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138B1 -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138B1
KR100222138B1 KR1019960030256A KR19960030256A KR100222138B1 KR 100222138 B1 KR100222138 B1 KR 100222138B1 KR 1019960030256 A KR1019960030256 A KR 1019960030256A KR 19960030256 A KR19960030256 A KR 19960030256A KR 100222138 B1 KR100222138 B1 KR 10022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electronic device
ventila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2673A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138B1/ko
Publication of KR98001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내로 수분이 들어가 전자기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손상에 따른 이 전자기기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그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셸; 그리고 배터리셸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복수의 구멍을 덮으며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게 된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시트, 그리고 통기 및 방수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그러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루어진 배터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본 발명은 방수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전원 공급에는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방수를 요하고, 여기에 배터리가 장착된 경우에도 전자기기와 배터리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내부에 설치된 니켈 수소 배터리셸(battery cell)은, 금속 산화물로된 양극판, 수소 흡장합금으로된 음극판,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되어 원통형으로 권취된 박판, 상기 원통형으로 권취된 박판을 수용하는 보호용기, 그리고 전해액을 포함한다.
수소 흡장합금은 충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흡수하여 이를 방전과정에서 전해액중으로 방출한다.
복수의 배터리셸(50)이 내장된 종래의 배터리(55)를 예시하는 제9도를 참조하면, 배터리(55)는 저면 케이스(51)와, 상면 케이스(53)로 분리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한다. 부호 57은 배터리를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지시한다. 방전과정중에 발생된 수소가 전해액 내로 방출되는 가운데, 그 일부는 배터리셸(50)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터리셸의 외부로 방출된 수소개스는 최종적으로,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59)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는, 구멍(59)을 통하여 수분이 배터리내로 들어가서 배터리셸과 전자기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및 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셸; 그리고 배터리셸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복수의 구멍을 덮으며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게 된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시트, 그리고 통기 및 방수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그러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통기 및 방수시트와 크기가 동일하며 각각 케이스의 구멍에 상응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진 한 쌍의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한쌍의 접착시트 사이에는 통기 및 방수시트가 개재되어 있다.
케이스의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구역은 통기 및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한쌍의 접착시트의 결합구조의 두께에 적합할 만큼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케이스부의 구멍에 상응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진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접착시트와 케이스의 구멍 사이에는 통기 및 방수시트가 개재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케이스 상에서 통기 및 방수수단이 마련된 면과 동일한 면에 마련되고, 탄성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배터리가 전자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전자기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스페이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의 일측면상에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고, 커넥터의 주위에는 배터리가 전자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전자기기의 표면에 밀착되어 커넥터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시일부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이 마련된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장착홈에 복수의 배터리셸; 그리고 배터리셸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케이스에 형성되어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복수의 구멍을 덮으며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되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시트, 그리고 통기 및 방수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예시하는 저, 배, 좌측면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통기 및 방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제1 측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통기 및 방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방수장치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상, 정, 우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적용되는 컴퓨터의 상, 정, 좌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제7도는 제6도에서 도시되는 컴퓨터의 저, 정, 좌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컴퓨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제9도는 종래의 배터리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배터리를 도시하고 있는 저면도이며,
제11도는 제10도의 선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도면에 걸쳐서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3)는 하측 케이스부(5), 상측 케이스부(7), 그리고 배터리(3)내에서 형성된 개스가 자유롭게 외부로 방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배터리(3)내로 들어가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장치(9)를 포함한다. 하측 케이스부(5)와 상측 케이스부(7)는 밀폐식으로 조립되어 진다.
통기 및 방수장치(9)는, 이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하측 케이스부에 형성되어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게 된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시트, 그리고 통기 및 방수시트를 고정시켜 복수의 구멍을 밀폐식으로 완전히 덮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배터리(3)상에서 통기 및 방수장치(9)가 마련된 면과 동일한 면에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복수의 스페이서(2)가 마련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페이서(2)는, 배터리가 전자기기(30)에 장착되었을 때, 배터리(3)와 전자기기(30) 사이에서 완충작용과 함께 개스의 배출통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3)의 일측면상에는 전기접속용 커넥터(16)가 마련되어 있고, 커넥터(16)의 주위에는 시일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3)가 전자기기(30)에 장착되었을 때 시일부재(17)는 전자기기(30)의 표면에 밀착되어 커넥터(16)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및 제3도에 나타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장치는 통기 및 방수시트(15)와 크기가 동일한 한 쌍의 접착시트(11,11')를 포함한다. 접착시트(11 및 11')의 각각은 하측 케이스부(5)의 복수의 구멍(1)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3)을 가지고 있다.
통기 및 방수시트(15)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착시트(11 및 11')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물론 접착시트의 구멍(13)은 접착시트를 고정하여 구멍(1)을 덮을 때 하측 케이스부(5)의 구멍(1)과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측 케이스부(5)에서 복수의 구멍(1)이 형성된 구역(8)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기 및 방수시트(15)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접착시트의 결합구조의 두께에 적합할 만큼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에 나타난 제2 실시예에서, 고정장치는 통기 및 방수시트(15)와 한 개의 접착시트(21)를 포함한다. 접착시트(21)는 하측 케이스부(5)의 복수의 구멍(1)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2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15)는 접착시트(21)와 하측 케이스부(5)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통기 및 방수시트(15)는 고어텍스(GORE TEX, 상품명)나, 셀가드(CELGARD, 상품명)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 과정중에 배터리셸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개스는 일부가 배터리셸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배터리(3)내에 모여서, 마침내 구멍(1)과 통기 및 방수시트(15)를 통과하여 배터리(3)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수분이 외부로부터 통기 및 방수시트(15)를 통과하는 것은 방지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예시하며, 제8도는 이 배터리(3)가 장착되는 공동이 마련된 전자기기(30)를 예시한다. 손잡이(18)는,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잡이(18)에 마련된 돌출부(31)를 전자기기(30)에 마련된 대응 오목부(32)에 걸어서 배터리(3)를 전자기기(30)에 장착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 예를 예시하기 위하여, 배터리(3)가 장착된 컴퓨터(40)가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내로 수분이 들어가 전자기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를 제공함으로서, 배터리로부터 새어나오는 전해질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내로 수분이 들어가 전자기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손상에 따른 이 전자기기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그러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4)

  1. 복수의 배터리셸과; 상기 배터리셸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상기 복수의 구멍을 덮으며 상기 개스 및 공기를 통과시키되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 및 방수시트, 그리고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에서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가 마련된 면과 동일한 면에 마련되고, 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의 주위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기기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넥터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시일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와 크기가 동일하며 각각 상기 케이스의 구멍에 상응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진 한 쌍의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착시트 사이에는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가 개재된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구역은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접착시트의 결합구조의 두께에 적합할 만큼 함몰된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케이스부의 구멍에 상응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진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구멍 사이에는 상기 통기 및 방수시트가 개재된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KR1019960030256A 1996-07-25 1996-07-25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222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256A KR100222138B1 (ko) 1996-07-25 1996-07-25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256A KR100222138B1 (ko) 1996-07-25 1996-07-25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673A KR980012673A (ko) 1998-04-30
KR100222138B1 true KR100222138B1 (ko) 1999-10-01

Family

ID=1946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256A KR100222138B1 (ko) 1996-07-25 1996-07-25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4497B2 (en) * 2012-09-25 2015-05-19 Lg Chem, Ltd. Vehicle battery pac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67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2150B2 (ja) バッテリ及びこのバッテリを使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KR100516146B1 (ko) 배터리유닛및이러한배터리유닛을포함하는휴대용배터리로동작되는장치
JP4537958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7597994B2 (en) Battery pack
US7088075B2 (en) Battery pack
CN100438189C (zh) 二次电池
CN100382358C (zh) 电池和电池组
JP2002050329A (ja) 電池パック
JP2005243643A (ja) ソフトセル内蔵型充電池及びその製作方法
KR100571247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JP4979216B2 (ja) 二次電池のパックケース
JP406400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携帯機器
KR100222138B1 (ko) 방수 케이스를 가진 배터리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TW475286B (en) Durable high density power supply
KR100337873B1 (ko) 폴리머 리튬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4152603A (ja) 電池パック
KR100542186B1 (ko) 이차 전지
JP2001196039A (ja) 電池ボックスのガス抜き構造
KR101057582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팩
CN219873981U (zh) 储能设备
JP2009048914A (ja) 電池パック
KR970005575Y1 (ko) 재충전 베터리(battery)
JP5188108B2 (ja) 電池パック
KR0135385B1 (ko) 직열로 연결된 재충전용 배터리
JPH04507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