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593B1 -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593B1
KR101686593B1 KR1020157005197A KR20157005197A KR101686593B1 KR 101686593 B1 KR101686593 B1 KR 101686593B1 KR 1020157005197 A KR1020157005197 A KR 1020157005197A KR 20157005197 A KR20157005197 A KR 20157005197A KR 101686593 B1 KR101686593 B1 KR 10168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witching
battery pack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749A (ko
Inventor
로버트 멀리만
스티븐 렌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4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2/1072
    • H01M2/1083
    • H01M2/1252
    • H01M2/126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58External gas exhaust passages located on the battery cover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외벽, 및 상기 외벽에 연결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벤팅 하우징 및 상기 벤팅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유로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벤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벤팅 하우징은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부제의 개구와 유체상으로 연통된다. 상기 벤팅 하우징은 관상부 및 다수의 관통하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제 1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로 전환 부재는 중앙 샤프트,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Comprising Venting Device Having Flow Diverter Member}
본 발명은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전지팩은 적어도 동력의 일부로서 전지팩을 사용하는 차량에 사용된다.
그러나, 외부의 오염된 공기 등의 유체가 차량 전지팩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차량 전지팩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지팩에서 발생한 가스가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면 압력 상승에 의해 안전성이 크게 문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외부 유체가 차량 전지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 전지팩으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선된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705호(2012.12.1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외벽(peripheral wall)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 상기 외벽에 연결된 커버 부재(cover member)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 벤팅 하우징(venting housing) 및 상기 벤팅 하우징의 내부(interior region)에 위치한 유로 전환 부재(flow diverter member)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 관통하는 개구(aperture)가 포함된 베이스 부재(base member)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벤팅 장치(venting device)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벤팅 하우징은 벤팅 장치가 베이스 부재의 개구와 유체상으로 연통(fluid communication) 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벤팅 하우징은 관상부(tubular portion) 및 상기 관상부에 결합된 제 1 단부(end portion)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단부는 다수의 관통하는 개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로 전환 부재는 중앙 샤프트(central shaft),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flow diverter plate),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중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 상에 제 1 세로 위치(longitudinal position)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plane)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다. 상기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중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 상에 제 2 세로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1 단부에서 다수의 개구들로 유입된 유체가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지 않고는 관상부를 직접 통과할 수 없도록,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제 2 평면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다.
.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는 차량 전지팩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부와 차량 프레임부를 나타낸 차량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전지모듈 및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는 도 1의 차량 전지팩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에 연결된 벤팅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벤팅 장치의 바닥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벤팅 장치의 벤팅 하우징 및 유로 전환 부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4의 벤팅 장치의 벤팅 하우징 및 유로 전환 부재를 나타낸 또 다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4의 벤팅 장치의 벤팅 하우징 및 유로 전환 부재를 나타낸 또 다른 모식도이다; 및
도 9는 도 6의 유로 전환 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전지팩(18)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10)이 제공된다. 차량(10)은 차량 바닥(20), 차량 프레임(30), 및 발포형 가스켓(31)을 더 포함하고 있다. 차량 전지팩(18)은 전지모듈들(40, 42) 및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는 컨테이너(60)에 의해 설정된 내부에 전지모듈들(40, 42)을 보유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는 차량 바닥(20)에 또한 위치되어 있는 발포형 가스켓(3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 바닥(20)은 차량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다. 차량 프레임(30)은 내부에 벤팅 장치(110)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영역(72)을 설정하고 있는 차량 프레임 부재(70)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는 전지모듈들(40, 42)을 내부에 지지 및 감싸고 있고,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내부(59)로부터 주변 공기와 통하는 영역(72)으로 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는 베이스 부재(90), 외벽(92), 커버 부재(100), 및 벤팅 장치(110)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90)는 그것을 관통하는 개구(112)를 포함하고 있다(도 2 참조). 외벽(92)은 베이스 부재(90)의 외변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지모듈들(40, 42)은 베이스 부재(9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00)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내부(59)에 전지모듈들(40, 42)을 감싸도록 외벽(92)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90) 및 외벽(92)은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커버 부재(10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90), 외벽(92), 및 커버 부재(1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유체가 내부(59)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내부(59)로부터 주변 공기로 안전하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팅 장치(110)가 제공되어 있다.
벤팅 장치(110)는 벤팅 하우징(130) 및 벤팅 하우징(130)의 내부(190)에 위치한 유로 전환 부재(140)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벤팅 하우징(13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유로 전환 부재(14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벤팅 하우징(130)과 유로 전환 부재(140)는 모두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기타 예에서, 벤팅 하우징(130)과 유로 전환 부재(14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벤팅 하우징(130)은 관상부(150), 제 1 단부(152), 환형 탭부(160), 및 고정 탭들(180, 182, 184)을 포함하고 있다. 관상부(150)는 제 1 말단(200), 제 2 말단(202), 내면(210), 및 외면(212)을 포함하고 있다. 관상부(150)는 세로 방향 축(135)에 대해 중앙에 있다.
제 1 단부(152)는 관상부(150)의 제 1 말단(200)에 위치해 있고, 제 1 말단(200)을 감싸고 있다. 제 1 단부(152)는 그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들(230) 및 관통하는 부착 개구(231)를 포함하고 있다.
환형 탭부(160)는 관상부(150)의 제 2 말단(202)에서 관상부(150)의 외면(212)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외면(212)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 연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탭들(180, 182, 184)은 관상부(150)의 제 2 말단(202)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고정 탭들(180, 182, 184)은 제 2 말단(202)의 주위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탭들(180, 182, 184)은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베이스 부재(90)의 개구(112)(도 2 참조)를 통해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탭들(180, 182, 184)은 베이스 부재(90)의 제 1 면(240)에 대해 고정되고, 환형 탭부(160)는 베이스 부재(90)의 제 2 면(250)에 대해 고정된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유로 전환 부재(140)는, 벤팅 하우징(130)의 제 1 단부(152)에서 다수의 개구들(230)을 통해 유입되는 어떠한 유체와도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런 다음 상기 유체가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차량 전지팩 내부(59)로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개구들(230)과 내부(190)의 외측을 통해 하향 유동한다. 유로 전환 부재(140)는 중앙 샤프트(300),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 팁 부착 부재들(330, 340), 및 핸들링 부재(350)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로 전환 부재(140)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또 다른 예에서, 유로 전환 부재(14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샤프트(300)는 세로 축(135)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단부(360)와 제 2 단부(362)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는 중앙 샤프트(300)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30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300)에 제 1 세로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유로 젼환 플레이트(310)는 상단면(380), 바닥면(382), 아치형 측면(384), 및 평평한 측면(386)을 포함하고 있다. 아치형 측면(384)은 벤팅 하우징(130)의 관상부(150)의 내면(210)에 접촉해 있다.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는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의 상단면(380)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311)에서 내부(190)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는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의 상단면(380)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311)에서 내부(190)의 단면적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는 중앙 샤프트(300)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30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300)에 제 2 세로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는 상단면(480), 바닥면(482), 아치형 측면(484), 및 평평한 측면(486)을 포함하고 있다. 아치형 측면(484)은 벤팅 하우징(130)의 관상부(150)의 내면(210)에 접촉해 있다.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는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의 상단면(480)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321)에서 내부(190)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는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의 상단면(480)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321)에서 내부(190)의 단면적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제 1 단부(152)에서 다수의 개구들(230)로 유입된 유체가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310)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320)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고는 관상부(150)를 통해 직접 유동할 수 없다.
도 5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팁 부착 부재(330)는 벤팅 하우징(130)의 제 1 단부(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팁 부착 부재(330)는 샤프트부(500) 및 샤프트부(500)에 부착된 헤드부(510)를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부(500)는 중앙 샤프트(300)의 제 1 단부(360)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300)의 제 1 단부(360)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헤드부(510)와 샤프트부(500)는 벤팅 하우징(130)의 제 1 단부(152)를 관통하는 부착 개구(231)를 통해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헤드부(510)의 직경은 제 1 단부(152)의 부착 개구(231)의 직경보다 크다. 바람직한 설치 위치에서, 헤드부(510)가 제 1 단부(152)의 부착 개구(231)를 통해 배치될 때, 제 1 단부(152)는 헤드부(510)와 중앙 샤프트(300)의 제 1 단부(360) 사이에 배치되어 보유된다.
팁 부착 부재(340)는 핸들링 부재(35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팁 부착 부재(340)는 샤프트부(550) 및 샤프트부(550)에 부착된 헤드부(560)를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부(500)는 중앙 샤프트(300)의 제 2 단부(362)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300)의 제 2 단부(362)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헤드부(560)와 샤프트부(550)는 핸들링 부재(350)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부착 개구(233)를 통해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560)의 직경은 핸들링 부재(350)의 부착 개구(233)의 직경보다 크다. 소망하는 설치 위치에서, 헤드부(560)가 부착 개구(233)를 통해 배치될 때, 핸들링 부재(350)는 헤드부(560)와 중앙 샤프트(300)의 제 2 단부(362) 사이에 배치되어 보유된다.
상기 핸들링 부재(350)는, 작업자가 벤팅 하우징(130) 내에 유로 전환 부재(140)를 위치시키기 위해, 임시로 핸들링 부재(350)를 붙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핸들링 부재(350)는, 중앙 허브(central hub: 598)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허브(598)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300)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 연장되어 있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연장부들(600, 602, 604, 606)을 포함하고 있다. 중앙 허브(598)는 팁 부착 부재(340)를 수납하도록 관통하는 개구(233)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링 부재(350)는 헤드부(560)와 중앙 샤프트(300)의 제 2 단부(3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60)의 개구(112)는 차량 바닥(20)의 개구(270)와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10)는 개구(270)에 인접한 베이스 부재(90)에 연결되어 있고 차량 바닥(20)의 개구(270)를 통해 하향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관상부(150)의 제 2 말단(202)은 차량 프레임 부재(70)에 의해 설정된 영역(72)에 배치되어 있다. 영역(72) 내에 벤팅 장치(110)를 위치시키는 잇점은, 차량 프레임 부재(70)가 외부의 먼지, 유체, 및 기타 오물들을 벤딩 장치(110)로부터 벗어나게 해준다는 점이다.
비록 본 발명은 단지 제한된 수의 예시에만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표현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변형, 변경, 교체 또는 여기에 표현된 것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의도와 범주에 적합하도록 상응하는 조합으로 얼마든지 부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들이 표현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상은 단지 표현된 예시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표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 다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에 비해 실질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는 전지팩으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에서 외부 공기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체 및 다른 물질들이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지는 벤팅 장치를 이용한다.

Claims (14)

  1. 관통하는 개구(aperture)를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외벽(peripheral wall);
    상기 외벽에 연결된 커버 부재(cover member);
    벤팅 하우징(venting housing) 및 상기 벤팅 하우징의 내부(interior region)에 위치한 유로 전환 부재(flow diverter member)를 포함하는 벤팅 장치(venting device)로서, 상기 벤팅 장치가 베이스 부재의 개구와 유체상으로 연통(fluid communication) 되도록 벤팅 하우징이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벤팅 하우징이 관상부(tubular portion) 및 상기 관상부에 결합된 제 1 단부(end portion)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단부가 다수의 관통하는 개구들을 가지고 있는 벤팅 장치; 및
    중앙 샤프트(central shaft),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flow diverter plate),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유로 전환 부재;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중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에 제 1 세로 위치(longitudinal position)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plane)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중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샤프트에 제 2 세로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부에서 다수의 개구들로 유입된 유체가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 및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지 않고는 관상부를 직접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제 2 평면(plane)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일부를 덮고 있고,
    상기 벤팅 하우징은, 관상부의 제 2 단부에서 관상부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외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 연장되어 있는 환형 탭부(tab portion); 및
    관상부의 제 2 단부로부터 전반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고정 탭들(retaining tabs);
    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탭들은, 고정 탭들과 환형 탭부 사이의 외면에 홈이 형성되어 고정 탭들이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의 제 1 면(surface)에 대해 고정되고 환형 탭부가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의 제 2 면에 대해 고정되도록, 베이스 부재의 개구를 통해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부재는, 벤팅 하우징의 제 1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팁 부착 부재(tip attachment member)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부착 부재는 샤프트부(shaft portion) 및 상기 샤프트부에 부착된 헤드부(head portion)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부는 중앙 샤프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샤프트의 제 1 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longitudinally)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헤드부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벤팅 하우징의 제 1 단부를 관통하는 부착 개구(attachment aperture)를 통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부재는 중앙 샤프트의 제 2 단부 상에 위치한 핸들링 부재(handl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부재는 중앙 샤프트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 연장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연장부들(extension portions)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로 전환 부재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장치는 차량 프레임 부재(vehicle frame member)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1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는, 제 2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의 평면에서 내부의 단면적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KR1020157005197A 2012-09-25 2013-09-12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KR101686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25,993 2012-09-25
US13/625,993 US9034497B2 (en) 2012-09-25 2012-09-25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PCT/KR2013/008254 WO2014051282A1 (ko) 2012-09-25 2013-09-12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749A KR20150048749A (ko) 2015-05-07
KR101686593B1 true KR101686593B1 (ko) 2016-12-14

Family

ID=5033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197A KR101686593B1 (ko) 2012-09-25 2013-09-12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4497B2 (ko)
EP (1) EP2903054B1 (ko)
JP (1) JP6068651B2 (ko)
KR (1) KR101686593B1 (ko)
CN (1) CN104662702B (ko)
WO (1) WO2014051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0423B2 (en) 2011-12-15 2015-01-27 Lg Chem, Ltd.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US10707464B2 (en) * 2015-09-21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venting system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ies
WO2022154431A1 (ko) * 2021-01-15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8899A (en) * 1964-04-14 Venting device
US2434732A (en) * 1944-06-30 1948-01-20 Alick James Extensible drill press
DE1044192B (de) * 1955-07-27 1958-11-20 Gottfried Hagen A G Als Gastrockner ausgebildeter Verschlussstopfen fuer Akkumulatoren
US2937223A (en) * 1958-05-05 1960-05-17 Richardson Co Vent plug
JPS51107628U (ko) * 1975-02-27 1976-08-27
US5505041A (en) * 1993-07-01 1996-04-09 Harlan; Robert L. Method for producing deodorant/antiperspirant still refill
KR100222138B1 (ko) * 1996-07-25 1999-10-01 윤종용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256750B1 (ko) * 1997-11-10 2000-05-15 정몽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JP3772549B2 (ja) * 1998-09-11 2006-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
GB0012031D0 (en) * 2000-05-19 2000-07-05 Yuasa Automotive Batteries Eur Battery vent plug
US6756151B2 (en) * 2002-01-08 2004-06-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directional draining device
JP3938066B2 (ja) * 2003-02-13 2007-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ケース用ダクト、電池部材および自動車
JP2008251308A (ja) * 2007-03-30 2008-10-16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及び車両
JP2008287939A (ja) * 2007-05-15 2008-11-27 Toyota Motor Corp ガス排出構造及び車両
JP5109559B2 (ja) * 2007-09-28 2012-12-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US8426050B2 (en) * 2008-06-30 2013-04-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manifold and method for cooling battery module
JP5466906B2 (ja) * 2009-09-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1220484B1 (ko) * 2010-07-14 2013-01-10 세방전지(주) 축전기용 벤트 플러그
JP5639834B2 (ja) * 2010-09-30 2014-12-10 株式会社リチウムエナジージャパン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池パック、並びに電池パックを備えた電動車
US8940423B2 (en) * 2011-12-15 2015-01-27 Lg Chem, Ltd.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3054B1 (en) 2017-05-10
EP2903054A1 (en) 2015-08-05
EP2903054A4 (en) 2015-10-21
CN104662702B (zh) 2017-05-17
KR20150048749A (ko) 2015-05-07
JP2015537328A (ja) 2015-12-24
US9034497B2 (en) 2015-05-19
CN104662702A (zh) 2015-05-27
WO2014051282A1 (ko) 2014-04-03
US20140087219A1 (en) 2014-03-27
JP6068651B2 (ja)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080B1 (ko) 차량 전지팩 용기
KR101561021B1 (ko) 구동 장치용 하우징, 구동 장치 및 압력 보상 막의 내밀성 테스트 방법
US8986864B2 (en) Battery with housing and degassing system
KR101686593B1 (ko) 유로 전환 부재를 구비한 벤팅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전지팩 컨테이너
US8360089B2 (en) Fuel cut-off valve
KR20110129949A (ko) 액체판별 연료통기밸브
JP2009236137A (ja) 金属ベローズ式アキュムレータ
JPH0757711A (ja) 電解液ドレンと爆発減衰能力を有する通気孔キャップ
JP5911119B2 (ja) フィルタ機器およびフィルタ機器を備えるタンクを換気するための装置
KR20100054366A (ko) 진공포장용 체크밸브
US10927855B2 (en) Accumulator
WO2014069294A1 (ja) ガスホルダーシール材及びガスホルダーのシール構造
KR102365641B1 (ko) 전기차 배터리팩 소염배기장치
FI111418B (fi) Akku, varsinkin lyijyakku sopivimmin hyötyajoneuvoja varten
KR20230124976A (ko) 비상 가스 제거 디바이스
KR20050065644A (ko) 드럼 통기구
KR200486546Y1 (ko) 전해액의 관통 유로가 구비되는 배터리용 벤트캡
JP6199107B2 (ja) バルブ装置
EP2597699B1 (en) A double cover for storage batteries
CN216590145U (zh) 通气阀和具有其的车辆
CN220628112U (zh) 防爆阀和电池包
JP7133642B2 (ja) シール構造
CN214492886U (zh) 盖组件和包括盖组件的制动液储液器
CN217623534U (zh) 盖组件和包括盖组件的储液器
KR20170003626U (ko) 압력 밸런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