 양측을 제거하는 노칭단계(T2)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홀(H)의 양측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S)가 벤딩되지 않고 펴진 상태로 성형된다.
상기 노칭단계(T2) 이후에,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H)에 핀(I)을 삽입하여 소재가 설정된 위치에 자리 잡도록 하는 파일럿(pilot) 단계(T3)가 이루어진다. 상기 핀(I)은 하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소재(M), 즉, 상기 홀(H)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어긋난 상태일 때 핀(I)이 홀(H)에 삽입되므로 소재(M)는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공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파일럿 단계(T3) 이후에,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H)의 좌우측에 형성된 사이드 플레이트(S)를 하방으로 접는 절곡단계(T4)가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단계(T4) 이후에,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H)에 펀치(도시하지 않음)를 가격하여 상기 홀(H)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홀 확장 단계(T5)가 이루어진다.
상기 홀 확장 단계(T5) 이후에, 상기 급송롤러(20)에 의해서 소재(M)가 상기 순차금형(30)으로 규정된 이송 피치만큼 진입하도록 하고 나서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형(31)과 하형(3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H)의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플레이트(F)를 하방으로 절곡 시키면서 사이드 플레이트(S)의 후방부를 절단하는 절단절곡단계(T6)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통해서 상기 브래킷 언더커버(C)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급송롤러(20)는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마찰에 의해서 소재(M)를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소재(M)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출하 시에 방청유를 도포하므로 급송롤러(20)와 소재(M) 사이에는 자연히 슬립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이송 피치가 불규칙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파일럿 단계(T3)에서 소재(M)의 위치를 다시 잡아준다고 하더라도, 상기 홀(H)이 핀(I)에 못 미치거나 넘어선 상태에서 홀(H) 주위의 한 지점을 상기 핀(I)이 관통하게 되므로 핀(I)이 소재(M)를 관통하면서 부하를 받게 되어 파손될 뿐만아니라, 소재(M)에 홀이 천공되어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단계에서 이송 피치가 불규칙하게 되어 브래킷 언더커버(C)의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경기술에 의해 제조된 브래킷 언더커버(C)는 완성 후에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브래킷 언더커버(C)는 도 2에서처럼, 사이드 플레이트(S)가 서스펜션(N)에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홀(H)은 정확하게 하부판(E)의 홀(도시하지 않음)에 일치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홀(H)이 일치하지 않아 하부판(E)에 다시 홀(도시하지 않음)을 천공한 후에 볼트(L)를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15422호 (2007년 04월 30일)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소재의 급송 피치를 일정하게 하므로 전체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금형에 장착된 핀을 삭제하여 파일럿 단계를 생략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상기 브래킷 언더커버가 완성된 후에 상기 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량품과 양품을 원활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판상의 소재가 감긴 언와인딩롤과, 상기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방청유를 흡수하도록 상기 언와인딩롤 다음에 배치된 흡수블록과, 상기 흡수블록을 통과한 소재의 상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도록 상기 흡수블록 다음에 배치된 테이프롤과, 상기 테이프롤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테이프와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가 상기 소재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롤과, 상기 부착롤을 통과한 소재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와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소재를 인출하여 이송시키도록, 상기 부착롤 다음에 배치된 상부롤 및 하부롤과, 상기 상부롤 및 하부롤을 통과한 소재를 상부와 하부에서 가압하여 피어싱, 노칭, 절곡, 절단 작업을 실시하여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 및 하부롤 다음에 배치되고,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순차금형과, 상기 순차금형을 통해서 제조된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에서, 상기 피어싱에 의해 형성된 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롤은,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테두리에 첨예한 기어치가 배치된 기어롤과, 양측의 상기 기어롤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롤 보다 직경이 작은 메인롤을 포함한다.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에 수용되는 삽입블록과, 상기 삽입블록의 후방부 좌우측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삽입블록의 상면에 내장되어 상방으로 노출된 광량센서와, 상기 광량센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량센서를 향하여 빛을 비추는 조사장치와, 상기 광량센서에 접속되어 광량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롤을 회전시켜서 언와인딩롤에서 풀려난 소재가 상기 흡수블록을 통과하게 하고, 상기 소재의 상면에 상기 테이프롤에서 풀려난 테이프가 상기 부착롤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의 기어치가 상기 테이프를 찍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도록 하고, 규정된 이송 피치대로 상기 소재를 상기 순차금형으로 진입시킨 후 멈추는 급송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급송단계 다음에,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시킨 후 이탈시켜서 상기 소재에 홀을 천공시키는 피어싱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피어싱단계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의 후방부 양측에 노치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노치부의 전방 양측에 사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노칭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노칭단계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단계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홀 확장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홀 확장단계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서 절곡된 프론트 플레이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노치부의 전방 단부 지점을 절단하여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가 완성되도록 하는 절단절곡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절곡단계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가 상기 검사장치를 수용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조사장치로 상기 광량센서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량센서에서 전송된 광량데이터가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는 검사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단계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에 부착된 테이프를 벗기는 박피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급송단계 시, 상기 상부롤의 기어롤이 소재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슬립을 방지하여 이송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불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배경기술처럼 파일럿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효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흡수블록을 사용하여 소재 표면에 도포된 방청유를 제거하고 상기 부착롤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가 완성된 후에 상기 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량품과 양품을 원활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해서 제조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해서 제조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가 차량의 서스펜션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배경기술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에서 브래킷 언더커버의 홀이 광량센서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에서 브래킷 언더커버의 홀이 광량센서와 일치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에서 브래킷 언더커버의 홀이 광량센서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검사단계에서 브래킷 언더커버의 홀이 광량센서와 일치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는 차량의 서스펜션과 하부판을 연결하는 브래킷으로서, 평평한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에는 사이드 플레이트(220)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30)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볼트를 끼울 수 있도록 홀(240)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를 순차금형(170)을 이용하여 대량생산함에 있어서, 규정된 이송 피치대로 판상의 소재(M)를 상기 순차금형(170)으로 불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제조 시스템(1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조 시스템(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판상의 소재(M)가 감긴 언와인딩롤(110)이 구성되고, 상기 언와인딩롤(110)에서 풀려난 소재(M)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방청유를 흡수하도록 상기 언와인딩롤(110) 다음에 배치된 흡수블록(120)이 구성된다. 상기 흡수블록(120)은 일례로서 부직포를 블록 모양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기 소재(M)에 도포된 방청유를 닦아낼 뿐만아니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수블록(120)을 통과한 소재(M)의 상면에 테이프(135)를 부착하도록 상기 흡수블록(120) 다음에 배치된 테이프롤(130)이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롤(130)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배치되는 테이프(135)와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135)가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롤(140)이 구성된다. 상기 부착롤(140)은 일례로서 외측면이 고무나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롤(140)을 통과한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135)와 상기 소재(M)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소재(M)를 인출하여 이송시키도록, 상기 부착롤(140) 다음에 배치된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롤(150)에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구동되도록 하고, 하부롤(160)은 지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을 통과한 상기 소재(M)를 상부와 하부에서 가압하여 피어싱, 노칭, 절곡, 절단 작업을 실시하여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 다음에 배치되고, 상형(171)과 하형(173)으로 구성된 순차금형(170)이 구성된다. 상기 순차금형(170)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각 공정단계가 가능하도록 제조된 것이다.
상기 순차금형(170)을 통해서 제조된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서, 상기 피어싱에 의해 형성된 홀(240)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180)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롤(1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7에서처럼,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테두리에 첨예한 기어치(153)가 배치된 기어롤(151)이 구성되고, 양측의 상기 기어롤(15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롤(151) 보다 직경이 작은 메인롤(155)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롤(150)이 소재(M)의 상부를 압축한 상태에서 회전할 때 기어롤(151)에 의해서 소재(M)의 일부만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하중인 압력이 증가되어 효율적으로 소재(M)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테이프(135)는 기어롤(151)의 기어치(153)가 쉽게 파고들게 되어 용이하게 소재(M)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사장치(180)의 구성을 도 9와 함께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 수용되는 사각 형상의 삽입블록(18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블록(181)의 후방부 좌우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8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블록(181)의 상면에 내장되어 상방으로 노출된 광량센서(185)가 구성되고, 상기 광량센서(185)의 상부에 배치되어 빛을 비추는 조사장치(187)가 구성된다. 상기 조사장치(187) 일례로서 엘이디 내지는 레이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량센서(185)에 접속되어 광량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스피커가 접속되어 불량임을 소리로서 알릴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급송단계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상부롤(150)을 회전시켜서 상기 언와인딩롤(110)에서 풀려난 소재(M)가 상기 흡수블록(120)을 통과하게 하고, 상기 소재(M)의 상면에 상기 테이프롤(130)에서 풀려난 테이프(135)가 상기 부착롤(140)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150)의 기어치(153)가 상기 테이프(135)를 찍어서 상기 소재(M)를 이송시키도록 하고, 규정된 이송 피치대로 상기 소재(M)를 상기 순차금형(170)으로 진입시킨 후 멈추는 급송단계(A)가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M)가 흡수블록(120)을 통과하게 되므로 소재(M)가 출하 시 도포되는 방청유를 제거하게 되어 상기 테이프(135)가 용이하게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150)에 구성되는 기어치(153)가 상기 테이프(135)를 찍어서 이송시키므로 상기 기어치(153)가 소재(M)를 파고들만큼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소재(M)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치(153)가 메인롤(155)의 양측에 배치되고, 메인롤(155)은 소재(M)로부터 이격된 구조로 인해서 상부롤(150)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테이프(135)로 인해서 상부롤(150)과 소재(M)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정된 이송 피치대로 소재(M)를 정확하게 급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 피어싱단계
상기 급송단계(A) 다음에,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 이탈시켜서 도 8에서처럼, 상기 소재(M)에 홀(240)을 천공시키는 피어싱단계(B)가 이루어진다. 이때의 홀(240)은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천공된 홀(240)이다.
3. 노칭단계
상기 피어싱단계(B)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도 8에서처럼 상기 홀(240)의 후방부 양측에 노치부(N)를 형성하므로 상기 노치부(N)의 전방 양측에 사이드 플레이트(220)가 형성되도록 하는 노칭단계(C)가 이루어진다. 이때, 노치부(N)의 전방 양측의 단부를 절단하므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20)의 폭을 맞추게 한다.
상기 노치부(N)는 소재(M)의 양측을 ㄷ 형으로 따내는 작업으로서 상기 노치부(N)의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은,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이 프론트 플레이트(230)가 된다.
4. 절곡단계
상기 노칭단계(C)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도 8에서처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20)를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단계(D)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노치부(N)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 플레이트(220)를 하방으로 벤딩시킨다.
5. 홀 확장단계
상기 절곡단계(D)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도 8에서처럼, 상기 홀(240)의 직경을 설계상의 치수로 확장시키는 홀 확장단계(E)가 이루어진다.
6. 절단절곡단계
상기 홀 확장단계(E)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도 8에서처럼, 상기 홀(240)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절곡시킨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의 프론트 플레이트(230)가 성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소재(M)의 전방단부에 미리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30)가 돌출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노치부(N)의 전방단부 지점(Q)을 절단하여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완성되도록 하는 절단절곡단계(F)가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소재(M)로부터 분리된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 후방으로 상기 공정들의 반복으로 다수 개의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전진하게 된다. 즉, 절단절곡단계(F)의 후방에는 홀 확장단계(E), 절곡단계(D), 노칭단계(C), 피어싱단계(B), 급송단계(A)가 각각 진행된다.
7. 검사단계
상기 절단절곡단계(F) 이후에, 도 9에서처럼,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상기 검사장치(180)의 삽입블록(181)을 수용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플랜지(183)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187)로 상기 광량센서(185)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광량센서(185)에서 전송된 광량데이터가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는 검사단계(G)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검사단계(G)는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의 홀(240) 위치를 검사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홀(240)의 센터가 사이드 플레이트(220)의 단부에서 공차범위 내에 있는지, 좌우측 사이드 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서 공차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광량센서(150)는 홀(240)과 동일한 모양 사이즈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검사단계(G)는 정확한 광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암실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내등의 밝기가 조사장치(187)보다 어둡다면 실내에서도 상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처럼, 홀(240)과 광량센서(150)의 센터가 상호 어긋나게 되면 상기 광량센서(150)가 조사받는 빛의 양은 도 11에서처럼 일치할 때보다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광량센서(150)로부터 광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량보다 광량이 적게 되면 홀(240)이 제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을 알리도록 하고, 기준량 이상이면 합격으로 알리게 된다.
8. 박피단계
상기 검사단계(G)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135)를 벗기는 박피단계(H)가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급송단계(A) 시, 상기 상부롤(150)의 기어롤(151)이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135)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슬립을 방지하여 이송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불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배경기술처럼 파일럿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흡수블록(120)을 사용하여 소재(M) 표면에 도포된 방청유를 제거하고 상기 부착롤(140)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테이프(135)를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완성된 후에 상기 홀(240)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량품과 양품을 원활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조 시스템 110: 언와인딩롤
120: 흡수블록 130: 테이프롤
135: 테이프 140: 부착롤
150: 상부롤 151: 기어롤
153: 기어치 155: 메인롤
170: 순차금형 171: 상형
173: 하형 180: 검사장치
181: 삽입블록 183: 플랜지
185: 광량센서 187: 조사장치
A: 급송단계 B: 피어싱단계
C: 노칭단계 D: 절곡단계
E: 홀 확장단계 F: 절단절곡단계
G: 검사단계 H: 박피단계

Claims (1)

  1. 판상의 소재(M)가 감긴 언와인딩롤(110)과,
    상기 언와인딩롤(110)에서 풀려난 소재(M)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방청유를 흡수하도록 상기 언와인딩롤(110) 다음에 배치된 흡수블록(120)과,
    상기 흡수블록(120)을 통과한 소재(M)의 상면에 테이프(135)를 부착하도록 상기 흡수블록(120) 다음에 배치된 테이프롤(130)과,
    상기 테이프롤(130)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배치되는 테이프(135)와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테이프(135)가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롤(140)과,
    상기 부착롤(140)을 통과한 상기 소재(M)의 상면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135)와 상기 소재(M)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소재(M)를 인출하여 이송시키도록, 상기 부착롤(140) 다음에 배치된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과,
    상기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을 통과한 상기 소재(M)를 상부와 하부에서 가압하여 피어싱, 노칭, 절곡, 절단 작업을 실시하여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150) 및 하부롤(160) 다음에 배치되고, 상형(171)과 하형(173)으로 구성된 순차금형(170)과,
    상기 순차금형(170)을 통해서 제조된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서, 상기 피어싱에 의해 형성된 홀(240)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18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150)은,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테두리에 첨예한 기어치(153)가 배치된 기어롤(151)과,
    양측의 상기 기어롤(15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롤 (151)보다 직경이 작은 메인롤(155)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180)는,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 수용되는 삽입블록(181)과,
    상기 삽입블록(181)의 후방부 좌우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83)와,
    상기 삽입블록(181)의 상면에 내장되어 상방으로 노출된 광량센서(185)와,
    상기 광량센서(185)의 상부에 배치되어 빛을 비추는 조사장치(187)와,
    상기 광량센서(185)에 접속되어 광량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제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상부롤(150)을 회전시켜서 상기 언와인딩롤(110)에서 풀려난 소재(M)가 상기 흡수블록(120)을 통과하게 하고, 상기 소재(M)의 상면에 상기 테이프롤(130)에서 풀려난 테이프(135)가 상기 부착롤(140)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150)의 기어치(153)가 상기 테이프(135)를 찍어서 상기 소재(M)를 이송시키도록 하고, 규정된 이송 피치대로 상기 소재(M)를 상기 순차금형(170)으로 진입시킨 후 멈추는 급송단계(A)와,
    상기 급송단계(A) 다음에,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 이탈시켜서 상기 소재(M)에 홀(240)을 천공시키는 피어싱단계(B)와,
    상기 피어싱단계(B)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240)의 후방부 양측에 노치부(N)를 형성하므로 상기 노치부(N)의 전방 양측에 사이드 플레이트(220)가 형성되도록 하는 노칭단계(C)와,
    상기 노칭단계(C)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20)를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단계(D)와,
    상기 절곡단계(D)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240)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홀 확장단계(E)와,
    상기 홀 확장단계(E) 다음에 상기 급송단계(A)가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상형(171)과 하형(173)을 결합시킨 후에 이탈시켜서, 상기 홀(240)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서 절곡된 프론트 플레이트(230)를 형성시키고, 상기 노치부(N)의 전방단부 지점(Q)을 절단하여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완성되도록 하는 절단절곡단계(F)와,
    상기 절단절곡단계(F)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가 상기 검사장치(180)를 수용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플랜지(183)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조사장치(187)로 상기 광량센서(185)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광량센서(185)에서 전송된 광량데이터가 기준값 이하이면 불량임을 알리게 하는 검사단계(G)와,
    상기 검사단계(G)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200)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135)를 벗기는 박피단계(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60082936A 2016-06-30 2016-06-30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10168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936A KR101688775B1 (ko) 2016-06-30 2016-06-30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936A KR101688775B1 (ko) 2016-06-30 2016-06-30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775B1 true KR101688775B1 (ko) 2016-12-22

Family

ID=5772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936A KR101688775B1 (ko) 2016-06-30 2016-06-30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8275A (zh) * 2017-12-30 2018-06-22 宁海县恒丰轻工有限公司 发动机后悬置支架支脚的成型方法及其模具
CN108326142A (zh) * 2018-05-18 2018-07-27 昆山捷胜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异形托架的连续成型模具
KR102294153B1 (ko) * 2021-06-28 2021-08-26 주식회사 한길테크 차량용 사이드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718B1 (ko) * 2021-08-20 2022-02-23 주식회사 포스모 차량용 브라켓 제조 금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량용 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71A (ko) * 1999-10-29 2001-05-15 김용득 타출성형방법
KR100715422B1 (ko) 2005-07-08 2007-05-09 주식회사 지엔에스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KR20080111685A (ko) * 2007-06-19 2008-12-24 주식회사 대석프로토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KR20100073286A (ko) * 2008-12-23 2010-07-01 조일공업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리어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 브라켓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브라켓
KR101502733B1 (ko) * 2014-08-01 2015-03-24 김미연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자동차 카울 브라켓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71A (ko) * 1999-10-29 2001-05-15 김용득 타출성형방법
KR100715422B1 (ko) 2005-07-08 2007-05-09 주식회사 지엔에스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KR20080111685A (ko) * 2007-06-19 2008-12-24 주식회사 대석프로토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KR20100073286A (ko) * 2008-12-23 2010-07-01 조일공업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리어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 브라켓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브라켓
KR101502733B1 (ko) * 2014-08-01 2015-03-24 김미연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자동차 카울 브라켓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8275A (zh) * 2017-12-30 2018-06-22 宁海县恒丰轻工有限公司 发动机后悬置支架支脚的成型方法及其模具
CN108326142A (zh) * 2018-05-18 2018-07-27 昆山捷胜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异形托架的连续成型模具
CN108326142B (zh) * 2018-05-18 2024-03-22 昆山捷胜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异形托架的连续成型模具
KR102294153B1 (ko) * 2021-06-28 2021-08-26 주식회사 한길테크 차량용 사이드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718B1 (ko) * 2021-08-20 2022-02-23 주식회사 포스모 차량용 브라켓 제조 금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량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775B1 (ko)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US3704507A (en) Method of fabricating and attaching pierce nuts to a panel
US4959115A (en) Method of producing blocks of self-adhesive labels or the like and of applying the labels to a body
US3775791A (en) Method of making pierce nuts in strip form
TWI462677B (zh) 元件板壓合及封裝設備
DE10200400645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elektronischer Folienbauteile
JP5386117B2 (ja) Rfタグラベルテープの製造装置
EP2295355B1 (de) Verfahren, Vorrichtung und Klebeband zum Spleißen von Etikettenbändern sowie spleißbares Etikettenband
EP2095302A1 (de) Selbstklebendes rfid-etiket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366324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leissen von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folienverbund
EP3514857A1 (en) Battery production method and battery production device
CN113172985A (zh) 异步模切系统及工艺
JP387187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成形装置
JP2010285237A (ja) シート巻取りにおける不良シートの自動撤去方法
JP2007083676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接合装置及びタイヤ成型装置
CN212170661U (zh) 一种带孔洞的模切件粗产品用排废系统
JP2002028743A (ja) 車体パネル用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及び同製造装置
US202003944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ip of material with an 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
JPH10156965A (ja) 未加硫ゴムシートの貼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DE102020105320A1 (de) Zuführsystem für bandförmiges Material sowie Beschichtungsvorrichtung
CN113319920A (zh) 一种带孔洞的模切件粗产品用排废系统
JP2007190571A (ja) 打ち抜き廃片の再活用プレス方法及びその設備
JPH07329444A (ja) 紙製綴じ具によるカレンダーの製造装置
JP6481232B2 (ja) 接着剤塗布装置、製本装置、接着剤塗布方法及び製本方法
JP3616553B2 (ja) 穴開きラミネート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ット配線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