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685A -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685A
KR20080111685A KR1020070059941A KR20070059941A KR20080111685A KR 20080111685 A KR20080111685 A KR 20080111685A KR 1020070059941 A KR1020070059941 A KR 1020070059941A KR 20070059941 A KR20070059941 A KR 20070059941A KR 20080111685 A KR20080111685 A KR 2008011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tep
punch
die
diameter
pie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판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석프로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석프로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석프로토
Priority to KR102007005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1685A/ko
Publication of KR2008011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공정으로 마운팅브라켓을 성형하도록 하여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을 줄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판 소재(101)를 드로잉펀치/드로잉다이를 사용하여 바닥벽(111)이 있는 원통형 용기부(110)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드로잉가공단계(A)와; 상기 용기부(100)를 축경펀치/축경다이를 사용하여 길이를 늘리면서 축경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축경가공단계(B)와;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벽(111)에 피어싱펀치/피어싱다이로 용기부(111)의 내경과 동일직경의 피어싱홀(115)이 형성되도록 펀칭하여 슬리브관(100)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어싱가공단계(C)와; 소재(101)의 둘레부를 블랭킹펀치/블랭킹다이로 절단하여 정형화된 접속부재(201)를 형성하는 블랭킹가공단계(F); 상기 접속부재(201)를 벤딩펀치/벤딩다이로 프레스 벤딩하여 정형화된 접속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벤딩가공단계(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차량, 서스펜션, 스트럿, 마운트, 마운터, 연결브라켓, 제조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ounting bracket of car suspension}
도 1은 종래 차량의 서스펜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의 블록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10. 서스펜션
11. 쇽업소버 12. 피스톤로드
13. 코일스프링 14. 범버러버
15. 스트럿 마운트 16. 마운팅브라켓
17. 마운팅러버 18,19. 상하부플레이트
101. 소재 100. 슬리브관
110. 용기부 111. 바닥벽
112. 둘레벽 115. 피어싱홀
150. 플랜지부 160. 암나사부
200. 접속부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의 마운팅브라켓의 제작 및 제품의 코스트를 낮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스펜션(현가장치)은 차축과 차체 사이에 연결되어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차체와의 결합방식이나 진동제어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승용차에는 주로 스트럿(strut)타입이 채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럿(strut)타입 서스펜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럽타입 서스펜션(10)은 차륜의 너클(미도시)과 차체(1)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크게 유압작용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11)와, 상기 쇽업소바(11)의 피스톤로드(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차체(1) 와 결합을 위한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15)와, 상기 쇽업소버(11)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3)과, 상기 쇽업소버(11)의 피스톤로드(12) 둘레부에 결합되어 피스톤로드(12)의 급격한 신축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러버(14) 등으로 대별된다.
이때, 상기 스트럿 마운트(15)는 쇽업소버(30)의 상부로 인출된 피스톤로드(32)의 상단과 차체(1)에 사이에 체결구(지시하지 않음)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쇽업소버(11)의 피스톤로드(12)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슬리브관(16a)과 이 슬리브관(16a)의 둘레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접속부(16b)로 이루어진 마운팅브라켓(16)과, 상기 연결브라켓(16)의 연결부(16b)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쇽업소버(11)와 차체(1)의 완충기능을 하는 마운팅러버(17)와, 상기 마운팅러버(17)의 상하측 감싸며 차체(1)에 고정되는 상하부플레이트(18,19)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 상기 마운팅브라켓(16)을 제조하는 방법은 슬리브관(16a)을 기계가공하여 형성하고 접속부(16b)는 프레스 성형하여 각각 별체로 성형한 후, 슬리브관(16a)과 접속부(16b)를 용접하여 일체로 성형하에 제작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운팅브라켓(16)은 슬리브관(16a)과 접속부(16b)을 각각 별체로 성형하고 일일이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게 되므로, 제작공정이 많이 많고 이에 따라 제작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 제작코스트가 상승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 또한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라켓(16)은 슬리브관(16a)과 접속부(16b)의 용접하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용접부위에 쉽게 크랙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내구성 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공정으로 마운팅브라켓을 성형하도록 하여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을 줄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판 소재(101)를 드로잉펀치/드로잉다이를 사용하여 바닥벽(111)이 있는 원통형 용기부(110)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드로잉가공단계(A)와; 상기 용기부(100)를 축경펀치/축경다이를 사용하여 길이를 늘리면서 축경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축경가공단계(B)와;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벽(111)에 피어싱펀치/피어싱다이로 용기부(111)의 내경과 동일직경의 피어싱홀(115)이 형성되도록 펀칭하여 슬리브관(100)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어싱가공단계(C)와; 소재(101)의 둘레부를 블랭킹펀치/블랭킹다이로 절단하여 정형화된 접속부재(201)를 형성하는 블랭킹가공단계(F); 상기 접속부재(201)를 벤딩펀치/벤딩다이로 프레스 벤딩하여 정형화된 접속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벤딩가공단계(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랭킹가공단계(F) 전의 피어싱가공단계(C) 이후에는 슬리브관(100)을 압축펀치/압축다이로 프레스 압축시켜 그 길이를 줄이면서 직경이 확관되도록 하는 충격압축가공단계(D)와; 상기 충격압축가공단계(D)를 거친 슬리브관(100)의 단부를 다른 압축펀치/압축다이로 프레스 압축하여 직경이 확관되는 플랜지부(150)가 형성되도록 하는 플랜지부가공단계(E)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벤딩가공단계(G) 이후에는 상기 슬리브관(100)의 내벽면에 암나사(16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암나사가공단계(H)를 더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의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의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16) 제조방법은 크게 드로잉가공단계(A)와, 축경가공단계(B)와, 피어싱가공단계(C)와, 충격압축가공단계(D)와, 플랜지부가공단계(E), 블랭킹가공단계(F)와, 벤딩가공단계(G)와, 암나사가공단계(H)로 대별된다.
상기 드로잉가공단계(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두께의 금속판 소재(101)를 드로잉펀치와 드로잉다이를 사용하여 바닥벽(111)이 있는 원통형 용기부(110)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부(110)의 바닥벽(111)과 둘레벽(112)이 만나는 부위는 라운드지도록 프레스 성형하여 바닥 벽(111)과 둘레벽(112)이 만나는 부위가 프레스 충격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축경가공단계(B)는 상기 드로잉가공단계(A)에서 성형된 용기부(110)의 직경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축경시키되 용기부(110)의 길이(높이)는 길게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축경펀치와 축경다이에 의해 용기부(110)의 둘레벽(112) 외경이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다수회 반복 즉, 대략 6차에 걸쳐 축경시키되 용기부(110)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축경가공단계(B)는 하나의 다이세트(축경펀치 및 축경다이)로 한번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용기부(110)의 둘레벽(112)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축경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직경의 축경펀치와 축경다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다이세트에 의해 6차에 걸쳐 프레스 가공하여 용기부(110)의 둘레벽(112) 직경을 순차적으로 축경되도록 하면서 길이도 순차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경가공단계(B)의 마지막 축경단계에서는 바닥벽(111)과 둘레벽(112)이 맞나는 부위는 용기부(110) 두께정도로 라운드지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어싱가공단계(C)는 상기 축경가공단계(B)를 거친 용기부(110)를 중공 파이프형상 즉, 슬리브관(100)이 형성되도록 피어싱가공하는 것으로, 바닥벽(111)을 도시하지 않은 피어싱펀치와 피어싱다이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홀(115)이 형성되도록 펀칭하여 슬리브관(1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 어싱홀(115)의 직경은 용기부(110)의 둘레벽(112) 내벽과 동일한 사이즈가 되도록 피어싱하게 된다.
상기 충격압축가공단계(D)는 상기 피어싱가공단계(C)를 거친 슬리브관(100)을 충격 압축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압축펀치와 압축다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관(100)을 길이방향으로 충격 압축하여 그 길이를 줄이면서 외경이 확관되도록 프레스 가공하게 된다. 즉, 슬리브관(100)을 길이방향 양단에서 충격 압축하여 내경은 변화시키지 않고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외경이 확관되도록 프레스 가공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슬리브관(100)의 길이를 줄이면서 슬리브관(100)의 둘레벽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프레스 압축시켜 정형화된 슬리브관(100)을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부가공단계(E)는 상기 충격압축가공단계(D)를 거친 슬리브관(100)의 단부에 즉, 하단부에 직경이 확관되는 플랜지부(150)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압축펀치와 압축다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관(100)의 단부를 충격 가압하여 슬리브관(100) 당부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플랜지부(150)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관(100)의 단부에 플랜지부(150)를 형성하여 슬리브관(100)의 단부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랭킹가공단계(F)는 상기 플랜지부가공단계(E)를 거친 소재(101)를 즉, 슬리브관(100) 둘레부의 소재(101)를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전단 가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블랭킹펀치와 블랭킹다이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 재(101)의 둘레부를 프레스 절단하여 슬리브관(100)과 둘레부에 일체로 된 정형화 된 접속부재(20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벤딩가공단계(G)는 상기 블랭킹가공단계(F)를 거친 접속부재(201)를 정형화된 접속부(200)가 형성되도록 벤딩가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벤딩펀치와 벤딩다이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재(201)를 프레스 벤딩하여 정형화된 접속부(200)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벤딩가공단계(G)를 거치면 정형화된 슬리브관(100)과 접속부(200)가 일체로 된 마운팅브라켓(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랭킹가공단계(F) 및 벤딩가공단계(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설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블랭킹 및 벤딩가공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가공단계(H)는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관(100)의 내벽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또는 탭핑머시인으로 암나사(160)를 형성하여 피고정물을 상기 슬리브관(100)에 나사식으로 직접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16)은 금속판 소재(101)를 프레스가공하여 슬리브관(100)과 접속부(200)가 일체로 된 마운팅브라켓(16)을 형성하게 되므로, 즉, 드로잉가공단계(A)와, 축경가공단계(B)와, 피어싱가공단계(C)와, 충격압축가공단계(D)와, 플랜지부가공단계(E), 블랭킹가공단계(G)와, 벤딩가공단계(G)로 프레스가공하여 슬리브관(100)과 접속부(200)가 일체로 된 마운팅브라켓(16)을 형성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슬리브관과 접속부를 각각 기계가공 및 프레스가공하여 이들을 일일이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작 공정 및 제작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므로 제작 및 제품의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슬리브관(100)과 접속부(200)가 만나는 부위가 쉽게 크랙이 발생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브라켓 슬리브관과 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레스성형하게 되므로, 제작공정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작 및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슬리브관과 접속부가 만나는 부위가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금속판 소재(101)를 드로잉펀치/드로잉다이를 사용하여 바닥벽(111)이 있는 원통형 용기부(110)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드로잉가공단계(A)와;
    상기 용기부(100)를 축경펀치/축경다이를 사용하여 길이를 늘리면서 축경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축경가공단계(B)와;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벽(111)에 피어싱펀치/피어싱다이로 용기부(111)의 내경과 동일직경의 피어싱홀(115)이 형성되도록 펀칭하여 슬리브관(100)이 형성되도록 하는 피어싱가공단계(C)와;
    소재(101)의 둘레부를 블랭킹펀치/블랭킹다이로 절단하여 정형화된 접속부재(201)를 형성하는 블랭킹가공단계(F);
    상기 접속부재(201)를 벤딩펀치/벤딩다이로 프레스 벤딩하여 정형화된 접속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벤딩가공단계(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블랭킹가공단계(F) 전의 피어싱가공단계(C) 이후에는
    슬리브관(100)을 압축펀치/압축다이로 프레스 압축시켜 그 길이를 줄이면서 직경이 확관되도록 하는 충격압축가공단계(D)와;
    상기 충격압축가공단계(D)를 거친 슬리브관(100)의 단부를 다른 압축펀치/압축다이로 프레스 압축하여 직경이 확관되는 플랜지부(150)가 형성되도록 하는 플랜 지부가공단계(E)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관(100)의 내벽면에 암나사(16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암나사가공단계(H)를 더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KR1020070059941A 2007-06-19 2007-06-19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KR2008011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941A KR20080111685A (ko) 2007-06-19 2007-06-19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941A KR20080111685A (ko) 2007-06-19 2007-06-19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685A true KR20080111685A (ko) 2008-12-24

Family

ID=4036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941A KR20080111685A (ko) 2007-06-19 2007-06-19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16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113B1 (ko) * 2009-12-30 2012-01-31 주식회사 파브코 마운트의 브래킷
CN102423780A (zh) * 2011-12-16 2012-04-25 北京机电研究所 一次冲程实现切边冲孔校正的方法
KR101688775B1 (ko) * 2016-06-30 2016-12-22 장우길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113B1 (ko) * 2009-12-30 2012-01-31 주식회사 파브코 마운트의 브래킷
CN102423780A (zh) * 2011-12-16 2012-04-25 北京机电研究所 一次冲程实现切边冲孔校正的方法
KR101688775B1 (ko) * 2016-06-30 2016-12-22 장우길 서스펜션용 브래킷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7748B (zh) 一种小直径薄壁金属波纹管成型装置及方法
KR101197445B1 (ko) 서스펜션 암의 원통형 플랜지 제작용 버링장치
CN101204776B (zh) 汽车桥壳的制造方法
KR20080111685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마운팅브라켓 제조방법
CN104338848B (zh) 不锈钢厚板翻孔用无开裂冲压模具
KR20170121750A (ko) 쇽업소버용 아이 제조방법
US9120143B2 (en) Cut-off end surface improvement
JP4076102B2 (ja) 板金の厚肉化プレス工法
US20050011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ing tube
CN102380545A (zh) 汽车悬架臂复合成形工艺及其中的复合成形系统
CN201205591Y (zh) 将制动踏板臂与支撑管连成一体的冷镦模
CN105081078A (zh) C形翻边金属橡胶构件制备工艺方法
CN101367110B (zh) 一种将制动踏板臂与支撑管连成一体的冷镦模
JP2015039716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US20160121677A1 (en) Suspension Memb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207479325U (zh) 一种圆锥滚子轴承用保持器一体化制作组合模具
JP3811023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の製造方法
CN101992257B (zh) 外径中部带法兰的杯类零件锻造方法
JP3671760B2 (ja) リング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機
CN104492942A (zh) 一种加厚曲轴减震器多楔带轮外轮专用旋压模具组
CN101367165B (zh) 将制动踏板臂与支撑管连为一体的制作方法
KR20150087484A (ko) 튜브 내측 스플라인 가공방법과 가공장치
CN211027561U (zh) 钢接头冷挤压专用模具
JP6201509B2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
CN213104136U (zh) 一种防振锤的锤头铆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