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04Y1 -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Google Patents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8504Y1 KR200238504Y1 KR2020010010595U KR20010010595U KR200238504Y1 KR 200238504 Y1 KR200238504 Y1 KR 200238504Y1 KR 2020010010595 U KR2020010010595 U KR 2020010010595U KR 20010010595 U KR20010010595 U KR 20010010595U KR 200238504 Y1 KR200238504 Y1 KR 20023850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gun
- unit
- toy
- light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선총(31)을 구비한 작동완구에 대한 고안이며, 더 상세하게는 광선총(31)을 구비하여 완구 상호간에 광선총(31)에 의한 공격과 회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작동완구이다.
본 고안의 완구는 본체(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선총(31)과 수광부(41)를 구비하여 광선총(31)으로는 상대방을 공격하며, 수광부(41)로는 상대방의 광선총(31)에 의한 피격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41)가 감지한 피격정보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되는 상태를 표시부(44)에 나타내고, 정해진 횟수만큼의 피격 받으면 음향과 발광으로 경보를 발생하며, 동시에 본 고안의 일부의 기능을 정지시켜 승패를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피격 표시부(40)를 구비함으로서 완구 상호간의 격투동작이나 로봇축구등의 스포츠 게임을 좀더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에 대한 고안이며 더 상세하게는 광선총을 구비하여 완구상호간에 광선에 의한 공격동작 및 회피동작이 가능한 작동완구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취지는 본체에 이동수단과 그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로봇축구와 같은 형식의 스포츠 게임을 할 수 있는 기동성 있는 완구에 이러한 광선에 의한 공격능력을 구비하여 게임의 과정에서 상대를 제압하는 수단을 갖게 함으로서 게임을 좀더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주행하는 작동완구에 광선 발사수단을 구비시키고자 하는 고안은 종래부터 있었으며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20-0183650 (2000.03.16)을 사례로 들고자 한다.
이 고안은 원격 조정하는 작동완구에 적외선 발사장치를 장착한다는 개념에서 본 고안과 개념이 동일하다 하겠다.
이 고안을 광선완구에 대한 출원의 대표적 사례로 간주하고 이 고안의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서 본 고안이 추구하는 바를 나타내고자 한다.
상기 선 출원된 고안의 문제는 상대방을 공격하는 광선으로 적외선을 제안하고 있다는 것이다. 완구에 적외선을 사용하면 적외선의 눈에 보이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광선의 발사에 따른 실감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광선이 발사되는 광선총의 총구에 보여지는 광선과, 광선을 맞은 상대측의 완구의 몸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사용자가 전혀 감지할 수 없으므로 광선이 발사되고 있다는 실감이 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고안의 또 하나의 문제는 광선을 발사하는 광선 발사수단과 상대방의 광선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이나 형태에 대한 제시가 없고 포괄적 개념만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선을 발사하거나 상대의 광선을 감지하는 수단은 포괄적인 개념만으로 용이하게구성되지는 않는다.
광선을 상대측에 발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광선의 발사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광선총에서 발사되는 광선이 너무 넓은 각도로 퍼져나가면 상대의 감지수단을 맞출 확률이 너무 높아지며, 광선이 발사되는 각도를 너무 좁게 설정하면 반대로 상대의 감지수단을 맞추기가 너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광선 감지수단의 경우에도 감지수단이 상대방의 광선총에서 발사한 광선을 감지하는 범위가 너무 넓으면 명중률이 너무 높아져 난이도가 너무 떨어지고 광선을 감지하는 범위가 너무 좁으면 난이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광선의 발사수단이나 광선의 감지수단은 그 완구가 설정하고자 하는 게임의 난이도를 감안하여 광선의 발사각도와 감지수단의 감지범위가 설정되어 형태와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광선 감지수단의 구성이나 형태, 또는 설치위치의 설정에는 또 하나의 문제가 대두된다. 광선 감지수단은 상대방이 발사하는 광선 뿐 아니라 주변의 조명과 일광(日光)에 의하여 오동작 될 소지가 항상 존재하므로 광선 감지기는 이러한 주변의 광선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다.
상기 선 고안에 대한 문제점의 지적을 통하여 본 고안의 추구하는 바를 나타내었는바, 본 고안은 작동완구에 광선을 사용하는 공격수단을 구비하되, 광선에 의한 공격수단에서는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의 발사수단을 사용하고, 광선공격에 있어서는 발사범위가 적절히 설정된 형태의 발사수단을 구비하고, 상대방의 광선을 감지하는 수단 또한 적절한 범위 이내에서 입사되는 광선에만 동작하며 주변의 조명이나 일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형태의 광선 감지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며, 광선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피격의 횟수를 카운터에 입력시켜 카운트 되도록 하여 그 카운트된 결과에 상응하는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작동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광선총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발광 제어부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발광 제어부의 회로 구성의 실시 예.
도 6은 수광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피격 표시부의 회로 구성도.
도 8은 피격 표시부의 회로 구성의 실시 예.
도 9는 피격 표시부의 회로 구성의 또 다른 실시 예.
도 10은 표시부의 구조도.
도 11은 표시부의 또 다른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체 11. 범 퍼
30. 발광 제어부 31. 광선총 31a. 발광 다이오드(LED)
31b. 광선 유도관 32. 증폭부 33. 음향 발생수단 34. 발진부 40. 피격 표시부 41. 수광부 41a. 수광소자 41b. 수광 유도관 41c. 필터
42. 수신부 42a. 릴레이 43. 카운터 43a 카운터 I.C 43b. BCD 카운터 43c. 디코더
44. 표시부 44a. 표시수단 44b. 기판
44c. 투명 캡 45. 경보 발생부 45a. 음향 발생수단 45b. 발광 표시수단 46. 전원 차단부 46a. 릴레이 47. 측면 수광부 50. 원격 수신부 51. 안테나 60. 이동수단 70. 전원부 71. 배터리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방식에 의하여 성취되는바 이를 첨부 도면과 함게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로서 본체(10)의 정면에 하나의 광선 발사수단(이하 '광선총'(31)이라 칭한다.)과 하나의 광선 감지수단(이하'수광부'(41)로 칭한다.)을 구비하고 있다.
물론 본 고안의 완구에 설치하는 광선총(31)과 수광부(41)가 반드시 본 실시 예와 같이 하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선총(31)과 수광부(41)의 설치수량 및 설치위치는 그 완구가 추구하는 게임의 난이도를 감안하여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바 본 고안에서 의미하는 작동완구란 본체 내에 완구를 움직여주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을 원격제어장치 또는 마이컴과 같은 프로그램이 가능한 제어장치에 의하여동작시킴으로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지는 완구를 의미한다.
도 1의 실시 예에는 본체(10)를 움직여주는 수단인 바퀴(61)가 나타나 있는데 이 바퀴(61)와 이 바퀴(61)를 동작시키는 동력장치를 이동수단(60)으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완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수단(6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필요한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원격제어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 이다.
그림에서 보여주는 실시 예의 경우에 제어수단은 원격 수신부(50)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원격 수신부(50)란 외부에서 원격송신장치로 보내는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제어신호로 바꾸어 해당 부분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구성도에 나타난 이동수단(60)도 원격 수신부(50)의 제어를 받게 된다.
발광 제어부(30)는 원격 수신부(50)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선총(31)을 동작시키는 회로이며, 피격 표시부(40)는 수광부(41)가 감지한 피격정보를 받아들여 이를 카운트하고 피격된 상태를 표시장치에 나타내주는 회로이다.
광선총(31)과 발광 제어부(30), 수광부(41)와 피격 표시부(40)를 광선 공격 및 감지 시스템으로 칭하기로 하는데 이러한 시스템이 본 고안의 핵심적 요소이다.
전원부(70)는 상기 원격 수신부(50)와 이동수단(60), 그리고 발광 제어부(30)와 피격 표시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회로 구성에 있어서 원격 수신부(50)와 이동수단(60), 그리고 전원부(70)는 도 1과 같이 이동수단(60)을 구비하고 제어장치에 의하여 움직이는 완구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구성이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기본구성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안하는바가 없다.
다만 본 고안의 원격 수신부(50)의 경우 원격 수신부(50)가 제어하여야 할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어하는 이동수단(60)에 더불어 광선총(31)의 발사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30)의 동작도 제어하여야 하므로 원격 수신부(50)가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받는 명령신호의 채널은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광선총(31)의 구조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외형 사시도에는 본체(10)의 전면에 하나의 광선총(31)이 나타나 있다.
그림과 같이 광선총(31)은 속이 빈 기다란 통형의 관체(이하 '광선 유도관'(31b)이라 칭한다.)의 일측 종단부의 내측에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31a)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구성된다.
광선 유도관(31b)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31a)의 빛은 화살표 'A'로 표시된 일정 방향으로만 진행하여 외부로 발사된다.
즉 광선 유도관(31b)은 발광 다이오드(31a)의 빛을 일정 방향으로 보내주는 집광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광선 유도관(31b)의 길이가 길수록 빛이 퍼져나가는 범위는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광선 유도관(31b)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발광 다이오드(31a)의 빛을 일정 방향으로 적절한 폭을 갖고 발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것이다.
도 4 는 발광 제어부(30)의 회로 구성도이다.
발광 제어부(30)는 원격 수신부(50)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광선총(31)의 발광 다이오드(31a)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광선총(31)을 동작시키는 회로이다.
상기에 언급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광선을 발생하는 발광수단으로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 경우에 광선총(31)에서 발사되는 광선이 발사시에 점등되었다가 발사가 정지되면 꺼지는 단순한 구조여서는 완구로서의 흥미감을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광선총(31)에서 발사되는 광선은 마치 기관총을 발사하듯이 연속적으로 점멸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여줄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광선이 발사되는 동안 단속적인 발사음이 함께 발생하여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청각적 효과를 구사하는것이 효과적이므로 발광 제어부(30)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발광 제어부(30)에 그림과 같이 원격 수신부(50)로 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발진부(34)에서 저속의 발진신호(發振信號)가 만들어진다. 이 저속의 발진은 초당 5회 정도가 적절하며 초당 10회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진부(34)에서 만들어진 발진신호는 증폭부(32)에서 증폭되어 광선총(31)의 발광 다이오드(31a)에 입력되므로 발광 다이오드(31a)는 공급되는 발진전류에 의하여 점멸동작을 시작하고 이 광선이 광선 유도관(31b)을 따라 외부로 발사되는 것이다.
또한 증폭부(32)의 출력단에는 음향 발생수단(33)을 설치하여 광선의 점멸과 동조되는 단속음을 발생하여 마치 총소리와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한다.
음향 발생수단(33)이란 벨, 부져 또는 스피커와 같이 음향을 발생하는 장치나 기기를 의미하며 스피커의 경우 메모리 칩과 함께 구성되어 메모리 칩에 내장된 총소리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광선총(31)이 발사하는 광선은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31a)에 의한 가시광선이므로 발사되는 광선이 광선 유도관(31b)의 출구에서 보이게 되며, 또한 상대측 완구의 본체(10)의 표면에 맞아 반사되는 모습도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므로 광선이 발사되는 시각적 실감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도 5 는 상기 도 4 의 회로 구성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의 실시 예에서는 NAND 게이트(N1,N2)와 콘덴서(C1), 그리고 저항(R1),(R2)으로 구성된 발진부(34)를 구성하고 있으며, 두 개의 트랜지스터(Tr-1),(Tr-2)를 이용하여 증폭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도 6 은 수광부(41)의 구조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수광부(41)는 상대방의 광선총(31)에서 발사한 광선을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도 1 의 실시 예 에는 본체(10)의 전면에 하나의 수광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수광부(41)는 그림과 같이 속이 빈 기다란 통형의 관체(이하 '수광 유도관'(41b)으로 칭한다.)의 일측 종단부의 내측에 수광소자(41a)를 삽입하여 구성하므로 점선 B 의 방향으로 입사(入射)되는 광선은 수광 유도관(41b)을 따라 진입하여수광소자(41a)에 이르게 된다.
여기에서 수광 소자(41a)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광도전 셀(CdS)과 같이 광선을 감지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수광 유도관(41b)은 외부에서 진입하는 광선의 진입각도를 제한하여 특정한 방향에서 오는 광선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수광 유도관(41b)이 외부의 광선중에서 일정 방향에서 오는 광선만 받아들이도록 진입방향을 제한하여 상대방의 광선총(31)에서 발사한 광선이 수광부(41)의 수광소자(41a)도달하기 어렵도록 난이도를 제공한다.
그런데 수광부(41)에 설치되는 수광소자(41a)는 상대방의 광선총(31)에서 오는 광선에만 동작해야하나 실제로는 주변의 조명과 일광(日光)의 반사광이 수광부(41)로 입사(入射)되어 수광부(41)를 오동작 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일광의 경우 상대방의 완구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41)로 입사되는 경우에도 그 광량이 상대방의 광선총(31)이 발사하는 광선보다도 크므로 오동작의 소지는 항상 존재한다.
도 6 은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광부(41)로 입사한 광선이 수광 유도관(41b)을 경유하여 수광소자(41a)에 이르는 경로상에 필터(41c)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광선총(31)의 광원으로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31a)의 색상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시각적 효과로 보아 적색(赤色)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선총(31)에서 발사되는 광선이 적색인 경우 수광부(41)의 필터(41c)는 적색이 된다.
필터(41c)는 같은 색상의 광선은 별다른 저항 없이 통과시키면서 다른 색상의 광선은 차단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대방의 광선총(31)에서 발사되는 적색광선은 통과시키면서 주변의 조명이나 일광의 반사광은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해준다.
수광부(41)에 사용되는 필터(41c)는 전혀 고가의 제품일 필요가 없으며 유색의 유리나 아크릴을 가공하여 사용하면 무방하며, 유색의 셀로판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셀로판 수지의 경우 수광소자(41a)의 표면에 접착시켜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6 의 실시 예 에서의 필터(41c)는 유색의 유리나 아크릴 수지를 광선 유도관 (41b)의 내경에 맞게 가공하여 삽입, 고정시킨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광부(41)의 설치가 도 1의 실시 예와 같이 반드시 전면에 설치되거나 하나만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체(10)의 측면에 설치하는 측면 수광부(47)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수광부가 게임의 난이도나 완구의 형태를 감안한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서는 본체(10)의 측면이나 다른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고 그 설치 숫자도 조정될 수 있음을 사례로서 보여주는 것이다.
도 7 은 피격 표시부(40)의 구성도 이다.
수광부(41)가 상대의 광선총(31)이 발사한 광선에 의하여 동작된 상태를 피격(被擊)되었다고 칭하기로 한다. 피격 표시부(40)는 이러한 피격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이다.
수광부(41)가 상대방의 광선총(31)의 광선에 의하여 피격되면 신호전류가 피격 표시부(40)의 수신부(42)로 입력된다.
수광부(41)가 피격되어 피격 표시부(40)로 보내는 신호전류를 '피격신호'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 피격신호가 입력되면 수신부(42)의 릴레이가 동작하여 피격신호를 다시 카운터(43)와 경보 발생부(45)로 보낸다.
경보 발생부(45)는 수신부(42)에서 피격신호가 오면 동작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램프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피격 받았음을 알린다.
그런데 수광부(41)가 피격을 받아 경보 발생부(45)가 경보를 발하면 사용자는 즉시 피격을 받았음을 인식하고 원격조작으로 본체(10)를 조작하여 회피동작을 함으로서 수광부(41)로 입사되던 상대방의 광선총의 광선을 피하게 되므로 수신부(42)로 보내지던 피격신호는 멈추어진다.
따라서 수신부(42)의 동작도 정지하고 수신부(42)의 동작이 멈추면 경보 발생부(45)로 보내지던 피격신호도 멈추므로 경보 발생부(45)가 발생하던 경보는 정지한다.
수신부(42)에서 카운터(43)로 피격신호가 보내지면 카운터(43)는 입력되는 피격신호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되는 과정을 표시부(4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카운터(43)는 피격의 횟수를 사전에 설정(Setting)하는 기능을 구비하며수신부(42)로 부터 입력되는 피격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한 횟수에 이르면 신호를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로 보내어 패배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카운터(43)에서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로 보내지는 신호를 '종결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수신부(42)로 부터 경보 발생부(45)로 입력되는 피격신호는 사용자의 회피동작으로 인하여 짧은 시간만 지속되므로 경보 발생부(45)의 경보도 단시간만 발생한다.
그러나 카운터(43)로 부터 경보 발생부(45)로 입력되는 종결신호는 카운터(43)를 다시 복귀(Reset)시키기 까지는 계속되므로 사용자는 경보의 지속시간을 구분하여 경보가 단시간의 피격경보인지 장시간의 패배경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전원 차단부(46)는 카운터(43)로 부터 종결신호를 받으면 본 고안의 회로구성의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일부기능을 정지시킴으로서 패배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한 구성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그림에서 수광부(41)의 수광소자(41a)가 상대방이 발사한 광선에 의하여 동작하면 그 피격신호를 피격 표시부(40)의 수신부(42)로 보낸다.
수신부(42)는 수광부(41)가 보내주는 피격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장치이다.
피격신호가 일단 수신부(42)로 들어오면 트랜지스터(Tr-3)를 동작시켜 전류를 증폭한 후에 릴레이(42a)를 동작시킨다.
여기에서 릴레이(42a)의 역할은 수광부(41)의 수광소자(41a)가 상대방이 발사한 광선총(31)의 충분한 광선을 받아야만 동작하고 주변의 약한 반사광의 입사에 의해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만일 수광소자(41a)가 충분한 광선을 받지 못하면 수신부(42)의 트랜지스터(Tr-3)에 충분한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여 릴레이(42a)를 동작시키지 못하므로 상대방의 광선총(31)으로 부터 입사되는 광선보다 약한 주변의 산란광으로는 릴레이(42a)는 동작하지 않는다.
수신부(42)의 릴레이(42a)가 동작하면 접점(a-b)이 동작하여 피격신호를 카운터(43)와 경보 발생부(45)로 보낸다.
경보 발생부(45)는 두 개의 경보발생수단을 구비하는데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수단(45a)과 광선을 발생하는 발광 표시수단(45b)이다.
음향발생수단(45a)이란 벨, 부져, 스피커와 같이 음향을 발생하는 장치나 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발광 표시수단(45b)란 기본적으로 램프를 의미하며 가장 바람직한 발광 수단은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경보 발생부(45)는 수신부(42)로 부터 피격신호를 받으면 스위칭수단인 트랜지스터 (Tr-4)를 동작시켜 음향발생수단(45a)과 발광표시수단(45b)을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피격을 받았음을 경보해주는 것이다.
그런데 일단 경보 발생부(45)가 경보를 발생하면 사용자가 본체(10)를 작동시켜 회피동작을 하게되므로 수광부(41)로 입사되던 상대방의 광선은 더 이상 입사될 수 없으므로 수신부(42)의 동작은 곧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부(42)의 동작은 사용자의 회피동작으로 말미암아 항시 단시간만을 동작한다. 따라서 수신부(42)로 부터 피격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경보 발생부(45)의경보발생도 단시간만을 동작하게 된다.
카운터(43)는 수신부(42)로 부터 피격신호를 받아 피격의 횟수를 세는 장치이다.
특히 카운터(43)에 요구되는 사항은 피격의 횟수를 사전에 설정(Setting)할 수 있고, 카운트되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표시수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카운터(43)에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전용의 카운터 I.C(43a)를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카운터(43a)는 10진 카운터인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C-MOS 4017B Johnson decade 카운터 I.C 가 있다.
이 카운터(43a)는 입력(IN)단자에 피격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림에서 나타낸 1 번에서 10번 까지의 출력단자에 순차적으로 출력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10개의 출력단자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연결하면 피격의 횟수를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의 상태로서 알 수 있는데 이 발광 다이오드(LED)가 바로 표시부(44)의 표시수단(44a)이 된다.
표시수단(44a)이란 카운터(43)가 피격신호를 카운트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표시부(44)는 도 1에서 본체(10)의 상단에 나타나있고, 도 10에 그 내부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0과 같이 표시부(44)는 표시수단(44a)인 발광 다이오드(LED)를 기판(44b)상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표시수단(44a)의 동작상태가 잘 보이도록 상면에 투명한 캡(이하 '투명 캡'(44c)으로 칭한다.)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특히 이 표시부(44)에는 상기에 설명한바있는 경보 발생부(45)의 발광표시수단(45b)을 함께 설치하면 사용자에게 피격에 따른 두 가지의 시각정보를 보여주기에 효과적이다.
카운터(43)을 구성하는 카운터 I.C(43a)의 10번째 출력단자(10)는 표시부(44)의 발광표시수단(44a)인 발광 다이오드(LED) 뿐 아니라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로도 연결되어있음을 알 수 있는데 설명한바와 같이 10번 출력단자는 피격신호가 입력단자(IN)에 10회 입력되었을 때 출력되는 단자이므로 이를 바꾸어 말하면 피격을 10회 받으면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가 동작하도록 회로를 설정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로 연결되는 회로가 카운터 I.C(43a)의 9번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는 9번째의 피격에서 전원 차단부(46)와 경고 발생부(45)가 동작하도록 회로가 설정된 것이다.
그림에서 10번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10회의 피격을 받았을 때 출력되는 신호는 설정된 만큼의 피격을 받았음을 보여주는 신호이므로 이 신호를 '종결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카운터 I.C(43a)의 몇 번 출력단자에 경보 발생부(45)와 전원 차단부(46)를 연결하느냐에 따라서 몇 회의 피격에서 종결신호를 낼 것인가를 설정(Setting)할 수 있는 것이다.
종결신호가 경보 발생부(45)로 입력되면 수신부(42)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마찬가지로 음향발생수단(45a)을 동작시켜 경보음을 발생하고, 발광 표시수단(45b)을 동작시켜 램프의 점등으로서 경보를 표시한다.
그런데 설명한바와 같이 수신부(42)에서 경보 발생부(45)에 입력되는 피격신호는단시간만을 동작하는 신호이나 카운터(43)로 부터 입력되는 종결신호는 카운터 I.C(43a)에 연결된 누름 스위치(PB)를 눌러 카운터 I.C(43a)를 다시 복귀(Reset)시키기 전 까지는 계속 입력되므로 경보 발생부(45)의 경보동작도 사용자가 카운터(43)를 복귀시킬 때까지 계속된다.
경보 발생부(45)의 다이오드(D2),(D3)는 수신부(42)로 부터 입력되는 피격신호와 카운터(43)로 부터 입력되는 종결신호가 서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 차단부(46)의 역할은 카운터(43)로 부터 종결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의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패배를 알리는 장치이다.
그림의 회로와 같이 전원 차단부(46)로 종결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트랜지스터
(Tr-5)를 동작시킴으로서 릴레이(46a)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릴레이(46a)의 접점(a-b)이 전원부(70)의 전원인 배터리(71)로부터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공급전원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이다.
도 2 에는 전원부(70)에 설치된 상기 릴레이(46a)의 접점(a-b)이 발광 제어부(30)에 공급되는 전원선의 경로상에 연결되어있음이 나타나 있는데 이 경우에 피격 표시부(40)의 전원 차단부(46)의 릴레이(46a)가 동작하면 접점(a-b)이 열려(OPEN) 발광 제어부(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발광 제어부(30)가 동작하지 않음을 보고 자신의 완구가 설정된 만큼의 피격을 받아 패배하였음을 자각하게되는 것이다.
물론 전원 차단부(46)가 동작되어 차단하는 구성요소가 반드시 실시 예와 같이 발광 제어부(30)여야만 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수신부(50)나 이동수단(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피격 표시부(40)의 역할은 수광부(41)로 부터 받은 피격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 매 회의 피격시마다 경보를 발생하여 피격을 알리고, 또한 매회의 피격을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피격의 횟수를 표시하여주며,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의 피격을 받으면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구성요소의 일부기능을 정지시켜 패배를 알려주는 표시장치인 것이다.
도 8의 경우에 상기 피격 표시부(4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함에 있어서 카운터(43)로는 특정한 10진의 카운터 I.C(43a)를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으로 사용되는 카운터(43)가 카운트하는 과정의 피격의 횟수를 시각적 표시수단으로 보여줄 수 있고, 사전에 피격의 횟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횟수만큼의 피격이 이루어지면 종결신호를 발생하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으면 종래의 공지된 카운터나 카운터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는 도 7 에서 설명한 피격 표시부(40)의 또 다른 회로도이며 도 8 에서의 회로의 설명을 보완하는 것이다. 도 9 에서는 표시부(44)의 표시수단(44a)으로 7 세그먼트 LED 를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시부(44)의 표시수단(44a)으로 7 세그먼트 LED를 사용하는 경우의 표시부(44)의 구조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 의 표시부(44)의 구조는 도 10 에 도시한 구조와 크게 다를 바가 없으며 다만 표시수단(44a)이 도 10 의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7 세그먼트 LED 로 바뀌어있다.
도 9 의 경우와 같이 7 세그먼트 LED 를 표시수단(44a)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8 에서 나타낸 카운터 I.C(43a)의 기능에 추가하여 수신부(42)로 부터 입력된 피격신호를 읽는 BCD 카운터(43b)와 BCD 카운터(43b)의 신호를 받아 7 세그먼트 LED를 동작시키는 디코더(43c)가 추가로 필요하다.
그러나 도 9 에 나타낸 카운터(43)의 회로도도 하나의 실시 예이며 공지의 카운터에는 7 세그먼트 LED 를 표시수단으로 구비한 카운터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본 고안이 필요로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카운터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9 에서 또 하나의 변경은 전원 차단부(46)의 릴레이(46a)에서 트랜지스터(Tr-5)로 연결되는 경로상에서 회로를 분기하여 이를 경보 발생부(45)의 트랜지스터
(Tr-4)의 콜렉터측에 연결함으로서 경보 발생부(45)의 음향발생수단(45a)과 발광 표시수단(45b)이 동작할 때 전원 차단부(46)의 릴레이(46a)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경보 발생부(45)의 경보가 발생되는 동안은 전원 차단부(46)도 동작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의 일부가 동작이 되지 않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흥미감을 더 높이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경보 발생부(45)의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 저항(R7)측에는 콘덴서(C3)를 설치하여 트랜지스터(Tr-4)가 피격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시간을 좀더 연장시키는 것이 좋다.
콘덴서(C4)의 설치에 의하여 증가되는 동작시간은 게임의 진행방식을 감안하여 설정하는데 대략 5~10초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보 발생부(45)가 동작시 전원 차단부(46)가 함게 동작하도록 하는 방식을 예시하는 것은 도 7에 나타낸 피격 표시부(40)의 기본 구성요소간에 약간의 회로를 변경함으로서 다양한 동작방식이 창출될 수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완구는 광선총(31)과 수신부(41)를 구비하여 완구 상호간에 격돌이 가능하여 광선총(31)으로는 상대의 수신부(41)를 맞추려 하며, 상대의 광선총(31)이 나의 수신부(41)를 맞추는 것은 회피동작으로 회피하는 과정에서 유희구로서의 재미가 창출되는 것이다.
또한 나의 완구가 상대의 광선총(31)에 의하여 얼마나 피격되었는가를 알 수 있고 사전에 한정된 숫자만큼의 피격을 받으면 패배하도록 하여 게임에 카운터(43)를 이용한 점수제를 도입하여 게임의 흥미를 높이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완구를 움직이는 이동수단(60)과, 이동수단(6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안을 하지는 않으며 공지의 수단을 사용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제어장치로서 원격 수신부(50)를 사용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원격 수신부(50)가 마이컴 등을 이용하여 동작이 프로그램 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제어수단으로 변경되어도 본 고안의 광선총(31)과 발광 제어부 (30), 그리고 수광부(41)와 피격 표시부(40)는 여전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동수단(60)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에 의하여 조종되는 작동완구가 본 고안의 광선총(31)과 발광 제어부(30), 수광부(41)와 피격 표시부(40)로 구성되는 광선 발사 및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면 완구 상호간에 광선에 의한 공격과 회피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작동완구의 사용에서 보다 큰 흥미감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광선발사 및 감지시스템을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스스로 동작하는 로봇완구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제작된 로봇의 기능을 겨루는 경쟁방식에 광선에 의한 격투동작이 부가되므로 경쟁방식을 보다 흥미롭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8)
- 본체(10)에 전원(電源)과 이동수단(60)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60)을 원격제어장치 또는 마이컴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되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움직이는 공지의 작동완구에 있어서,광선을 발사하는 광선총(31)과,상기 광선총(31)을 동작시키는 발광 제어부(30)와,상대방이 발사한 광선을 감지하는 수광부(41)와,상기 수광부(41)의 피격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피격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1항의 광선총(31)은 통형의 관체로 형성된 광선 유도관(31b)과,상기 광선 유도관(31b)의 일측단의 내측에 발광 다이오드(31a)를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1항의 발광 제어부(30)는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34)와,상기 발진부(34)의 발진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32),상기 증폭부(32)의 출력측에 음향 발생수단(33)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1항의 수광부(41)는 통형의 관체로 형성된 수광 유도관(41b)과,상기 수광 유도관(41b)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수광소자(41a)와,상기 수광소자(41a)의 전면에 설치되는 필터(41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피격 표시부(40)는,수광부(41)의 피격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수신부(42),상기 수신부(42)가 보내는 피격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43),상기 카운터(43)의 카운트되는 상태를 표시수단(44a)으로 보여주는 표시부(44),상기 수신부(42)에서 보내는 피격신호와, 상기 카운터(43)에서 보내는 종결신호에의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45),상기 카운터(43)의 종결신호에 의하여 릴레이(46a)를 동작시켜 일부 구성요소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5항의 표시부(44)는 표시수단(44a)이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5항의 표시부(44)는 표시수단(44a)이 7 세그먼트 LE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상기 제 5항의 경보 발생부(45)는 경보 발생수단으로 음향 발생수단(45a)과 발광 표시수단(45b)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595U KR200238504Y1 (ko) | 2001-04-16 | 2001-04-16 |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595U KR200238504Y1 (ko) | 2001-04-16 | 2001-04-16 |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8504Y1 true KR200238504Y1 (ko) | 2001-10-11 |
Family
ID=7306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0595U KR200238504Y1 (ko) | 2001-04-16 | 2001-04-16 |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850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147B1 (ko) * | 2016-03-29 | 2016-12-09 | 안지수 |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
-
2001
- 2001-04-16 KR KR2020010010595U patent/KR20023850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147B1 (ko) * | 2016-03-29 | 2016-12-09 | 안지수 | 장난감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41185A (en) | Interactive light-operated toy shooting game | |
US6293869B1 (en) | Shooting game target with graphic image display device | |
US7661679B2 (en) | Electronic target system for sports | |
US4772028A (en) | Electronic shootout game | |
US4802675A (en) | Toy gun | |
US6473980B2 (en) | Infrared laser transmitter alignment verifier and targeting system | |
US8439720B2 (en) | Shooting toy used in game for two or more players | |
JP2001505294A (ja) | 射撃スポーツ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 |
WO2008085906A3 (en) | Toy laser gun and laser target system priority claim | |
WO1999009368A1 (en) | Electronic game with infrared emitter and sensor | |
US6780014B1 (en) | Pattern testing board and system | |
US20080004111A1 (en) | Non Impact Video Game Controller for Dancing Games | |
US4257612A (en) | Optoelectronic amusement device | |
KR200238504Y1 (ko) | 광선총을 구비한 작동완구 | |
US20090280880A1 (en) | Targeting system for a robot gaming environment | |
US6464554B1 (en) | Non-mechanical contact trigger for an article | |
GB2290483A (en) | Simulated weapon | |
EP1049059A3 (en) | Fire detector | |
JPS62210396A (ja) | 標的ゲ−ム | |
US20030048636A1 (en) | Non-mechanical contact actuator for an article | |
KR20210112487A (ko) |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 |
JPS6425887A (en) | Robot toy | |
KR200237565Y1 (ko) | 스포츠 게임용 완구 | |
KR100617889B1 (ko) |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 |
KR200180922Y1 (ko) | 레이저를 이용한 사격조준 연습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