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487A -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 Google Patents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487A
KR20210112487A KR1020200027539A KR20200027539A KR20210112487A KR 20210112487 A KR20210112487 A KR 20210112487A KR 1020200027539 A KR1020200027539 A KR 1020200027539A KR 20200027539 A KR20200027539 A KR 20200027539A KR 20210112487 A KR20210112487 A KR 20210112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one
goal
net
led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75B1 (ko
Inventor
이기종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대를 이용하는 운동경기에 있어서, 정확히 골을 인식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인식수단은 후면에서 골이 골대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골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어 왔다. 또한, 골을 인식한 경우에 재미를 더하는 요소가 부족하여 선수나 관객의 호응을 많이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골대; 및 상기 골대에 골을 감지하는 다수 개의 골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 개의 골 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LED 네트; 를 포함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센서는 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고, 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골을 정확히 인식하고, 인식된 골을 운동 경기 종목에 따라, 설치된 장소와 시간에 따라 운동선수와 관객 모두가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스포츠경기에 몰입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본 발명은 구기 종목 스포츠 경기를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골대 네트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득점 시에 이를 광으로 표시하여 더욱 득점의 즐거움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 이전이 선행기술로는 본 고안은 농구대의 링에 센서를 설치하여 농구공이 링을 통과하여 골인되는 순간 이를 감지하여 청각적인 표시와 시각
적인 표시를 제공하여 골인되었음을 알려 농구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골 감지장치를 구비한 농구대에 관한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골인감지센서에서 신호를 검출하면,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고,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축구공이 축구골대의 그물망을 흔들게 되면, 축구 골대에 설치된 조명이 켜지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농구골대와 같이 작은 골대에는 골이 들어간 것을 감지하는 센서의 설치가 가능하지만, 축구골대와 같이 넓은 골대를 사용하는 경기에서는 골대에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않다. 또한, 골대의 골망의 진동을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진동만을 이용한다면, 골키퍼가 골망을 건드리거나, 측면에서 축구공이 골망에 부딪히는 경우 잘못 인식하여 골로 표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정확하게 골을 인식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하는,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645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362호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대를 이용하는 운동경기에 있어서, 정확히 골을 인식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인식수단은 후면에서 골이 골대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골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어 왔다.
또한, 골을 인식한 경우에 재미를 더하는 요소가 부족하여 선수나 관객의 호응을 많이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골대; 및 상기 골대에 골을 감지하는 다수 개의 골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 개의 골 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LED 네트; 를 포함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센서는 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고, 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 감지센서는 센서바디; 및 상기 센서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골감지부; 및 상기 골감지부 반대측에 구비된 골감지 방지부; 및 상기 센서바디에 구비되는 스위치접점1; 및 상기 골감지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접점2; 및 상기 센서바디와 골감지부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대에 굴러들어온 공이 상기 골감지 센서에 부딪히지 않는 경우에도 골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골대와 지면사이에 물체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골키퍼 또는 선수를 공으로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 감지 센서에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경기의 재미를 더 주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 감지 센서에 시계와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야외 경기장의 경우 상기 시계의 시간에 따라 낮에는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고, 저녁에는 상기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LED 네트에 구비된 LED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농구 네트와 같이 작은 형태의 골대와 네트를 이용하는 경우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원형의 골대; 및 상기 골대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골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 사이에 구비되는 LED 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경기의 재미를 더 주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시계와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야외 경기의 경우 상기 시계의 시간에 따라 낮에는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고, 저녁에는 상기 LED 네트와 음악 또는 음성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단에 골을 정확히 인식하고, 인식된 골을 운동 경기 종목에 따라, 설치된 장소와 시간에 따라 운동선수와 관객 모두가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스포츠경기에 몰입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기존의 축구 또는 풋살 골대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골 감지 센서 LED 네트의 개념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골 감지센서와 LED 네트 확대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골 감지센서의 단면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골 감지센서의 정면에 골이 부딪히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골 감지센서의 정면에 골이 부딪히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물체감지센서와 인체감지센서를 부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기존의 골대에 관한 것으로 골대에 섬유 재료로 구성된 그물(네트)이 도시되어 있다. 기존의 골대와 그물에는 별다른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골대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센서와 LED가 구비된 골대이다. 기존의 골대에 본 발명의 골 감지 센서 LED 네트를 장착하여도 되고, 일체형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별도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 등을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골대(20)에 LED를 구비한 섬유 또는 깨지지 않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LED 네트(110)와 상기 LED 네트를 제어하는 골감지센서(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LED 네트와 골감지 센서는 각각 1개 이상을 사용한다. 그러나, 골감지가 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축구공을 사용하는 경우 10 ~ 20 c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상기 골감지센서와 상기 LED 네트가 결합된 모습이다. 상기 골감지센서에 4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개 이상으로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LED 네트에 구비되는 LED의 개수 역시 가능한 촘촘하고 밝을수록 그 효과가 크다. 여러색을 나타내는 LED를 조합할 수 도 있고, 전압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RGB LED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골감지센서를 도시하고 있다. 골 감지 센서의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LED 네트와 결합하는 센서바디(121), 상기 센서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면골감지부(122)와 상기 전면골감지부에 공이 부딪히면 상기 전면 골감지부가 후방으로 움직이며, 상기 전면골감지부에 구비된 스위치접점2와 상기 센서바디에 구비된 스위치접점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LED 네트를 점멸하게 된다.
상기 전면골감지부와 연결되어 후면에서 공이 충격을 주면 전면골감지부가 충격에 의하여 감지되지 않도록하는 골감지 방지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바디와 전면골감지부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공에 의하여 상기 전면골감지부가 골을 인식한 후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골 감지 센서의 동작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공이 본 발명의 전면골감지부에 충돌하면 상기 전면골감지부가 후방으로 움직이며, 스위치접점1과 스위치접점2가 연결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6은 공이 골감지 방지부에 충돌하면 상기 골감지 방지부가 상기 전면골감지부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스위치접점1과 스위치접점2가 서로 멀어지는 동작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의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떨어져 있는 상기 스위치접점1과 스위치접점2가 상기 전면골감지부가 움직여 오동작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으로 물체감지센서(200)와 인체감지센서(300)를 더 도시하고 있다. 축구 또는 풋살 등과 같은 경기에서는 공이 날아와 득점하는 경우도 있으나, 공이 굴러들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이 상기 골 감지 센서에 충돌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골을 감지할 수 있도록 물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 풋살 등의 경기에서는 골대가 작기 때문에 물체감지센서를 감지하는 거리를 설정하여 그 이내에 들어오는 물체를 모두 공으로 인식하여 동작하면 문제가 없으나, 축구와 같이 큰 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키퍼가 축구 골대앞에서 또는 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골키퍼를 공으로 인식하여 오동작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물체감지센서가 물체를 인식한 경우 인체감지센서도 함께 인식되면, 골키퍼로 인식하여 골 표시를 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의 인식이 없으면, 골로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골 감지 센서에는 골감지센서의 점접을 이용하여 LED 네트를 제어하는 수단이외에 다양한 동작을 위하여 LED네트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골감지센서의 감지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LED 네트를 출력으로 하고, 부가적으로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LED네트제어부는 경기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시계기능 및 GPS 및 조도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조도가 높은 낮 시간대의 경우 LED 네트의 밝기가 부족하여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색깔이 있는 LED를 주로 사용하든가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리로써 골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유무선 기능을 더 구비하여 스마트폰 등으로 외부에서 상기 LED네트제어부의 동작을 설정하거나, LED 및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의 위치정보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후정보 또는 온도와 광량센서를 상기 골 감지 센서에 더 구비하여 동작 후 누적 온도와 광량을 측정하여 선수와 관감객의 더위, 추위, 열사병 등이 우려되는 경우 상기 LED 네트와 스피커 등으로 선수나 관람객의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득점이 되었으나, 상기 골감지센서 등이 감지를 못하는 등의 경우 이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LED 네트를 점등하거나, 소리를 내어 선수와 관중이 경기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기와 경기 중간에 빛과 소리를 내어 관중의 흥을 돋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리모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LED네트제어부는 LED 네트 연결선 또는 별도의 통신선을 이용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LED네트제어부를 마스터 제어기 및 다른 상기 LED네트제어부는 슬레이브 제어기로 연결하여 다양한 소리와 음악 및 LED 조명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적외선, 초음파 방식 등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10 : 기존의 네트가 구비된 골대
20 : 골대
30 : 공
100 :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110 : LED 네트
111 : LED
120 : 골 감지 센서
121 : 센서바디
122 : 전면골감지부
123 : 스프링
124 : 스위치접점1
125 : 스위치접점2
126 : 골감지 방지부
200 : 물체감지센서
300 : 인체감지센서

Claims (10)

  1. 골대; 및
    상기 골대에 골을 감지하는 다수 개의 골 감지 센서; 및
    상기 다수 개의 골 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LED 네트; 를 포함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센서는 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고, 후면에서 공이 부딪히는 경우 골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센서는 센서바디; 및
    상기 센서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골감지부; 및
    상기 골감지부 반대측에 구비된 골감지 방지부; 및
    상기 센서바디에 구비되는 스위치접점1; 및
    상기 골감지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접점2; 및
    상기 센서바디와 골감지부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대에 굴러들어온 공이 상기 골감지 센서에 부딪히지 않는 경우에도 골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골대와 지면사이에 물체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골키퍼 또는 선수를 공으로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 센서에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경기의 재미를 더 주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감지 센서에 시계와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야외 경기장의 경우 상기 시계의 시간에 따라 낮에는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고, 저녁에는 상기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네트에 구비된 LED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8. 원형의 골대; 및
    상기 골대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골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 사이에 구비되는 LED 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경기의 재미를 더 주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LED 네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시계와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야외 경기의 경우 상기 시계의 시간에 따라 낮에는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하고, 저녁에는 상기 LED 네트와 음악 또는 음성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감지 센서 LED 네트.
KR1020200027539A 2020-03-05 2020-03-05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KR10233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39A KR102332775B1 (ko) 2020-03-05 2020-03-05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39A KR102332775B1 (ko) 2020-03-05 2020-03-05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487A true KR20210112487A (ko) 2021-09-15
KR102332775B1 KR102332775B1 (ko) 2021-11-29

Family

ID=7779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539A KR102332775B1 (ko) 2020-03-05 2020-03-05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06B1 (ko) * 2023-11-02 2024-03-27 이준태 풋볼 트레이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044U (ko) * 1995-12-28 1997-07-31 충돌 감지용 센서
KR200291645Y1 (ko) 2002-07-12 2002-10-11 기한전자주식회사 골 감지장치를 구비한 농구대
KR20080005362U (ko) 2007-05-10 2008-11-13 김효진 축구골대와 그물망 조명설치
US20190160356A1 (en) * 2017-01-03 2019-05-30 Nabile Lalaoua Multimedia Stadium Soccer Goalpost and Goal Net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044U (ko) * 1995-12-28 1997-07-31 충돌 감지용 센서
KR200291645Y1 (ko) 2002-07-12 2002-10-11 기한전자주식회사 골 감지장치를 구비한 농구대
KR20080005362U (ko) 2007-05-10 2008-11-13 김효진 축구골대와 그물망 조명설치
US20190160356A1 (en) * 2017-01-03 2019-05-30 Nabile Lalaoua Multimedia Stadium Soccer Goalpost and Goal Net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06B1 (ko) * 2023-11-02 2024-03-27 이준태 풋볼 트레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75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1130T3 (es) Sistema para monitorizar el rendimiento en el baloncesto
US6984129B1 (en) Educational basketball game device and method
US7789390B2 (en) Virtual goal for a game table
CN101151074B (zh) 运动器材
US6837495B2 (en) Electronically interactive target game
US20070196799A1 (en) Motivational baseball glove
US11766599B2 (en)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US20030030218A1 (en) Football passing game system
AU2020201389A1 (en) Sporting or amusement apparatus
US73092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oducing state changes into athletic activities
CN202028192U (zh) 具有视觉和声音反馈的交互式娱乐设备
KR20120018097A (ko) 골프 훈련 장치
US20160136504A1 (en) Sport-Related Goal Line or Boundary Indicator
ES2955445T3 (es) Un procedimiento de control remoto de un sistema de señalización luminosa en el transcurso de juegos deportivos jugados por jugadores con discapacidad oral y auditiva y un conjunto de dispositivos electrónicos para la aplicación del procedimiento
KR102332775B1 (ko)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US9782661B2 (en) Athletic timing device
KR100882308B1 (ko) 야구 타격 게임기
US20070026919A1 (en) Electronic tag game and instruction unit
JP6431178B2 (ja) ラケットスポーツ用ポータブルセルフスコアリング装置
CN107866048A (zh) 一种智能儿童篮球架
KR101223170B1 (ko) 원반경기용 타겟장치
KR200291645Y1 (ko) 골 감지장치를 구비한 농구대
EP1866040A1 (en) Sports apparatus
KR101565096B1 (ko) 경기 점수판시스템
GB2536389B (en) A portable go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