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803B1 -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 Google Patents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803B1
KR101679803B1 KR1020150096162A KR20150096162A KR101679803B1 KR 101679803 B1 KR101679803 B1 KR 101679803B1 KR 1020150096162 A KR1020150096162 A KR 1020150096162A KR 20150096162 A KR20150096162 A KR 20150096162A KR 101679803 B1 KR101679803 B1 KR 10167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groove
land
groove
oi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문국찬
박지훈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5009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07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mp
    • F01M2001/0246Adjustabl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풀의 이동 시 제어포트 또는/및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유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배출포트를 통한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어구간을 확장할 수 있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오일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배출포트가 상단에 형성되고 제어포트가 중단에 형성되며 공급포트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1랜드와 제2랜드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랜드와 상기 제2랜드 사이에 작동홈이 형성된 스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랜드의 상단에는 상기 제어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제1노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랜드의 하단에는 상기 공급포트와 상기 제어포트를 연결하는 제2노치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노치홈은 상부로 갈수록 넓이가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상기 제2노치홈은 하부로 갈수록 넓이가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OIL PUMP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오일펌프로 공급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풀의 이동 시 제어포트 또는/및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유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배출포트를 통한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어구간을 확장할 수 있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오일펌프는 엔진의 구동 시 오일 팬(oil pan)에 저장된 오일을 흡입하여 엔진의 각 부분으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오일펌프에 의해 압송된 오일은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에 도포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과 유량은 엔진의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엔진의 회전수가 높은 고속운전구간에서는 고압의 오일이 다량으로 압송된다. 그런데 오일이 다량으로 공급될 경우 오일의 점성에 의한 저항이 커지며 동력성능과 연비가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엔진의 회전수와 관계없이 일정한 오일의 압력 및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피벗(pivot)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펌핑 체적이 변하는 가변오일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가변오일펌프는 펌핑 체적을 변화시켜 오일의 압력 및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고속운전구간에서 불필요한 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가변오일펌프는, 슬라이더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오일이 공급되는 한 쌍의 챔버와, 상기 한 쌍의 챔버로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기 위한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살펴보면, 홀더(10)와, 홀더(10)의 상단 내부에 설치된 스풀(20)과, 홀더(10)의 상단에 결합된 조절스크루(30)와, 스풀(20)과 조절스크루(3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0)과, 홀더(10)의 하단을 감싸는 케이스(40)와,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50)과, 보빈(5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60)과, 홀더(1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70)와, 케이스(80)의 하단에 결합된 덮개(92)와, 케이스(80)의 측면으로 돌출된 커넥터(94)로 구성된다.
홀더(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오일이 공급되는 공급포트(12) 및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된 오일이 배출되는 제어포트(14)가 형성되고, 조절스크루(30)에는 제어포트(14)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32)가 형성된다. 또한, 스풀(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랜드(22)와 제2랜드(24)가 형성되며, 제1랜드(22)와 제2랜드(24) 사이에는 작동홈(26)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스풀(20)이 상승하면 제1랜드(22)에 의해 공급포트(12)와 제어포트(14)가 연결되고, 공급포트(12)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제어포트(14)를 거쳐 챔버(미도시)로 배출된다. 반면, 스풀(20)이 상승할 경우 제1랜드(22)에 의해 제어포트(14)와 배출포트(32)가 연결되어 제어포트(14)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배출포트(32)를 거쳐 오일 팬(미도시)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스풀(20)이 상승하여 제어포트(14)와 공급포트(12)를 연결하는 초기에는 제어포트(14)와 배출포트(32) 사이가 차단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공급포트(12)에서 제어포트(14)로 이송된 오일의 대부분이 배출포트(32)를 통해 오일 팬(미도시)으로 배출된다(도 10 참조). 즉, 제어포트(14)를 통해 오일펌프(미도시)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의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펌프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37338호(2013.04.1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풀의 이동 시 제어포트 또는/및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유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배출포트를 통한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어구간을 확장할 수 있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오일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배출포트가 상단에 형성되고 제어포트가 중단에 형성되며 공급포트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1랜드와 제2랜드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랜드와 상기 제2랜드 사이에 작동홈이 형성된 스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랜드의 상단에는 상기 제어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제1노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랜드의 하단에는 상기 공급포트와 상기 제어포트를 연결하는 제2노치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노치홈은 상부로 갈수록 넓이가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상기 제2노치홈은 하부로 갈수록 넓이가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어포트와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제1노치홈, 공급포트와 제어포트를 연결하는 제2노치홈이 제1랜드의 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스풀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제어포트 또는/및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유량(또는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의 증감에 따른 유량(또는 압력)의 변화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전류-유량(또는 압력) 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상승하므로 제어구간을 확장할 수 있다. 특히, 스풀이 상승할 경우 제1노치홈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므로 배출포트를 통한 오일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일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중 스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중 노치홈을 확대한 도면.
도 4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성능 그래프.
도 9와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오일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100)와, 밸브(10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200)로 구성된다.
밸브(100)는 오일펌프 하우징(미도시)의 유로 상에 위치되어 오일 팬(미도시)에서 이송된 오일을 챔버(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홀더(110)와, 홀더(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120)과, 스풀(12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절스크루(130)와, 스풀(120)과 조절스크루(13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홀더(110)는 밸브(100)에서 솔레노이드(200)까지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홀더(110)의 상부(플랜지(110c)를 기준으로 상부)는 밸브(100)로 공급된 오일의 압력을 제어하여 배출하는 부분이고, 홀더(110)의 하부는 밸브(100)를 작동시키는 자기장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홀더(110)의 상부를 유압부(110a)라 하고, 홀더(110)의 하부를 자기부(110b)라 하겠다.
유압부(110a)는 자기부(110b)보다 큰 외경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다. 유압부(110a)의 하단에는 오일이 공급되는 공급포트(112)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유압부(110a)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된 오일이 배출되는 제어포트(114)가 형성된다. 또한, 유압부(110a)의 하단 외주면에는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16)이 설치된다.
유압부(110a)의 상단에는 조절스크루(130)가 구비되고, 조절스크루(130)의 하부에는 스프링(140)이 설치된다. 조절스크루(130)는 스풀(120)을 지지하는 스프링(140)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스풀(120)의 이동거리와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스크루(130)는 스프링(140)의 탄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부(110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다.
조절스크루(130)에는 배출포트(132)가 형성된다. 배출포트(132)는 공급포트(112)에서 유입된 오일의 일부, 제어포트(114)에서 유입된 오일을 외부, 즉 오일 팬(미도시)으로 배출하기 위한 포트이다. 이때, 배출포트(132)는 조절스크루(130)의 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스프링(140)의 외측)에 형성되고, 조절스크루(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치된 4개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포트(32)가 조절스크루(30)의 중심, 즉 스프링(40)의 내측에 위치된 경우, 스프링(40)의 압축 시 배출포트(32)를 통한 오일의 배출을 방해하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의 배출포트(132)는 스프링(140)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오일의 배출과정에서 스프링(140)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이 배출포트(13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포트(132)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4개로 구성되어 오일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140)이 스풀(120)의 상단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통해 오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자기부(110b)는 유압부(110a)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다. 자기부(110b)의 중단 외주면에는 자력유도홈(118)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16)이 설치된다.
자력유도홈(118)은 고압 및 고유량의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기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자력유도홈(118)이 형성된 자기부(110b)의 중단 벽면은 그 상부 및 하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전원 인가 시 코일(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자기부(110b)를 따라 유도되되 두께가 상대적은 얇은 자력유도홈(118)에 집중된다.
상술한 자력유도홈(118)은, 자기장이 형성된 물체의 면적이 줄어들수록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가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자력유도홈(118)은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바, 자기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240)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압 및 고유량의 오일을 제어할 수 있다.
스풀(120)은 그 이동 시 공급포트(112), 제어포트(114), 배출포트(13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스풀(120)은 외경이 서로 다른 다단의 봉 형상을 가지며, 유압부(110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스풀(120)의 형상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스풀(120)은 홀더(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다. 스풀(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랜드(122)와 제2랜드(124)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소경부인 작동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스풀(120)의 내부에는 배출포트(132)와 자기부(110b)의 내부를 연결하는 유로(128)가 형성된다.
제1랜드(122)와 제2랜드(124)는 홀더(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스풀(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특히, 제1랜드(122)는 스풀(120)의 이동 시 제어포트(1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하여 포트(112,114,132)의 연결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스풀(120)이 상승하면 공급포트(112)와 제어포트(114)를 연결하고, 제어포트(114)와 배출포트(132)의 연결을 차단한다(도 6 참조). 또한, 스풀(120)이 하강하면 공급포트(112)와 제어포트(114)의 연결을 차단하며, 제어포트(114)와 배출포트(132)를 연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랜드(122)에는 각 포트(112,114,132)의 연결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노치홈(122a,122b)이 형성된다. 노치홈(122a,122b)은, 제1랜드(122)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1노치홈(122a)과, 제1랜드(122)의 하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2노치홈(122b)으로 이루어진다.
제1노치홈(122a)과 제2노치홈(122b)은 스풀(120)의 이동 시 홀더(110)와 제1랜드(122) 사이가 점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즉, 제1노치홈(122a)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반원뿔 형상이고, 제2노치홈(122b)은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반원뿔 형상이다.
제1노치홈(122a)과 제2노치홈(122b)의 부피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도 3 참조).
제1노치홈(122a)의 두께(W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을 1 : 1.5라 규정했을 때, 제1노치홈(122a)의 길이(L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15이고, 제1노치홈(122a)의 높이(H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6이다.
또한, 제2노치홈(122b)의 길이(L2)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10이고, 제2노치홈(122b)의 높이(H2)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6이다.
상술한 형상의 노치홈(122a,122b)을 포함하는 스풀(120)은 그 이동과정에서 제1노치홈(122a)과 제2노치홈(122b)이 모두 개방되는 오버랩(overlap) 구간을 갖는다. 즉, 노치홈(122a,122b)에 의해 제어포트(124)가 공급포트(122) 및 제어포트(124)와 모두 연결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오버랩 구간에서는 공급포트(112)에서 제어포트(114)로 이송된 오일의 일부가 배출포트(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어포트(114)를 통해 이송되는 오일의 압력(또는 유량)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증감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전류-압력 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상승하므로 제어구간을 확장할 수 있다(도 7 참조). 특히, 스풀(120)이 상승함에 따라 제1노치홈(122a)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므로 배출포트(132)를 통한 오일의 배출량, 즉 오일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도 8 참조).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솔레노이드(200)는, 자기부(11b)를 감싸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220)과, 보빈(22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230)과, 자기부(11b)의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240)와, 케이스(210)의 타단에 결합된 덮개(250)와, 케이스(210)의 측면으로 돌출된 커넥터(260)로 구성된다.
케이스(210)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밀폐된 컵(cup) 형상이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212)이 형성되고, 수납공간(212)에는 보빈(220)이 설치된다. 케이스(210)의 하단은 덮개(250)를 감싸도록 컬링(curling) 처리된다. 케이스(210)의 하단을 컬링 처리할 경우 보빈(220)과 덮개(250)가 플랜지(116) 측으로 압착되어,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210)의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220)은 중공의 스풀(spool) 형상이다. 보빈(220)의 외주면에는 코일(230)이 감긴다. 전원 인가 시 코일(23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자기부(110b)와 케이스(210)에 의해 유도되어 플런저(240)를 상승시킨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보빈(220)에 감긴 코일(230)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코일(230)에 강한 전류를 인가하거나 코일(230)을 많이 감을수록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플런저(24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플런저(240)는 코일(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철심으로, 자기부(110b)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120)의 하단과 접촉된다.
플런저(240)에는 플런저(240)를 상하로 관통하는 통로(242)가 형성된다. 통로(242)는 플런저(240)가 왕복운동을 할 때, 플런저(240)의 상부에 충전된 오일이 플런저(240)의 하부로, 플런저(240)의 하부에 충전된 오일이 플런저(24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통로(242)는 플런저(240)의 중심에서 소정 거리 편심되는데, 이는 스풀(120)과의 접촉에 의해 통로(242)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플런저(240)의 하단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덮개(250)의 바닥과 국소 면접촉을 한다. 플런저(240)와 덮개(250)가 국소면접촉을 할 경우 덮개(250)를 통해 플런저(240)로 직접 이어지던 자기장의 흐름을 차단하여 플런저(240)가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250)의 바닥이 다소 경사지더라도 플런저(240)의 기울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플런저(240)의 기울기에 따른 마찰저항을 해소할 수 있다.
플런저(240)의 표면은 무전해 니켈 도금 처리된다. 또한, 홀더(110)의 내주면, 특히 플런저(240)와 접촉되는 자기부(110b)의 내주면은 연질화 처리된다. 이처럼, 플런저(240)를 도금 처리하고 자기부(110b)를 연질화 처리할 경우 플런저(240)의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커넥터(260)는 코일(2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수단이다. 커넥터(260)의 내부에는 복수의 터미널(262)이 설치된다. 커넥터(260)는 케이스(21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밸브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솔레노이드(도 1의 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스풀(120)은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된다. 스풀(120)의 제1랜드(122)는 제어포트(114)의 하부와 접촉되어 공급포트(112)와 제어포트(114)의 연결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어포트(114)와 배출포트(132)의 연결을 허용한다.
도 5는 솔레노이드(도 1의 200)에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로, 전술한 오버랩 상태이다. 스풀(120)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여 제1랜드(122)가 제어포트(114)의 상부 및 하부와 모두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공급포트(112)는 제2노치홈(122b)을 통해 제어포트(114)와 연결되고, 제어포트(114)는 제1노치홈(122a)을 통해 배출포트(132)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포트(112)에서 제어포트(114)로 이송된 오일의 일부가 배출포트(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솔레노이드(도 1의 200)에 최대치의 전유가 인가된 상태로, 스풀(120)이 상사점까지 상승한 상태이다. 스풀(120)의 제1랜드(122)는 제어포트(114)의 상부와 접촉되어 제어포트(114)와 배출포트(132)의 연결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급포트(112)와 제어포트(114)의 연결을 허용한다. 따라서 공급포트(112)에서 제어포트(114)로 이송된 오일 전량이 제어포트(114)를 통해 압송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밸브 110: 홀더
120: 스풀 130: 조절스크루
140: 스프링 200: 솔레노이드
210: 케이스 220: 보빈
230: 코일 240: 플런저
250: 덮개 260: 커넥터

Claims (10)

  1. 오일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배출포트가 상단에 형성되고, 제어포트가 중단에 형성되며, 공급포트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홀더;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1랜드와 제2랜드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랜드와 상기 제2랜드 사이에 작동홈이 형성된 스풀;
    상기 제1랜드의 상단과 상기 제1랜드의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노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홈은, 상기 제1랜드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제1노치홈과, 상기 제1랜드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포트와 상기 제어포트를 연결하는 제2노치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노치홈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제2노치홈은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이되,
    제1노치홈(122a)의 두께(W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을 1 : 1.5라 규정했을 때, 제1노치홈(122a)의 길이(L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15이고, 제1노치홈(122a)의 높이(H1)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6이고, 제2노치홈(122b)의 길이(L2)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10이고, 제2노치홈(122b)의 높이(H2)와 제2노치홈(122b)의 두께(W2) 비율은 1 :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노치홈과 상기 제2노치홈은 서로 대응되는 반원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노치홈과 상기 제2노치홈은 상기 제1랜드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이동 시 상기 제1노치홈과 상기 제2노치홈이 모두 개방되는 오버랩(overlap) 구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단에 결합된 조절스크루; 및
    상기 스풀과 상기 조절스크루 사이에는 개재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포트가 상기 조절스크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스프링보다 외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조절스크루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치된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20150096162A 2015-07-06 2015-07-06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67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62A KR101679803B1 (ko) 2015-07-06 2015-07-06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62A KR101679803B1 (ko) 2015-07-06 2015-07-06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803B1 true KR101679803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162A KR101679803B1 (ko) 2015-07-06 2015-07-06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60B1 (ko) * 2018-07-05 2019-11-05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31A (ja) * 2005-12-14 2007-06-28 Hyundai Motor Co Ltd 無段変速機油圧制御システムのマニュアルバルブ
JP2008309298A (ja) 2007-06-18 2008-12-25 Aisin Aw Co Ltd 電磁弁
KR101167503B1 (ko) * 2011-11-01 2012-07-20 주식회사 유니크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31A (ja) * 2005-12-14 2007-06-28 Hyundai Motor Co Ltd 無段変速機油圧制御システムのマニュアルバルブ
JP2008309298A (ja) 2007-06-18 2008-12-25 Aisin Aw Co Ltd 電磁弁
KR101167503B1 (ko) * 2011-11-01 2012-07-20 주식회사 유니크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60B1 (ko) * 2018-07-05 2019-11-05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416B2 (en) Solenoid valve
JPWO2016104390A1 (ja) 容量制御弁
JP6537776B2 (ja) 流体ポンプアウトレット圧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012721A (ja) 電磁弁
US20180180194A1 (en) Solenoid valve
KR100923436B1 (ko)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CN103161978A (zh) 组合阀
KR101679803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57499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140019026A (ko) 커먼 레일 배출용 전자 밸브
CN100543292C (zh) 流体供给泵
KR20160131320A (ko) 가변 압축비 엔진
CN108331743A (zh) 液压柱塞泵排量及交叉功率控制机构
KR101679804B1 (ko) 가변오일펌프 컨트롤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20180002973A (ko) 솔레노이드 밸브
JP5428507B2 (ja) 可変油圧システム
KR101786820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US11078816B2 (en) Oil pump control valve
JP4998315B2 (ja) 電磁弁
KR101816015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4724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2288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99786B1 (ko) 밸브 코어 및 세미직동형 2 포트 전자 밸브
KR100819203B1 (ko)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솔레노이드 밸브
WO2018092930A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