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235B1 -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235B1
KR101684235B1 KR1020160015119A KR20160015119A KR101684235B1 KR 101684235 B1 KR101684235 B1 KR 101684235B1 KR 1020160015119 A KR1020160015119 A KR 1020160015119A KR 20160015119 A KR20160015119 A KR 20160015119A KR 101684235 B1 KR101684235 B1 KR 10168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composite waterproof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박혜정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주) 수향방수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수향방수, 박혜정 filed Critical (주) 수향방수
Priority to KR102016001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100)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단열복합방수시트(100)가 부직포인 하부시트(111)와, 상기 하부시트(111)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질필름(112)과,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직포인 상부시트(113)를 포함하는 적층부(110)와, 상기 상부시트(113)에서 상기 적층부(110)의 일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가스벤트부(115)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공 후에 슬래브(210)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수증기가 되어 상기 가스벤트부(115)를 통해서 용이하게 배기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강우 시 방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Composite waterproof sheet with mesh fel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Composite waterproof sheet with mesh fe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waterproof sheet with mesh felt}
본 발명은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수증기의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방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방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방수 시공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로 시공된 슬래브(10)의 상면에 접착제 기능을 하도록 도포된 프라이머층(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상면에 부직포(30)가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30)의 상면에 방수도료인 우레탄으로 도포된 우레탄층(40)이 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슬래브(10)와 부직포(30) 사이에서 양측을 바인딩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부직포(30)는 우레탄층(40)이 기온에 따라서 수축 팽창에 견디도록 하며, 상기 우레탄층(40)은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부직포(30)는 열롤러로 압착되어 다려진 것이므로 표면 밀도가 향상된 상태이므로 우레탄이 함침되지 못하고 표면에 도포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우레탄이 수축 팽창하더라도 부직포(30)가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우레탄층(40)에 균열이 발생하고 나아가 박리되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레탄층(40)의 균열과 박리가 발생 되기 전에는 우레탄이 수밀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기밀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슬래브(10)에 포함된 수분이 여름철에 고온의 기온에 의해서 수증기가 될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는 프라이머층(20)을 통과하더라도 우레탄층(40) 때문에 차단되기 때문에 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서, 수증기가 한 곳으로 집중하여 상기 우레탄층(40)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에어포켓(air pocket)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에어포켓이 터지면서 균열 내지는 박리로 이어지게 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배경기술은 슬래브(10)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작업을 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 비해서 공기(工期)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렇게 슬래브(10)를 건조 시킨다고 하더라도 슬래브(10) 속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서 에어포켓 현상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
또한, 상기 우레탄은 유성이므로 일광(日光)에 의해서 2년∼3년이 경과하게 되면 기름 성분이 휘발되어 딱딱하게 굳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리되면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레탄은 유성이므로 작업자들이 도막 작업을 시공할 때에 납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강우 시, 우레탄에 포함된 상기 유해물이 용해되어 흘러내리므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레탄은 경화제(신나)와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신나로 인해서 작업자의 부주의(흡연 등)로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레탄층(40)에 균열이나 박리현상이 발생하면 2차로 방수되는 구조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03208호 (2009년 06월 09일)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상기 부직포는 열롤러로 다려진 것이므로 표면 밀도가 향상된 것으로서 방수도료가 함침되지 못하고 표면에 도포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즉, 방수도료와 부직포가 일체가 되도록 하므로 방수도료의 수축 팽창 시, 상기 부직포로 인해서 방수도료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리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둘째, 상기 슬래브에 포함된 수분이 여름철 고온의 기온에 의해서 수증기가 될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는 프라이머층을 통과하더라도 우레탄층 때문에 차단되기 때문에 배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방수가 되면서도 내부에 포함된 수증기의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에어포켓 현상을 예방하므로 방수층의 수명이 배경기술에 비해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에어포켓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경기술에서는 슬래브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작업해야 하므로 공기(工期)가 본 발명에 비해서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넷째, 상기 방수도료 즉, 우레탄은 유성이므로 일광(日光)에 의해서 2년∼3년이 경과하게 되면 기름 성분이 휘발되어 딱딱하게 굳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리되면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다섯째, 상기 우레탄은 유성이므로 작업자들이 도막 작업을 시공할 때에 납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과, 강우 시, 우레탄에 포함된 상기 유해물이 용해되어 흘러내리므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은 경화제(신나)와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신나로 인해서 작업자의 부주의(흡연 등)로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여섯째, 상기 우레탄층에 균열이나 박리현상이 발생하면 2차로 방수되는 구조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는,
부직포인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질필름과, 상기 연질필름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직포인 상부시트를 포함하는 적층부와, 상기 상부시트에서 상기 적층부의 일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가스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는, 상부부직포와 하부부직포 사이에 메시가 개재된 메시펠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는 니들의 타공에 의해서 상부부직포와 하부부직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하부시트의 상부에 연질필름과 상부시트를 합지한 상태로 가열하여 압착하므로 연질필름이 용융되면서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를 부착하고, 상기 가스벤트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시트는 상기 하부시트와 연질필름보다 일측방으로 더 연장된 것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다른 예로서,
상기 하부시트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연질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연질필름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상부시트를 부착하고, 상기 가스벤트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시트는 상기 하부시트와 연질필름보다 일측방으로 더 연장된 것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하부시트 및 상부시트 사이에 용융된 연질필름을 개재시켜서 압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슬래브의 바닥면을 청소하는, 바닥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닥면 정리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프라이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면에 1차 방수도료를 도포하면서,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상기 1차 방수도료에 부착시키는,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와,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 이후에,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상면에 2차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와, 상기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 및 1차 방수도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의 상면에 코팅재를 도포하는 탑코팅 단계와, 상기 탑코팅 단계 이후에, 상기 코팅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는, 일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의 가스벤트부의 상면에, 상대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적층부가 합지시키고, 상기 적층부는 상기 가스벤트부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에서, 상기 가스벤트부의 상부를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와 동일재인 커버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방수도료 및 2차 방수도료는 수용성 방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상부시트는 니들에 의해서 타공된 것이므로 2차 방수도료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방수도료와 상부시트가 일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기온에 따라 수축 팽창 시. 상기 상부시트가 지지 기능을 하므로 균열 및 박리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상부시트는 메시가 개재된 것이기 때문에 일반 부직포에 비해서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기온에 따른 수축 팽창에 견디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슬래브에 포함된 수분이 여름철 고온의 기온에 의해서 수증기가 될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는 프라이머층을 통과한 후 1차 방수도료를 지나서 상기 가스벤트부를 거쳐서 2차 방수도료를 통해서 배기된다. 이때, 상기 1차 방수도료와 2차 방수도료는 수용성이므로 본래 통기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통기 기능을 가지면서 방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에어포켓 현상으로 균열 내지는 박리 현상이 유발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에어포켓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경기술에서는 바닥면 정리단계를 거치면서 물세척한 후에 슬래브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작업해야 하므로 공기(工期)가 본 발명에 비해서 길어지지만, 본 발명은 슬래브를 물세척한 후에 건조 없이 바로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이행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가스벤트부를 통해서 수증기가 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1차 방수도료와 2차 방수도료로서 수용성을 사용하므로 일광(日光)에 의해 딱딱하게 굳어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리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1차 방수도료와 2차 방수도료는 수용성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조된 것이므로 작업자들이 도막 작업을 시공할 때에 납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과, 강우 시, 유해물이 용해되어 흘러내리므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2차 방수도료에 함침된 상부시트에 홀이 발생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연질필름이 배치되므로 2차로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질필름은 2차 방수도료를 도포할 때 2차 방수도료가 하부시트에 흡수되어 측방으로 흘러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상부시트에 2차 방수도료가 머무를 수 있도록 하므로 충분히 함침이 되도록 하여 추후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경우에는 열을 반사하게 되므로 여름에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일광으로 인한 열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겨울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어 실내 온도가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방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에 구성되는 연질필름의 상면에 알루미늄막이 증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에 구성되는 메시펠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는 연질필름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개재시켜서 가열한 후 압착하는 방법이고, (b)는 용융된 연질필름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개재시켜서 압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메시펠트 복합시트 부착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의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메시펠트 복합시트 부착단계에서 에어벤트부를 마감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에어벤트가 마감된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2차 방수도료를 도포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탑코팅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해 완성된 방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15, 16, 1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사용된 1차 방수도료 및 2차 방수도료에 대한 한국환경산업연구원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시험 성적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에 구성되는 연질필름의 상면에 알루미늄막이 증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에 구성되는 메시펠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부직포인 하부시트(111)와, 상기 하부시트(111)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질필름(112)과,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직포인 상부시트(113)를 포함하는 적층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113)에서 상기 적층부(110)의 일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가스벤트부(115)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시트(113)는, 도 4에서처럼 상부부직포(O)와 하부부직포(U) 사이에 메시(M)가 개재된 메시펠트로 구성한다. 그리고, 니들의 타공에 의해서 상부부직포(O)와 하부부직포(U)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즉, 다수 개의 니들이 하강하여 상부부직포(O)를 관통하여 메시(M)를 지나서 하부부직포(U)를 통과한 후 다시 상방으로 복귀하는 작동을 반복하므로 상부부직포(O)의 섬유와 하부부직포(U)의 섬유가 메시(M)를 통과하여 얽히게 되므로 상호 부착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하부시트(111), 상부부직포(O), 메시(M), 하부부직포(U)는 일례로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니들로 형성된 통공으로 인해서 후술하는 1차 방수도료(230)와 2차 방수도료(240)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고, 상기 메시(M)는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111)는 일반적인 부직포로서 후술하는 프라이머(220)에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질필름(112)은 상부시트(113)가 손상되었을 때 2차적으로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연질필름(112)은 상부시트(113)에 후술하는 2차 방수도료(240)가 머무르게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즉, 만약, 상기 연질필름(112)이 없다면 2차 방수도료(240)는 하부시트(111)를 통해서 흡수되어 프라이머(220)의 표면을 따라 측방으로 흘러서 슬래브(210)에 형성된 균열을 통해서 실내로 누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질필름(112)은 2차 방수도료(240)의 누수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질필름(112)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슬래브(210)의 돌출된 부분 등 불규칙한 형상에도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필름(112)은 일례로서 핫멜트로 제조된 웹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질필름(112)은 상면 또는 하면 내지는 상면과 하면에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알루미늄 증착 필름(제품명; 이축연신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 필름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실리카가 혼합된 필름에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막으로 인해서 열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기 되어 여름에는 일광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외부로 방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제1실시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는 연질필름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개재시켜서 가열한 후 압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하부시트(111)의 상부에 연질필름(112)과 상부시트(113)를 합지한 상태로 가열하여 압착하므로 연질필름(112)이 용융되면서 하부시트(111)와 상부시트(113)를 부착하고, 상기 가스벤트부(115)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시트(113)는 상기 하부시트(111)와 연질필름(112)보다 일측방으로 더 연장된 것을 배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서처럼, 상기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가 감긴 각각의 보빈(B1, B2, B3)에서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가 풀려나오는 언와인딩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언화인딩 단계 이후에, 상기 언와인딩된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가 한 쌍의 가이드롤(R)을 통과하면서 합지되는 합지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합지단계 이후에, 상기 합지된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가 가열챔버(H)를 통과하도록 하는 가열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챔버(H)를 통과한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를 한 쌍의 압축롤러(P)를 통과하도록 하여 용융된 연질필름(112)에 의해서 상호 부착되는 부착단계에 의해서 단열복합방수시트(100)가 완성된다.
상기 가열챔버(H)는 내부에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95∼160℃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시트(113) 및 하부시트(111)는 두께가 5∼10mm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질필름(112)은 두께 0.01∼1mm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111), 연질필름(112), 상부시트(113)가 합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속도는 4∼5m/min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축롤러(P)의 압축에 의해서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총두께는 3∼5mm가 되도록 압축한다.
상기 하부시트(111), 상부부직포(O), 메시(M), 하부부직포(U)는 일례로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필름(112)은 일례로서 핫멜트로 제조된 웹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 또는 하면 내지는 상하면에 알류미늄막(A)이 증착된 알루미늄 증착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는 일례로서, 폭이 1,050mm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110)는 폭이 950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스벤트부(115)는 100mm가 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b)는 용융된 연질필름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개재시켜서 압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하부시트(111) 및 상부시트(113) 사이에 용융된 연질필름(112)을 개재시켜서 압축한다. 이때, 상기 가스벤트부(115)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시트(113)는 상기 하부시트(111)와 연질필름(112)보다 일측방으로 더 연장된 것을 배치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도 6의 (b)에서처럼, 상기 상부시트(113), 하부시트(111)가 감긴 각각의 보빈(B3, B1)에서 상부시트(113), 하부시트(111)가 풀려나오게 하면서 상기 상부시트(113)와 하부시트(111) 사이에 용융된 연질필름(112)이 개재되도록 하는 언와인딩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언화인딩 단계 이후에, 상기 언와인딩된 상부시트(113), 하부시트(111) 및 상기 연질필름(112)이 한 쌍의 가이드롤(R)을 통과하면서 부착되는 합지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합지단계 이후에, 상기 합지된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를 한 쌍의 압축롤러(P)를 통과하도록 하여 용융된 연질필름(112)에 의해서 상호 부착되는 부착단계에 의해서 단열복합방수시트(100)가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언와인딩 단계에서, 상기 연질필름(112)의 공급을 위해서는 핫멜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 화이버를 가열용기(V)에 넣어 용융한 상태에서 노즐(N)을 통해서 상기 상부시트(113)와 하부시트(111) 사이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노즐(N)의 폭은 상기 적층부(110)의 폭에 해당되도록 하므로 상기 가스벤트부(115)에는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노즐(N)을 통해서 용융된 연질필름(112)이 배출되면서 상부시트(113)와 하부시트(111)의 사이에 합지된 상태로 응고되면서 부착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시트(113) 및 하부시트(111)는 두께가 5∼10mm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융된 연질필름(112)의 두께는 0.01∼1mm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111), 연질필름(112), 상부시트(113)가 합지된 상태로 이송하는 속도는 4∼5m/min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축롤러(P)의 압축에 의해서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총두께는 3∼5mm가 되도록 압축한다.
상기 하부시트(111), 상부부직포(O), 메시(M), 하부부직포(U)는 일례로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는 일례로서, 폭이 1,050mm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110)는 폭이 950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스벤트부(115)는 100mm가 되도록 한다.
(제3실시예)
상기 하부시트(111)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연질필름(112)을 부착하고,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상부시트(113)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가스벤트부(115)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시트(113)는 상기 하부시트(111)와 연질필름(112)보다 일측방으로 더 연장된 것을 배치한다. 또한, 상부시트(113)와 하부시트(111)를 부착할 때에는 한 쌍의 압축롤러를 통과하도록 하므로 가능하다.
그리고, 접착제는 응고되고 나서도 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므로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가 자유자재로 만곡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데, 일례로 젤 형태의 핫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가스벤트부(115)에는 도포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상부시트(113) 및 하부시트(111)는 두께가 5∼10mm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의 도포 두께는 0.01∼1mm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롤러(P)에 의해서 압축된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총두께는 3∼5mm가 되도록 압축한다.
상기 하부시트(111), 상부부직포(O), 메시(M), 하부부직포(U)는 일례로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는 일례로서, 폭이 1,050mm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110)는 폭이 950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스벤트부(115)는 100mm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질필름(112)은 일례로서 핫멜트로 제조된 웹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 또는 하면 내지는 상하면에 알류미늄막(A)이 증착된 알루미늄 증착 필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메시펠트 복합시트 부착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의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메시펠트 복합시트 부착단계에서 에어벤트부를 마감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에어벤트가 마감된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2차 방수도료를 도포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탑코팅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해 완성된 방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15, 16, 1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사용된 1차 방수도료 및 2차 방수도료에 대한 한국환경산업연구원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시험 성적서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서,
슬래브(210)의 바닥면(213)을 청소하는, 바닥면 정리단계(S1)가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 정리단계(S1) 이후에, 상기 바닥면(213)에 프라이머(22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가 이루어진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 이후에, 상기 프라이머(22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3)가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S3) 이후에, 상기 바닥면(213)에 1차 방수도료(230)를 도포하면서,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상기 1차 방수도료(230)에 부착시키는,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가 이루어진다.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 이후에,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상면에 2차 방수도료(240)를 도포하는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가 이루어진다.
상기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240) 및 1차 방수도료(23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가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S6)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240)의 상면에 코팅재(250)를 도포하는 탑코팅 단계(S7)가 이루어진다.
상기 탑코팅 단계(S7) 이후에, 상기 코팅재(25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8)가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공법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면 정리단계(S1)는, 고압의 물분사기로 바닥면(213)의 묵은 때와 모르타르가 돌출된 부분을 깨끗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에서 프라이머(220)는 바닥면(213)에 부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1차 방수도료(230)를 바인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을 사용한다. 상기 프라이머(220, 모델;파워 SH-105, (주)수향 케미칼 제조)는 원액과 물을 부피비 1:1로 혼합한 후에 롤러 또는 붓으로 바닥면(213)에 1회 내지 2회 도포한다.
상기 건조단계(S3)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 이후에 기온 20℃ 이상의 온도에서 1시간 30분∼2시간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메시펠트 복합시트 부착단계(S4)는, 도 7에서처럼, 도포된 상기 프라이머(220)의 상면에 1차 방수도료(230)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1차 방수도료(230)는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을 사용하고, 7평 기준으로 16∼19ℓ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방수도료(230, 제조사;(주)수향케미칼, 모델; SH파워-코트-101, SH파워-코트-102, SH파워-코트-106)는 일례로서, 석회석,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석회석은 부피량 10∼40 %이고,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는 부피량 25∼50 중량%이고, 상기 물은 부피량 10∼40 %인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도포하면서,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가 부착되도록 하는데, 도 7에서처럼, 일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가스벤트부(115)의 상면에, 상대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적층부(110)가 중첩되도록 하는데, 상기 적층부(110)는 상기 가스벤트부(115)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므로 수증기의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례로, 일측 가스벤트부(115)의 폭은 100mm이고 중첩되는 폭은 50mm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스벤트부(115)는 50mm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벤트부(115)의 상부를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와 동일재인 커버(120)로 덮어서 마감하게 되는데, 폭 90∼100mm의 것을 사용하여 마감하도록 한다.
이때, 1차 방수도료(230)가 하부시트(111)에 함침되고, 상기 하부시트(111)는 1차 방수도료(230)에 의해서 프라이머(220)에 밀착되도록 롤러로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는,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을 사용하고, 7평 기준으로 16∼19ℓ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 방수도료(230, 제조사;(주)수향케미칼, 모델; SH파워-코트-101, SH파워-코트-102, SH파워-코트-106)는 1차 방수도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석회석,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석회석은 부피량 10∼40 %이고,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는 부피량 25∼50 %이고, 상기 물은 부피량 10∼40 %인 것이다.
상기 건조단계(S7)는,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 이후에 기온 20℃ 이상의 온도에서 1시간 30분∼2시간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탑코팅 단계(S8)는, 인체에 무해한 무기질 실리케이트로 제조되고 투명한 코팅재(250, 제조사;(주)수향케미칼, 모델; Top-Sky)를 사용하는데, 50평 면적에 16∼19ℓ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코팅재(250)를 도포하므로 윤택과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며, 끈적임과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9)는, 기온 5℃ 이상에서 1시간 30분∼2시간 30분 동안 건조시키므로 작업은 완료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상기 상부시트(113)는 니들에 의해서 타공된 것이므로 2차 방수도료(240)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방수도료(240)와 상부시트(113)가 일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기온에 따라 수축 팽창 시. 상기 상부시트(113)가 지지 기능을 하므로 균열 및 박리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상부시트(113)는 메시(M)가 개재된 것이기 때문에 일반 부직포에 비해서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기온에 따른 수축 팽창에 견디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슬래브에 포함된 수분이 여름철 고온의 기온에 의해서 수증기가 될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는 프라이머층을 통과한 후 1차 방수도료(230)를 지나서 상기 가스벤트부(115)를 거쳐서 2차 방수도료(240)를 통해서 배기된다. 이때, 상기 1차 방수도료(230)와 2차 방수도료(240)는 수용성이므로 본래 통기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통기 기능을 가지면서 방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적층부(110)를 통해서는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슬래브(210)에 포함된 수증기가 상방으로 배기되는 것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스벤트부(115)를 통해서 수증기가 배출되고 가스벤트부(115)는 2차 방수도료(240)에 의해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커버(120)에 의해서 방수 기능은 더욱 보강된다.
따라서, 에어포켓 현상으로 균열 내지는 박리 현상이 유발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에어포켓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경기술에서는 바닥면 정리단계(S1)를 거치면서 물세척한 후에 슬래브(210)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작업해야 하므로 공기(工期)가 본 발명에 비해서 길어지지만, 본 발명은 슬래브(210)를 물세척한 후에 건조 없이 바로 프라이머 도포단계(S2)를 이행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가스벤트부(115)를 통해서 수증기가 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상기 1차 방수도료(230)와 2차 방수도료(240)로서 수용성을 사용하므로 일광(日光)에 의해 딱딱하게 굳어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리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1차 방수도료(230)와 2차 방수도료(240)는 수용성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조된 것이므로 작업자들이 도막 작업을 시공할 때에 납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과, 강우 시, 유해물이 용해되어 흘러내리므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전혀 없다. 이러한 특징은 도 13의 시험성적서를 통해서 명백하게 입증됨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상기 2차 방수도료(240)에 함침된 상부시트(113)에 홀이 발생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연질필름(112)이 배치되므로 2차로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질필름(112)은 2차 방수도료(240)를 도포할 때 2차 방수도료(240)가 하부시트(111)에 흡수되어 측방으로 흘러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상부시트(113)에 2차 방수도료(240)가 머무를 수 있도록 하므로 충분히 함침이 되도록 하여 추후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경우에는 열을 반사하게 되므로 여름에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일광으로 인한 열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겨울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어 실내 온도가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실시예 1)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총두께는 3mm가 되도록 압축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111), 상부부직포(O), 메시(M), 하부부직포(U)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연질필름(112)은 폴리염화비닐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상부시트(113), 연질필름(112), 하부시트(111)는 합지된 상태에서 가열 후 압착하여 부착시켰다.
이때,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는 폭이 1,050mm, 길이 1,000mm가 되도록 하였고, 상기 적층부(110)는 폭이 950mm, 길이 1,000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스벤트부(115)는 폭 100mm, 길이 1,000mm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단열복합방수시트(100) 2장을 구비한 후, 일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가스벤트부(115)의 상면에, 상대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적층부(110)를 합지시키는데, 상기 가스벤트부(115)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하여 가스벤트부(115)의 50mm가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가스벤트부(115)의 상부를 상기 커버(120)로 덮도록 하였다. 이때 커버(120)의 폭은 100mm가 되도록 하였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단열복합방수시트(100)와 커버(120)의 상면에 상기 2차 방수도료(240)를 도포하여 함침되도록 한 후 건조시켜서 판상의 시편을 만들었다. 그리고 상기 시편을 뒤집어서 상기 1차 방수도료(230)를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건조시켰다.
(비교예 1)
표면이 매끈하게 열처리된 부직포를 폭이 2,000mm, 길이 2,000mm가 되도록 하였고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우레탄을 함침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판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타공 과정을 거친 부직포를 폭이 2,000mm, 길이 2,000mm가 되도록 하였고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우레탄을 함침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판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례 1)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시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험을 하였다. 이때, 200J/m², 파장 350nm의 자외선을 5일간 조사였다.
또한, 별개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시편을 준비하여 분사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시켜서 투수 여부를 확인하는 투수 시험을 하였다. 이때, 수압은 1kg/cm²이 되도록 하였고, 수량은 0.3ℓ/sec가 되도록 하였고, 5일간 물을 분사시켰다.
그리고, 3개의 용기와 별개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시편을 준비한 후에 상기 각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각 시편으로 용기의 입구를 덮었다. 그리고, 상기 각 시편의 상부에 수산화나트륨이 도포된 리트머스 종이를 배치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자외선 시험

반응 없음.

1일 후에 균열 발생

3일 후에 균열 발생

투수 시험

투수 되지 않음.

투수 되지 않음.

투수 되지 않음.

배기 시험

리트머스 종이가 붉게 변함.

반응 없음.

반응 없음.
상기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은 1차 방수도료(230)와 2차 방수도료(240)를 수용성을 사용하므로 자외선에 전혀 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투수 시험은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자외선 시험을 거치지 않은 별개의 시편을 사용한 것으로서 만약, 자외선 시험을 거친 것을 사용한다면 발생한 균열을 통해서 물이 누수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배기시험은 실시예 1은 상기 가스벤트부(115)를 통해서 배기된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리트머스 종이가 붉게 변화한 것으로부터 배기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1과 2는 배기가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은 일광(日光)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하고, 방수 기능과 함께 배기 기능도 구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열복합방수시트 110: 적층부
111: 하부시트 112: 연질필름 113: 상부시트 115: 가스벤트부
120: 커버 210: 슬래브
213: 바닥면 220: 프라이머
230: 1차 방수도료 240: 2차 방수도료
250: 코팅재 S1: 바닥면 정리단계
S2: 프라이머 도포단계 S3: 건조단계
S4: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
S5: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 S6: 건조단계
S7: 탑코팅 단계 S8: 건조단계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부직포인 하부시트(111)와, 상기 하부시트(111)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질필름(112)과, 상기 연질필름(1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직포인 상부시트(113)를 포함하는 적층부(110)와,
    상기 상부시트(113)에서 상기 적층부(110)의 일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가스벤트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서,
    슬래브(210)의 바닥면(213)을 청소하는, 바닥면 정리단계(S1)와,
    상기 바닥면 정리단계(S1) 이후에, 상기 바닥면(213)에 프라이머(22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 이후에, 상기 프라이머(22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3)와,
    상기 건조단계(S3) 이후에, 상기 바닥면(213)에 1차 방수도료(230)를 도포하면서,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를 상기 1차 방수도료(230)에 부착시키는,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와,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 이후에,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상면에 2차 방수도료(240)를 도포하는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와,
    상기 2차 방수도료 도포단계(S5)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240) 및 1차 방수도료(23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와,
    상기 건조단계(S6) 이후에, 상기 2차 방수도료(240)의 상면에 코팅재(250)를 도포하는 탑코팅 단계(S7)와,
    상기 탑코팅 단계(S7) 이후에, 상기 코팅재(250)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8)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는,
    일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가스벤트부(115)의 상면에, 상대측의 단열복합방수시트(100)의 적층부(110)를 합지시키고,
    상기 적층부(110)는 상기 가스벤트부(115)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수도료 도포 및 단열복합방수시트 부착단계(S4)에서,
    상기 가스벤트부(115)의 상부를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100)와 동일재인 커버(120)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수도료(230) 및 2차 방수도료(240)는 수용성 방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수도료(230) 및 2차 방수도료(240)는,
    석회석,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은 부피량 10∼40 %이고,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는 부피량 25∼50 %이고,
    상기 물은 부피량 1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160015119A 2016-02-05 2016-02-05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8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19A KR101684235B1 (ko) 2016-02-05 2016-02-05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19A KR101684235B1 (ko) 2016-02-05 2016-02-05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235B1 true KR101684235B1 (ko) 2016-12-07

Family

ID=5757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119A KR101684235B1 (ko) 2016-02-05 2016-02-05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23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06B1 (ko) * 2018-07-23 2020-01-1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균열 보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 균열 보수 시공방법
KR102160080B1 (ko) 2020-01-20 2020-09-28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및 컷오프 필름 증착 부직포 적층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공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공법
KR102187841B1 (ko) * 2020-06-08 2020-12-07 정상열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210020257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KR102280015B1 (ko) 2020-12-02 2021-07-20 김동춘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20210119674A (ko) 2020-03-25 2021-10-06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공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층과 컷오프 필름 증착 부직포가 적층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시공공법
KR102384168B1 (ko) * 2021-05-06 2022-04-15 한성기업(주) 시공 제작형 수용성 도막 방수 시트 공법
CN115059022A (zh) * 2022-05-18 2022-09-1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KR20230139937A (ko)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 또는 축열 상도도막재 적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633A (ja) * 1987-04-23 1988-11-02 Hitachi Cable Ltd 複合防水ゴムシ−トの製造方法
JPH0372150A (ja) * 1989-08-10 1991-03-27 Nippon Petrochem Co Ltd シート防水用絶縁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シート防水工法
KR100903208B1 (ko) 2008-08-05 2009-06-18 (주)아해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3중층 바탕조정 시트 및 다공성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복합 방수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1204745B1 (ko) * 2012-05-21 2012-11-26 유병도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구조체
KR101380960B1 (ko) * 2013-10-31 2014-04-04 (주) 수향방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633A (ja) * 1987-04-23 1988-11-02 Hitachi Cable Ltd 複合防水ゴムシ−トの製造方法
JPH0372150A (ja) * 1989-08-10 1991-03-27 Nippon Petrochem Co Ltd シート防水用絶縁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シート防水工法
KR100903208B1 (ko) 2008-08-05 2009-06-18 (주)아해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3중층 바탕조정 시트 및 다공성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복합 방수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1204745B1 (ko) * 2012-05-21 2012-11-26 유병도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구조체
KR101380960B1 (ko) * 2013-10-31 2014-04-04 (주) 수향방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06B1 (ko) * 2018-07-23 2020-01-1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균열 보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 균열 보수 시공방법
KR20210020257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KR102245461B1 (ko) * 2019-08-14 2021-04-28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KR102160080B1 (ko) 2020-01-20 2020-09-28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및 컷오프 필름 증착 부직포 적층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공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공법
KR20210119674A (ko) 2020-03-25 2021-10-06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공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층과 컷오프 필름 증착 부직포가 적층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시공공법
KR102187841B1 (ko) * 2020-06-08 2020-12-07 정상열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280015B1 (ko) 2020-12-02 2021-07-20 김동춘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2384168B1 (ko) * 2021-05-06 2022-04-15 한성기업(주) 시공 제작형 수용성 도막 방수 시트 공법
KR20230139937A (ko)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 또는 축열 상도도막재 적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CN115059022A (zh) * 2022-05-18 2022-09-1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CN115059022B (zh) * 2022-05-18 2023-09-2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235B1 (ko)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A2885144C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JP4991546B2 (ja) 積層建材
US20070015424A1 (en) Building material having adaptive vapor retarder
US8409391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mposite building boards using dissolvable films
US20060174585A1 (en) Multi-layer covering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JP7267275B2 (ja) コンクリートを養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器具
KR101471302B1 (ko)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120028434A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1928412B1 (ko) 부직포에 겔 형태의 도막재가 함침된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226643B1 (ko) 커얼 방지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82747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KR20150105044A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70021456A (ko)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1955282B1 (ko)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090125862A (ko) 결로예방하는 투습 단열초배지 제조방법
KR100554351B1 (ko) 시트형 방수도막 형성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공법
FI58089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staellvis fast vid varandra bundna banor
KR102044070B1 (ko) 재생 가능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851B1 (ko) 이염, 변색 및 배접 하자 방지 기능을 갖는 벽지
KR101836856B1 (ko) 수해 방지용 자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52513A (ko) 방수공사용 복합시트
AU2004254285B2 (en) Multi-layer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