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142B1 -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142B1
KR101686142B1 KR1020150054655A KR20150054655A KR101686142B1 KR 101686142 B1 KR101686142 B1 KR 101686142B1 KR 1020150054655 A KR1020150054655 A KR 1020150054655A KR 20150054655 A KR20150054655 A KR 20150054655A KR 101686142 B1 KR101686142 B1 KR 10168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ductive pattern
wireless communication
protective layer
communic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382A (ko
Inventor
최동권
이장환
Original Assignee
성안기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안기계 (주) filed Critical 성안기계 (주)
Priority to KR102015005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1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8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mpact or bending, e.g. protective shells or stress-absorbing layers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는, 기판과, 기판의 제 1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과,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패턴과 칩을 보호하는 제1 보호층과, 기판의 제2 면에 형성되는 제2 보호층 및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에 각각 점착되는 한 쌍의 이형 필름(Release fil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의 크랙(Crack)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태그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태그(Wireless communication tag)는 근거리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상대방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소자로서, 대표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태그, 카드, 라벨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읽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13.56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10 cm 내외의 가까운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기기 간에 비접촉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다.
RFID, NFC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태그는 다양한 형태의 기판,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에 장착되는 칩(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통신 태그는 기판에 형성된 금속 잉크 등의 도전성 패턴이 산소(O2), 수분(H2O)에 노출되어 산화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도전성 패턴의 산화로 인해 저항 값이 증가하여 무선 통신 태그 소자의 특성 및 동작이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전성 패턴과 칩(Chip)이 구비된 기판의 양 면에 이형 필름(Release film)을 점착하는 경우, 접착제에 포함된 산소(O2), 수분(H2O)에 의해 도전성 패턴이 산화된다는 문제점 이외에도, 이형 필름의 점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칩(Chip)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도전성 패턴에 연결되는 정위치에서 이탈되어 무선 통신 태그 소자의 불량 및 수명 단축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의 크랙(Crack)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태그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의 크랙(Crack)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태그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 1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과,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칩을 보호하는 제1 보호층과,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형성되는 제2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에 각각 점착되는 한 쌍의 이형 필름(Release fil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I(Polyimide)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은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은, 기판의 제1 면에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을 본딩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칩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보호층에 각각 제1 이형 필름(Release film)과 제2 이형 필름을 점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은, 기판의 제1 면에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보호층에 제1 이형 필름(Release film)을 점착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을 본딩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칩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호층에 제2 이형 필름을 점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은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한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를 이용한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이형 필름은 압출 라미네이팅(Extrusion 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보호층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의 크랙(Crack)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태그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에 칩(Chip)을 본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도전성 패턴과 칩(Chip)에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제1 보호층과 제2 보호층에 제1 이형 필름과 제2 이형 필름을 점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무선 통신 태그(100) 및 무선 통신 태그(100)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100)는 기판(110), 도전성 패턴(120), 칩(Chip)(130), 제1 보호층(140), 제2 보호층(150) 및 한 쌍의 이형 필름(Release film)(160, 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Substrate)(110)은 무선 통신 태그(100)를 구성하는 본체로서,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 칩(Chip)(130), 제1 보호층(140) 및 제1 이형 필름(1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2 보호층(150) 및 제2 이형 필름(1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I(Polyimide)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보호층(140)과 제2 보호층(150)은 기판(11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제1", "제2"는 설명의 편의상 붙이는 것일 뿐, 구체적인 순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이형 필름(160)과 제2 이형 필름(170)은 각각 제1 보호층(140)과 제2 보호층(150)에 점착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제1", "제2"는 설명의 편의상 붙이는 것일 뿐, 구체적인 순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패턴(120)은 기판(110)의 제 1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칩(Chip)(130)은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패턴(120)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전성 패턴(120)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를 이용한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칩(Chip)(130)은 본딩(Bonding) 공정에 의해 도전성 패턴(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40)은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층(150)은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호층(140) 및 제2 보호층(150)은 그 사이에 게재되는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층(140) 및 제2 보호층(150)은 산화 실리콘(SiOx), 질화 실리콘(SiNx) 등의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하는 제1 보호층(140)은 칩(Chip)(13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보호층(140) 및 제2 보호층(150)은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한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이형 필름(Release film)(160, 170)은 각각 제1 보호층(140) 및 제2 보호층(150)에 점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이형 필름(160)과 제2 이형 필름(170)은 압출 라미네이팅(Extrusion lamination) 공정에 의해 각각 제1 보호층(140)과 제2 보호층(150)에 점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태그(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I(Polyimide)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1 보호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S210).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층(150)은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을 모두 포함하도록 기판(110)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호층(150)은 슬롯 다이(Slot die)(10)를 이용한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롯 다이(10)는 기판(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몸체부에 형성된 심 플레이트(Seam plate)(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슬롯 다이를 기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에 심 플레이트의 하단에 기판(110)의 폭에 대응하도록 길게 형성된 홈을 통해 실리콘 잉크를 토출하여 한 번에 코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롯 다이에 의한 코팅 공정을 통해 제1 보호층(150)을 한 번에 형성함으로써, 제1 보호층(150)을 기판(110) 전체에 대해 균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1 보호층(150)을 형성한 후(S210),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을 형성할 수 있다(S22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120)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를 이용한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터(20)는 스크린(21), 스크레이퍼(22) 및 스퀴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21)은 도전성 패턴(120)을 인쇄하기 위한 패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스크레이퍼(Scrapper)(113)는 스크린(21)에 맞닿거나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크린(21)에 잉크를 도포하며, 스퀴지(Squeegee)(114)는 스크린(21)에 맞닿거나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스크레이퍼(22)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스크린(21)에 도포된 잉크를 필름(F)에 전사시켜 인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평판 스크린을 사용하는 스크린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로터리 스크린 프린터(Rotary screen printer) 등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을 형성한 후(S220),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130)을 본딩(Bonding)할 수 있다(S230).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에 칩(Chip)을 본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록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120)에 칩(Chip)(130)을 본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130)을 본딩한 후(S230),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S240).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도전성 패턴과 칩(Chip)에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층(140)은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구비된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모두 포함하도록 기판(110)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보호층(140)은 슬롯 다이(Slot die)(10)를 이용한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슬롯 다이의 구조 및 코팅 공정은 단계 S210에서 설명한 슬롯 다이의 구조 및 코팅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140)을 형성한 후(S240), 제2 보호층(140)과 제1 보호층(150)에 각각 제1 이형 필름(160)과 제2 이형 필름(170)을 점착할 수 있다(S250).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에서 제1 보호층과 제2 보호층에 제1 이형 필름과 제2 이형 필름을 점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형 필름(160)과 제2 이형 필름(170)은 한 쌍의 가압 롤러(30)를 이용한 압출 라미네이팅(Extrusion lamination) 공정에 의해 제2 보호층(140)과 제1 보호층(150)에 점착될 수 있다. 특정 기판(110) 또는 필름의 양 면에 이형 필름을 점착하기 위한 압출 라미네이팅 공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 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100)의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조 방법과는 달리, 기판(110)의 일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을 형성하고 칩(Chip)(130)을 본딩하기 전에, 기판(110)의 반대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1 보호층(150)을 먼저 형성하고, 제1 보호층(150)에 제1 이형 필름(160)을 먼저 점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1 보호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S310).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10의 과정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보호층(150)에 제1 이형 필름(160)을 점착할 수 있다(S320).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20의 과정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의 제1 면(도 2에서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1 보호층(150)을 형성하고 제1 이형 필름(160)을 점착한 후,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을 형성하고(S330),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130)을 본딩한 후(S340),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도전성 패턴(120)과 칩(Chip)(130)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S350).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30 내지 단계 S350의 과정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기판(110)의 제2 면(도 2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보호층(140)에 제2 이형 필름(170)을 점착할 수 있다(S360).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60의 과정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의 경우,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태그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Chip)의 크랙(Crack)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태그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 통신 태그
110: 기판 120: 도전성 패턴
130: 칩(Chip)
140: 제1 보호층 (또는, 제2 보호층)
150: 제2 보호층 (또는, 제1 보호층)
160: 제1 이형 필름 (또는, 제2 이형 필름)
170: 제2 이형 필름 (도는, 제1 이형 필름)

Claims (8)

  1. 기판;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를 이용한 인쇄 공정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 1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코팅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면에 코팅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칩을 보호하는 제1 보호층;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코팅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코팅되는 제2 보호층;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각각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이 코팅된 상태에서, 압출 라미네이팅(Extrusion 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에 각각 점착되는 제1 이형 필름(Release film) 및 제2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태그.
  2. 삭제
  3. 삭제
  4.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코팅하는 공정에 의해 기판의 제1 면에 제1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를 이용한 인쇄 공정에 의해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Chip)을 본딩하는 단계;
    슬롯 다이(Slot die)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Silicon ink)를 코팅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면에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칩을 보호하는 제2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각각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이 코팅된 상태에서, 압출 라미네이팅(Extrusion 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에 각각 제1 이형 필름(Release film) 및 제2 이형 필름을 점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태그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54655A 2015-04-17 2015-04-17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55A KR101686142B1 (ko) 2015-04-17 2015-04-17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55A KR101686142B1 (ko) 2015-04-17 2015-04-17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82A KR20160124382A (ko) 2016-10-27
KR101686142B1 true KR101686142B1 (ko) 2016-12-14

Family

ID=5724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655A KR101686142B1 (ko) 2015-04-17 2015-04-17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335B1 (ko) * 2018-12-12 2020-10-14 주식회사 이그잭스 Rfid 태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1707B1 (fr) * 1999-11-29 2002-02-15 A S K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arte a puce hybride contact- sans contact avec un support d'antenne en materiau fibreux
KR20100094138A (ko) * 2009-02-18 2010-08-26 (주)리테일테크 알에프아이디 태그, 알에프아이디 태그 부착 방법 및 도서 정보 초기화 방법
KR101754095B1 (ko) * 2011-04-29 2017-07-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세탁용 rfid 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82A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67426A1 (en) Micro-led transfer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US7821398B2 (en) RFID t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FID tag
JP2005129019A (ja) Icカード
KR20070100248A (ko) 기능성 소자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958345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circuit, printed circuit obtained by this method and electronic module comprising such a printed circuit
TWI530880B (zh) Ic卡/標籤用天線電路構成體及其製造方法
KR20120032390A (ko) Rfid 인렛, rfid 태그 및 이들의 제조 방법
US2006029051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FID transponder fabrication
JP4676196B2 (ja) Rfidタグ
JP2007150179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412897C (zh) 射频识别标签组件、射频识别标签以及射频识别标签部件
KR101686142B1 (ko) 무선 통신 태그 및 그 제조 방법
FI111881B (fi) Älykorttirain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104145280B (zh) 卡、卡的制造方法
KR100852127B1 (ko) 도전성 스폰지를 이용한 콤비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9061516A (ja) 識別体
US7768459B2 (en) Transponder card
US10843486B2 (en) Label issuance device and antenna
JP2007310482A (ja) Icカード、icカードの製造方法、icカードの製造装置、icカード用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icカード用基材の製造装置
KR100798839B1 (ko) 무선인식 태그 제조방법
US20060104041A1 (en) Hybrid card
JP5195241B2 (ja) 耐熱性icタグストラップ
KR100854104B1 (ko) Rfid 태그 제조 방법, rfid 태그 및 rfid태그용 전기 연결 부재
JP2005284813A (ja) Rf−idメディアの製造方法
JP4469639B2 (ja) Rf−idメディ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