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47B1 -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47B1
KR101683147B1 KR1020160037946A KR20160037946A KR101683147B1 KR 101683147 B1 KR101683147 B1 KR 101683147B1 KR 1020160037946 A KR1020160037946 A KR 1020160037946A KR 20160037946 A KR20160037946 A KR 20160037946A KR 101683147 B1 KR101683147 B1 KR 10168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air vehicle
light source
image
fligh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수
Original Assignee
안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수 filed Critical 안지수
Priority to KR102016003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04N13/004
    • B64C2201/066
    • B64C2201/12
    • B64C2201/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의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게임 하우징에서 비행하는 게임 비행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게임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치와 현재 게임 비행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 게임 비행체가 스스로 설정된 지지대로 복귀하여 다음 게임을 대기하거나 충전할 수 있으며,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와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을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현실 영상에서 게임을 실감있게 즐기도록 도와주는 비행체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Apparatus using flight vehicle}
본 발명은 장남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게임 하우징에서 비행하는 게임 비행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게임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치와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 게임 비행체가 스스로 설정된 지지대로 복귀하여 다음 게임을 대기하거나 충전할 수 있으며,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와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을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현실 영상에서 게임을 실감있게 즐기도록 도와주는 비행체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격으로 조종되는 이동형 장난감에 광원 조사부와 광원 수광부를 설치하여 서로 격투를 수행하는 장난감이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장난감을 이동 조종하며 서로 상대방 장난감으로 타격 광원을 조사하는데 상대방 장난감의 광원 수광부에서 타격 광원을 수광하는 경우 상대방 장난감은 타격 횟수를 카운트한다. 사용자의 장난감이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상대방 장난감으로부터 조사된 타격 광원을 수광하는 경우 게임은 종료하게 된다.
최근에는 드론(drone)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대중들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이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는데, 최근에는 드론이 소형으로 그리고 저비용으로 제작됨에 따라 드론을 이용한 다양한 게임이 21세기의 새로운 스포츠로 떠오르고 있다.
종래의 이동형 장난감은 주로 차량이나 로봇과 같이 한정된 이동 영역을 가지는데, 이러한 이동형 장난감을 이용한 게임은 사용자로 하여금 빨리 흥미와 관심을 잃도록 하여 나이가 어린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정도이다. 지금까지 드론을 이용한 격투 게임은 존재하지 않으며, 더욱이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무관하게 다양한 방식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이동형 장난감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이동형 장난감을 이용한 게임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장소와 나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즐길 수 있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게임 하우징에서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한 게임 비행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양한 게임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게임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치와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 게임 비행체가 스스로 설정된 지지대로 복귀하여 다음 게임을 대기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와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을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상 현실 영상에서 게임을 실감있게 즐기도록 도와주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게임 하우징의 일면에 게임 비행체와 별도로 타격 광원을 설치하고 별도의 타격 광원도 함께 이용하여 게임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빈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게임 비행체가 내부 공간을 비행하는 게임 하우징와,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동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와, 타격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게임 비행체로부터 제1 타격 광원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며 제2 게임 비행체에서 제1 타격 광원을 수광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제1 타격 광원의 수광 횟수가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게임을 진행 제어하는 게임 진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의 제1 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제2 광원부와, 제1 면의 대향하는 제2 면에 제2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제2 광원을 수광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제2 수광부와, 다수의 제2 수광부 중 제2 광원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 또는 제2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제2 수광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게임 비행체와 제2 게임 비행체를 서로 식별하는 비행체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 중 적어도 1개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로 제2 타격 광원을 조사하는 제2 타격 광원 조사부를 더 포함하며, 게임 진행 제어부는 타격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타격 광원 조사부로부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로 제2 타격 광원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장애물과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로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판단하는 복귀 경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게임 진행 제어부는 게임 종료시 복귀 경로에 기초하여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를 상기 지지대로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를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가상 현실 영상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영상 생성부는 스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가상 현실 영상에서 보이지 않는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며, 스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에서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은 다수의 3차원 영상 중 선택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 내부에서 비행하는 다수의 게임 비행체로부터 조사되는 타격 광원으로 게임을 수행하여 장소와 나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즐길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에서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판단한 게임 비행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양한 게임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장애물 위치와 현재 게임 비행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 게임 비행체가 스스로 설정된 지지대로 복귀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다음 게임을 대기하거나 게임 비행체를 충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와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을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현실 영상에서 게임을 실감있게 즐기도록 도와준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는 게임 하우징의 일면에 게임 비행체와 별도로 타격 광원을 설치하고 별도의 타격 광원도 함께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함으로써,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가 장애물에만 숨지 않고 적극적으로 게임하도록 유도하며 다양한 패턴으로 공격할 수 있는 비행체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게임 하우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복귀 경로 판단부에서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 게임 비행체(20) 및 비행체 게임 장치(1)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11),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에 3차원 가상 현실의 영상을 제공하는 고글(13), 비행체 게임에 전용화된 게임 리모컨(15)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게임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생성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게임 비행체(20) 또는 비행체 게임 장치(1)로 송신하거나, 비행체 게임 장치(1)로부터 게임 영상이나 게임 성적, 게임 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비행체(20)는 게임 하우징(50)의 3차원 빈 내부 공간을 비행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는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한다. 게임 비행체(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 타격 광원을 조사하는 타격 광원을 구비하며 또한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부터 조사된 타격 광원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있다.
비행체 게임 장치(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게임 비행체(20)를 이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임 비행체(20)로 송신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 타격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임 비행체로 송신한다. 비행체 게임 장치(1)는 게임 비행체별로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부터 조사된 타격 광원을 수광한 횟수를 카운트하며, 타격 광원의 수광 횟수가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게임을 진행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게임 비행체별로 타격 광원의 수광 횟수가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 게임 비행체가 존재하는 경우,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 게임 비행체는 게임에서 진 것으로 판단하여 게임을 종료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게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행기 게임 장치(1)는 빈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게임 비행체(21, 23)가 빈 내부 공간을 비행하는 게임 하우징(50)과 비행체 게임 장치(1)의 게임을 진행 제어하는 제어 모듈(10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임 하우징(50)의 측면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게임 하우징(50) 내부에서 이동하는 자신의 게임 비행체와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를 직접 시각으로 확인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게임 하우징(50)의 측면, 상면 및 하면은 모두 불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게임 비행체에 설치된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한 게임 비행체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받아 게임 비행체를 조정하거나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와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이 합성된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 게임 비행체를 조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게임 하우징(50)의 빈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장애물들(20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장애물(200)을 피해 게임 비행체를 조종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게임의 난이도를 증가시키거나 게임의 흥미와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게임 하우징(50)의 일면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로 타격 광원을 조사하는 다수의 타격 광원 조사부(57)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조종하는 게임 비행체에 배치된 타격 광원 조사부뿐만 아니라 게임 하우징(50)에 배치된 타격 광원 조사부(57)를 통해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 타격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별도의 타격 광원 조사부(57)를 게임 하우징(50)의 일면에 배치함으로써, 상대방 게임 비행체가 장애물(200)에 숨어 나오지 않는 경우 별도의 타격 광원 조사부(57)를 통해 상대방 게임 비행체를 공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대방 게임 비행체가 적극적으로 게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게임 하우징(50)의 측면에 배치된 타격 광원 조사부는 사용자에 할당된 타격 광원 조사부와 상대방에 할당된 타격 광원 조사부가 구분되어 배치되며, 사용자 또는 상대방에 할당된 타격 광원 조사부를 통해 조사할 수 있는 조사 횟수는 제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게임 진행 상황을 판단하여 게임을 운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게임 비행체의 촬영 영상 또는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구체적인 제어 모듈(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 제어부(110)는 송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부를 통해 게임 비행체로 송신한다. 게임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게임 비행체가 존재할 수 있는데, 각 게임 비행체에 매핑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동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별하여 생성한다.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격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타격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게임 비행체의 제1 타격 광원 조사부로부터 타격 광원이 조사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타격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게임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타격 광원 조사부로부터 타격 광원이 조사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부를 통해 게임 비행체로 송신한다. 한편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게임 비행체가 상대방 게임 비행체로부터 조사된 타격 광원을 수광할 때 또는 게임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타격 광원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타격 광원을 수광할 때마다 각 게임 비행체별로 수광 신호의 수광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한 수광 횟수가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게임의 종료 여부를 진행 제어한다.
위치 판단부(130)는 게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비행체 식별부(140)는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와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와 사용자의 게임 비행체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행체 식별부(140)는 위치 판단부(130)를 통해 게임 하우징에 존재하는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위치 판단부(130)로부터 획득한 정보로부터는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만을 알 수 있으며 게임 비행체가 사용자의 게임 비행체인지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인지 식별하지 못한다. 비행체 식별부(140)는 추가적으로 이동 제어부(110)를 통해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속도 등의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현재 위치에 존재하는 게임 비행체가 사용자의 게임 비행체인지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인지 판단한다.
게임이 종료하는 경우 복귀 경로 판단부(150)는 게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장애물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게임 비행체 또는 상대방 게임 비행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지지대와 상대방 지지대로 각각 사용자 게임 비행체 또는 상대방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판단한다.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게임 종료시 복귀 경로 판단부(150)에서 판단한 복귀 경로에 기초하여 사용자 게임 비행체 또는 상대방 게임 비행체를 각각 사용자 지지대 또는 상대방 지지대로 이동 제어한다.
영상 생성부(170)는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를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생성부(170)는 생성한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영상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속에서 게임 비행체를 조종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영상 생성부(170)는 실제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에서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도 실제 게임 비행체와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영상 생성부(170)는 스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게임 하우징을 스캔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스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서 보이지 않는 상대방의 게임 비행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스캔 이미지를 통해 게임에서 다양한 옵션 공격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스캔 사용자 명령은 설정된 횟수만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환경 선택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의 3차원 영상 중 1개의 3차원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영상 생성부(17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의 3차원 영상 중 환경 선택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3차원 영상과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게임 하우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임 하우징의 하면(59)에는 위치 광원을 조사하는 위치 광원부(55)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59)에 대향하는 게임 하우징의 상면(58)에는 위치 광원을 수광하도록 위치 수광부(53)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광원부(55)에서 조사되는 위치 광원은 위치 광원부(55)에 대응하는 위치 수광부(53)에서만 수광되도록, 각 위치 광원부(55)에서 조사되는 위치 광원은 한정된 영역으로 조사된다.
위치 판단부는 다수의 위치 수광부(53) 중 위치 광원을 수광하는 위치 수광부와 위치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위치 수광부를 식별하며, 위치 광원을 수광하는 위치 수광부의 위치 또는 위치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위치 수광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가 현재 존재하는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위치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위치 수광부를 식별하고, 식별한 위치 수광부의 위치를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게임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각각 위치 수광부와 위치 조사부를 더 포함하며, 측면에 위치하는 위치 수광부와 위치 조사부를 통해 게임 비행체가 이동하는, 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위치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주파수와 타격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타격 광원의 주파수는 서로 상이하며, 위치 수광부와 게임 비행체의 타격 광원 수광부는 수신되는 광원의 주파수로 타격 광원과 위치 광원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는 복귀 경로 판단부에서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 게임 하우징에서 게임 비행체(21)의 현재 위치(x1, y1)를 판단한다. 여기서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는 위치 판단부에서 판단한 위치에 기초하여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현재 위치에서 게임 비행체가 복귀하여야 하는 지지대까지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복귀 경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는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서 복귀 지지대까지의 복귀 경로에 대한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현재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복귀 경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게임 비행체(O1)의 경우 게임 비행체(O1)의 현재 위치에서 지지대까지의 이동 경로는 x축으로 x1만큼 이동 후 y축으로 y1만큼 이동하는 것으로 매핑되어 있으며, 게임 비행체(O2)의 경우 게임 비행체(O2)의 현재 위치에서 지지대까지의 이동 경로는 장애물(217)를 피해 y축으로 y2만큼 이동 후, x축으로 x2만큼 이동 후 다시 y축으로 y3만큼 이동하는 것으로 매핑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게임 비행체
30: 네트워크 50: 게임 하우징
53: 위치 발광부 55: 위치 수광부
57: 타격 광원 조사부 100: 비행체 게임 장치
110: 이동 제어부 120: 게임 진행 제어부
130: 위치 판단부 140: 비행체 식별부
150: 복귀 경로 판단부 170: 영상 생성부
180: 3차원 영상 DB

Claims (7)

  1. 빈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게임 비행체가 상기 내부 공간을 비행하며, 적어도 1개의 내부 일면에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로 타격 광원을 조사하는 제1 타격 광원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게임 하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이동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게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
    상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와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와 상기 제2 게임 비행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타격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게임 비행체로부터 제2 타격 광원 또는 상기 제1 타격 광원 조사부의 제1 타격 광원이 상기 제2 게임 비행체로 조사되도록 제어하며, 제2 게임 비행체에서 제1 타격 광원 또는 제2 타격 광원을 수광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한 수광 횟수가 임계 수광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게임을 진행 제어하는 게임 진행 제어부; 및
    게임 종료 시점 식별한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와 제2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의 복귀 지지대까지의 제1 복귀 경로와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복귀 지지대까지의 제2 복귀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복귀 경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검색하여 상기 제1 게임 비행체와 제2 게임 비행체의 복귀 경로를 각각 판단하는 복귀 경로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는 게임 종료시 상기 제1 복귀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게임 비행체를 복귀 지지대로 이동 제어하며 상기 제2 복귀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게임 비행체를 복귀 지지대로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게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게임 장치는
    상기 게임 하우징의 제1 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위치 광원부;
    상기 제1 면의 대향하는 제2 면에 상기 위치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위치 광원을 수광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는 위치 수광부; 및
    다수의 상기 위치 수광부 중 위치 광원을 수광하는 위치 수광부 또는 위치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위치 수광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제2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게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게임 장치는
    상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이동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가상 이미지를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게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스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가상 현실 영상에서 보이지 않는 상기 제1 게임 비행체 또는 상기 제2 게임 비행체의 위치를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게임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이 모델링된 3차원 영상은 선택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게임 장치.
KR1020160037946A 2016-03-29 2016-03-29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10168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46A KR101683147B1 (ko) 2016-03-29 2016-03-29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46A KR101683147B1 (ko) 2016-03-29 2016-03-29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147B1 true KR101683147B1 (ko) 2016-12-09

Family

ID=5757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946A KR101683147B1 (ko) 2016-03-29 2016-03-29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83A (ko) * 2017-11-30 2019-06-10 로보웍스(주) 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렉티브 게임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
WO2019139263A1 (ko) * 2018-01-11 2019-07-18 박민경 무인 비행체의 레이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6523A1 (ko) * 2018-02-09 2019-08-15 차영천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KR20190142584A (ko) *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KR102575528B1 (ko) 2023-01-27 2023-09-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드론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416A (ja) * 1999-12-16 2001-06-29 Pioneer Electronic Corp 座標位置検知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238504Y1 (ko) * 2001-04-16 2001-10-11 김홍만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KR20030077379A (ko) * 2002-03-26 2003-10-01 주식회사 브이알필드 광막을 이용한 원형물체의 비행 속도 및 위치 측정 시스템
KR101505411B1 (ko) * 2013-12-03 2015-03-25 주식회사 바이로봇 무선 조종 비행체를 이용한 배틀 게임 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416A (ja) * 1999-12-16 2001-06-29 Pioneer Electronic Corp 座標位置検知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238504Y1 (ko) * 2001-04-16 2001-10-11 김홍만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KR20030077379A (ko) * 2002-03-26 2003-10-01 주식회사 브이알필드 광막을 이용한 원형물체의 비행 속도 및 위치 측정 시스템
KR101505411B1 (ko) * 2013-12-03 2015-03-25 주식회사 바이로봇 무선 조종 비행체를 이용한 배틀 게임 중계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83A (ko) * 2017-11-30 2019-06-10 로보웍스(주) 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렉티브 게임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
KR102042232B1 (ko) * 2017-11-30 2019-12-02 로보웍스(주) 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렉티브 게임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
WO2019139263A1 (ko) * 2018-01-11 2019-07-18 박민경 무인 비행체의 레이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6523A1 (ko) * 2018-02-09 2019-08-15 차영천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KR20190096841A (ko) 2018-02-09 2019-08-20 차영천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KR20190142584A (ko) *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KR102583169B1 (ko) 2018-06-18 2023-09-25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KR102575528B1 (ko) 2023-01-27 2023-09-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드론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47B1 (ko)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101926178B1 (ko) 가상 공간에의 몰입감과 실제 공간에서의 이동을 양립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훈련 시스템
CN110114735B (zh) 由无人自主交通工具捕捉比赛的图像
US958613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ojectile hits on a surface
US9132342B2 (en) Dynamic environment and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AR) systems
US20190217202A1 (en) Simulation system, process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670147B1 (ko) 휴대용 디바이스, 가상 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368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드론 경기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292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KR102233490B1 (ko)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US20130286004A1 (en) Displaying a collision between real and virtual objects
US20070282564A1 (en) Spatially aware mobile projection
CN106664401A (zh) 用于在与内容交互时向用户提供反馈的系统和方法
US9244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with projected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EP2395454A2 (en) Image generation system, shape recognition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6470741A (zh) 交互式玩耍套件
CN110507994A (zh) 控制虚拟飞行器飞行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710338A (zh) 训练用于比赛的人工智能模型的系统和方法
EP1417008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creating an environment for a creature
JP6935218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65457A (ko) 장난감 무인 이동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CN205353769U (zh) 一种飞行系统
JP2016087007A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バ
JP6660321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9111A (ja) 方法、システム、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