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006B1 -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006B1
KR101686006B1 KR1020150121625A KR20150121625A KR101686006B1 KR 101686006 B1 KR101686006 B1 KR 101686006B1 KR 1020150121625 A KR1020150121625 A KR 1020150121625A KR 20150121625 A KR20150121625 A KR 20150121625A KR 101686006 B1 KR101686006 B1 KR 101686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series arm
filter
series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377A (ko
Inventor
토시아키 타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2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03H9/6483Ladder SAW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725Du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04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9/0009Impedance-matching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6423Means for obtaining a particular transfer characteristic
    • H03H9/6433Coupled resonator filters
    • H03H9/644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6456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 H03H9/6469Coupled resonator filter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oupled via two connecting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내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래더형 필터를 제공한다.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와, 병렬암 공진자(P1~P4)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 중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S1)의 메탈리제이션비가,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 중에서 가장 작으면서,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S1)의 전극 핑거 피치가,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의 전극 핑거 피치 중 가장 큰 래더형 필터.

Description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LADDER FILTER AND DUPLEXER}
본 발명은 복수의 탄성파 공진자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래더형 필터 및 상기 래더형 필터를 송신 필터로서 갖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래더형 탄성 표면파 필터가, 휴대 전화기의 듀플렉서의 송신 필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듀플렉서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래더형 탄성 표면파 필터의 복수의 직렬암(series-arm) 공진자 중 정전 용량이 가장 큰 직렬암 공진자가 송신 단자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3-168996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송신 단자, 즉 입력 단자에 가장 가까운 직렬암 공진자의 정전 용량을 가장 크게 함으로써, 내(耐)전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정전 용량이 커지면, 전기적 특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내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래더형 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는, 각각이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와,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지는 병렬암(parallel-arm) 공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중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의 메탈리제이션비(metallization ratio)가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중에서 가장 작으면서,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의 전극 핑거 피치가,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의 전극 핑거 피치 중 가장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어느 특정 국면에서는, 적어도 3개의 상기 직렬암 공진자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3개 이상의 직렬암 공진자를 갖기 때문에, 내전력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면서, 전기적 특성, 특히 VSWR 특성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가, 제1 분할 공진자와, 제1 분할 공진자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 분할 공진자를 갖도록 직렬 분할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내전력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또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고,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잇는 직렬암에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가, 복수의 상기 직렬암 공진자 중 입력 단자에 가장 가깝다. 가장 큰 전력이 인가되는 것은 입력 단자에 가장 가까운 직렬암 공진자이다. 따라서 내전력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면서, VSWR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의 열화가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는 송신 필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송신 필터에서는 내전력성이 보다 강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래더형 필터를 갖는 송신 필터와, 일단(一端)이 상기 송신 필터의 일단과 공통 접속되어 있는 수신 필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에서는 송신 필터에 있어서 내전력성의 향상과 VSWR 특성 열화의 억제가 도모되기 때문에, 송신 필터 뿐만 아니라, 수신 필터에서의 전기적 특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에 의하면 내전력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VSWR 특성이나 필터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듀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 및 비교예 1의 래더형 필터의 감쇠량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 및 비교예 1의 래더형 필터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 및 비교예 1의 래더형 필터의 송신 단자 측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Smith impedance chart)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래더형 필터에서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래더형 필터의 감쇠량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래더형 필터의 송신 단자 측 단부(端部)에서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래더형 필터의 송신 단자 측에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듀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3에서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래더형 필터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 및 비교예 3의 래더형 필터의 감쇠량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 및 비교예 3의 래더형 필터의 송신 단자 측 단부에서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 및 비교예 3의 래더형 필터의 송신 단자 측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명백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래더형 필터를 갖는 듀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듀플렉서(1)는 송신 필터(2)와 수신 필터(3)를 갖는다. 안테나 단자(4)에 공통 접속 단자(5)가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접속 단자(5)와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인덕턴스(6)가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송신 필터(2)는 입력 단자로서의 송신 단자(7)와, 출력 단자로서의 공통 접속 단자(5)를 갖는다. 또한 수신 필터(3)는 입력 단자로서의 공통 접속 단자(5)와, 출력 단자로서의 수신 단자(8)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듀플렉서는 Band 13에서 이용된다. Band 13에서는, 송신 대역은 777~787㎒이며, 수신 대역은 746~756㎒이다.
듀플렉서(1)에서는, 송신 필터(2)는 래더형 탄성 표면파 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이 래더형 탄성 표면파 필터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래더형 필터에 상당한다.
또한 수신 필터(3)는 공통 접속 단자(5) 측에 접속되어 있는 공진자(S11)를 갖는다. 공진자(S11)의 후단(後段)에, 종결합 공진자형(longitudinally-coupled-resonator-type) 탄성 표면파 필터(9)가 접속되어 있다. 종결합 공진자형 탄성 표면파 필터(9)는, 2개의 3IDT형 종결합 공진자형 탄성 표면파 필터를 종속(縱續; cascade) 접속한 구성을 하고 있다. 종결합 공진자형 탄성 표면파 필터(9)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공진자(P11)가 접속되어 있다.
송신 필터(2)에서는 입력 단자로서의 송신 단자(7)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직렬암 공진자(S1~S5)가 직렬암에 배치되어 있다. 직렬암 공진자(S1~S5)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병렬암 공진자(P1~P4)가, 송신 단자(7)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직렬암과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병렬암 공진자(P1)는 직렬암 공진자(S1)의 입력단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병렬암 공진자(P1)와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는 인덕턴스(L1)가 접속되어 있다.
병렬암 공진자(P2, P3)는 직렬암 공진자(S2)와 직렬암 공진자(S3) 사이의 접속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他端)끼리가 공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병렬암 공진자(P4)의 일단이 직렬암 공진자(S3, S4)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이 병렬암 공진자(P2, P3)와 공통 접속되어 있다. 병렬암 공진자(P2~P4) 중 공통 접속되어 있는 부분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인덕턴스(L2)가 접속되어 있다.
래더형 탄성 표면파 필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신 필터(2)의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 및 병렬암 공진자(P1~P4)는 모두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듀플렉서(1)는 LiTaO3 기판 상에 이들의 회로 구성을 실현하는 전극과, 상기 인덕턴스(6, L1, L2)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전극 재료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Al을 이용하고 있다. 단, 압전 기판 및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래더형 필터로 이루어지는 송신 필터(2)의 특징은, 입력 단자인 송신 단자(7)에 가장 가까운 직렬암 공진자(S1)의 정전 용량이,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의 정전 용량 중 가장 작으며,
1)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S1)의 메탈리제이션비가, 직렬암 공진자(S1~S5)의 메탈리제이션비 중 가장 작으면서,
2)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S1)의 전극 핑거 피치가,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S1~S5)의 전극 핑거 피치 중 가장 큰 것에 있다.
그에 따라, 정전 용량의 값을 크게 하지 않고 내전력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필터 특성이나 VSWR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을 구체적인 실험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메탈리제이션비란, 탄성 표면파의 전파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전극 핑거의 폭을 전극 핑거의 폭과 전극 핑거 사이의 간격의 합으로 나눈 비율이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송신 필터의 각 직렬암 공진자(S1~S5)의 설계 파라미터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83729807-pat00001
비교를 위해서, 직렬암 공진자(S1~S5)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는 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송신 필터를 제작했다.
Figure 112015083729807-pa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하듯이, 비교예 1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S5)의 메탈리제이션비, 즉 듀티(duty)는 모두 0.6으로 동일하다.
또한 직렬암 공진자(S1)의 전극 핑거 피치는, 직렬암 공진자(S1~S5) 중 최대가 아니다.
이에 비하여, 표 1로부터 명백하듯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의 듀티가 0.4로, 나머지의 직렬암 공진자(S2~S5)보다도 작다. 또한 인가 전력이 최대가 되는 송신 필터의 가장 입력 측에 배치되는 직렬암 공진자(S1)의 전극 핑거 피치는, 직렬암 공진자(S1~S5)의 전극 핑거 피치 중 최대로 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비교예 1에 있어서의 각 직렬암 공진자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특성은 송신 단자에 800㎽의 전력을 인가했을 경우의, 각 직렬암 공진자(S1~S5)의 단위 면적당 소비전력을 구한 것이다.
소비전력이 큰 직렬암 공진자일수록, 전극의 부하가 커진다. 따라서 IDT 전극이 인가 전력에 의해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electromigration)을 야기하여 파괴되기 쉽다. 즉, 내전력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1에서는 송신 단자(7)에 가장 가까운 직렬암 공진자(S1)의 소비전력이 가장 높다. 따라서 큰 전력이 인가되면 가장 발열이 커서 파괴되기 쉽다. 그러므로 내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렬암 공진자(S1)의 소비전력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하여, 도 2로부터 명백하듯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이 가장 높은 부분에서도, 비교예 1에 비해 소비전력이 약 25% 정도 낮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비해 IDT 전극의 내열 부하가 작아서, 내전력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비교예 1의 송신 필터의 감쇠량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선이 제1 실시형태의 결과를, 파선이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한 필터 특성이 얻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비교예 1의 송신 단자 측에서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선이 제1 실시형태의 결과를 나타내고, 파선이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로부터 명백하듯이, VSWR 특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특성이 거의 열화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에 있어서, 실선이 제1 실시형태의 결과를, 파선이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낸다. 임피던스 특성에 대해서도, 제1 실시형태는 비교예 1에 비해서 거의 저하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VSWR 특성, 필터 특성 및 임피던스 특성을 거의 열화시키지 않고, 내전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따른다고 생각된다.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S1)에 있어서, 메탈리제이션비, 즉 듀티를 가장 작게 하면서 전극 핑거 피치를 가장 크게 함으로써, 정전 용량의 값을 크게 바꾸지 않고 교차 폭 혹은 쌍수(number of pairs)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특성의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내전력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직렬암 공진자(S1~S5)의 설계 파라미터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는 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송신 필터를 갖는 듀플렉서를 제작했다.
Figure 112015083729807-pat00003
표 3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비교예 2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의 메탈리제이션비, 즉 듀티는 비교예 1과 동일하지만, 전극 핑거의 교차 폭을 크게 하여, 정전 용량을 비교예 1보다도 크게 했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도 7은 비교예 2에서의 각 직렬암 공진자(S1~S5)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도 10은 상기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전기적 특성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8~도 10에서 실선이 비교예 2의 결과를, 파선이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필터 특성을 나타내고, 도 9는 VSWR 특성을 나타내며, 도 10은 송신 단자 측에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이다.
도 8로부터 명백하듯이, 비교예 2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 대역에서 소비전력의 피크가 비교예 1보다도 약 15% 작아져 있다.
그러나 VSWR 특성에서는, 도 9로부터 명백하듯이, 송신 대역에서의 최소 VSWR가 1.13에서 1.38로 악화되고 있다. 또한 도 1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임피던스 특성에서도, 50Ω로부터 벗어나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에서의 스파이럴(spiral)의 확산이 커져, 악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워앰프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고려하면, 이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에서의 스파이럴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비교예 2에서는 비교예 1에 비해서 내전력성은 개선될 수 있지만, 전기적 특성의 열화, 특히 VSWR 특성이나 임피던스 특성의 열화가 크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필터를 포함한 듀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듀플렉서(21)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1~S6)를 송신 단자(7)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했다. 또한 병렬암 공진자(P1)의 일단은, 직렬암 공진자(S1, S2) 사이의 접속점과 접속했다. 또한 병렬암 공진자(P2)의 일단을, 직렬암 공진자(S3, S4) 사이의 접속점과 접속하고, 병렬암 공진자(P3)의 일단을 직렬암 공진자(S4, S5) 사이의 접속점과 접속했다. 병렬암 공진자(P4)의 일단이, 직렬암 공진자(S5, S6) 사이의 접속점과 접속되어 있다. 병렬암 공진자(P2~P4) 중 타단끼리를 공통 접속했다. 병렬암 공진자(P2~P4)의 공통 접속점과 그라운드 전위 사이에 인덕턴스(L2)를 접속했다. 또한 수신 필터(23) 측에서는, 일단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공진자(P11)를 마련하지 않았다. 듀플렉서(21)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듀플렉서(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듀플렉서(21)의 송신 필터(22)에서의 직렬암 공진자(S1~S6)의 설계 파라미터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83729807-pat00004
비교를 위해서, 직렬암 공진자(S1~S6)의 설계 파라미터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는 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듀플렉서를 제작했다.
Figure 112015083729807-pat00005
표 5로부터 명백하듯이, 비교예 3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4)의 정전 용량이 3.6pF로 가장 작다. 단, 직렬암 공진자(S4)의 듀티, 즉 메탈리제이션비는 다른 직렬암 공진자(S1~S3, S5, S6)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전극 핑거 피치에 대해서도, 직렬암 공진자(S4)의 전극 핑거 피치는 직렬암 공진자(S1~S6)에 있어서 최대가 아니다.
이에 비하여,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직렬암 공진자(S4)의 정전 용량이 가장 작아 3.7pF이다. 이 직렬암 공진자(S4)의 메탈리제이션비, 즉 듀티는 0.47로 최소이다. 또한 전극 핑거 피치는 2.664㎛로서, 직렬암 공진자(S1~S6) 중 최대이다.
도 12는 비교예 3의 직렬암 공진자(S1~S6)에서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의 직렬암 공진자(S1~S6)의 소비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송신 대역에 있어서 직렬암 공진자(S4)의 소비전력의 피크는 비교예 3에 비해 약 25% 정도 낮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전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4~도 16은 비교예 3과 제2 실시형태의 송신 필터의 전기적 특성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필터 특성을, 도 15는 VSWR 특성을, 도 16은 송신 단자 측에서의 스미스 임피던스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도 16에서 실선이 제2 실시형태의 결과를, 파선이 비교예 3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도 16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필터 특성, VSWR 특성 및 임피던스 특성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는 비교예 3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전기적 특성의 열화를 거의 일으키지 않고, 내전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를 대비하면, 송신 단자, 즉 전력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에 가장 가까운 직렬암 공진자(S1)에 본원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채용한 제1 실시형태 쪽이, 내전력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비해 제1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직렬암 공진자에 비해 정전 용량이 작은 직렬암 공진자(S1)가, 합성된 정전 용량이 직렬암 공진자(S1)의 정전 용량과 동일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분할 공진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분할 공진자인 것이, 직렬 분할 공진자 사이의 임피던스, 또는 공진 주파수 차이에 따른 손실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래더형 필터는, 다양한 대역 통과형 필터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데, 내전력성의 개선이 보다 강하게 요구되는 듀플렉서의 송신 필터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다.
1: 듀플렉서 2: 송신 필터
3: 수신 필터 4: 안테나 단자
5: 공통 접속 단자 6: 인덕턴스
7: 송신 단자 8: 수신 단자
9: 종결합 공진자형 탄성 표면파 필터
21: 듀플렉서 22: 송신 필터
23: 수신 필터 P1~P4: 병렬암 공진자
P11: 공진자 S1~S6: 직렬암 공진자
S11: 공진자 L1, L2: 인덕턴스

Claims (6)

  1. 각각이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렬암(series-arm) 공진자와, 탄성 표면파 공진자로 이루어지는 병렬암(parallel-arm) 공진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중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직렬암 공진자의 메탈리제이션비(a metallization ratio)가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중에서 가장 작으면서,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의 전극 핑거 피치가,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의 전극 핑거 피치 중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형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직렬암 공진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형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가, 제1 분할 공진자와, 제1 분할 공진자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 분할 공진자를 갖도록 직렬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형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고,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잇는 직렬암에 상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정전 용량이 가장 작은 상기 직렬암 공진자가, 복수의 상기 직렬암 공진자 중 입력 단자에 가장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형 필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형 필터는 송신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형 필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래더형 필터를 갖는 송신 필터와, 일단(一端)이 상기 송신 필터의 일단과 공통 접속되어 있는 수신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KR1020150121625A 2014-09-03 2015-08-28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 KR101686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9347 2014-09-03
JP2014179347A JP6344161B2 (ja) 2014-09-03 2014-09-03 ラダー型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77A KR20160028377A (ko) 2016-03-11
KR101686006B1 true KR101686006B1 (ko) 2016-12-13

Family

ID=5540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625A KR101686006B1 (ko) 2014-09-03 2015-08-28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4278B2 (ko)
JP (1) JP6344161B2 (ko)
KR (1) KR101686006B1 (ko)
CN (1) CN105391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3256B2 (ja) * 2016-06-29 2020-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及び通信装置
DE112017004855T5 (de) * 2016-09-28 2019-06-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bzweigfilter
CN109863695B (zh) * 2016-10-28 2024-03-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梯型滤波器、双工器以及弹性波滤波器装置
JP6593554B2 (ja) * 2016-12-22 2019-10-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共振子、弾性表面波フィルタおよびデュプレクサ
WO2018235689A1 (ja) * 2017-06-20 2018-1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フィルタ装置、複合フィルタ装置及びマルチプレクサ
JP7068974B2 (ja) * 2018-09-06 2022-05-17 太陽誘電株式会社 ラダー型フィルタ及びマルチプレクサ
JP7213747B2 (ja) * 2019-04-25 2023-01-27 京セラ株式会社 弾性波フィルタ、分波器および通信装置
CN116584038A (zh) * 2020-12-22 2023-08-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复合滤波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996A (ja) 2009-04-23 2013-08-29 Panasonic Corp アンテナ共用器と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378A (ja) 1999-07-16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弾性波装置
JP3963253B2 (ja) * 2001-12-14 2007-08-2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弾性表面波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分波器
JP4056762B2 (ja) * 2002-02-25 2008-03-05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US7109828B2 (en) * 2002-04-15 2006-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ensor both using same
JP3844725B2 (ja) * 2002-09-30 2006-11-15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弾性表面波フィルタ、それを有する弾性表面波分波器
JP3827232B2 (ja) 2003-05-13 2006-09-27 Tdk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波器
US7479847B2 (en) * 2003-11-20 2009-01-20 Panasonic Corporation Filter using piezoelectric resonator
JP2007074698A (ja) * 2005-08-08 2007-03-22 Fujitsu Media Device Kk 分波器及びラダー型フィルタ
JP5039290B2 (ja) * 2005-08-25 2012-10-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フィルタおよびアンテナ分波器
CN102017406B (zh) * 2008-04-25 2014-02-26 京瓷株式会社 声表面波装置和使用该装置的通信装置
CN102449905B (zh) * 2009-06-04 2014-06-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谐振器、梯形滤波器及双工器
EP2533422A3 (en) * 2010-01-28 2013-07-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Tunable filter
DE102010046794B4 (de) 2010-09-28 2015-07-16 Epcos Ag Mit akustischen Wellen arbeitendes Filter mit verringerten Nichtlinearitäten
JP4793506B2 (ja) * 2010-11-26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共用器
JP2012156741A (ja) * 2011-01-26 2012-08-16 Panasonic Corp アンテナ共用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996A (ja) 2009-04-23 2013-08-29 Panasonic Corp アンテナ共用器と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77A (ko) 2016-03-11
US9614278B2 (en) 2017-04-04
CN105391417A (zh) 2016-03-09
CN105391417B (zh) 2018-10-30
JP2016054393A (ja) 2016-04-14
JP6344161B2 (ja) 2018-06-20
US20160065174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006B1 (ko) 래더형 필터 및 듀플렉서
JP6024863B1 (ja) ラダー型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JP5088412B2 (ja) ラダー型弾性波フィルタ
EP2416496A1 (en) Elastic wave filter
KR101914890B1 (ko) 래더형 필터, 탄성파 필터 모듈 및 듀플렉서
WO2014192754A1 (ja) 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
KR20160091279A (ko) 래더형 필터
JP2013081068A (ja) ワンチップ漏洩表面弾性波装置
KR102312071B1 (ko) 멀티플렉서
CN110582937B (zh) 弹性波装置、滤波器以及复合滤波器装置
CN107306122B (zh) 弹性波滤波器装置
US10523174B2 (en) Elastic wave device
WO2016031391A1 (ja) ラダー型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US9197193B2 (en) Signal separation apparatus
KR102656794B1 (ko) 탄성파 필터 및 멀티플렉서
KR101905320B1 (ko) 탄성파 필터 장치
CN109863695B (zh) 梯型滤波器、双工器以及弹性波滤波器装置
CN218514362U (zh) 多工器
US7880561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evice and duplexer
JP5842513B2 (ja) ラダー型フィルタ
WO2017115562A1 (ja) 弾性波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JP2006279602A (ja) 分波器
KR20230021137A (ko) 탄성파 필터, 고주파 모듈 및 멀티플렉서
CN117981223A (zh) 弹性波滤波器
CN116195186A (zh) 纵耦合谐振器型弹性波滤波器及弹性波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