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30B1 - 단말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단말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230B1
KR102331230B1 KR1020200065820A KR20200065820A KR102331230B1 KR 102331230 B1 KR102331230 B1 KR 102331230B1 KR 1020200065820 A KR1020200065820 A KR 1020200065820A KR 20200065820 A KR20200065820 A KR 20200065820A KR 102331230 B1 KR102331230 B1 KR 10233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terminal
usb
stack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6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45C7/004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inflatable and de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45C7/0081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inflatable and deflat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보관함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확정된 일정크기의 단말기 보관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보관함 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동시에 고속 충전시키면서도 그 충전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보관하고자 하는 단말기 개수에 대응이 쉽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보관함을 별도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다수의 단말기 보관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보관함{Mobile Terminal Cabinet}
본 발명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를 보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보관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보관하고자 하는 단말기 개수에 따라 보관함을 확장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통신 단말기들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은 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되는 장소(예; 학교, 회의실, 보안구역 등)에서 단말기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박스 형상으로서 수납 공간을 갖는 보관함 몸체, 그리고 상기 보관함 몸체의 전면에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보관함 도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 보관함은 단순히 단말기들이 넣어진 상태에서 도어를 통해 밀폐하는 구조에 국한되어 있는 관계로, 보관함에 단말기를 장시간 보관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추후 단말기를 찾을 때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그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충전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에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충전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보관함은 구조가 복잡하면서, 보관하고자 하는 단말기 개수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다중(예; 20개 이상)의 단말기를 보관하고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보관함을 크게 설계하면 되지만, 이 경우 보관함을 설치할 공간 마련이 어려울 수 있음은 물론, 보관함 크기를 크게 설계할 경우, 적은 개수의 보관함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작은 보관함을 추가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4242호(공개일 2019.01.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확정된 일정크기의 단말기 보관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사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단말기 개수에 대응이 쉽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보관함을 별도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보관함 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동시에 고속 충전시키면서도 그 충전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단말기 보관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단말기 보관함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면 개구부 또는 후방면 개구부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 수납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거치 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는 보관 함체; 상기 보관 함체 상면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방향에서의 함체 적층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1 적층 결합부; 및, 상기 보관 함체 저면의 양측에서 함몰 형성되며, 하부 방향에서의 함체 적층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2 적층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 함체의 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 함체의 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는 환기팬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 함체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가지는 USB 허브를 구성하고, 상기 USB 허브는 상기 보관 함체내의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 또는 내장된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하며, 상기 환기팬은 상기 USB 단자에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원코드를 통해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허브에 분기하여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USB 허브에 전원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인 것이다.
또한, 상기 USB 단자에는 USB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수직면에는 무선충전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충전패드는 상기 USB 허브의 상기 USB 단자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는, 상기 보관 함체 상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손잡이 구조를 이루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에는 각각 잠금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는, 상기 보관 함체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적층 결합부를 이루는 손잡이 통과용의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양단에서 상기 보관 함체의 내부 수납 공간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부; 상기 핀부의 일단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제 1 적층 결합부의 잠금홈에 걸림되는 볼 타입의 잠금구; 상기 핀부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구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너트형 구조물이고, 상기 핀부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형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 함체 저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인서트 너트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너트에는 볼트형 체결부를 가지는 바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확정된 일정크기의 단말기 보관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보관함 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동시에 고속 충전시키면서도 그 충전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보관하고자 하는 단말기 개수에 대응이 쉽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보관함을 별도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다수의 단말기 보관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이 다단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적층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내 거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이 다단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적층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보관함내 거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보관함은, 보관 함체(10), 제 1 및 제 2 적층 결합부(20, 3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전원 공급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관 함체(10)는 도어(11, 11')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면 개구부 및/또는 후방면 개구부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 수납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가 거치 가능한 거치부(1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2)는 상기 보관 함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고정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한 구조물로 구성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관함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결속부(예; 클램프)를 구성하면서, 상기 결속부가 상기 거치부(12)의 양단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 함체(10)의 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1)에는 투명창(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관 함체(10)의 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1')에는 환기팬(11b)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투명창(11a)은 상기 거치부(12)에서의 상기 단말기(100)에 대한 거치 수납 상태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환기팬(11b)은 상기 전원 공급부(40)를 통해 상기 거치부(12)에 거치 수납된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 발생하는 내부의 뜨거운 열기를 외부로 환기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단자(51)를 가지는 USB 허브(50)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보관 함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USB 허브(50)와 연결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환기팬(11b)은 상기 USB 단자(51)에 USB 케이블(C1)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전원코드(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상용전원(AC 220)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허브(50)의 각 USB 단자(51)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이거나, 또는 상기 USB 허브(50)의 상기 USB 단자(51)에 전원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USB 단자(51)에는 USB 케이블(C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USB 케이블(C1)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12)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100)의 충전 단자에 연결되면서, 상기 거치부(12)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100)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12)의 수직면에는 상기 USB 허브(50)의 상기 USB 단자(51)와 USB 케이블(C1)로 연결되는 무선충전패드(60)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는 무선충전모듈을 가진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거치부(12)에 무선충전모듈을 가지는 단말기(100)가 거치시,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무선충전패드(6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내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20)는 상기 보관 함체(10) 상면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방향에서의 함체(10') 적층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보관 함체(10) 상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부(21)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21)를 연결하는 수평부(22)를 포함하여 손잡이 구조를 이룬 것이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21)에는 각각 잠금홈(21a)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20)는 보관 함체(10)의 이동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지만, 상기 보관 함체(10)의 상부에 다른 제 1의 보관함체(10')가 적층시, 상기 제 1의 보관함체(10') 저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적층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30)는 상기 보관 함체(10) 저면의 양측에서 함몰 형성되며,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방향에서의 함체(10") 적층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결합홀(31), 지지대(32), 고정부(33), 핀부(34), 잠금구(35), 스프링(36)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홀(31)은 상기 보관 함체(1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 방향에 배치되는 또 다른 함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적층 결합구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결합홀(31)의 양단에서 상기 보관 함체(10)의 내부 수납 공간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고정부(33)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대(32)의 일면에 각각 고정되는 너트형 구조물인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33)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너트형 구조물로서, 상기 지지대(32)의 일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핀부(34)는 상기 고정부(33)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형 구조물인 것이다.
즉, 상기 핀부(34)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보관 함체(10, 10', 10")를 적층시킬 때, 상기 지지대(32)와 제 1 적층 결합부(20)에 포함되는 수직부(21)가 나란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수직부(21)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33)에 나선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35)는 볼 타입의 구조물로서, 상기 핀부(34)의 일단에 이탈하지 않고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적층 결합부(20)의 수직부(21)에 형성되는 잠금홈(21a)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6)은 상기 핀부(34)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잠금구(3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제 1 적층 결합부(20)가 결합홀(31)을 통과할 때,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20)의 수직부(21)에 접촉되면서 상기 핀부(34)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잠금구(35)에 의해 압축되지만, 상기 잠금구(35)의 위치에 상기 수직부(21)에 형성되는 잠금홈(21a)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구(35)를 상기 잠금홈(21a)의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관 함체(10) 저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인서트 너트(13)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너트(13)에는 볼트형 체결부(71)를 가지는 통상의 바퀴(7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보관함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보관 함체(10)의 내부 수납 공간에 형성되는 거치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충전단자에 USB 케이블(C1)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USB 케이블(C1)의 타단은 상기 보관 함체(10)내의 USB 허브(5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USB단자(51)에 연결한다.
그러면, 상기 거치부(12)에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는 상기 USB허브(50)에 내장되거나 별도 분리된 전원공급부(40)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에 무선충전모듈이 탑재된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거치부(12)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무선충전패드(60)를 통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무선충전패드(60)는 USB케이블(C1)을 통해 상기 USB허브(5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거치할 단말기(100)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상기 보관 함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거치부(12)의 거치 개수가 부족할 경우,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보관 함체(10, 10', 10")를 적층시켜, 많아진 단말기(100)의 개수에 대응하여 이들 모두를 수납하고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적층 구조를 이루는 상기 보관 함체(10, 10', 10")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것이므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3단으로 적층시, 1단의 보관 함체(10)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적층 결합부(도면으로 표시하지 않음)는 2단의 보관 함체(10')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적층 결합부(도면으로 표시하지 않음)와 결합되고, 2단의 보관함체(10')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적층 결합부(20)는 3단의 보관 함체(10")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적층 결합부(30)와 결합되면서, 안정적인 적층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2단과 3단의 보관 함체(10', 10")를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적층 결합부(20, 3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2단 보관 함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 기능으로 수직부(21)와 수평부(22)를 포함하는 제 1 적층 결합부(20)는 3단 보관 함체(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적층 결합부(31)에 포함되는 결합홀(31)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31)에 포함되는 지지대(32)에서 고정부(33)에 회전 방식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핀부(34)에서 돌출된 잠금구(35)가 상기 수직부(21)에 형성되는 잠금홈(21a)에 걸림되면서, 상기 2단 및 3단의 보관 함체(10', 1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분리되는 2단의 보관 함체(1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3단의 보관 함체(10")를 외력을 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단말기 보관함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10', 10"; 보관 함체 11, 11'; 도어
11a; 투명창 11b; 환기팬
12; 거치부 13; 인서트 너트
20; 제 1 적층 결합부 21; 수직부
21a; 잠금홈 22; 수평부
30; 제 2 적층 결합부 31; 결합홀
32; 지지대 33; 고정부
34; 핀부 35; 잠금구
36; 스프링 40; 전원공급부
50; USB허브 51; USB단자
60; 무선충전패드 70; 바퀴
71; 체결부 100; 단말기
C1; USB 케이블

Claims (11)

  1.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면 개구부 또는 후방면 개구부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 수납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거치 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는 보관 함체; 상기 보관 함체 상면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방향에서의 함체 적층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1 적층 결합부; 및, 상기 보관 함체 저면의 양측에서 함몰 형성되며 하부 방향에서의 함체 적층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2 적층 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와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는 상부방향으로 적층 결합되는 함체가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적층 결합부는, 상기 보관 함체 상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손잡이 구조를 이루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수직부에는 각각 잠금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적층 결합부는, 상기 보관 함체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적층 결합부를 이루는 손잡이 통과용의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양단에서 상기 보관 함체의 내부 수납 공간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너트형 구조물인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형 구조물인 핀부와, 상기 핀부의 일단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제 1 적층 결합부의 잠금홈에 걸림되는 볼 타입의 잠금구 및, 상기 핀부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구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함체의 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는 투명창을 형성하고,
    상기 보관 함체의 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는 환기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함체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가지는 USB 허브를 구성하고,
    상기 USB 허브는 상기 보관 함체내의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 또는 내장된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하며,
    상기 환기팬은 상기 USB 단자에 USB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원코드를 통해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허브에 분기하여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USB 허브에 전원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에는 USB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USB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수직면에는 무선충전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충전패드는 상기 USB 허브의 상기 USB 단자와 USB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함체 저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인서트 너트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너트에는 볼트형 체결부를 가지는 바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관함.
KR1020200065820A 2020-06-01 2020-06-01 단말기 보관함 KR10233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20A KR102331230B1 (ko) 2020-06-01 2020-06-01 단말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20A KR102331230B1 (ko) 2020-06-01 2020-06-01 단말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230B1 true KR102331230B1 (ko) 2021-11-29

Family

ID=7869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20A KR102331230B1 (ko) 2020-06-01 2020-06-01 단말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37B1 (ko) * 2014-01-15 2015-03-04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 다량 충전장치
KR101682625B1 (ko) * 2015-03-31 2016-12-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 박스
KR20190004242A (ko) 2018-12-11 2019-01-11 주식회사 한국연창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KR102067361B1 (ko) * 2019-07-26 2020-02-11 주식회사 동원테크 휴대단말기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37B1 (ko) * 2014-01-15 2015-03-04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 다량 충전장치
KR101682625B1 (ko) * 2015-03-31 2016-12-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 박스
KR20190004242A (ko) 2018-12-11 2019-01-11 주식회사 한국연창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KR102067361B1 (ko) * 2019-07-26 2020-02-11 주식회사 동원테크 휴대단말기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576B2 (en) Modular computing system
US8482251B2 (en) Charger device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KR101751389B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16002062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charging cabinet
WO2016023440A1 (zh) 一种多功能插座
TWI745758B (zh) 電源裝置及插頭固持具
KR102331230B1 (ko) 단말기 보관함
TWI444937B (zh) 移動式電腦台車
US20210036529A1 (en) Apparatus for Charging a Personal Mobile Device
AU2014244143B2 (en) Storag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78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US10973296B2 (en) Carrying bag capable of prolonging power supply
KR101033134B1 (ko) 이동식 다기능 전원장치
KR102306596B1 (ko)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2602283B1 (ko) 무선충전기
CN209233086U (zh) 一种理线插排盒
KR200474359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8303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KR20150000149U (ko)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충전 기반의 led 조명 장치
CN111002850A (zh) 电力供应装置和插头保持器
CN220209137U (zh) 一种储能装置
CN212163633U (zh) 一种蓝牙耳机收纳装置
CN116865413B (zh) 一种便携式光伏充电器
CN217363211U (zh) 一种带融合音响的机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