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308B1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308B1
KR101684308B1 KR1020140076296A KR20140076296A KR101684308B1 KR 101684308 B1 KR101684308 B1 KR 101684308B1 KR 1020140076296 A KR1020140076296 A KR 1020140076296A KR 20140076296 A KR20140076296 A KR 20140076296A KR 101684308 B1 KR101684308 B1 KR 10168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tat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e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347A (ko
Inventor
타케루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25Inhibiting a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본 화상형성장치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절전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화상형성장치의 주위의 물체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검지부에 의한 물체의 검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절전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에 이행시킴과 아울러, 접수부에서 접수된 유저의 조작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절전상태에 이행시키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한다. 전력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상기 절전상태에 이행하기 위해 상기 접수부에서 접수된 유저의 조작 후 상기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물체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 이행하는 것을 금지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실시예들의 개시된 일 국면은, 인체 검지 기술을 사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전력 모드 전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전력 모드를 갖고, 그 전력 모드에 따라 장치내의 전원을 절단하는 절전 모드를 지원한다. 그러나,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에 시간이 걸려, 편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58645호에는, 사람이 화상처리장치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그 장치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도록 종래의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인감(human presence) 센서를 사용하여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29395호에 개시된, 유저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는 절전 키가 구비된 화상처리장치도 있다. 이 절전 키가 눌려진 후,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에 이행한다.
그렇지만,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58645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29395호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인감 센서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절전 키가 눌려져서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절전 키가 눌려진 이후로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에 이행하지만, 화상형성장치의 앞에 있는 절전 키를 누른 유저가 인감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이에 따라, 비록 절전 키가 눌렸을지라도, 화상형성장치가 통상의 전력 모드에 복귀해버려, 절전이 실현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적어도, 제 1 전력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적은 제 2 전력 상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화상형성장치 주위의 사람을 검지하는 검지부; 및 상기 검지부에 의한 사람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고,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를 행하는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동안,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제1인감 센서 및 제2인감 센서의 검지 범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급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급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다.
도 10a 및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감 센서 어레이의 검지 범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12d는 인감 센서 어레이의 반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급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다.
이하, 본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개시된 일 특징을, 보통, 흐름도, 순서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된 공정으로서 기재하여도 된다. 비록 흐름도에서는 그 동작을 순서적 공정으로서 기재하고 있을지라도, 다수의 동작을 병렬로 또는 동시에 행하여도 된다. 추가로, 그 동작의 순서를 재배열할 수도 있다. 그 동작을 완료할 경우 하나의 공정이 종료된다. 일 공정은, 방법, 프로그램, 과정 등에 해당하기도 하다. 물리적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에 의해 일 실시예를 기재할 수도 있다. 그 개략도는 기본 개념을 예시하고, 그 구조를 정확한 비율로 크기를 조정하거나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절전 키가 눌려진 후의 인감 센서의 검지에 의한 절전상태로부터의 불필요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제1 실시예
도 1a 및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화상형성장치의 정면도에 대응하고, 도 1b는 화상형성장치의 평면도에 대응한다.
참조번호 100은,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조작부(101), 스캐너(102), 빌트인(built-in) 피니셔(103), 급지 카세트(104)등을 갖고, 카피, 프린트, 팩시밀리, 스캔등의 기능을 가진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상의 전력 모드, 통상의 전력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예를 들면, 전력)이 적은 제2 절전 모드, 및 제2 절전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예를 들면, 전력)이 적은 제1 절전 모드를 갖고, 이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통상의 전력 모드, 제1 절전 모드, 및 제2 절전 모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를, 각각, 제1 전력상태, 제2 전력상태, 및 제3 전력상태라고 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적어도 제1 전력상태와 상기 제2 전력상태간에 전환하여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제1인감 센서(230)와, 제2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제2인감 센서(231)를 가진다. 제1인감 센서(230)와 제2인감 센서(231)는, 초전도 센서나 반사 센서등의 물체를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한다.
제1인감 센서(230)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접근하는 사람을 광범위에서 검지하는 제1 검지부이며, 예를 들면 초전도 센서를 사용하여 인체등의 물체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2인감 센서(231)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접근하는 사람을 제1인감 센서(230)보다 좁은 범위에서 검지하는 제2 검지부이며, 예를 들면 반사 센서를 사용하여 인체등의 물체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인감 센서(230) 및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 범위의 일례를 도 2a 및 2b에 나타낸다.
도 2a 및 2b는, 제1인감 센서(230) 및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 범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면도에 대응하고, 도 2b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평면도에 대응한다. 도 2a 및 2b에 있어서, 참조번호 111은 제1인감 센서(230)의 검지 범위를 나타내고, 112는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 범위를 나타낸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정보처리장치(226)는, 근거리 통신망(LAN) 인터페이스(217)를 통해 LAN(224)에 접속되어, 팩스(225)를 통해 전화 회선(223)에 접속된다.
중앙처리장치(CPU)(204)는, 정보처리장치(226)의 전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6)는, CPU(204)가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제어할 때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격납하는데 사용된다. 판독전용 메모리(ROM)(205)는, CPU(204)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기동 프로그램이나, 각종 설정값등을 기억하고 있다. 스토리지(207)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등의 기억장치이며, 각 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209)는, CPU(204)의 제어하에 조작부(213)를 제어한다. 조작부(213)는, 조작용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패널, 절전 키(214)를 포함하는 하드 키를 구비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된 지시를 접수한다.
스캐너 인터페이스(210)는, CPU(204)의 제어하에 스캐너(215)를 제어한다. 스캐너(215)는 원고대에 배치되거나 또는 자동 문서 급지기(ADF)를 통해 움직이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을 생성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211)는 CPU(204)의 제어하에 프린터(216)를 제어한다. 프린터(216)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종이에 인쇄한다.
팩스 인터페이스(208)는, CPU(204)의 제어하에 팩스(225)를 제어한다. 팩스(225)는, 모뎀(218), CPU(219), RAM(221), ROM(220), 및 수신 검지부(222)로 구성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전화 회선(223)으로 접속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모뎀(218)은, 팩스(225)의 송/수신을 위한 변조를 행한다. CPU(219)는, 팩스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정보처리장치(226)와 연계해서 팩스(225)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RAM(221)은, CPU(219)가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제어할 때에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ROM(220)은, 팩스(225)의 기동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이나 각종 설정 값등을 기억하고 있다. 팩스(225)의 CPU(219), RAM(221) 및 ROM(220)의 기능을, 정보처리장치(226)내에 구비하여도 된다.
LAN콘트롤러(212)는, CPU(204)의 제어하에 LAN 인터페이스(217)를 제어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네트워크(224)에 접속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전원부(202)로부터 필요한 장소에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능을 가진다. 통상의 전력 모드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블록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이때, 필요한 기능에만 급전하는 형태를 취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이 형태를 기재하지 않는다.
제1 절전 모드에서는,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부의 블록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도 3b에서 그레이 표시된 부분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제1 절전 모드에서의 전원공급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201)으로부터 전원부(202)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부(202)로부터 전원공급되는 블록은, RAM(206), 제1인감 센서(230),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 팩스 인터페이스(208), 수신 검지부(222), 절전 키(214), 조작부 인터페이스(209), LAN콘트롤러(212), 및 LAN 인터페이스(217)이다. 이때, RAM(206) 전체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는 없고, 필요한 경우에만 공급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조작부(213)의 절전 키(214)만이 급전을 수신하는 것을 기재했지만, 유저의 터치를 인식하는 기능등의 다른 전원급전 상태에의 이행 조건에 따라 조작부(213)에 급전해도 된다.
다음에, 제1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신 검지부(222)가 팩스수신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수신 검지부(222)로부터 전원제어부(203)에 팩스 인터페이스(208)를 경유해서 이행 명령을 송신하여서, 전력 모드를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 LAN 인터페이스(217)가 LAN콘트롤러(212)를 거쳐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이 필요한 프린트 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LAN콘트롤러(212)로부터 전원제어부(203)에 이행 명령을 송신하여서, 전력 모드를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
유저가 절전 키(214)를 누른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조작부 인터페이스(209)를 경유해서 전원제어부(203)에 이행 명령을 송신하고, 전력 모드를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조작부(213)의 절전 키(214)만이 전원공급을 수신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유저의 터치를 인식해서 인터럽션을 전원제어부(203)에 송신하는 구성을 이루어도 된다. 지금까지 서술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상세한 플로우나 제2 절전 모드에의 이행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플로우의 도중에 이행 명령을 전원제어부(203)가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제1 절전 모드로부터 제2 절전 모드에의 이행 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제1인감 센서(230)로부터 전원제어부(203)에 제2 절전 모드에의 이행 명령을 송신하고, 전원제어부(203)는 제2 절전 모드에 이행한다. 제2 절전 모드에서는, 도 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부의 블록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도 3c에서 그레이 표시된 부분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제2 절전 모드와 제1 절전 모드의 차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절전 모드에서는, 제2인감 센서(231)에 급전을 행한다.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은 제2 절전 모드를 유지한다. 제1인감 센서(230)가 더 이상 사람을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인감 센서(230)는 전원제어부(203)에 제1 절전 모드에의 이행 명령을 송신하고, 제1 절전 모드에 이행한다. 제2인감 센서(231)가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를 거쳐, 전원제어부(203)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명령을 송신하고,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제2인감 센서(231)로부터 전원제어부(203)에의 신호(상기의 통상전력 모드에의 이행 명령)를 제한한다.
다음에, 인감 센서를 사용한 전력 모드 이행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급전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201)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은, 스위치310 및 스위치312에 입력된다. 스위치310은, 전원제어부(203)가 온(on) 할 수 있거나 유저가 수동으로 온할 수 있는 시소 스위치나, 버튼 스위치등으로 구성된다. 스위치310이 온 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원제어부(203)로부터 스위치311에 턴온(turn-on) 명령512, 스위치312에 턴온 명령513을 송신하고,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해도 된다. 제1전원부(300)는, 스위치310이 온 함으로써 전원의 공급을 수신하고, 제1 절전 모드하에서 동작한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의 도시로부터, 팩스 인터페이스(208)와 조작부 인터페이스(209)를 생략하고 있지만, 이것에도 제1전원부(300)로부터 급전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스위치(311)가 온 되었을 경우, 제1전원부(300)로부터 제2전원부(301)에 급전된다. 제2전원부(301)는, 제2 절전 모드하에서 동작하는 블록들에 전원공급한다. 제1 절전 모드로부터 제2 절전 모드에 이행하는 조건은, 제1인감 센서(230)에 의한 사람의 검지다. 스위치311 및 스위치312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나 릴레이 스위치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1인감 센서(230)는, 사람을 검지했을 때, 전원제어부(203)에 스위치(311)를 온으로 하는 의뢰 신호(511)를 송신한다. 전원제어부(203)는, 그 의뢰 신호(511)를 수신하면, 스위치(311)에 턴온 명령(512)을 송신하고, 제2전원부(301)에 급전이 된다.
다음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조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원제어부(203)가,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데 필요한 의뢰 신호를 하나라도 수신하는 경우에, 전력모드가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 이하, 상기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 의뢰 신호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LAN콘트롤러(212)는, 인쇄 잡등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원제어부(203)에 의뢰 명령(501)을 송신한다. 또한, 수신 검지부(222)는, 팩스의 수신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원제어부(203)에 의뢰 명령(502)을 송신한다. 이때, 절전 키(214)가 유저에 의해 눌렸을 경우에, 절전 키(214)는 전원제어부(203)에 의뢰 명령(503)을 송신한다. 또한, 절전 키(214)가 유저에 의해 눌렸을 경우에는, 절전 키(214)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 무효 플래그 처리를 위한 신호 530을 출력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어느 한쪽의 상기 이행 의뢰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스위치(312)에 턴온 명령(513)을 송신하고, 제3전원부(302)가 급전된다. 제3전원부(302)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서 사용된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의 도시로부터 스캐너 인터페이스(210)와 프린터 인터페이스(211)를 생략하고 있지만, 이것들에도 제3전원부(302)로부터 급전이 된다. 전원(201)으로부터 급전된 전원은, 제1전원부(300), 제2전원부(301) 및 제3전원부(302)의 3종류로 분리되어서 공급된다.
다음에, 제2인감 센서(231)에 근거하는 이행 의뢰 신호(504)의 출력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인감 센서(231)는,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검지 신호(531)를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 송신한다.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절전 키(214)를 조작해서 절전 모드에의 이행을 지시한 사람이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떠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제2인감 센서(231)에 의거한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전 키(214)로부터 절전 모드에 이행 지시가 되고나서, 인감 센서(예를 들면,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을 계속 검지하는 경우에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이행 의뢰 신호(504)의 출력을 제한한다. 절전 키(214)이외에 의한 절전 모드에 이행했을 경우, 또는 절전 키(214)에 의한 절전 모드 이행 지시 후에 인감 센서가 사람을 비검지할 경우,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이행 의뢰 신호(504)의 출력 제한을 해제한다. 인감 센서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는, 전원제어부(203)로부터의 송신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인감 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 송신해서 판정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인감 센서는 제1인감 센서(230)인 것으로서 기재하였지만,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서는, 절전 키(214)를 사용해서 절전 모드에의 이행을 지시한 사람이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을 떠난 것이라고 판정할 수 있으면 어떻게 해서든 판정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서는, 제1인감 센서(230)와 제2인감 센서(23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검지 상태를 기준으로서 판정해도 된다. 이하, 제1인감 센서(230)가 검지를 계속하고 있으면,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가 이행 의뢰 신호(504)를 제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 의한 이행 의뢰 신호(504)의 출력 제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절전 키(214)가 눌리면, 절전 키(214)로부터 무효 플래그(600)에 신호(530)가 출력된다. 신호 530은, 제2인감 센서(231)에 근거하여,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 504의 출력 제한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절전 키(214)가 눌리면, 절전 키(214)로부터 도면에서 생략된 절전 모드 이행 지시가 출력되고, 이 지시를 수신한 후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모드에 이행한다.
절전 키(214)로부터의 절전 모드 이행 지시하에 절전 모드에 이행했을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제한하도록, 무효 플래그(600)에 신호 532를 계속해서 출력한다. 신호 532는, 제1인감 센서(230)의 검지 신호이어도 된다.
무효 플래그(600)는, 디폴트에서, 신호(이하,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 599를 "1"로 한다. 절전 키(214)로부터 신호 530을 수신하면, 무효 플래그(600)는, 신호 532의 수신이 중지할 때까지,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유지한다. 한층 더, 신호 532의 수신이 중지하면,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되돌리고, 재차, 그 신호 530을 수신할 때까지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한다. 로직(601)은,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인 상태에서 신호 531을 수신하면, 제2인감 센서(231)에 근거하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출력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절전 키(214)가 눌려지면(S11에서 YES), 절전 키(214)로부터 신호 530이 무효 플래그(600)에 출력되어, 무효 플래그(600)가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설정한다(S12).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에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 504는 제한된다. 또한, 절전 키(214)가 눌려지면,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모드에의 이행 처리를 행한다(S14). 여기에서는, 이행하는 절전 모드는, 제1 절전 모드 또는 제2 절전 모드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절전 키(214)가 눌려지지 않고 있지만(S11에서 NO), 절전 키(214)의 눌림이외의 조건에 의해 상기 절전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S13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모드에의 이행 처리를 행한다(S14). 이 경우에,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는 "1"로 설정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에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504)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절전 키(214)이외의 절전 모드 이행 조건으로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1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이 있다.
절전 모드에 이행한 후, 전원제어부(203)는, 제1인감 센서(230)가 검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40). 제1인감 센서(230)가 검지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40에서 YES), S41에 진행하고; 검지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S42에 진행한다.
S41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1 절전 모드이면, 제2 절전 모드에 이행하고, 제2인감 센서(231)에 급전을 행한다.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2 절전 모드이면, 전원제어부(203)는 전력상태를 계속한다.
S42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2 절전 모드이면, 제1 절전 모드에 이행하고, 제2인감 센서(231)에의 급전을 정지한다.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1 절전 모드이면, 전원제어부(203)는, 전력상태를 계속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S15에서 NO),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제2인감 센서(231)로부터의 검지 신호 531에 따라,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출력할 수 있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S15에서 YES),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의 검지 상태에 근거하는 전원제어부(203)로부터의 신호 532에 따라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S15에서의 인감 센서는, 상기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을 벗어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제1인감 센서(230) 또는 제2인감 센서(231) 중 한쪽이어도 되거나, 제1인감 센서(230)와 제2인감 센서(231)의 양쪽이 판정에 사용되어도 된다.
인감 센서가 검지 상태에 있는 경우(S16에서 NO), 전원제어부(203)로부터 신호 532의 출력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유지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제2인감 센서(231)로부터 검지 신호 531이 입력되어도,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인감 센서가 비검지가 되었을 경우(S16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로부터 신호 532의 출력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변경한다(S17).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S15에서 NO),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이 경우에는 제1인감 센서(230))의 검지 상태에 근거하는 전원제어부(203)로부터의 신호 532에 관계없이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이고 제2인감 센서(231)로부터 검지 신호 531이 입력되는 경우,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송신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의뢰 신호 511, 501, 502, 503 및 504를 전혀 수신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다고 판정해(S18에서 NO), S40에 되돌아가고, 제1인감 센서(230)가 검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의뢰 신호 511, 501, 502, 503 및 504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해(S18에서 YES),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행한다(S19).
또한,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 504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제2인감 센서(231)가 사람을 검지하는 경우에도,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한편,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 504는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제2인감 센서(231)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이 만족된다.
이상과 같이, 절전 키(214)가 눌려서 절전 모드에 이행되었을 경우,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을 벗어날 때까지, 인감 센서 작동에 의한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절전 키가 눌려진 후의 인감 센서의 검지에 의한 절전모드로부터의 불필요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저감과 장치 부품의 수명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설명에서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가 이행 의뢰 신호 504의 출력을 제한하여,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는 구성을 기재하였다. 그러나,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제어부(203)가 직접,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 신호(531)를 직접, 전원제어부(203)에 입력한다. 절전 키(214)가 눌리고, 또한 인감 센서(예를 들면, 제1인감 센서(230))의 검지가 있는 경우에, 전원제어부(203)는, 검지 신호(531)의 입력을 무시한다. 이것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각 처리는, 전원제어부(203)내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전원제어부(203)가 판독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S11에 있어서,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키(214)가 눌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절전 키(214)가 눌려졌다고 판정했을 경우(S11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S12에 이행한다. S12에 있어서,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설정하고, S14에 이행한다. 이 플래그는, 전원제어부(203)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고, 디폴트에서 "1"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S11에 있어서, 절전 키(214)가 눌리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1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13에 이행한다. S13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모드에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킨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절전 모드에의 이행 조건의 판정 자체는 CPU(204)가 행하고, CPU(204)로부터 절전 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받으면,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모드에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단한다.
S13에서는, 절전 모드에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3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11에 이행한다. 한편, 절전 모드에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했을 경우(S13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S14에 이행한다.
S14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에 이행하는 처리를 행하고, S40에 이행한다. 이 절전 모드는 제1 절전 모드라도 좋거나, 제2 절전 모드라도 좋다.
S40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S41에 진행하고, 검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42에 진행한다.
S41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1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제2 절전 모드에 이행하고, 제2인감 센서(231)에 급전을 행한다. 한편,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2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전력상태를 계속하고, S15에 이행한다.
S42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2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제1 절전 모드에 이행하여, 제2인감 센서(231)에의 급전을 정지한다. 한편, 전원제어부(203)는, 그 때의 전력 모드가 제1 절전 모드인 경우에는, 전력상태를 계속하고, S15에 이행한다.
S15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15에서 YES), S16에 진행하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15에서 NO), S18에 진행한다.
S16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예를 들면, 제1인감 센서(230))가 비검지 상태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가 비검지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6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설정하고(S17), S40에 이행한다. 한편, 인감 센서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6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18에 이행한다.
S18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킨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이고 신호 531, 511, 501, 502 및 503 중 어느 하나를 수신했을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한다. 한편,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고 신호 511, 501, 502 및 503 중 어느 하나를 수신했을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하지만, 신호 531을 수신하는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시 말해,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 제2인감 센서(231)에서의 검지에 근거하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한다.
전원제어부(203)가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8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40에 이행한다. 한편,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했을 경우(S18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다(S19).
또한, 절전 키(214)로부터 절전 모드에 이행 지시가 되고, 또한, 제1인감 센서(230)가 사람의 존재를 계속 검지하고 있는 경우, 제2인감 센서(231)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여서, 제2인감 센서(231)에서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의 개요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가 그 근방을 벗어난 것을 화상형성장치(100)가 검지하여, 불필요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고나서 잡이 없는 경우, 오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로부터의 복귀라고 판정하고, 절전 키(214)를 눌렀던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센서를 사용한 전력 모드 이행에 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도 4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급전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후에 잡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CPU(204)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에 신호 533을 송신한다. 신호 533은, 제2인감 센서(231)의 인감 검지에 근거하는 이행 의뢰 신호 504의 출력을 유효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후에 잡이 없고, 절전 키(214)가 눌렸을 경우, CPU(204)로부터 무효 플래그(600)에 신호 533이 출력된다. 무효 플래그(600)는, 그 신호 533을 수신하면, 무효 플래그(600)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된 잡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이 잡 플래그는, 디폴트에서 "0"으로 되어 있다. 잡 플래그가 "0"이고 무효 플래그(600)가 절전 키(214)로부터 신호 530을 수신하면, 무효 플래그(600)는, 신호 532의 수신이 중지할 때까지,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유지한다. 한편, 잡 플래그가 "1"이고 무효 플래그(600)가 절전 키(214)로부터 신호 530을 수신하면,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5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CPU(204)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S20) 후에, 카피나 스캔등의 잡이 행해졌을 경우(S21에서 YES), 신호 533을, 무효 플래그(600)에 출력한다. 신호 533을 수신하면, 무효 플래그(600)는, 잡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한편,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S20) 후에, 카피나 스캔등의 잡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S21에서 NO), CPU(204)는, 그 신호 533을 출력하지 않는다. 무효 플래그(600)는, 신호 533을 수신하지 않으면, 잡 플래그를 "0"으로 유지한다.
절전 키(214)가 눌려지는 경우(S11에서 YES), 절전 키(214)로부터 신호 530이 무효 플래그(600)에 출력된다. 무효 플래그(600)는 신호 530을 수신하고, 잡 플래그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24에서 YES),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설정한다(S12).
한편, 무효 플래그(600)는, 신호 530을 수신해도, 잡 플래그가 "1"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24에서 NO),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한다. 이후의 동작은, 도 6의 경우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후에 잡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기준에 넣음으로써, 오검지로 인해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면서, 전력 모드의 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키(214)가 눌려진 후의 인감 센서의 검지에 의한 절전 모드로부터의 불필요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저감과 장치 부품의 수명의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가 이행 의뢰 신호(504)의 출력을 제한하여서,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제어부(203)가 직접, 제2인감 센서(231)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만 설명한다. 이 경우, CPU(204)로부터의 신호 533을 직접 전원제어부(203)에 입력하고, 전원제어부(203)내에 잡 플래그를 기억한다. 절전 키(214)가 눌리고 상기 잡 플래그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검지 신호(531)의 전원제어부(203)에의 입력은 무시된다. 이하, 이것은,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9에 나타낸 각 처리는, 전원제어부(203)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전원제어부(203)가 판독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전원제어부(203)는, CPU(204)로부터 신호 533을 수신했을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S20) 후에 카피나 스캔등의 잡이 행해졌다고 판단해(S21에서 YES), 잡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S22), S11에 이행한다. 한편,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S20) 후에, CPU(204)로부터 신호 533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S20) 후에 카피나 스캔등의 잡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다(S21에서 NO). 이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잡 플래그를 "0"으로 유지해(S23), S11에 이행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키(214)가 눌려졌다고 판정했을 경우(S11에서 YES), S24에 이행한다. S24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잡 플래그가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잡 플래그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24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설정하고, S14에 이행한다. 한편, 잡 플래그가 "0"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S24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하고, S14에 이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의 개요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를 2개 사용하여 전력 모드의 이행을 행할 경우의 불필요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된 인감 센서 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인감 센서로 불필요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한다.
도 10a 및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화상형성장치의 정면도에 대응하고, 도 10b는 화상형성장치의 평면도에 대응한다. 도 10a 및 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구비한다.
도 11은,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검지 범위(115)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의 트리거(trigger)로서 사용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적외선 센서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된 것이며, 센서 검지 범위를 복수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마다 인체등의 물체를 검지할 수 있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고, 에어리어내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람의 움직임도 상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사람을 검지한 영역의 위치를 영역 위치 정보로서 상기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초전도 센서나 반사 센서 등의 적외선 센서의 N×M어레이다(본 실시예에서는, 초전도 센서를 8×8어레이로 형성한 일례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초전도 센서는 패시브형의 인감 센서로, 온도를 가지는(열원) 인체등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된 적외선에 의한 온도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인체를 검출하는 인감 센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구성하는 센서 어레이는, 초전도 센서 어레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종류의 인감 센서 어레이이어도 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초전도 센서나 반사 센서등을 복수로 배열하고 상세하게 인감을 파악할 수 있으면, 어떤 종류의 센서 어레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열원에 근거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서 초전도 어레이 센서를 사용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a 내지 12d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반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사람이 가까이 없는 경우의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반응을 나타낸다. 사람의 열원을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검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센서가 반응하지 않고 있다.
도 12b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 트리거가 되는 조건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검지 에어리어의 중앙에 열원이 발생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람이 접근하였다고 판정하고,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시킨다.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동안 이 에어리어의 반응이 계속했을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센서 정보를 추출하고, 소정 횟수(2회 이상) 상기 반응이 계속하는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시켜도 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열원이 도 12b에 나타낸 범위에 반응이 있었을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2c 및 도 12d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3a 및 13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 도 3a 내지 3c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는, 제1인감 센서(230)와 제2인감 센서(231)의 2개의 인감 센서를 가진다.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피하기 위해서, 제1 절전 모드와 제2 절전 모드로서, 인감 센서에 대하여 급전하는 전력 모드를 전환한다.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사용함으로써, 절전 모드가 하나뿐이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사용해서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는 경우는,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에서 소정의 조건(도 12b)을 충족시키는 경우다.
도 13a는 통상의 전력 모드로 급전되는 블록들을 나타내고, 도 13b는 절전 모드로 급전되는 블록들을 나타낸다. 도 13b에서 그레이 표시된 부분에는, 절전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
이하, 센서를 사용한 전력 모드 이행에 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전원급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가,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의뢰 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에 신호 531과 신호 534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 531과 신호 534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 열원을 검지한 영역의 위치를 식별 가능한 신호이며,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에서 상기 이행 의뢰 신호의 출력을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제1 열원을 검지했을 경우에 신호 531을 출력하고, 제2 열원을 검지했을 경우에 신호 534를 출력한다. 그러나,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열원을 검지했을 때 신호 531만을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에 출력하고,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신호 531이 나타내는 열원의 검지 위치부터, 제2 열원의 검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에 의한 이행 의뢰 신호(504)의 상세한 출력 제한을 설명하겠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사용함으로써 상세하게 유저의 움직임을 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2c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열원이 있는 경우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제1 열원인 열원 1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조건판정 회로(603)에 신호 531을 출력하고, 제2 열원인 열원 2를 검지했을 경우에는, 조건판정 회로(603)에 신호 534를 출력한다.
조건판정회로(603)는, 신호 531의 상태로부터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을 기초로 이행 의뢰 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신호 536을 로직(601)에 출력한다. 또한, 조건판정회로(603)는, 신호 534의 상태로부터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을 기초로 이행 의뢰 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신호 537을 로직(602)에 출력한다.
도 12d와 같이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를 검지하고 있는 동안, 무효 플래그(600)에 의하여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으로 설정되고, 신호 536의 출력 제한이 행해지고,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이 제한된다. 도 12c와 같이,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인 열원 1에 대하여,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하는 동작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유저인 열원 2에 대하여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유효하게 한다.
절전 키(214)가 눌렸을 경우에, 절전 키(214)로부터 무효 플래그(600)에 신호 530을 송신하고,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의 이행 의뢰 신호 536을 무효로 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비검지를 하는 경우에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는 무효 플래그(600)에 신호 535를 출력하고,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의 의뢰 신호 536을 유효하게 한다. 또한,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인 열원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 그 때에 이 열원과는 별개의 열원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조건판정회로(603)에 신호 534를 출력한다. 신호 534에 따른 검지 상태가 이행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조건판정회로(603)는, 로직(602)에 의뢰 신호 537을 출력하고,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기 위해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출력한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모드 이행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S11∼S14의 처리는, 도 6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S15에서 YES),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의 검지 신호(535)에 따라 변경되도록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제어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검지 상태에 있을 경우(S16에서 NO),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신호 535의 출력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유지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검지 신호(531)가 입력되어서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도 12b)을 만족시킨 경우에도,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송신하지 않는다. 이때, 도 12b와 같은 조건의 판정은, 조건판정회로(603)에 의해 행해진다.
다만,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에도,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다른 사람을 검지하는 경우(S30에서 YES),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송신한다. S30에서 다른 사람을 검지하는 경우는, 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열원 1과는 또 다른 열원 2(새로운 물체)를 검지하여서, 도 12b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다.
또한,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비검지가 되었을 경우(S16에서 YES),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신호 535의 출력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변경한다(S17).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S15에서 NO), 무효 플래그(600)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의 검지 신호 535에 관계없이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유지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 인감 센서 복귀 판정부(281)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 검지 신호(531)가 입력되어서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도 12b)을 만족시키면,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전원제어부(203)에 송신한다. 도 12b와 같은 조건의 판정은, 조건판정회로(603)에 의해 행해진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하나의 열원만을 검지할 때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상기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전 키(214)를 누른 사람을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검지한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일 경우이어도, 인감 센서 어레이(280)에 의해 2개이상의 열원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는 이행 의뢰 신호 504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12b와 같은 조건하에서 절전 키(214)를 누른 사람과는 다른 사람을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검지한 경우에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킨다. 물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에는, 이행 의뢰 신호 504의 출력은 제한되지 않아서,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도 12b와 같은 조건하에서 사람을 검지하는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상과 같이,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사용함으로써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에 대하여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 제한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유저에 대하여는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절전 키(214)가 눌려진 후의 인감 센서의 검지에 의한 절전모드로부터의 불필요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렇게, 인감 센서 어레이(280)를 사용해서 2개의 인감 센서를 사용했을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절전 모드와 제2 절전 모드간에 전환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는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가 이행 의뢰 신호 504의 출력을 제한하고,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감 센서 어레이 판정부(282)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제어부(203)가 직접, 인감 센서 어레이(280)의 검지에 의한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복귀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이 경우, 인감 센서 어레이(280)로부터의 신호 531, 534를 직접, 전원제어부(203)에 입력하고, 전원제어부(203)내에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기억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키(214)가 눌려지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전원제어부에 검지 신호(531)가 입력되는 것을 무시한다. 한편, 검지 신호(534)가 전원제어부(203)에 입력되면,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여도, 전원제어부(203)는 무시하지 않고, 도 12b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에 복귀 시킨다.
이하,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낸 처리들은, 전원제어부(203)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전원제어부(203)가 판독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S15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15에서 YES), S16에 이행하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이라고 판정했을 경우(S15에서 NO), S18에 이행한다.
S16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비검지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비검지라고 판정했을 경우(S16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근방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1"로 설정해(S17), S15에 이행한다. 한편, S16에 있어서, 인감 센서 어레이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16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30에 이행한다.
S30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다른 사람(새로운 물체)을 검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또한, S30에서 다른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는, 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열원 1과는 다른 열원 2를 검지하여, 도 12b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 대응한다.
상기 S30에서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다른 사람(새로운 물체)을 검지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S16에서 NO), 전원제어부(203)는, S15에 이행한다. 한편, S30에 있어서, 인감 센서 어레이(280)가 다른 사람(새로운 물체)을 검지했다고 판정했을 경우(S30에서 YES), 전원제어부(203)는, S18에 이행한다.
S18에서는,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킨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제어부(203)는,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이고 신호 531, 511, 501, 502 및 503 중 어느 하나를 수신했을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한다. 한편,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0"이고 신호 511, 501, 502 및 503 중 어느 하나를 수신했을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하지만, 신호 531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층 더, 이 경우, 전원제어부(203)는, 신호 534를 수신했을 경우, 통상의 전력 모드 이행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판정한다. 다시 말해,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가 "1"일 경우, 인감 센서 어레이(280)에서의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의 검지는 무시하지만 다른 유저의 검지는 유효로 하고,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인감 센서 어레이를 사용했지만, 검지하고 있는 물체의 수를 인식가능한 인감 센서이면, 어떤 종류의 인감 센서를 사용하여도 된다. 다시 말해, 절전 키(214)를 누른 유저와는 다른 유저를 인식할 수 있는 인감 센서가 충분하다.
또한,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를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시 말해, 통상의 전력 모드에 이행하고나서 잡이 없는 경우에는, 잡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 잡이 있는 경우에는 잡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절전 키(214)가 눌리는 경우에, 상기 잡 플래그가 "0"일 때, 인감 센서 무효 플래그(599)를 "0"으로 설정하는 구성을, 제3 실시예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후에 잡이 입력되지 않고, 절전 키(214)에 의해 절전 모드로 지시되었을 경우에, 통상의 전력 모드에의 이행을 제한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종 데이터의 구성 및 그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도와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 및 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를 들면 시스템,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억매체로서의 여러 가지 모드를 가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해도 되거나,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임의의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등)가 그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해도 되거나, 한개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본질에 근거해 여러 가지로 변형(실시예들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 및 그 변형 예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8)

  1. 적어도, 제 1 전력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적은 제 2 전력 상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화상형성장치 주위의 사람을 검지하는 검지부; 및
    상기 검지부에 의한 사람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고,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를 행하는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동안,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센서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센서 어레이인,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제1 검지부보다 검지 범위가 좁은 제2 검지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가능하게 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제2 검지부에 의해 사람을 검지하는 것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을 행하는 상기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동안,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전력제어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기 유저 이외의 사람의 검출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7. 적어도, 제 1 전력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적은 제 2 전력 상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접수부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검지부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 주위의 사람을 검지하는 단계;
    사람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를 행하는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동안,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형장치의 제어방법.
  8. 적어도, 제 1 전력 상태와, 상기 제 1 전력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적은 제 2 전력 상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화상형성장치 주위의 사람을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검지부에 의한 사람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고,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는 전력제어부; 및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의 조작을 행하는 유저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동안,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유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에 이행시키지 않는 금지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기록매체.
KR1020140076296A 2013-06-21 2014-06-23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84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1104 2013-06-21
JP2013131104A JP6639069B2 (ja) 2013-06-21 2013-06-21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347A KR20140148347A (ko) 2014-12-31
KR101684308B1 true KR101684308B1 (ko) 2016-12-08

Family

ID=5211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96A KR101684308B1 (ko) 2013-06-21 2014-06-23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9148542B2 (ko)
JP (1) JP6639069B2 (ko)
KR (1) KR101684308B1 (ko)
CN (2) CN104243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9069B2 (ja) * 2013-06-2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425388B2 (ja) * 2014-02-18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47915B2 (ja) * 2015-03-13 2019-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
JP6680474B2 (ja) * 2015-06-16 2020-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人感センサを備えた電子機器
JP6614831B2 (ja) * 2015-07-10 2019-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電力状態を制御する方法
CN106941711A (zh) * 2016-01-04 2017-07-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基站及基站节能与探测用户的方法、装置
KR20170082342A (ko) * 2016-01-06 2017-07-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6690397B2 (ja) * 2016-05-16 2020-04-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061167A (ja) * 2016-10-06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09568A (ko) 2017-07-19 2019-01-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825596B2 (ja) * 2018-03-14 2021-0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18144494A (ja) * 2018-04-11 2018-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08691A (ja) * 2018-07-06 2020-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107045B2 (ja) 2018-07-13 2022-07-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57919A (ja) * 2018-11-02 2019-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7243149B2 (ja) * 2018-11-30 2023-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56142B2 (ja) 2019-12-18 2024-03-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893085A1 (en) 2020-04-07 2021-10-13 Ricoh Company, Ltd.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carrier means
JP2022000731A (ja) 2020-06-19 2022-0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デバイ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132A (ja) 2011-03-24 2012-10-22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2247799A (ja) 2012-08-16 2012-12-13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7605B2 (ja) 2001-01-31 2008-04-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317542B2 (ja) * 2008-06-12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9453B2 (ja) * 2009-11-12 2012-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2058645A (ja) 2010-09-13 2012-03-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2152B2 (ja) * 2010-11-19 2015-01-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163761B2 (ja) * 2011-02-09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045840B1 (ja) * 2011-09-06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5573822B2 (ja) * 2011-11-21 2014-08-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28781B2 (ja) * 2012-09-06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639069B2 (ja) * 2013-06-2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132A (ja) 2011-03-24 2012-10-22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2247799A (ja) 2012-08-16 2012-12-13 Fuji Xerox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3750B (zh) 2018-02-13
CN107959765A (zh) 2018-04-24
US10038804B2 (en) 2018-07-31
US20180316814A1 (en) 2018-11-01
US20140376020A1 (en) 2014-12-25
CN104243750A (zh) 2014-12-24
US9148542B2 (en) 2015-09-29
US10397428B2 (en) 2019-08-27
US9692924B2 (en) 2017-06-27
US20170134600A1 (en) 2017-05-11
JP2015005930A (ja) 2015-01-08
KR20140148347A (ko) 2014-12-31
US20150381841A1 (en) 2015-12-31
JP6639069B2 (ja)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08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90987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96481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684312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743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electively operable in a plurality of modes
US2018019893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022524B2 (ja) 電子機器
JP201516616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164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US201501873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905791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257371B2 (en) Touch ope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704705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85268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ssette detection and energy saving mode shifting control
JP2016162309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52914A (ja) 省エネ制御装置
US20220109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9038454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00582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912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19996A (ja) 電子機器及び操作ユニット
JP20050351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728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