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293B1 -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293B1
KR101681293B1 KR1020160073044A KR20160073044A KR101681293B1 KR 101681293 B1 KR101681293 B1 KR 101681293B1 KR 1020160073044 A KR1020160073044 A KR 1020160073044A KR 20160073044 A KR20160073044 A KR 20160073044A KR 101681293 B1 KR101681293 B1 KR 10168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nformation
boarding
passeng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불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불어
Priority to KR102016007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탑승신청부 및,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는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승객정보파악부를 포함하는 탑승신청접수모듈;
교통수단에 먼저 탑승한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제1동승여부선택부와, 상기 동승허가여부의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통해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제1동승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과, 상기 교통수단에 상기 선탑승승객보다 늦게 탑승하는 후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제2동승여부선택부와,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제2동승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을 포함하는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탑승승객과 상기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요금을 결제받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반영하는 기본할인반영부를 포함하는 요금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Of Providing Transportation Sharing Service}
본 발명은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의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승이 가능하며, 동승 시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중개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대중교통 수단 중 하나로 택시가 있는데, 택시는 요금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미터기를 비치한 영업용 대절 여객자동차를 뜻한다. 지정된 주차장이나 역 구내와 같은 곳에서 손님을 기다리는 것을 일컬어 택시캡(Taxicab)이라고 하는데, 이 말을 약칭하여 택시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택시는 다른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교통이 불편한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버스나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도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 덕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택시는 일반적으로 승객을 태우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다가 우연히 만나게 되는 승객을 태우는 방식으로 운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고객의 위치를 판단할 수 없어 승객이 없이 빈 택시 채로 장시간 운행하는 시간이 길어져, 택시 기사로 하여금 수익을 내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콜택시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콜택시는 고객의 전화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요청을 수용하여 고객의 위치로 택시 기사가 이동함으로써 빈 차량으로 운행하며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승객 역시 택시를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콜택시에 대한 선호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검증되지 않은 택시 기사 등에 의한 범죄와 같은 가능성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갖추고 있어 여성 승객들은 콜택시를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택시는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보다 편안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나,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그 이용 금액이 높아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은 높은 택시 이용 요금에 대한 부담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한국 공개특허 10-2015-0133953에 ‘택시 합승을 위한 중개 시스템’이 게시되어있다. 상기 발명은 택시 합승을 위한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발지, 목적지 및 희망출발시간을 포함하는 제1 탑승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승객 단말기; 제2 탑승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1 탑승 정보를 이용해 생성된 합승 후보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합승 후보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승객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2 승객 단말기; 및 상기 제1 탑승 정보 및 제2 탑승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탑승 정보 및 제2 탑승 정보를 이용하여 합승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승객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제2 승객 단말기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제1 승객의 제1 승객 단말기 및 상기 제2 승객 단말기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합승을 중개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택시 합승을 위한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중개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승객과 제2 승객을 연결하여 줌으로써, 출발지, 목적지, 희망출발시간 등이 유사한 제1 승객과 제2 승객이 택시 합승을 통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택시의 합승 시 합승을 위한 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아 합승의 결정이 승객 간의 채팅에 의존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희망출발시간의 유사성을 통해 합승을 결정하므로 비슷한 시간에 택시를 타고 출발하려 하는 승객 간의 탑승만 중개할 수 있을 뿐, 출발시간이 다른 승객간의 합승 및 이미 택시에 탑승하여 이동 중인 승객과의 합승에는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성을 보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의 동승을 중개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동승을 하는 동승그룹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의 동승 편의성을 높이며, 택시의 동승을 통한 요금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 간의 동승을 중개하여 승객의 요금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교통수단을 운행하는 기사의 공차 운행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승을 원하는 승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하여 각 승객에 요청사항에 맞는 동승을 중개함으로서 동승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이용 만족도를 보다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승을 기다리는 승객에게 지역별, 시간별 지역데이터가 반영된 대기시간을 미리 안내하여 대기시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탑승신청부 및,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는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승객정보파악부를 포함하는 탑승신청접수모듈; 교통수단에 먼저 탑승한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제1동승여부선택부와, 상기 동승허가여부의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통해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제1동승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과, 상기 교통수단에 상기 선탑승승객보다 늦게 탑승하는 후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제2동승여부선택부와,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제2동승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을 포함하는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탑승승객과 상기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요금을 결제받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반영하는 기본할인반영부를 포함하는 요금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탑승신청부 및,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는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승객정보파악부를 포함하는 탑승신청접수모듈;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기반으로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간의 예상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중복경로파악부와, 상기 승객 간의 상기 중복경로정보의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상기 승객을 분류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하는 동승그룹설정부를 포함하는 동승그룹설정모듈; 상기 동승그룹에 속한 상기 승객 중 상기 교통수단과 더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선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결정하는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과, 상기 교통수단에 상기 선탑승승객보다 늦게 탑승하여 상기 교통수단에 동승하는 후탑승승객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여 동승을 중개하는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을 포함하는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탑승승객과 상기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요금을 결제받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반영하는 기본할인반영부를 포함하는 요금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교통정보를 반영한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의 상기 예상경로정보와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중복경로파악파트와, 상기 승객 간의 상기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상기 선탑승승객과 다른 상기 승객을 동승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동승그룹에 속한 상기 승객에 대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 및,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상기 승객 각각과의 동승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인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예상소요시간정보와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는 동승경로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 및,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승객 각각과의 동승에 따른 상기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상기 예상소요시간정보와 상기 예상요금정보를 상기 선탑승승객에게 안내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으로부터 상기 동승그룹리스트 중 동승을 원하는 상기 승객을 선택받아 동승그룹으로 확정하는 동승그룹설정부로 구성되는 동승그룹확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동승그룹설정모듈은, 상기 승객 각각의 상기 동승그룹에 포함되어 동승 가능한 다른 상기 승객을 리스트화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승객과의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객단말에 안내하는 동승그룹정보승객안내부 및,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동승그룹리스트 중 동승을 원하는 상기 승객을 선택받아 최종동승그룹으로 확정하는 동승확인부를 포함하는 동승그룹확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승그룹확정모듈은, 상기 동승확인부에서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에 상기 최종동승그룹에 대한 승차확인여부를 입력받는 승차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승차확인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선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출력하는 선탑승예상시간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승차확인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와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출력하는 후탑승예상시간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교통수단의 동승이 결정된 뒤 상기 선탑승승객이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상기 후탑승승객이 소지한 상기 승객단말의 상기 탑승위치로부터의 위치정보의 변동을 파악하여 변동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위치파악부 및, 상기 변동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반경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기사단말 및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동승에 대한 취소여부를 입력받아 동승을 취소하는 동승취소설정부를 포함하는 동승취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승취소모듈은, 상기 동승의 취소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에 다른 상기 승객과의 동승에 대한 허가여부를 입력받는 동승재승인부 및, 상기 동승재승인부의 허가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다른 상기 승객과의 동승을 중개하는 동승재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승객정보파악부는, 상기 승객으로부터 탑승을 원하는 위치인 지정탑승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지정탑승위치정보파악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경로를 연산하는 도보이동경로연산부와, 상기 현재위치정보부터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에 따른 도보이동시간을 연산하는 도보이동시간연산부 및, 상기 도보이동경로와 상기 도보이동시간을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도보이동정보안내부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안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인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탑승승객이 이동가능한 경로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좌표인 복수개의 탑승후보위치를 설정하는 탑승후보위치설정파트와, 상기 동승예상경로정보에 상기 탑승후보위치에 대한 경유를 반영하여 각각의 상기 탑승후보위치 경유에 따른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 및, 상기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탑승후보위치를 파악하여 최적탑승위치로 설정하는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와, 상기 최적탑승위치 및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최적탑승위치까지의 도보예상소요시간을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전송하는 최적탑승위치안내파트와,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최적탑승위치에서의 탑승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탑승위치선택파트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제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탑승후보위치는, 상기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횡단보도를 건넌 위치와, 상기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일방통행로를 벗어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승객정보파악부는,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승객의 성별정보를 입력받는 승객성별정보파악파트 및,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승객의 음주여부를 입력받는 음주여부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음주여부가 입력된 상기 승객과의 동승 허가여부 및, 이성과의 동승 허가여부를 포함하는 요청사항정보를 입력받는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는,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승객 중 상기 요청사항정보와 불일치하는 상기 승객을 동승 제외시키는 요청사항반영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기사단말과 탈착되는 음주 측정 장치를 매개로 상기 승객의 혈중 알콜 농도를 자체적으로 파악하여 혈중알콜농도정보를 생성하는 자체음주측정부 및,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음주여부가 입력되지 않은 상기 승객 중 상기 혈중알콜농도정보가 생성된 상기 승객을 하차 처리하는 음주승객하차부를 포함하는 자체음주측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요금결제모듈은, 하차 처리된 상기 승객으로부터 기 설정된 약관불이행기준요금에 따라 요금을 추가 부과하는 추가요금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승그룹설정부는, 상기 승객 간의 상기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중복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중복거리 이상인 상기 승객들을 동승후보그룹으로 모두 설정하는 1차설정파트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상기 승객을 선탑승승객으로 지정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이 속한 상기 동승후보그룹에 포함된 다른 상기 모든 승객을 예비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는 탑승순서결정파트 및, 상기 예비후탑승승객 각각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선탑승승객과 한 명의 상기 예비후탑승승객의 동승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에 대한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동승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동승정보분석파트와, 상기 동승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상기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가장 짧은 상기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동승정보를 분류하는 동승정보분류파트와, 분류된 상기 동승정보에 따라 상기 동승후보그룹에 포함된 상기 예비후탑승승객 중 한명을 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여 동승그룹을 설정하는 2차설정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역별 교통수단 수요 및 공급 분석 정보 및, 시간별 교통수단 수요 및 공급 분석 정보를 통해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산출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그룹확정모듈은, 동승이 확정된 상기 승객이 소지한 상기 승객단말에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출력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은,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승객단말로부터의 상기 탑승요청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수요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수요분석부 및,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승객이 탑승처리 되지 않은 상기 기사단말의 개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공급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공급분석부와, 상기 교통수단수요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수요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동승가능가중치를 생성하고, 교통수단공급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공급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대해 동승불가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 및, 상기 동승가능가중치 및 상기 동승불가가중치에 따라 상기 승객이 동승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최대 시간인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생성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2
는 예상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3
는 기준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4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5
지역의 기준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6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7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8
Figure 112016056319207-pat00009
지역의 기준교통수단공급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0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1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공급가중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1)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 간의 동승을 중개하여 승객의 요금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교통수단을 운행하는 기사의 공차 운행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며,
2) 승객정보파악부에 승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하고 요청사항과 맞지 않는 승객을 동승그룹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어 각 승객에 요청사항에 맞는 동승을 중개함으로서 동승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이용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3) 각 지역 및 시간별의 교통수단의 수요 및 공급이 분석되어 반영된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연산하고 이를 승객에게 알림으로써 대기시간의 정확도를 높이고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동승그룹설정에 대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기준거리반경 및 탑승위치설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요금결제 방식을 설명한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중앙관제서버가 되는 시스템서버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 그리고 교통수단 내부에 구비된 기사단말 간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구성된다.
이 때 승객단말 및 기사단말에는 시스템서버에서 제공하는 교통수단 동승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구비되며, 승객단말용 어플리케이션 및 기사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은 그 UI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수단이라 함은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의 일반적인 운송수단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적용에 대한 적합성 및 설명의 편의성에 따라 택시의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며, 택시라는 단어는 교통수단 전체를 지칭하기로 한다.
교통수단, 다시 말해 택시에 탑승하기 원하는 승객은 승객단말을 통해 시스템서버에 탑승 요청을 하며, 택시 역시 승객의 배정을 원할 경우 시스템서버에 배정 요청을 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콜택시 서비스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승’개념을 추가하여 동승을 통해 요금을 할인하는 바, 시스템서버는 복수의 승객을 한 택시에 승차하기 위해 동승하는 승객을 동승그룹으로 지정하고 기사단말 및 승객단말에 동승그룹에 대한 지정 결과를 안내하여 승객 간의 교통수단 동승을 가능케 한다.
이 때 동승의 조건은 경로의 중복이기 때문에 일정수준 이상 경로가 중복되는 경우 동승을 가능케 설정하며, 동승 설정 및 그에 대한 하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한 대의 택시에 여러 명의 승객이 탑승하게 되어 승객에게 동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승객은 동승을 통해 보다 저렴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의 요금 부담이 내려가기 때문에, 기사 입장에서도 택시 수요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빈 택시 운행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 및 하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PC용 어플리케이션 뿐 아니라 PC, 교통수단 운행 기사용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칭하기 때문에, 이 때 사용되는 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다시 말해 택시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택시에 한 명의 승객이 탑승한 뒤에 다른 승객과의 동승을 결정하는 동승 후결정 시스템과, 승객을 태우기 전에 동승을 미리 결정하고 택시를 운행하는 동승 선결정 시스템의 두 가지로 나타날 수 있는 바, 도면과 함께 각 경우에 대해 하나씩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를 참조하여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탑승신청접수모듈(100)과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 그리고 요금결제모듈(5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먼저 탑승신청접수모듈(100)은 택시에 탑승하길 원하는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탑승신청부(110)와, 승객으로부터의 입력 및 GPS를 매개로 승객정보를 파악하는 승객정보파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탑승신청부(110)는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승객은 택시에 탑승을 원할 경우 승객단말에 설치된 승객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서버에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다.
승객정보파악부(120)는 승객단말의 GPS를 매개로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121)와, 탑승요청정보를 보낸 승객단말로부터 원하는 도착지점에 대한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는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본격적으로 택시에 대한 동승을 중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택시에 먼저 탑승한 선탑승승객에게 동승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과, 택시에 선탑승승객보다 늦게 탑승하는 후탑승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은, 택시에 먼저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제1동승여부선택부(312)와,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의 입력에 따라 동승 가능한 다른 승객을 동승하는 경우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파악하여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제1동승정보제공부(313)를 포함한다.
제1동승여부선택부(312)는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동승허가여부의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기사단말에 동승요청이 나타날 경우 기사로 하여금 선탑승승객에게 동승허가여부를 물어본 뒤 기사가 입력하는 방법 또는, 선탑승승객의 승객단말로부터 직접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제1동승정보제공부(313)는 선탑승승객이 동승을 허가할 경우, 선탑승승객과 동승할 수 있는, 다시 말해 선탑승승객과의 이동경로가 중복되는 다른 승객과의 동승 경우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파악하여 기사단말에 전송한다.
이 때 이동경로 중복에 대한 파악은 상술한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서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통해 예상되는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선탑승승객의 이동경로에서 동승을 원하는 후탑승승객의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이동경로가 일정 수준 이상 중복될 경우 동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동승 가능 여부 판단에 대한 예는 도면과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교통수단 동승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지도를 간략화한 것이며, 속이 빈 원은 출발점(s, start point)을 뜻하고, 속이 채워진 원은 도착점(f, finish point)를 뜻한다. 대문자 알파벳은 각각의 승객을 나타내며, 출발점과 도착점은 각각 대문자 알파벳과 첨자로 표시되어 있다. 각 승객의 이동경로는 실시간교통정보를 반영하여 가장 짧은 시간 안에 도착점에 이동할 수 있는 이동거리로 가정한다.
A라는 승객이 먼저 택시에 탑승한 예에 대해 살펴보면, A의 경우 대기중인 B 및 C와 그 이동경로가 중복된다. B나 C 중 한 명과 동승이 가능하다. 이 때 B와의 동승 경우가 C와의 동승에 비해 보다 긴 거리를 동승하며, C와의 동승은 짧은 거리 이루어져 동승의 의미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동승을 하지 않게 된다. 만약 승객 A가 B, C 모두와 동승할 수 있어 둘 중에 한 명을 고르게 되는 경우 A는 C와 동승하는 경우보다 B와 동승하는 경우에 있어 요금할인을 더 많이 받게 되는데, 요금할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는 B와 C 모두와 동승을 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 때의 요금할인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승객 C 기준으로 살펴보면, 실시간교통정보를 반영한 최단거리를 계산하면 A와만 동승이 가능하다. 승객 C의 경우 승객 D와도 이동경로가 일부 중복되나, 도면 상 ①로 표시한 D의 최단경로 시 C의 도착점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때 도면 상 ②로 표시된 다른 경로로 이동할 경우, C와 D는 동승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의 이동 경로는 D 기준에서의 최단거리라고 할 수는 없으나, C와 D가 동승한 상태에서 D가 목적지에 도달하는 최단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와 D의 동승이 가능해지며, D는 동승을 통해 기존보다 소요시간이 다소 증가할 수는 있으나 대신 요금을 할인받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에 포함된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330)은 상술한 선탑승승객과 동승하게 되는 승객으로서, 택시에 선탑승승객보다 늦게 탑승하는 후탑승승객으로부터의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고 상술한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후탑승승객의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동승여부선택부(332)는 후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다른 승객과의 동승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동승허가여부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 때 동승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서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고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아 네비게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예상이동경로가 판단되었을 때, 동승이 가능한 선탑승승객과의 동승을 뜻한다.
제2동승정보제공부(333)는 동승이 이루어지기 전 후탑승승객의 승객단말에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들에 대한 생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동승정보제공부(313)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승정보를 제공하여 동승이 이루어지면, 선탑승승객과 후탑승승객은 동승을 전제로 택시 요금을 할인받게 된다. 따라서 요금결제모듈(500)은,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반영하는 기본할인반영부(510)를 포함하여 할인이 반영된 요금을 결제하게 된다. 요금결제모듈(500)은 택시 내부에 위치한 기사단말에 구비되어 기존의 택시 내 결제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승객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하는 것 역시 가능하므로, 요금결제모듈(500)의 결제 방법에 대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요금결제모듈(500)을 통한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요금산정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로 하여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동승 선결정 실시예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도 탑승신청접수모듈(100)과 요금결제모듈(500)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와 동일하나,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의 기능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고, 동승그룹설정모듈(20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탑승신청접수모듈(100)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와 같이 탑승신청부(110)와 승객정부파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서 참고하면 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동승그룹설정모듈(200)은 중복경로파악부(210)와 동승그룹설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중복경로파악부(210)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기반으로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예상경로정보생성파트(211)와, 생성된 승객 간의 예상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중복경로정보생성파트(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승그룹설정부(220)는 중복경로생성파악파트에서 생성된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승객을 분류해 동승그룹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승그룹설정모듈(200)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한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 A, B, C, D로부터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 의해 탑승신청이 접수되어 승객정보의 파악이 완료되면, 동승그룹설정모듈(200)에 의해 동승그룹이 설정된다. 이 때, 중복경로파악부(210)에 포함된 예상경로정보생성파트(211)는 승객 A, B, C, D 각각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한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중복경로정보생성파트(212)는 승객 A, B, C, D의 예상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중복경로파악부(210)에 의한 중복경로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동승그룹설정부(220)는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승객을 분류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승객 A와 B를 동승그룹으로 설정하고, 승객 C와 승객 D를 동승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 C와 D를 동승그룹으로 설정하게 되면 동승에 따른 동승경로는 승객 D의 예상경로정보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승객 D는 동승을 전제로 택시 요금에 대한 할인을 받게 되므로, 경로 변경에 대한 소요시간 차이에 비해 요금 할인 폭이 큰 경우 요금을 할인하여 동승을 하는 쪽을 택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승그룹설정모듈(200)에 의해 동승그룹의 설정이 완료되면,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에 속한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은 동승그룹에 속한 승객 중 택시와 보다 인접한 거리에 위치해 있는 선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의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와 그 기능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는 동승 선결정과 동승 후결정 중 어느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의 UI나 기능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에 속한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330) 역시 후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선탑승승객과 후탑승승객의 동승을 중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선탑승승객과 후탑승승객, 다시 말해 전체 승객의 탑승위치는 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종래의 콜택시 이용과 같이 지정된 장소에서 탑승하는 것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승객이 원하는 장소에서 택시를 탑승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목적지에 도착한 선탑승승객과 후탑승승객은 요금결제모듈(500)을 통해 택시 이용요금을 결제하게 되며, 요금결제모듈(500)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서의 요금결제모듈(5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2와 함께 상술한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서의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와 동승그룹설정부(220)로 구성되는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승그룹확정모듈(320)에 속한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는 동승을 위해 탑승요청정보를 보낸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교통정보를 반영한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미 택시에 탑승한 선탑승승객의 예상경로정보와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중복경로파악파트(322)와, 승객 간의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중복된 거리가 높은 승객을 선탑승승객과 동승하는 동승그룹으로 설정하여 동승그룹에 속한 승객에 대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323) 및,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각각과의 동승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인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예상소요시간정보와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는 동승경로생성파트(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복경로파악파트(322)는 선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을 허가받았을 경우, 선탑승승객과의 동승을 위해 탑승신청요청을 보낸 승객의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미 택시에 탑승한 상태인 선탑승승객의 예상경로정보와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선탑승승객 및 다른 승객의 예상경로정보는 상술한 제1동승정보제공부(313)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323)는 중복경로정보가 생성된 승객 간의 중복경로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선탑승승객과 동승이 가능한 승객을 동승그룹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 때 동승그룹으로의 분류는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결정되며,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323)의 기능은 상술한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서의 동승그룹설정부(220)와 유사하나 동승그룹으로의 분류 뿐 아니라 동승그룹으로 분류된 승객을 리스트화하여 동승그룹리스트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승경로생성파트(324)는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각각과 선탑승승객이 동승되었을 경우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인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예상소요시간정보와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제1동승정보제공부(313)의 기능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에 속한 중복경로파악파트(322),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323), 동승경로생성파트(324)를 통해 동승그룹리스트의 설정 및 동승을 위한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동승그룹확정모듈(320)에 포함된 동승그룹설정부(220)는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선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중 본인과의 동승을 원하는 승객을 선택하게 하여, 선탑승승객으로부터의 선택된 승객을 선탑승승객과의 동승그룹으로 확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선탑승승객은 동승을 허가하는 대신 어떤 승객과 동승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며, 동승그룹설정부(220)를 통해 선탑승승객은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확인한 뒤 본인의 니즈에 맞는 승객을 선택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선탑승승객이 보다 요금을 적게 내길 원한다면,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중 예상요금정보가 가장 낮게 나타나는 승객을 선택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선탑승승객이 보다 빠르게 도착하길 원한다면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중 예상소요시간정보가 가장 짧게 나타나는 승객을 선택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서의 동승그룹확정모듈(320)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서도 추가될 수 있는데,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서 동승그룹설정모듈(200)은 상기 승객 각각과 동승 가능한 다른 승객을 리스트화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를 더 포함하고,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와 그 기능이 유사한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는 탐승신청요청정보를 보낸 승객 각각의 동승그룹에 포함되어 동승 가능한 다른 승객을 리스트화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은 승객단말을 소지한 승객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승객 각각과의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안내하는 동승그룹정보승객안내부(326)와, 승객단말로부터 동승그룹리스트에 속한 승객 중 함께 동승하고 싶은 승객을 선택받아 최종동승그룹으로 확정하는 동승확인부(3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서의 동승그룹확정모듈(320)과 유사하므로 기능에 있어서는 이를 참조하면 되며, 승객 각각은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조건에 맞는 다른 승객과 함께 동승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합리적인 택시 동승을 추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승 선결정 실시예의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은, 동승확인부에서의 동승할 승객 선택여부에 따라 확정된 최종동승그룹에 대한 승차확인여부를 기사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승차확인부(3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310)은 기사단말로부터의 승차확인여부에 따라 선탑승승객과 후탑승승객에게 예상탑승시간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안내하는 선탑승예상시간안내부(311)와 후탑승예상시간안내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탑승예상시간안내부(311)는 택시에 먼저 탑승하는 선탑승승객의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것으로서, GPS와 네비게이션을 통한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선탑승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선탑승승객의 승객단말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탑승예상시간안내부(331)는 택시에 보다 늦게 탑승하는 후탑승승객의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것으로서, 역시 GPS와 네비게이션을 통한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후탑승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후탑승승객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동승 후결정 실시예와 동승 선결정 실시예 모두 승객으로부터 직접 동승을 원하는 다른 승객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할 수 있어 동승에 대한 승객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승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동승그룹설정에 대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3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서는 동승그룹을 미리 설정한 뒤 택시에 동승하게 되므로, 이 때 동승그룹의 설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동승 선결정 실시예에 포함된 동승그룹설정부(220)는, 1차설정파트(221)와 탑승순서결정파트(222), 동승정보분석파트(223), 동승정보분류파트(224), 2차설정파트(2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차설정파트(221)는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승객간의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중복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중복거리 이상인 승객들을 동승후보그룹으로 모두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탑승순서결정파트(222)는 교통수단 내에 구비된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승객을 선탑승승객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선탑승승객이 포함된 동승후보그룹 내의 다른 모든 승객을 예비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예비후탑승승객이라 함은 확정된 후탑승승객이 아니며, 동승후보그룹내에서 후탑승승객으로 선정될 수 있는 승객을 뜻하게 된다.
동승정보분석파트(223)는 지정된 예비후탑승승객 각각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선탑승승객과 한 명의 예비후탑승승객의 동승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에 대한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동승정보를 각각 생성한다.
가령, A라는 승객이 선탑승승객으로 지정되었을 때, 탑승순서결정파트(222)에 의해 A 승객이 포함된 동승후보그룹 내에 포함된 B, C, D 모두가 예비후탑승승객이 된다. 그 후 동승정보분석파트(223)는 A-B의 동승에 따른 동승정보, A-C의 동승에 따른 동승정보, A-D의 동승에 따른 동승정보를 각각 생성하게 된다.
동승정보분류파트(224)는 생성된 동승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가장 짧은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가장 짧은 동승예상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승정보를 분류한다.
상기 실시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면, A-B 동승 시에는 10km 주행 / 15분, A-C 동승 시 12km 주행 / 13분, A-D 동승 시 14km 주행 / 20분이 걸린다고 가정한다면, 동승정보분류파트(224)에 의해 가장 짧은 동승예상경로정보를 포함하는 A-B의 동승정보와, 가장 짧은 동승예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A-C의 동승정보가 분류되는 것이다.
2차설정파트(225)는 분류된 동승정보에 따라 동승후보그룹에 포함된 예비후탑승승객 중 한명을 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동승그룹 설정 기준에 대해서는 서버 차원에서의 선택 및, 기사단말, 승객단말 차원에서의 선택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다 짧은 동승예상경로정보를 포함하는 동승정보가 선호된다면, 다시 말해 이동경로가 가장 짧아 주행요금을 적게 내는 편이 선호될 경우 예비후탑승승객이었던 B가 후탑승승객으로 지정되어 A-B의 동승그룹이 설정되며, 보다 짧은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가 선호된다면, 다시 말해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경우가 선호된다면 예비후탑승승객이었던 C가 후탑승승객으로 지정되어 A-C의 동승그룹이 설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동승그룹의 설정을 위한 분석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승객의 니즈에 따라 보다 빠른 소요시간, 혹은 보다 저렴한 주행금액(보다 짧은 동승예상경로정보)을 나타내는 예비후탑승승객을 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인 동승 기능과 동승그룹리스트 설정 기능 뿐 아니라 택시 동승에 있어 적용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추가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동승 선결정 실시예와 동승 후결정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는 동승 선결정 실시예와 동승 후결정 실시예를 구분짓지 않고 추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술한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역 및 각 시간대별로 택시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을 분석하여 동승을 위해 대기해야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산출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동승그룹확정모듈(320)은 동승이 확정된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에 산출된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출력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알림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역 및 각 시간대별의 택시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라는 것은, 택시의 수요가 많은 강남역 인근, 홍대입구역 인근, 혹은 택시의 공급이 많은 각 터미널 인근 등 각 상세 지역별 택시에 대한 수요 및 공급 정보와, 택시에 대한 수요가 많은 퇴근 시간 및 주말 저녁 시간, 또는 택시의 공급이 많은 평일 낮 시간 등 지역별로, 시간대별로 다른 택시의 수요 및 공급이 다르므로, 이를 분석하여 승객이 택시에 동승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예측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생성하여 동승이 확정된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에 예상동승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400)은,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승객단말로부터의 탑승요청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수요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수요분석부(410) 및,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승객이 탑승처리 되지 않은 기사단말의 개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공급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공급분석부(420)와, 교통수단공급분석부(420)에 의해 수치화된 교통수단수요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수요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동승가능가중치를 생성하고, 교통수단공급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공급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대해 동승불가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430) 및, 가중치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동승가능가중치 및 동승불가가중치에 따라 상기 승객이 동승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최대 시간인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생성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생성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예상동승대기시간의 생성 및 동승가능가중치, 동승불가가중치의 설정에 대해서는 기계 학습 메타 알고리즘으로 개발된 에이다부스트(AdaBoost)가 적용되며, 에이다부스트의 가속화 분류를 예상동승대기시간 유도에 대입하여 이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예상동승대기시간은 에이다부스트 가속화 분류기의 선형 유도과정을 응용하여 도출된 수학식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2
에 의해 생성되며, 여기서,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3
는 예상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4
는 기준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5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6
지역의 기준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7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8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19
Figure 112016056319207-pat00020
지역의 기준교통수단공급가중치,
Figure 112016056319207-pat00021
Figure 112016056319207-pat00022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공급가중치를 나타낸다. 이 때 가중치의 실제 값은 교통수단수요분석부(410)와 교통수단공급분석부(420)에 의해 장기간 동안 수집된 지역 및 시간대별의 택시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을 분석한 데이터에 의해 가중치생성부(430)에서 생성된다. 이 때 기준동승대기시간은 택시의 동승을 위해 기다릴 수 있는 기준시간을 의미하며, 그 시간의 정확한 수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택시 승차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 즉 5분 내지 30분 내외에서 설정 가능하다.
가령, 금요일 저녁 6시에 강남역 인근에서 택시에 대한 동승을 기다리는 승객 A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금요일 저녁 6시라는 시간적 특성(택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시간)과, 강남역 인근이라는 지역적 특성(택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지역)에 따라 강남역이라는 지역 및, 금요일 저녁 6시라는 시간대의 택시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을 분석하여 생성된 가중치를 상술한 수학식에 반영하여 예상동승대기시간이 생성되며, 이러한 수학식에 의해 17분이라는 예상동승대기시간이 산출되는 경우 승객 A의 승객단말에 동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예상동승대기시간은 약 17분입니다’라는 팝업이 송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택시, 특히 콜택시를 이용하다 보면 택시에 탑승요청정보를 보낸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승객이 탑승을 원하는 지정탑승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승객이 지정탑승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승객의 현재위치로부터 지정탑승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지금부터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 포함된 승객정보파악부(120)는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승객으로부터 탑승을 원하는 위치인 지정탑승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지정탑승위치정보파악파트(123)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후탑승승객의 지정탑승위치정보 입력에 따라 후탑승승객이 위치한 현재위치정보로부터 후탑승승객이 설정한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경로를 연산하는 도보이동경로연산부(361)와, 후탑승승객이 위치한 현재위치정보로부터 후탑승승객이 설정한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에 따른 도보이동시간을 연산하는 도보이동시간연산부(362) 및, 연산된 도보이동경로와 도보이동시간을 후탑승승객의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도보이동정보안내부(363)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안내모듈(3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도보이동경로연산부(361), 도보이동시간연산부(362), 도보이동정보안내부(363)에 이용되는 이동시간 연산 및 도보이동경로 연산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및 지도의 실시간 경로안내 기능을 이용하면 되므로, 그 방식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도보이동경로연산부(361), 도보이동시간연산부(362), 도보이동정보안내부(363)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안내모듈(360)을 통해 승객이 현재위치정보와 다른 지정탑승위치정보에서의 탑승을 원할 경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경로와 도보이동시간을 제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승객의 이용 편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6은 기준거리반경 및 탑승위치설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 도 3과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교통수단에 대한 동승이 결정된 뒤,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후탑승승객이 탑승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 동승을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승취소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승취소모듈(340)은 선탑승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상태에서 후탑승승객이 동승을 위해 대기 중일 때, 승객단말의 위치정보가 지정된 탑승위치로부터 변동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변동된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변동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위치파악부(341) 및, 변동위치정보가 후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거리반경을 초과할 경우 택시 기사가 소지한 기사단말과 후탑승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동승에 대한 취소여부를 입력받아 동승을 취소하는 동승취소설정부(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승취소모듈(340)은, 변동위치파악부(341)를 통해 후탑승승객이 탑승위치로부터 기준거리반경 이상 벗어났다고 간주했을 때 택시 동승에 대한 의사가 없다고 간주하여 동승취소설정부(342)를 통해 기사단말과 후탑승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승을 취소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기사단말로 인한 동승 취소 시 택시 기사 또는 선탑승승객의 의사가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후탑승승객에 의한 동승 취소 시에는 후탑승승객이 본인의 의사를 반영하여 동승을 취소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탑승승객에 의한 동승 취소의 경우 동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통해 기준거리반경 이상 이동 시 자동 동승취소 등의 기능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기준거리반경을 벗어나 동승이 취소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금결제모듈(500)은 후탑승승객으로부터 동승 취소에 대한 수수료요금을 결제받는 것도 가능하여 기사와 선탑승승객의 비용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6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후탑승승객이 선릉역 3번 출구 인근에 탑승위치를 설정하고 대기중이며, 선탑승승객을 태운 택시는 삼성역에서 역삼역방향을 통해 이동하고 있어 선릉역을 경유하여 후탑승승객을 탑승시킬 예정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후탑승승객은 택시에 동승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기준거리반경(도 6에서는 115m로 설정되어 있다)을 초과하여 이동할 수 없으며, 기준거리반경인 115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 동승취소모듈(340)에 포함된 동승취소설정부(342)에 의해 기사단말 및 후탑승승객의 승객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동승에 대한 취소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택시를 대기 중이던 승객이 기준거리반경 이상을 이동하는 것은 다른 택시에 탑승할 것이라는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종래의 콜택시 어플리케이션과 그 기본 구조가 같으므로 택시의 승차가 확정되어 대기중인 승객은 지정된 탑승위치에서 일정 수준 이상 벗어나진 않아야 한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그러한 규칙을 어긴 승객에 대해 동승을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동승취소모듈(340)은 동승취소설정부(342)에 의해 동승이 취소되는 경우 기사단말에 다른 승객과의 동승에 대한 허가여부를 입력받는 동승재승인부(343)를 포함할 수 있어 기사로 하여금 선탑승승객에게 다른 승객과의 동승 의사를 물어본 뒤, 기사가 기사 단말에 다른 승객과의 동승 허가 여부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동승재승인부(343)에 의해 동승이 다시 승인될 경우, 동승취소모듈(340)에 포함된 동승재요청부(344)는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다른 승객과의 동승을 다시 중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승취소모듈(340)에 포함된 변동위치파악부(341) 및 동승취소설정부(342)에 의해 대기중인 후탑승승객에 대한 동승이 취소되더라도, 동승재승인부(343)와 동승재요청부(344)에 의해 탑승요청정보를 보낸 다른 승객과의 동승을 중개하여 다른 승객을 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고 동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택시 탑승 시 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에서 택시에 탑승할 수 있도록 택시기사가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기 중인 승객이 일정 거리 이동했을 때 그 대기시간이 짧아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택시 이용 시 이동경로가 감소되어 요금을 보다 적게 낼 수 있는 경우 역시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혼잡한 도로 상황에서 택시가 유턴을 해서 승객을 태운 뒤 다시 유턴을 하여 승객이 지정한 도착지점에 이동할 수 있는 경우, 도착지점이 미리 입력된 상태에서는 택시 기사가 대기 중인 승객에게 ‘횡단보도를 건너서 대기해주세요’정도의 요청을 하는 것이다. 이는 승객을 태우기 위한 유턴을 불필요하게 하여 혼잡한 도로 상황에서 승객의 대기 시간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승객을 태운 뒤 다시 유턴을 하여 승객이 입력한 도착지점에 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대한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이와 같은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에 포함된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330)은 후탑승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혹은 후탑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거리반경 내에서, 택시가 경유했을 때 가장 짧은 소요시간을 나타내는 최적탑승위치를 파악하고 최적탑승위치에서 탑승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입력받는 탑승위치제안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인 택시 이용에서와 같이 후탑승승객은 지정된 탑승위치에서 대기 중이라고 간주하여, 후탑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후탑승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가 같다고 간주한다.
이를 위해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330)에 포함된 탑승위치제안부(334)는 탑승후보위치설정파트(335)와,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336) 및,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337)와, 최적탑승위치안내파트(338)와, 탑승위치선택파트(3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그 구성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탑승후보위치설정파트(335)는 교통수단, 즉 택시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인 후탑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 혹은 후탑승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탑승승객이 이동가능한 경로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좌표인 복수개의 탑승후보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갈색 점으로 표시된 점들이 탑승후보위치이며, 탑승후보위치는 후탑승승객이 탑승위치(현재위치정보)로부터 이동 가능한 경로를 반영하여 기준거리반경 내에서 무작위로 생성된다.
이 때 탑승후보위치는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횡단보도를 건넌 위치와,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일방통행로를 벗어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택시의 유턴이나 좌/우회전, 일방통행로 진입에 의해 택시의 탑승을 위한 대기시간 및 목적지에 도달하는 소요시간이 증가되는 경향이 높으므로 불필요한 유턴 및 좌/우회전, 일방통행로 진입을 피하기 위해 탑승후보위치를 횡단보도를 건넌 위치 및 일방통행로를 벗어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336)는 동승예상경로정보에 탑승후보위치에 대한 경유를 반영하여 각각의 탑승후보위치 경유에 따른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탑승후보위치에 대한 경유라 함은 택시가 탑승후보위치를 경유하여 이동함으로서 선탑승승객 및 후탑승승객의 도착지점정보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 뿐 아니라, 후탑승승객이 탑승후보위치에 이동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337)는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336)에서 연산된 탑승후보위치 경유에 대한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탑승후보위치를 파악하여 최적탑승위치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도 6의 예시를 들어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337)에 의한 최적탑승위치설정의 예를 설명하도록 하면, 도 6의 선릉역 3번 출구를 탑승위치로 설정하여 대기 중인 후탑승승객에게는 보라색으로 표시된 선릉역 5번 출구 인근의 탑승후보위치가 택시의 동승에 대한 이동경로 및 후탑승승객이 탑승을 위해 이동하는 시간을 반영한 소요시간이 가장 짧으므로 최적탑승위치로 설정되었다.
그 이유는 택시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뿐 아니라 지도 상 횡단보도와의 위치와도 관련이 있는데, 선릉역 인근에는 5번 출구 인근에 횡단보도가 있어 후탑승승객이 탑승을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가장 짧고 그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최적탑승위치 설정에 대해서는 기존의 실시간교통정보 및 지도의 경로검색 기능을 통해 반영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설명으로 돌아가면,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337)에 의해 최적탑승위치가 설정되면, 탑승위치제안부(334)에 포함된 최적탑승위치안내파트(338)는 최적탑승위치 및 후탑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 즉 후탑승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로부터 최적탑승위치까지 도보로 걸리는 도보예상소요시간을 후탑승승객의 승객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후탑승승객은 설정된 최적탑승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인의 현재위치정보(탑승위치로 설정하여 대기 중인 위치)로부터 최적탑승위치까지 도보로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에 대한 정보까지 안내받을 수 있다.
탑승위치선택파트(339)는 최적탑승위치 및 도보예상소요시간을 안내받은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최적탑승위치에서 탑승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입력받아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설정된 최적탑승위치에서 탑승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후탑승승객이 승객단말을 통해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결과는 기사단말에 전송되므로 택시 기사 역시 후탑승승객의 결정 여부에 따라 후탑승승객이 지정한 탑승위치(후탑승승객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최적탑승위치에서 후탑승승객을 동승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교통수단(택시)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동승그룹리스트의 설정 시 탑승요청정보와 함께 송신된 승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탑승신청접수모듈(100)에 포함된 승객정보파악부(120)는 승객단말로부터 승객의 성별정보를 입력받는 승객성별정보파악파트(124)와, 음주여부를 입력받는 음주여부파악파트(125) 및, 음주여부가 입력된, 다시 말해 음주를 한 다른 승객과의 동승 허가여부, 그리고 다른 이성 승객과의 동승 허가여부를 포함하는 요청사항정보를 입력받는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12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승객정보파악부(120)에 포함된 승객성별정보파악파트(124)와 음주여부파악파트(125),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126)에 의해 승객의 다양한 요청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요청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상술한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는,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승객 중 상기와 같은 요청사항정보와 불일치하는 승객을 동승 제외시키는 요청사항반영파트(325)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승객이 원하는 요청사항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승객은 동승그룹리스트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요청사항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동성과의 합승을 원하는 여성인 A 승객이 있을 경우 (이성간의 합승을 원치 않음), A 승객은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126)를 통해 이성과의 동승을 허가하지 않는다는 여부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321)는 요청사항정보를 반영하여 A 승객의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승객 중 동성이 아닌 승객, 즉 이성 승객을 동승그룹리스트에서 제외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원치 않는 대상과의 동승을 방지하여 동승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만약 A 승객이 음주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여부파악파트(125)에 음주를 하지 않았다고 입력하는 경우,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126)를 통해 음주를 한 승객과의 동승을 하지 않겠다는 요청사항을 입력한 B 승객과 A 승객이 동승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A 승객의 거짓말에 의해 B 승객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고자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300)는 자체음주측정모듈(350)을 추가로 포함하여 택시 내에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승객의 혈중 알콜농도를 파악하고, 술을 마셨으나 마셨다고 하지 않은, 즉 거짓말을 하여 약관을 위배한 승객을 하차 처리 하며, 이와 같이 약관 위배에 따라 하차 처리된 승객은 그에 따른 벌금을 지불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자체음주측정모듈(350)은 택시 내에 구비된 기사단말과 탈착되는 음주 측정 장치를 매개로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혈중 알콜 농도를 자체적으로 파악하여 혈중알콜농도정보를 생성하는 자체음주측정부(351) 및, 승객단말로부터 음주여부가 입력되지 않은, 즉 음주를 하지 않았다고 입력한 승객 중 혈중알콜농도정보가 생성된, 다시 말해 음주를 하지 않았다고 입력하였으나 혈중알콜농도정보가 측정되어 음주를 한 것으로 판명난 승객을 하차 처리하는 음주승객하차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요금결제모듈(500)은 거짓말을 하여 하차 처리된 승객으로부터 기 설정된 약관불이행기준요금에 따라 요금을 추가 부과하는 추가요금반영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동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 이용하는 승객 중 음주를 하였으나 음주를 하지 않았다고 거짓으로 입력하여 약관을 위반함으로서 다른 동승 승객에게 피해를 주는 승객을 하차 처리할 수 있어 승객의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차 처리된 승객에게는 약관불이행기준요금에 따라 추가적인 요금 부과가 가능하므로 동승그룹에 포함되어 있던 다른 승객은 동승 취소에 의한 금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주를 한 승객이 동승을 원할 경우, 본인의 음주 여부를 사실대로 입력한 뒤 다른 음주 승객과의 동승을 허가한다면, 음주를 한 승객 역시 다른 승객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고 동승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요금결제 방식을 설명한 표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요금결제 방식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승객의 택시 동승을 매개로 그 요금을 할인하는 바, 요금결제모듈(500)은 기본할인반영부(510)에 의해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이 반영된 요금을 선탑승승객 및 후탑승승객으로부터 결제받게 된다.
이 때 기본할인반영부(510)의 요금산정 원칙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기본요금은 탑승객의 총 수만큼 나누고, 주행요금은 동승인원과 동승거리를 기반으로 차등 분배하며, 각 승객에게 부과된 기본요금과 주행요금의 합 수치의 20%가 수수료로 부과되어 결제요금이 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따라, 도 7의 승객 A는 혼자 택시에 탑승할 경우 기본요금 3천원에 주행요금 4천원이 더해진 7천원을 납부해야 하나, 동승을 하게 되면 수수료가 20% 합산되더라도 보다 저렴한 요금에 택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승객 B와 C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요금 산정에 있어서 상술한 추가요금반영부(520) 역시 반영될 수 있으나, 추가요금반영부(520)는 기 설정된 약관불이행기준요금에 대한 처벌성 추가요금이기 때문에 약관을 준수하는 승객은 추가요금 없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탑승신청접수모듈 110 : 탑승신청부
120 : 승객정보파악부 121 :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
122 :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 123 : 지정탑승위치정보파악파트
124 : 승객성별정보파악파트 125 : 음주여부파악파트
126 :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 200 : 동승그룹설정모듈
210 : 중복경로파악부 211 : 예상경로정보생성파트
212 : 중복경로정보생성파트 220 : 동승그룹설정부
221 : 1차설정파트 222 : 탑승순서결정파트
223 : 동승정보분석파트 224 : 동승정보분류파트
225 : 2차설정파트 300 :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
310 :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 311 : 선탑승예상시간안내부
312 : 제1동승여부선택부 313 : 제1동승정보제공부
320 : 동승그룹확정모듈 321 :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
322 : 중복경로파악파트 323 : 동승그룹리스트설정파트
324 : 동승경로생성파트 325 : 요청사항반영파트
326 : 동승그룹정보승객안내부 327 : 예상동승대기시간알림부
328 : 승차확인부 330 :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
331 : 후탑승예상시간안내부 332 : 제2동승여부선택부
333 : 제2동승정보제공부 334 : 탑승위치제안부
335 : 탑승후보위치설정파트 336 :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
337 :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 338 : 최적탑승위치안내파트
339 : 탑승위치선택파트 340 : 동승취소모듈
341 : 변동위치파악부 342 : 동승취소설정부
343 : 동승재승인부 344 : 동승재요청부
350 : 자체음주측정모듈 351 : 자체음주측정부
352 : 음주승객하차부 360 : 탑승위치안내모듈
361 : 도보이동경로연산부 362 : 도보이동시간연산부
363 : 도보이동정보안내부 400 :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
410 : 교통수단수요분석부 420 : 교통수단공급분석부
430 : 가중치생성부 440 : 예상동승대기시간생성부
500 : 요금결제모듈 510 : 기본할인반영부
520 : 추가요금반영부

Claims (16)

  1.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승객이 소지한 승객단말로부터 탑승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탑승신청부 및,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는 현재위치정보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도착지점정보를 입력받는 도착지점정보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승객정보파악부를 포함하는 탑승신청접수모듈;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객의 현재위치정보와 도착지점정보로부터 예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간의 예상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중복경로파악부와, 상기 승객 간의 상기 중복경로정보의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상기 승객을 분류하여 동승그룹으로 설정하는 동승그룹설정부 및, 상기 승객 각각의 상기 동승그룹에 포함되어 동승 가능한 다른 승객을 리스트화한 동승그룹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를 포함하는 동승그룹설정모듈;
    상기 동승그룹에 속한 상기 승객 중 기사단말이 구비된 교통수단과 더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선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결정하는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과,
    상기 교통수단에 상기 선탑승승객보다 후 탑승하여 상기 교통수단에 동승하는 후탑승승객의 탑승위치를 결정하여 동승을 중개하는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 및,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승객과의 동승에 따른 동승예상경로정보, 예상소요시간정보, 예상요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객단말에 안내하는 동승그룹정보승객안내부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동승그룹리스트 중 동승을 원하는 승객을 선택받아 최종동승그룹으로 확정하는 동승확인부를 구비한 동승그룹확정모듈;을 포함하는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
    상기 선탑승승객과 상기 후탑승승객으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요금을 결제받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할인 기준에 따라 동승거리에 따른 할인율을 반영하는 기본할인반영부를 포함하는 요금결제모듈;
    지역별 교통수단 수요 및 공급 분석 정보 및 시간별 교통수단 수요 및 공급 분석 정보를 통해 상기 승객의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산출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동승그룹확정모듈은,
    동승이 확정된 상기 승객이 소지한 상기 승객단말에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출력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분석모듈은,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승객단말로부터의 상기 탑승요청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수요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수요분석부 및,
    지역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승객이 탑승처리 되지 않은 상기 기사단말의 개수를 분석하여 지역 및 시간에 따른 교통수단공급정보를 수치화하는 교통수단공급분석부와,
    상기 교통수단수요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수요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동승가능가중치를 생성하고, 교통수단공급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공급정보보다 높은 지역 및 시간에 대해 동승불가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 및,
    상기 동승가능가중치 및 상기 동승불가가중치에 따라 상기 승객이 동승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최대 시간인 예상동승대기시간을 생성하는 예상동승대기시간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예상동승대기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1

    (여기서,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2
    는 예상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3
    는 기준동승대기시간,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4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5
    지역의 기준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6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7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수요가중치,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8
    Figure 112016088127030-pat00049
    지역의 기준교통수단공급가중치,
    Figure 112016088127030-pat00050
    Figure 112016088127030-pat00051
    지역의 시간별 교통수단공급가중치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승그룹확정모듈은,
    상기 동승확인부에서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에 상기 최종동승그룹에 대한 승차확인여부를 입력받는 승차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승차확인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선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출력하는 선탑승예상시간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승차확인여부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와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탑승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출력하는 후탑승예상시간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교통수단의 동승이 결정된 뒤 상기 선탑승승객이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상기 후탑승승객이 소지한 상기 승객단말의 탑승위치로부터의 위치정보의 변동을 파악하여 변동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위치파악부 및,
    상기 변동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반경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기사단말 및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동승에 대한 취소여부를 입력받아 동승을 취소하는 동승취소설정부를 포함하는 동승취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승취소모듈은,
    상기 동승의 취소에 따라 상기 기사단말에 다른 상기 승객과의 동승에 대한 허가여부를 입력받는 동승재승인부 및,
    상기 동승재승인부의 허가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요청정보를 송신한 다른 상기 승객과의 동승을 중개하는 동승재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정보파악부는,
    상기 승객으로부터 탑승을 원하는 위치인 지정탑승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지정탑승위치정보파악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 입력에 따라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경로를 연산하는 도보이동경로연산부와, 상기 현재위치정보부터 상기 지정탑승위치정보까지의 도보이동에 따른 도보이동시간을 연산하는 도보이동시간연산부 및, 상기 도보이동경로와 상기 도보이동시간을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제공하는 도보이동정보안내부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안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탑승승객서비스모듈은,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 중인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탑승승객이 이동가능한 경로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좌표인 복수개의 탑승후보위치를 설정하는 탑승후보위치설정파트와,
    상기 동승예상경로정보에 상기 탑승후보위치에 대한 경유를 반영하여 각각의 상기 탑승후보위치 경유에 따른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탑승반영시간연산파트 및,
    상기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소요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탑승후보위치를 파악하여 최적탑승위치로 설정하는 최적탑승위치연산파트와,
    상기 최적탑승위치 및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최적탑승위치까지의 도보예상소요시간을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에 전송하는 최적탑승위치안내파트와,
    상기 후탑승승객의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최적탑승위치에서의 탑승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기사단말에 전송하는 탑승위치선택파트를 포함하는 탑승위치제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후보위치는,
    상기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횡단보도를 건넌 위치와, 상기 기준도보반경 이내에 위치한 일방통행로를 벗어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정보파악부는,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승객의 성별정보를 입력받는 승객성별정보파악파트 및,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상기 승객의 음주여부를 입력받는 음주여부파악파트와,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음주여부가 입력된 상기 승객과의 동승 허가여부 및, 이성과의 동승 허가여부를 포함하는 요청사항정보를 입력받는 요청사항정보파악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설정부는,
    상기 동승그룹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승객 중 상기 요청사항정보와 불일치하는 상기 승객을 동승 제외시키는 요청사항반영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승서비스인터페이스는,
    상기 기사단말과 탈착되는 음주 측정 장치를 매개로 상기 승객의 혈중 알콜 농도를 자체적으로 파악하여 혈중알콜농도정보를 생성하는 자체음주측정부 및,
    상기 승객단말로부터 음주여부가 입력되지 않은 상기 승객 중 상기 혈중알콜농도정보가 생성된 상기 승객을 하차 처리하는 음주승객하차부를 포함하는 자체음주측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요금결제모듈은,
    하차 처리된 상기 승객으로부터 기 설정된 약관불이행기준요금에 따라 요금을 추가 부과하는 추가요금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승그룹설정부는,
    상기 승객 간의 상기 중복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된 거리의 고저에 따라 중복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중복거리 이상인 상기 승객들을 동승후보그룹으로 모두 설정하는 1차설정파트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기사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상기 승객을 선탑승승객으로 지정하고, 상기 선탑승승객이 속한 상기 동승후보그룹에 포함된 다른 상기 모든 승객을 예비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는 탑승순서결정파트 및,
    상기 예비후탑승승객 각각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선탑승승객과 한 명의 상기 예비후탑승승객의 동승에 따른 예상 주행경로에 대한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동승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동승정보분석파트와,
    상기 동승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상기 동승예상경로정보 및 가장 짧은 상기 동승예상소요시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동승정보를 분류하는 동승정보분류파트와,
    분류된 상기 동승정보에 따라 상기 동승후보그룹에 포함된 상기 예비후탑승승객 중 한명을 후탑승승객으로 지정하여 동승그룹을 설정하는 2차설정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073044A 2016-06-13 2016-06-13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8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44A KR101681293B1 (ko) 2016-06-13 2016-06-13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44A KR101681293B1 (ko) 2016-06-13 2016-06-13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293B1 true KR101681293B1 (ko) 2016-12-12

Family

ID=5757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44A KR101681293B1 (ko) 2016-06-13 2016-06-13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29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06B1 (ko) 2017-02-01 2017-09-07 주식회사 더불어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8399732A (zh) * 2018-02-07 2018-08-14 深圳市亿联智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效率车站智能分流乘车控制方式
CN109829734A (zh) * 2019-01-31 2019-05-3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定位监控的欺诈行为判断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029462B1 (ko) * 2018-08-22 2019-10-07 주식회사 코나투스 차량 동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10414737A (zh) * 2019-07-31 2019-11-05 佳都新太科技股份有限公司 公共交通行程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13243A (ko) * 2017-05-26 2020-02-06 그랩택시 홀딩스 피티이. 엘티디. 셔틀 서비스 관리 및 셔틀 서비스 루트 및 서비스 도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319A (ko) 2018-10-31 2020-05-08 유이삭 차량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3669B1 (ko) * 2019-02-13 2020-07-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디드 모빌리티로서의 광고매체 노출 카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6464B1 (ko) * 2019-10-23 2021-04-06 정민우 택시 승차 공유 방법
KR20220129849A (ko) * 2021-03-17 2022-09-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에이전트 강화학습을 활용한 드론 택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택시 운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766A (ja) * 2000-11-06 2002-05-24 Nec Custommax Ltd 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データサービス方法、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情報記憶媒体
KR20030074082A (ko) * 2002-03-14 2003-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택시 합승 관리 방법, 택시 합승 관리 프로그램 및 택시합승 관리 장치
KR20130044768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길 찾기 방법
JP2013182597A (ja) * 2012-03-05 2013-09-12 Sii Data Service Kk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766A (ja) * 2000-11-06 2002-05-24 Nec Custommax Ltd 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データサービス方法、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情報記憶媒体
KR20030074082A (ko) * 2002-03-14 2003-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택시 합승 관리 방법, 택시 합승 관리 프로그램 및 택시합승 관리 장치
KR20130044768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길 찾기 방법
JP2013182597A (ja) * 2012-03-05 2013-09-12 Sii Data Service Kk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06B1 (ko) 2017-02-01 2017-09-07 주식회사 더불어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3243A (ko) * 2017-05-26 2020-02-06 그랩택시 홀딩스 피티이. 엘티디. 셔틀 서비스 관리 및 셔틀 서비스 루트 및 서비스 도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0269B1 (ko) * 2017-05-26 2022-04-25 그랩택시 홀딩스 피티이. 엘티디. 셔틀 서비스 관리 및 셔틀 서비스 루트 및 서비스 도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8399732A (zh) * 2018-02-07 2018-08-14 深圳市亿联智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效率车站智能分流乘车控制方式
KR102029462B1 (ko) * 2018-08-22 2019-10-07 주식회사 코나투스 차량 동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49319A (ko) 2018-10-31 2020-05-08 유이삭 차량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2166B1 (ko) 2018-10-31 2020-07-09 유이삭 차량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829734A (zh) * 2019-01-31 2019-05-3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定位监控的欺诈行为判断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133669B1 (ko) * 2019-02-13 2020-07-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디드 모빌리티로서의 광고매체 노출 카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414737A (zh) * 2019-07-31 2019-11-05 佳都新太科技股份有限公司 公共交通行程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36464B1 (ko) * 2019-10-23 2021-04-06 정민우 택시 승차 공유 방법
KR20220129849A (ko) * 2021-03-17 2022-09-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에이전트 강화학습을 활용한 드론 택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택시 운용 방법
KR102523056B1 (ko) 2021-03-17 2023-04-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에이전트 강화학습을 활용한 드론 택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택시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93B1 (ko) 교통수단 동승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432649B2 (ja) ライドシェアリング(相乗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11859988B2 (en) Detecting the number of vehicle passengers
US11830363B2 (en) Prescheduling a rideshare with an unknown pick-up location
JP7136246B2 (ja) 共用車両管理方法及び共用車両管理装置
US10796248B2 (en) Ride-sharing joint rental groups
US20160320194A1 (en) Ride-sharing user path disturbances and user re-routing
US20160320195A1 (en) Ride-sharing long-term ride-share groups
JP2020074179A (ja) ライドシェア管理装置、ライドシェア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21771A1 (en) Ride-sharing range contours
JP6948935B2 (ja) 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装置
WO20181405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idesharing
JP2020522064A (ja) シャトルサービスを管理し、シャトルサービスの経路及びサービスを導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20123A (ko) 무인운전시스템, 무인운전차 이용 요금 부과 서버 및 방법
Csiszár et al. Demand-capacity coordination method in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CN113853638A (zh) 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方法以及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系统
KR102132166B1 (ko) 차량 동승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11797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3003863A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JP201518417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