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25B1 - 전동공구 박스 - Google Patents

전동공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25B1
KR101682625B1 KR1020150045775A KR20150045775A KR101682625B1 KR 101682625 B1 KR101682625 B1 KR 101682625B1 KR 1020150045775 A KR1020150045775 A KR 1020150045775A KR 20150045775 A KR20150045775 A KR 20150045775A KR 101682625 B1 KR101682625 B1 KR 10168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ase
interlocking
ring
to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874A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탈부착홈이 함몰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양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면 중앙에 걸림홈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며 적층된 상기 케이스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구비한 잠금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전동공구를 수납한 후에 전동공구 박스를 보관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공구 박스{ELECTRIC TOOL BOX}
본 발명은 전동공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기능을 갖는 적재가 가능한 전동공구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공구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공구 박스(1)는, 저부에 몽키스패너, 파이프렌치 등과 같이 중량체 및 비교적 외형부피가 큰 공구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2)가 형성된 케이스(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3)의 양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한쌍의 덮개(4)가 장착되며, 상기 덮개(4)는 케이스(3)의 전후 상단부에 장착된 개폐구(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덮개(4) 개폐시 연동되어 케이스(3)에 대해 개폐되도록 케이스(3)와 덮개(4)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보조수납함이 장착되어 비교적 경량의 공구를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덮개(4) 상면의 중앙 영역에는 전동공구 박스(1)를 운반시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6)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동공구 박스에 있어서, 공구를 수납한 후에 전동공구 박스(1)를 운반시에 전동공구 박스(1)와 전동공구 박스(1) 사이의 체결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동공구 박스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옮길 수 밖에 없으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동공구 박스(1)를 적층시킨 후에 가장 아래에 배치된 전동공구 박스(1)를 들어올려 한꺼번에 전동공구 박스(1)를 운반시에는 적층된 전동공구 박스 (1)사이의 체결수단이 없으므로 전동공구 박스(1)의 적층된 상태가 흐트려짐으로 인하여 전동공구 박스(1)가 낙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내부에 수납된 전동공구에 충격이 가해져서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전동공구 박스에 전동공구를 수납한 후에 전동공구 박스를 보관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전동공구 박스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탈부착홈이 함몰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양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면 중앙에 걸림홈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며 적층된 상기 케이스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구비한 잠금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탈부착홈의 하측에서 상기 탈부착홈의 내부로 일정 높이 인입되어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걸림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과 연동되는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스를 적층시에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 주연부의 상기 본체 판면에 돌출된 고정돌기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동부재가 조작되도록 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호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관통공의 일측 내면에 접촉시에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가 되고,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관통공의 타측 내면에 접촉시에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걸림판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판이 상기 탈부착홈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잠금모듈이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공구 박스에 전동공구를 수납한 후에 전동공구 박스를 보관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공구 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박스의 잠금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잠금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잠금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좌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부 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박스의 잠금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잠금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잠금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좌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부 박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박스는,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탈부착홈(110)이 함몰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양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면 중앙에 걸림홈(210)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상기 탈부착홈(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형성된 걸림홈(210)에 걸림되며 적층된 상기 케이스(100)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걸림고리(310)를 구비한 잠금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직육면 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양측면 하부 중앙 영역에는 잠금모듈(300)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부착홈(1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부착홈(110)의 일측에는 후술할 걸림판(340)이 선택적으로 인입되어 잠금모듈(300)이 탈부착홈(1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11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재(200)는 케이스(100) 상면의 양측 중앙 영역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케이스(100)를 운반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부재로서 손잡이부재(200)의 상면에는 걸림고리(310)의 일부가 걸림되는 걸림홈(21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재(200)는 케이스(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손잡이부재(200)는 탈부착홈(110)의 하측에서 탈부착홈(110)의 내부로 일정 높이 인입되어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잠금모듈(300)은 걸림고리(3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21)이 일측면에 구비되며 탈부착홈(110)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320)와,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홈(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고리(310)와, 걸림고리(31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걸림고리(310)의 일측과 연동되는 연동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걸림고리(310)는 본체(320)의 일측 판면 중앙 영역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걸림홈(210)과 접촉됨으로써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케이스(100)와 케이스(100)를 상호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걸림고리(310)의 하면은 반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320)는 케이스(100)에 형성된 탈부착홈(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부착홈(110)에 부착시에 케이스(100)의 일측 판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체(320)의 중앙 영역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321)의 외면에는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321a)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비틀림스프링(321a)의 일단은 회전축(321) 주연부의 본체(320) 판면에 돌출된 고정돌기(322)에 접촉되고, 타단은 걸림고리(310)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재(311)에 접촉되도록 한다.
연동부(330)는 걸림고리(3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본체(320)에 형성된 관통공(323)을 통과하는 연동부재(331)와, 연동부재(331)의 단부에 고정되어 연동부재(331)가 조작되도록 하는 조작노브(3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동부재(331)의 길이는 본체(3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320)의 두께보다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연동부재(331)에 의하여 걸림고리(310)가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부재(331)는 회전축(321)과 일정 거리 이격된 걸림고리(310)의 판면에 고정 결합되어야 한다.
연동부재(331)의 단부에는 연동부재(331)를 유동시킴으로써 걸림고리(310)가 회전되도록 하는 조작노브(332)가 결합되어 있으며, 연동부재(331)가 통과하도록 본체(320)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323)은 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동부재(331)가 관통공(323)의 일측 내면에 접촉시에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에 걸린 상태가 되고, 연동부재(331)가 관통공(323)의 타측 내면에 접촉시에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체(320)의 일측에는 본체(320)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걸림판(340)이 구비되고, 걸림판(340)이 탈부착홈(1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잠금모듈(300)이 탈부착홈(1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한다.
걸림판(340)의 일측면과 삽입홈(111)의 내면 일측 사이에는 걸림판(340)이 탄성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스프링(341)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박스를 적층하여 상호 체결하고 이탈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동공구 박스의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시킨 후에 이를 정리하기 위하여 케이스(100)를 다른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시킨 후에 하측으로 내리면 손잡이부재(200)의 상면이 탈부착홈(1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걸림고리(310)의 굴곡진 하면이 걸림홈(210)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걸림고리(310)가 회전하게 된다.
걸림고리(310)가 걸림홈(210)에 완전히 삽입되면 회전축(321)의 외면에 구비된 비틀림스프링(321a)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고리(310)의 일측이 걸림홈(210)에 걸리어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체결이 완료됨으로써 작업자는 전동공구 박스를 운반시에 하나씩 옮기지 않고 한꺼번에 전동공구 박스를 운반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전동공구 박스를 분리시에는 조작노브(332)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작노브(332)에 고정되어 있는 연동부재(331)가 이동하면서 걸림고리(310)가 회전하게 된다.
걸림고리(310)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홈(210)에 걸려 있던 걸림고리(310)의 일측이 걸림홈(210)에서 이탈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200)를 잡고 케이스(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전동공구 박스는 분리된다.
그리고, 걸림고리(310)는 회전축(321)의 외면에 구비된 비틀림스프림(321a)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추후에 케이스(100)와 케이스(100)를 적층시켜 상호 체결시에 자동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 박스는 전동공구를 수납한 후에 전동공구 박스를 보관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동공구 박스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탈부착홈
111 : 삽입홈 200 : 손잡이부재
210 : 걸림홈 300 : 잠금모듈
310 : 걸림고리 311 : 돌출부재
320 : 본체 321 : 회전축
321a : 비틀림스프링 322 : 고정돌기
323 : 관통공 330 : 연동부
331 : 연동부재 332 : 조작노브
340 : 걸림판 341 : 탄성스프링

Claims (8)

  1. 내부에 전동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탈부착홈(110)이 함몰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양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면 중앙에 걸림홈(210)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상기 탈부착홈(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형성된 걸림홈(210)에 걸림되며 적층된 상기 케이스(100)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걸림고리(310)를 구비한 잠금모듈(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상기 손잡이부재(200)는 상기 탈부착홈(110)의 하측에서 상기 탈부착홈(110)의 내부로 일정 높이 인입되어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걸림홈(2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모듈(300)은 상기 걸림고리(3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21)이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탈부착홈(110)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320)와, 상기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고리(310)와, 상기 걸림고리(31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리(310)의 일측과 연동되는 연동부(3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1)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스(100)를 적층시에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걸림홈(21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32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321a)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321) 주연부의 상기 본체(320) 판면에 돌출된 고정돌기(322)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고리(310)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재(311)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330)는 상기 걸림고리(3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관통공(323)을 통과하는 연동부재(331)와, 상기 연동부재(331)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동부재(331)가 조작되도록 하는 조작노브(3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23)은 호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재(331)가 상기 관통공(323)의 일측 내면에 접촉시에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걸림홈(210)에 걸린 상태가 되고, 상기 연동부재(331)가 상기 관통공(323)의 타측 내면에 접촉시에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걸림홈(210)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320)의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걸림판(34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판(340)이 상기 탈부착홈(1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잠금모듈(300)이 상기 탈부착홈(1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박스.


KR1020150045775A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 박스 KR10168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75A KR101682625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75A KR101682625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74A KR20160117874A (ko) 2016-10-11
KR101682625B1 true KR101682625B1 (ko) 2016-12-06

Family

ID=5716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75A KR101682625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30B1 (ko) * 2020-06-01 2021-11-29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단말기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5684B (zh) * 2019-06-27 2022-07-22 嘉兴运达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轨交行业的柔性生成的成套工艺模块
JP2023171997A (ja) * 2022-05-23 2023-12-06 株式会社マキタ ラッ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168A (ja) 2001-03-23 2002-10-03 Yoshiaki Toguchi 収納箱の連結構造
JP2004042955A (ja) 2002-07-11 2004-02-12 Hiroyuu Kk 容器
US20140069832A1 (en) 2011-05-10 2014-03-13 Robert Bosch Gmbh System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25U (ja) * 1991-09-10 1993-03-30 アンリツ株式会社 筐体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168A (ja) 2001-03-23 2002-10-03 Yoshiaki Toguchi 収納箱の連結構造
JP2004042955A (ja) 2002-07-11 2004-02-12 Hiroyuu Kk 容器
US20140069832A1 (en) 2011-05-10 2014-03-13 Robert Bosch Gmbh System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30B1 (ko) * 2020-06-01 2021-11-29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단말기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74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266B2 (ja) 電動工具用収納ケース
US10870513B2 (en) Stackable system container
KR101682625B1 (ko) 전동공구 박스
US20140319147A1 (en) Toolbox lid
US8341986B2 (en) Key box construction
US20180220758A1 (en) Stackable suitcase, arrangement comprising two suitcases stacked one above the other and method for stacking two suitcases
US9066610B2 (en) Infant basket having hidden latch means
TWI728524B (zh) 電池組件
US20130112701A1 (en) Storage box
TWI578880B (zh) 扣合機構及可攜式電子裝置
JP2017039194A (ja) 工具収納ケース
JP2002284168A (ja) 収納箱の連結構造
JP6414880B2 (ja) 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6836852B2 (ja) 収納ケース
JP69746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5698479B2 (ja) 電動工具用収納ケース
JP5262298B2 (ja) 電源装置
CN113795430A (zh) 货物箱及其拆装系统、货物箱的展开方法、和货物箱的折叠方法
KR101095230B1 (ko) 러기지 박스용 커버의 잠금장치
JP3223647U (ja) ボックス積重ね構造
JP2016098506A (ja) 電子キー
CN210380830U (zh) 一种对讲机后盖锁扣结构
CN114737828B (zh) 智能锁
JP5646904B2 (ja) クリーナ
JP6569395B2 (ja) 施錠機能を備えた家具のキー保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