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454B1 -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454B1
KR101688454B1 KR1020150041315A KR20150041315A KR101688454B1 KR 101688454 B1 KR101688454 B1 KR 101688454B1 KR 1020150041315 A KR1020150041315 A KR 1020150041315A KR 20150041315 A KR20150041315 A KR 20150041315A KR 101688454 B1 KR101688454 B1 KR 10168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step
airbag
cushion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870A (ko
Inventor
이석민
박해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하는 사이드스텝과,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는 스텝회전장치와, 사이드스텝에 설치되고, 스텝회전장치의 구동에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EXTERNAL AIR BAG APPARATUS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제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 에어쿠션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쿠션을 구비하며,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인플레이터로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쿠션을 순간적으로 전개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를 향해 전개되나, 근래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에 따른 충격력 감소 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서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에어백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측면 외장에어백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측면 외장에어백은 차량의 골조를 이루는 사이드실패널, 도어패널 등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어, 차량의 외부 디자인에 따라 사이드실패널, 도어패널의 형상을 일일이 변경하여 적용하여야 하는 곤란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4349호(2007.12.04. 등록, 발명의 명칭: 절단설 제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디자인의 차종에 대해 공용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하는 사이드스텝; 상기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는 스텝회전장치; 및 상기 사이드스텝에 설치되고, 상기 스텝회전장치의 구동에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스텝은, 발판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에어백모듈이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며, 상기 에어백모듈이 통과하여 전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스텝은, 상기 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는 파단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텝회전장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발생기;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랙; 및 상기 사이드스텝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랙과 치합되며, 상기 랙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모듈은, 상기 사이드스텝에 설치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사이드스텝의 외부로 전개되며, 하방으로 전개되어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하는 에어백쿠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스를 공급받아 설정 형상으로 전개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스텝을 상기 차량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텝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텝이동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사이드스텝과 연결되는 이동바; 상부가 상기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이동바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바를 상기 차량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하는 사이드스텝에 에어백모듈을 설치하고, 스텝회전장치로 사이드스텝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백쿠션을 하방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에어백쿠션을 측방향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충돌 및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차량의 양 측면부에 설치된 에어백쿠션 각각의 전개 방향에 따라 1차 충돌 후 연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2차 충돌 사고에 대비할 수 있으며, 차량의 측면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손상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사이드스텝을 완성된 차체의 하부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외장 에어백장치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차체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디자인의 차종에 대해 동일 사양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외장 에어백장치로서 공용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에어백모듈이 전개된 이후에, 기존의 사이드스텝을 차체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사이드스텝을 차체에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차체와 무관하게 사이드스텝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양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롤오버를 방지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의 사이드스텝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양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를 이용해 롤오버를 방지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장 에어백장치(3)는 사이드스텝(10), 스텝이동장치(20), 스텝회전장치(30), 에어백모듈(40)을 포함하여, 차량(1)의 측면부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에어백장치(3)는 완성된 차체(2), 예를 들어 차량(1)의 골조를 이루는 차체프레임 등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스텝(10)은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함과 동시에 에어백모듈(40)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장치로, 차량(1)의 도어 하측에 위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스텝(10)은 하우징(11), 커버(12), 파단유도부(13)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을 이루면서 에어백모듈(40)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하우징(11)은 차량(1)의 측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평탄한 발판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회전축(14)이 결합된다. 회전축(14)은 스텝이동장치(20)의 이동바(2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텝회전장치(30)의 피니언기어(34)와 동축상에 결합된다.
하우징(11)은 내부에 에어백모듈(40)이 수용될 수 있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에어백모듈(40)은 하우징(11)의 개방부를 통해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 설치될 수 있고, 개방부를 통해 하우징(11)의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커버(12)는 하우징(11)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에어백모듈(40)은 커버(12)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커버(12)는 에어백모듈(40)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에어백모듈(40)은 전개 시 커버(12)를 통과하여 하우징(11)의 외부로 전개된다.
파단유도부(13)는 에어백모듈(40)의 전개 시 커버(12)의 파단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형상으로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부분이다. 파단유도부(13)는 커버(1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거나, 커버(12)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파단유도부(13)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백모듈(40)은 커버(12)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하우징(11)의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모듈(40)의 전개가 설정 위치와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에어백모듈(40)이 임의의 위치나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그 기능이 저하되는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단유도부(13)는 커버(12)의 폭 방향 중간부상에 커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Y'자 형상을 가진다. 에어백모듈(40)의 에어백쿠션(42)은 파단유도부(13)를 파단시키면서 그 전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파단유도부(13)가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면 에어백쿠션(42)은 커버(12)의 폭방향 중간부에서 커버(12)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속도와 볼륨으로 전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에어백모듈(4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Y'자 형상을 가지는 파단유도부(13)의 단부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폭방향으로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텝이동장치(20)는 사이드스텝(10)을 차량(1)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텝이동장치(20)는 브라켓(21), 이동바(22), 연결바(23), 액추에이터(24)를 포함한다.
브라켓(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에어백장치(3) 중 차체(2)에 결합,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1)은 차체(2)의 하부에, 예를 들어 차량(1)의 골조를 이루는 차체프레임 등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바(22)는 사이드스텝(10)과 연결되는 링크부재이다. 이동바(22)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사이드스텝(10)의 회전축(14)과 연결되어, 회전축(14)을 통해 사이드스텝(1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동바(22)가 회전축(14)을 통해 사이드스텝(10)과 연결됨에 따라, 이동바(22)의 각도가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되더라도 사이드스텝(10)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측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바(23)는 브라켓(21)과 이동바(22)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결바(23)는 이동바(22)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연결바(23)의 상부는 브라켓(21)에 힌지 연결되고, 하부가 이동바(22)에 힌지 연결된다. 연결바(23)는 모터장치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하부가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액추에이터(24)가 정방향으로 구동 시, 연결바(23)의 하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내측(도 5상에서 좌측)으로 회동되고, 이동바(22)는 차량(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24)가 역방향으로 구동 시, 연결바(23)의 하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외측(도 6상에서 우측)으로 회동되고, 이동바(22)는 차량(1)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바(22)의 측방향 이동 시 이동바(22)와 연결된 사이드스텝(10)은 이동바(22)와 함께 차량(1)의 내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텝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스텝(10)은, 차량(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스텝(10)이 차량(1)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1)의 도어가 열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발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텝이동장치(20)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이용해 사이드스텝(10)을 이동시키는 작동을 구현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텝이동장치(2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이동장치(20)는 사이드스텝(10)을 차량(1)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실린더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회전장치(30)는 사이드스텝(10)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텝회전장치(30)는 실린더(31), 가스발생기(32), 랙(33), 피니언기어(34)를 포함한다.
실린더(31)는 직선 변위를 생성하는 액추에이터장치로, 길이가 신장되는 작동을 한다. 가스발생기(32)는 가스를 생성하는 장치로, 실린더(31)의 실린더부 내부에 설치된다. 가스발생기(32)는 차량(1)의 측면 충돌이 예상, 감지되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작동을 구현한다. 가스발생기(32)로는 MGG(Micro Gas Generator)를 적용할 수 있다.
랙(33)은 실린더(31)의 신장 구동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되는 부재이다. 랙(33)의 일측부는 실린더(31)의 로드부와 연결되고, 그 타측부는 사이드스텝(10)의 회전축(14)측으로 연장되어 피니언기어(34)와 치합된다. 피니언기어(34)는 사이드스텝(10)의 회전축(14)과 동축상에 연결된 상태로 랙(33)과 치합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가스발생기(32)가 작동하면 실린더(31)의 실린더부 내부에 가스가 고압으로 충진되면서 실린더(31)의 로드부가 실린더부의 외부로 밀려 이동되고, 로드부와 연결된 랙(33)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직선 이동되며, 피니언기어(34)가 랙(33)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피니언기어(34)와 연결된 사이드스텝(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텝회전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스텝(10)은, 평상 시에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가 지면을 향하는 각도로 수평되게 유지되다가, 차량(1)에 구비된 측면 센서 등에 의해 측면 충돌이 예상, 감지되면 가스발생기(32)의 작동에 연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가 차량(1)의 측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텝회전장치(30)는 실린더부재와 랙기어장치를 이용해 사이드스텝(10)을 회전시키는 작동을 구현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텝회전장치(3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회전장치(30)는 사이드스텝(10)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모터장치의 출력축을 회전축(14)과 연결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백모듈(40)은 사이드스텝(10)에 설치되고, 스텝회전장치(30)의 구동에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전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모듈(40)은 인플레이터(41)와 에어백쿠션(42)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41)는 가스를 생성하는 장치로,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차량(1)에 구비된 전방 센서 등에 의해 전방 충돌이 예상되거나, 전방 충돌 등으로 인한 차량(1)의 급제동 시, 또는 차량(1)에 구비된 측면 센서 등에 의해 측면 충돌이 예상, 감지되는 경우, 가스를 생성하여 에어백쿠션(42)을 부풀린다.
에어백쿠션(42)은 하우징(11)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인플레이터(41)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커버(12)를 통해 하우징(11)의 외부로 전개된다. 에어백쿠션(42)은 사이드스텝(10)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제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충격력을 감쇄하는 에어쿠션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42)은 쿠션본체부(43)와 격막부(44)를 포함한다.
쿠션본체부(43)는 가스를 공급받아 챔버를 이루고, 에어백쿠션(42)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부분으로, 설정 형상으로 전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본체부(43)는 전개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된다. 쿠션본체부(43)가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전개됨에 따라, 제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충격력을 감쇄하는 에어쿠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이루는 쿠션본체부(43) 중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부분을 이용해 지면과의 마찰 접촉면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고, 차량(1)의 측면부 전반을 안정되게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쿠션본체부(43) 중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지는 부분을 이용해 지면과 하우징(11)간의 거리를 보상할 수 있고, 쿠션본체부(43)가 형성하는 에어쿠션의 두께를 확보하여 에어쿠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격막부(44)는 쿠션본체부(43)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부로 구획, 분리시키는 부분이다. 격막부(44)를 이용해 쿠션본체부(43)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부로 분리시킴에 따라, 쿠션본체부(43)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손상되어도, 격막부(44)에 의해 구획된 쿠션본체부(43)의 다른 부분은 에어쿠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막부(44)는 복수개가 쿠션본체부(43)의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쿠션본체부(43)는 격막부(44)에 의해 구획되는 상호 이웃한 복수개의 공간부에 의해 복합적으로 그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쿠션본체부(43)의 우측면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격막부(44)의 좌측부에는 제1공간부가, 우측부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함께 쿠션본체부(43)의 두께를 이루게 된다. 해당 격막부(44)에 대해 제1공간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측방향 폭이 점차 좁아지고, 제2공간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측방향 폭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쿠션본체부(43)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격막부(44) 구조에 의하면, 제1공간부를 이루는 쿠션본체부(43)가 손상되어도, 이웃한 제2공간부를 이루는 부분이 손상되지 않으면, 에어백쿠션(42)은 적어도 제2공간부의 측방향 폭에 해당되는 만큼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격막부(44)를 쿠션본체부(43)의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배열함으로써, 쿠션본체부(43)의 손상이 발생된 해당 영역이 완전히 두께를 상실하는 것을, 즉 에어쿠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에 구비된 전방 센서 등에 의해 전방 충돌이 예상되거나, 전방 충돌 등으로 인한 차량(1)의 급제동 시에는, 커버(1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향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41)가 작동되어, 에어백쿠션(42)이 커버(12)를 뚫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쿠션(42)은 하방으로 전개되어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전방의 차량이나 구조물과의 충격력을 감쇄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차량(1)에 구비된 측면 센서 등에 의해 측면 충돌이 예상, 감지되면, 액추에이터(24)의 역방향 구동과, 가스발생기(32)의 작동에 연동하여 사이드스텝(1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가 차량(1)의 외측에서 측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및 회전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41)가 작동되어, 에어백쿠션(42)이 커버(12)를 뚫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쿠션(42)은 차량(1)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고, 차량(1)의 측면부, 예를 들어 도어의 파손 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양 측면부에서 에어백쿠션(42)을 전개시키면, 차량(1)과의 충돌이 발생되는 일측부 뿐만 아니라, 그 차량(1)과의 충돌에 의해 밀려나면서 연쇄적으로 발생되는 충돌에,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 등의 구조물 또는 또 다른 차량과 충돌에 보다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의 우측부에 설치된 에어백쿠션(42)과 차량(1)의 좌측부에 설치된 에어백쿠션(42)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측면 충돌에 의해 밀려나게 되는 방향에 보행자가 있다면, 충돌이 발생되는 일측부는 측방향으로 전개시키고, 보행자를 향하는 타측부는 하방으로 전개시켜, 차량(1)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차량(1)의 밀려남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이 뒤집어지는 롤오버(Rollover) 사고가 예상되는 경우, 차량(1)의 양 측면부에 설치된 에어백쿠션(42) 중 차량(1)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되어, 지면과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차량(1)의 일측부에 설치된 것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1)의 롤오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백쿠션(42)은 지면을 받침면으로 하여 차량(1)을 그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차량(1)의 기울어짐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차량(1)의 롤오버가 발생된 상태에서 에어백쿠션(42)은 차량(1)의 측면부, 예를 들어 도어의 파손 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의 외장 에어백장치(3)에 의하면,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하는 사이드스텝(10)에 에어백모듈(40)을 설치하고, 스텝회전장치(30)로 사이드스텝(10)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백쿠션(42)을 하방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에어백쿠션(42)을 측방향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1)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의 전방 충돌 및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차량(1)의 양 측면부에 설치된 에어백쿠션(42) 각각의 전개 방향에 따라 1차 충돌 후 연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2차 충돌 사고에 대비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측면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1)의 손상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스텝(10)을 완성된 차체(2)의 하부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외장 에어백장치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 차체(2)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디자인의 차종에 대해 동일 사양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외장 에어백장치로서 공용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의 외장 에어백장치(3)에 의하면, 에어백모듈(40)이 전개된 이후에, 기존의 사이드스텝(10)을 차체(2)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사이드스텝(10)을 차체(2)에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차체(2)와 무관하게 사이드스텝(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 2 : 차체
3 : 외장 에어백장치 10 : 사이드스텝
11 : 하우징 12 : 커버
13 : 파단유도부 14 : 회전축
20 : 스텝이동장치 21 : 브라켓
22 : 이동바 23 : 연결바
24 : 액추에이터 30 : 스텝회전장치
31 : 실린더 32 : 가스발생기
33 : 랙 34 : 피니언기어
40 : 에어백모듈 41 : 인플레이터
42 : 에어백쿠션 43 : 쿠션본체부
44 : 격막부

Claims (8)

  1. 차량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탑승자에게 발판을 제공하는 사이드스텝;
    상기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는 스텝회전장치;
    상기 사이드스텝에 설치되고, 상기 스텝회전장치의 구동에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모듈; 및
    상기 사이드스텝을 상기 차량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텝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모듈은,
    상기 사이드스텝에 설치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사이드스텝의 외부로 전개되며, 하방으로 전개되어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하는 에어백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측면 센서가 측면 충돌을 감지하면, 상기 스텝이동장치가 상기 사이드스텝을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텝회전장치가 상기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차량의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스텝은,
    발판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에어백모듈이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며, 상기 에어백모듈이 통과하여 전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스텝은,
    상기 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의 전개력에 의해 파단되는 파단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회전장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발생기;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랙; 및
    상기 사이드스텝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랙과 치합되며, 상기 랙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사이드스텝을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가스를 공급받아 설정 형상으로 전개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이동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사이드스텝과 연결되는 이동바;
    상부가 상기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이동바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바를 상기 차량의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KR1020150041315A 2015-03-25 2015-03-25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KR10168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15A KR101688454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15A KR101688454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70A KR20160114870A (ko) 2016-10-06
KR101688454B1 true KR101688454B1 (ko) 2016-12-21

Family

ID=5716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315A KR101688454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9538A (ja) * 2021-09-09 2023-03-22 株式会社Subaru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923A (ja) 2003-09-05 2005-03-31 Toyota Motor Corp 車両の衝突衝撃緩和装置
JP2006240476A (ja) * 2005-03-03 2006-09-14 Hino Motors Ltd 巻込防止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21435A (ja) * 2010-12-08 2012-06-28 Toshintec Kk 車室内格納式補助ステップ
KR101371763B1 (ko) * 2012-12-28 2014-03-07 현대자동차(주) 사이드스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923A (ja) 2003-09-05 2005-03-31 Toyota Motor Corp 車両の衝突衝撃緩和装置
JP2006240476A (ja) * 2005-03-03 2006-09-14 Hino Motors Ltd 巻込防止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21435A (ja) * 2010-12-08 2012-06-28 Toshintec Kk 車室内格納式補助ステップ
KR101371763B1 (ko) * 2012-12-28 2014-03-07 현대자동차(주) 사이드스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70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6255B (zh) 用于机动车的乘员约束装置
JP4492451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62636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172165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9487177B2 (en) Airbag assemblies for vehicles with generous leg room
US7204511B2 (en) Airbag apparatus
JP638330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489462B1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JP2009520627A5 (ko)
JP2008221926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EP2524843A1 (en) A pedestrian air-bag retraction mechanism
JP2008114648A (ja) 側面衝突時の乗員保護装置
JP2010214977A (ja) 車両の内装構造
KR101688454B1 (ko) 차량의 외장 에어백장치
KR102475716B1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JP5093196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087523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899241B2 (ja) アームレスト
JP201606884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253674A (ja) 乗員保護装置
JP4760682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626090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200922716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276677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17019384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