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960B1 -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960B1
KR101380960B1 KR1020130130699A KR20130130699A KR101380960B1 KR 101380960 B1 KR101380960 B1 KR 101380960B1 KR 1020130130699 A KR1020130130699 A KR 1020130130699A KR 20130130699 A KR20130130699 A KR 20130130699A KR 101380960 B1 KR101380960 B1 KR 10138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ing
mesh
waterproof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박혜정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주) 수향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수향방수 filed Critical (주) 수향방수
Priority to KR102013013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직포 복합시트의 상부측에 도포하는 방수액이 부직포 복합시트의 하부측으로 완전히 침투됨과 아울러 복합시트 내부 전체에 골고루 침투되도록 하여 부직포 복합시트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방수시트와 방수층이 쉽게 분리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메쉬망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 메쉬망 및 하부시트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메쉬망의 상,하부에 위치된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상호간 엮임에 의해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Non-woven fabric complex sheet for waterproofing using mesh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액이 부직포 복합시트를 통해 하부측으로 완전히 침투되게 하여 복합시트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공장 등을 포함한 건축 구조물의 옥상, 바닥,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부위에는 수분이 구조물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표면에 비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를 하게 된다.
근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수공법으로는 도막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이 있는데, 상기 도막방수공법은 구조물의 표면에 방수액을 반복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이음새 없는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구조물 표면의 함유 수분에 의한 수증기압에 의해 방수층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방수층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구조물의 표면이 고르지 않으면 도포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도포층이 얇은 곳에서 파손의 위험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하나의 시트방수공법은 주로 합성수지재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여 그 방수시트 내부에 방수액을 침투시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이러한 공법은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기간도 단축되긴 하나, 방수액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방수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열롤러 작업을 하게 되면 부직포가 녹으면서 섬유들이 엮여서 공간이 촘촘해지기 때문에 방수액이 방수시트 내부 전체에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이 방수액(110)의 대부분이 방수시트(120)의 표면 상부측에 머무르게 되어 방수시트와 방수층이 분리되기 때문에 방수층에 지지력이 발생되지 못하고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방수층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외력으로 인해 구멍이나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 물이 아래층의 부직포로 스며들어 부직포 상에 물이 머금게 되고, 그 물은 초기발견이 어렵고 배출이 어렵기 때문에 결국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130828호 등록특허 제10-09216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부직포 복합시트의 상부측에 도포하는 방수액이 부직포 복합시트의 하부측으로 완전히 침투됨과 아울러 복합시트 내부 전체에 골고루 침투되도록 하여 부직포 복합시트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방수시트와 방수층이 쉽게 분리 되지 않도록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용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복합시트에 있어서,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메쉬망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 메쉬망 및 하부시트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메쉬망의 상,하부에 위치된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상호간 엮임에 의해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용으로 사용되어 방수액이 함침되는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수처리 시공할 바닥을 청소하는 공정(S1)과, 상기 청소된 바닥에 하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S2)과, 상기 건조된 프라이머 상에 1차방수액을 도포하면서 동시에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메쉬망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 메쉬망 및 하부시트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되는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부착하는 공정(S3)과, 상기 1차방수액이 도포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상에 2차방수액을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함침, 건조하는 공정(S4)과, 상기 건조된 2차방수액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S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단섬유 부직포로 제직되는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메쉬망을 고정시켜 일체 형성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방수액 도포시 방수시트로 사용함으로써 상부시트에 침투된 방수액이 저밀도로 제직되는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와, 그 사이에 구비되는 메쉬망을 통해 용이하게 침투되어 하부시트에 밀착되는 바닥까지 방수액이 충분히 전달되면서 복합시트 내부 전체에 골고루 침투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부직포 복합시트의 인장력이 증대되어 방수시트와 방수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잦은 보수없이 오랜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직포에 방수액이 침투되는 상태를 알 수 있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결속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완료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는 단섬유 부직포로 제직되는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와, 그 사이에 끼워지는 메쉬망(30)이 일체로 결속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주로 주택, 아파트, 공장 등을 포함한 건축 구조물의 옥상, 바닥, 지하주차장 등의 바닥면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방수액이 함침되게 하는 부직포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는 주로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섬유가 사용되며, 부직포 형태로 제직된다.
상기 단섬유(short staple)는 통상 2.5∼3.8㎝의 길이를 갖는 섬유를 가리키며, 그 짧은 길이로 인해 장섬유에 비해 상호 결속력이 우수하고, 액상의 침투력이 우수하며, 염색 또한 유리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non-woven fabric)는 방직, 제직이나 편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계조작이나 열접착 등 기계, 화학처리로 섬유 집합체를 접착하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로서 펠트, 수지 접착시킨 부직포, 니들펀치,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엠보스필름, 습식부직포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니들펀칭법, 케미칼본딩법, 서멀본딩법, 멜트브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는 방수 시공시 방수액이 침투되어 방수액의 인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부직포는 장섬유로 제직되어도 사용상 무방하나, 방수액의 내부 침투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단섬유가 바람직하며, 또한 저밀도로 제직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섬유 부직포의 시트층만으로는 그 조직상 방수액이 하부측으로 완전침투가 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해 부직포 및 방수액의 인장력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를 비교적 저밀도로 제직하도록 하고, 그 사이에 메쉬망(30)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시트(10), 메쉬망(30) 및 하부시트(20)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는 방수액의 인장력 유지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단일 부직포층 보다 1/3∼1/2 정도로 얇게 구성하여 상부시트(10), 메쉬망(30) 및 하부시트(20)가 일체로 결속된 전체의 두께가 기존 단일 부직포층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시트(10), 메쉬망(30) 및 하부시트(20)는 상호간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메쉬망(30)의 상,하부에 위치된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의 단섬유 상호간 엮임에 의해 일체로 결속되도록 함이 실시예로서 바람직하나, 상호간에 결속되어 일체화 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방식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때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는 2.0∼3.2㎜ 두께 및 350∼420g/㎡ 의 밀도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통상 방수용으로 제직되는 부직포 밀도 보다 저밀도로 제직되게 구현하였다.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의 두께가 2.0㎜ 미만 및 밀도가 350g/㎡ 미만이면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섬유간의 엉킴상태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간극(또는 공간)이 커지게되므로 방수액 함침 후의 인장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생기게 되고,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의 두께가 3.2㎜ 초과 및 밀도가 420g/㎡ 초과하면 부직포의 단섬유간의 엉킴상태가 조밀해지고 간극(또는 공간)이 좁아지게되므로 방수액이 바닥부까지 침투되기 어려운 단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메쉬망(30)은 방수액의 침투가 유리하면서도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 사이에 결속되어 방수액으로 인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 메쉬간격은 가로 2.5∼3.5㎜, 세로 3.0∼4.0㎜로 형성되게 하고, 0.3∼0.8㎜ 두께 및 15∼30g/㎡ 의 밀도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30)의 메쉬간격이 가로 2.5㎜, 세로 3.0㎜ 미만이면 메쉬간격이 좁아져 방수액의 하부측으로의 통과가 어려워지게 되고, 메쉬간격이 가로 3.5㎜, 세로 4.0㎜ 초과하면 방수액의 통과는 쉬어지나 부직포 전체의 인장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메쉬망(30)의 두께가 0.3㎜ 및 밀도가 15g/㎡ 미만이면 부직포 전체의 인장력이 떨어지게 되고, 두께가 0.8㎜ 및 밀도가 30g/㎡ 초과하면 부직포의 인장력은 증대되나 방수액의 하부측으로의 통과가 어려워지게 되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S1 단계 - 먼저, 방수처리 시공할 바닥(t1)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청소는 통상 고압세척기 등을 사용하여 바닥에 묵은 때 및 일어난 곳을 말끔하게 정리하여 표면에 이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S2 단계 - 바닥(t1) 청소가 완료되면 그 바닥에 프라이머(t2)를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프라이머는 방수액을 바닥과 밀착시키기 위해 바닥에 칠하는 액상물로서,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후의 방수액 도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S3 단계 - 상기 프라이머(t2)가 건조되면, 그 프라이머 상에 1차방수액(t3-1)을 도포하면서 상술된 바와 같은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 사이에 메쉬망(30)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시트(10), 메쉬망(30) 및 하부시트(20)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 구성되는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t3-2)를 부착 고정한다.
상기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t3-2)의 상세구성은 상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S4 단계 - 상기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의 부착과 1차방수액의 도포가 완료되면, 그 상에 2차방수액(t4)을 도포하여 충분히 함침시킨 다음, 건조한다. 이때 2차방수액은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야 하며, 바닥 및 복합시트의 조건에 따라 2∼3회 정도로 도포하여 복합시트 내부 전체에 방수액이 완전 함침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S5 단계 - 상기 2차방수액(t4)의 건조가 완료되면 그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방수시공이 완료된다.
10 : 상부시트 20 : 하부시트
30 : 메쉬망

Claims (5)

  1. 방수용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복합시트에 있어서,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 사이에 메쉬망(3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10), 메쉬망(30) 및 하부시트(20)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메쉬망(30)의 상,하부에 위치된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의 상호간 엮임에 의해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는 2.0∼3.2㎜ 두께 및 350∼420g/㎡ 의 밀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30)의 메쉬간격은 가로 2.5∼3.5㎜, 세로 3.0∼4.0㎜로 형성되고, 0.3∼0.8㎜ 두께 및 15∼30g/㎡ 의 밀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5. 방수용으로 사용되어 방수액이 함침되는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수처리 시공할 바닥을 청소하는 공정(S1);
    상기 청소된 바닥에 하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S2);
    상기 건조된 프라이머 상에 1차방수액을 도포하면서 동시에 단섬유로 제직되는 부직포 형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메쉬망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시트, 메쉬망 및 하부시트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되는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부착하는 공정(S3);
    상기 1차방수액이 도포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상에 2차방수액을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함침, 건조하는 공정(S4);
    상기 건조된 2차방수액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S5);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0130130699A 2013-10-31 2013-10-31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38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99A KR101380960B1 (ko) 2013-10-31 2013-10-31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99A KR101380960B1 (ko) 2013-10-31 2013-10-31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960B1 true KR101380960B1 (ko) 2014-04-04

Family

ID=5065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99A KR101380960B1 (ko) 2013-10-31 2013-10-31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9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5B1 (ko) * 2016-02-05 2016-12-07 (주) 수향방수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80079073A (ko) * 2016-12-30 2018-07-10 김원식 부직포시트
KR102066006B1 (ko) * 2018-07-23 2020-01-1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균열 보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 균열 보수 시공방법
KR102213597B1 (ko) * 2020-06-08 2021-02-05 정상열 열 차단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방수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 시공방법
KR102439699B1 (ko) * 2021-12-06 2022-09-16 주식회사 가온코리아 슁글 지붕의 보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312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부일건화 통기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312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부일건화 통기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5B1 (ko) * 2016-02-05 2016-12-07 (주) 수향방수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80079073A (ko) * 2016-12-30 2018-07-10 김원식 부직포시트
KR102066006B1 (ko) * 2018-07-23 2020-01-15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균열 보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 균열 보수 시공방법
KR102213597B1 (ko) * 2020-06-08 2021-02-05 정상열 열 차단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방수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 시공방법
KR102439699B1 (ko) * 2021-12-06 2022-09-16 주식회사 가온코리아 슁글 지붕의 보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960B1 (ko)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DE60001749D1 (de) Verbundvlies mit binder
ITMI20100068A1 (it) Processo per preparare un tessuto non-tessuto avente una superficie rivestita con microfibra e tessuto ottenibile con detto processo
JP2010156196A5 (ko)
KR101664776B1 (ko) 기능성 초배지
NO20054207L (no) Kompleks omfattende en torrlagt flor av glassfibere og en non-woven tekstil av organiske fibere
RU2016148890A (ru) Прокладоч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мягкой мебели
JP2006057444A (ja) コンクリート防水処理用透湿性複合シート
CN202626712U (zh) 无缝墙布
KR101394466B1 (ko)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20669B1 (ko) 방수시공용 시트
RU2007127107A (ru) Нетканый иглопробивной материал
KR101275596B1 (ko) 건축용 부직포 하드보드의 제조방법, 건축용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ITMI20100067A1 (it) Uso di un materiale in tessuto-non tessuto avente una superficie rivestita con microfibra per la preparazione di dispositivi pulenti
KR20060081632A (ko)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090264B1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KR101673120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CN204709953U (zh) 一种新型复合过滤毡
CN203295795U (zh) 一种阻燃复合无纺布
CN213798524U (zh) 一种弹性防水无纺布
CN106541659A (zh) 一种防水复合无纺布
CN217079197U (zh) 一种新型玻璃纤维真空绝热板芯材
CN210911411U (zh) 一种复合防水毯
KR102090275B1 (ko) 터널 배수재용 부직포
KR100886362B1 (ko) 기모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섬유시트와 연결테이프를 이용한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