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20B1 -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 Google Patents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20B1
KR101786820B1 KR1020160130847A KR20160130847A KR101786820B1 KR 101786820 B1 KR101786820 B1 KR 101786820B1 KR 1020160130847 A KR1020160130847 A KR 1020160130847A KR 20160130847 A KR20160130847 A KR 20160130847A KR 101786820 B1 KR101786820 B1 KR 10178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land
plunger
oil pump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김동우
박지훈
정영진
박준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6013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20B1/ko
Priority to US16/341,038 priority patent/US11078816B2/en
Priority to EP17860617.4A priority patent/EP3524784B1/en
Priority to PCT/KR2017/001531 priority patent/WO20180706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스풀을 통해 배출포트와 솔레노이드부 내부를 연통하여 솔레노이드부 내의 압력을 해소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홀더 내에 스풀이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스풀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스풀은 봉 형상인 스풀 몸체와, 상기 스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랜드와, 상기 스풀 몸체의 중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랜드, 상기 스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3 랜드, 상기 제2 랜드와 상기 제3 랜드 사이의 스풀 몸체에 형성된 벤트 홀, 상기 제1 랜드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벤트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스풀 몸체 내에 형성된 스풀 유로, 상기 제3 랜드의 일 측면에 형성된 스풀 노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풀 유로와 벤트 홀 및 스풀 노치를 형성하여 밸브 작동 시, 유체의 흐름과 관계없이 솔레노이드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솔레노이드부의 내부 압력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과 로드를 일체형으로 하여 스풀의 축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OIL PUMP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스풀을 통해 배출포트와 솔레노이드부 내부를 연통하여 솔레노이드부 내의 압력을 해소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오일펌프는 엔진의 구동 시 오일 팬(oil pan)에 저장된 오일을 흡입하여 엔진의 각 부분으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오일펌프에 의해 압송된 오일은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에 도포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시스템은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크게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밸브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로 구분된다. 또한, 밸브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전달하는 코일, 및 코일에 전달된 자기장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가 구비되며, 밸브부에는 스풀이 구비되어 플런저가 왕복운동함에 따라 함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스풀의 이동에 의해 밸브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배출되는데, 기존의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내부 압력을 해소하는 구조가 없어 플런저가 하강할 때 솔레노이드부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며, 플런저가 상승할 때는 솔레노이드부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기존의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솔레노이드부 내부의 압력이 해소되지 않아 플런저가 상승하고 하강하는데 저항이 발생함으로써, 플런저 및 스풀의 리턴 작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66837호(2013.06.21.)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홀더 내에 스풀이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스풀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스풀은 봉 형상인 스풀 몸체와, 상기 스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랜드와, 상기 스풀 몸체의 중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랜드, 상기 스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3 랜드, 상기 제2 랜드와 상기 제3 랜드 사이의 스풀 몸체에 형성된 벤트 홀, 상기 제1 랜드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벤트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스풀 몸체 내에 형성된 스풀 유로, 상기 제3 랜드의 일 측면에 형성된 스풀 노치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홀더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포트와,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어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랜드는 상기 공급포트와 상기 제어포트의 연통을 단속하며, 상기 제2 랜드는 상기 공급포트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솔레노이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 몸체에서 상기 제3 랜드의 하부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 내에 구비된 코어, 상기 코어 내에 구비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코어 내부에서 상기 플런저와 접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된 영역의 코어 지름은 상기 로드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플런저에는 플런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편심된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스풀 유로와 벤트 홀 및 스풀 노치를 형성하여 밸브 작동 시, 유체의 흐름과 관계없이 솔레노이드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솔레노이드부의 내부 압력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과 로드를 일체형으로 하여 스풀의 축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서 스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서 스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의 출입을 단속하는 밸브부(100)와, 밸브부(10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200)를 포함한다.
밸브부(100)는 솔레노이드부(200)의 제어에 따라 유체를 내부로 유입시킨 후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서, 밸브부(100)는 홀더(110)와, 홀더(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120), 스풀(12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절스크루(130), 스풀(120)과 조절스크루(13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홀더(110)는 밸브부(100)에서 솔레노이드부(200)까지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홀더(110)의 측면 중단에는 오일이 공급되는 공급포트(114)가 형성되고, 측면 상단에는 공급포트(114)로 유입된 오일이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되어 배출되는 제어포트(112)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110)의 측면 하단 외주연에는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링(116)이 구비된다. 또한, 개방된 상부에는 조절스크루(130)가 구비되고, 조절스크루(130)에는 배출포트(132)가 형성된다. 배출포트(132)는 공급포트(114)에서 유입된 오일의 일부, 제어포트(112)에서 유입된 오리을 외부, 즉, 오일 팬(미도시)으로 배출한다. 또한, 조절스크루(130)의 하부에는 스프링(140)이 설치되며, 조절스크루(130)는 스풀(120)을 지지하는 스프링(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스풀(120)의 이동거리와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조절스크루(130)는 스프링(140)의 탄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홀더(110)의 개방된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서 스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에서 스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스풀(120)은 홀더(110) 내에 구비되어 상하 왕복운동 시 공급포트(114)와 제어포트(112) 및 배출포트(132)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스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몸체(121)가 홀더(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외경이 서로 상이한 다단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풀 몸체(121)의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는 제1 랜드(122)와 제2 랜드(124) 및 제3 랜드(126)가 형성되고, 제3 랜드(126) 하단의 스풀 몸체(121)는 로드로 정의된다. 제2 랜드(124)와 제3 랜드(126) 사이에는 벤트 홀(121b)이 형성된다. 제1 랜드(122) 방향 스풀(120)의 상부에는 개방된 스풀 배출포트(121a)가 형성되며, 스풀(120)의 내부에는 스풀 배출포트(121a)와 벤트 홀(121b)을 연통시키는 스풀(120)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3 랜드(126)의 측면에는 솔레노이드부(200)의 내부와 벤트홀을 연통하는 스풀 노치(126a)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랜드(122)의 직경(D1)과 제2 랜드(124)의 직경(D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 랜드(126)의 직경 역시 제1 랜드(122) 및 제2 랜드(124)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랜드(122)와 제2 랜드(124) 및 제3 랜드(126)와 접하는 스풀(120) 유로의 지름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풀(1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랜드(122)는 지름이 동일한 봉 형상인 스풀 몸체(121)의 상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지름이 상이하며 계단식으로 형성된 두 개의 제1 랜드(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제1 랜드(122)는 스풀(120)의 상부방향에 형성된 제1 랜드(122)의 지름이 하단에 형성된 제1 랜드(122)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부방향의 제1 랜드(122)의 상부에는 스풀(120)의 상부가 일부 노출된다. 이때, 조절스크루(130)에 형성되는 배출포트(132)는 두 개의 제1 랜드(122)와 상부가 일부 노출된 스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2 랜드(124)는 스풀 몸체(121)의 중단에 형성되며, 지름이 가장 큰 제1 랜드(122)의 지름과 동일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랜드(124)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을 제2 랜드(124) 홈이라 하며, 제2 랜드(124) 홈은 제2 랜드(124)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랜드(126)는 스풀 몸체(121)의 하단에 형성되며, 전술된 제2 랜드(124)와 동일한 지름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랜드(126)의 일 측면에는 스풀 노치(126a)가 형성되며, 제3 랜드(126)의 일 측면을 평면도를 기준으로 'ㄷ' 형상으로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스풀 노치(126a)의 표면(도 2에서 126a 지시선이 지시하는 면)은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풀 노치(126a)의 표면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슬릿형상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스풀 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슬릿 형상 홈은 스풀 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벤트 홀(121b)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2에서는 스풀 노치(126a)의 평평한 면에서 절곡된 양 측벽이 평행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양 측벽이 벤트 홀(121b) 방향으로 갈수록 거리가 좁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로드는 플런저(24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플런저(240)의 이동에 따라 스풀(12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은 로드가 스풀(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스풀(120)을 이루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부(200)에 전원인가 시 왕복운동에 의해 스풀(120)과 로드의 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로드와 스풀(1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전술된 제3 랜드(126)를 제거하여도 스풀(120)의 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풀(120)은 제1 랜드(122)와 제2 랜드(124) 및 제3 랜드(126)가 홀더(110) 유로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스풀(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특히, 제1 랜드(122)는 스풀(120)의 이동 시 제어포트(11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하여 포트의 연결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스풀(120)이 상승하면 공급포트(114)와 제어포트(112)를 연결하고, 제어포트(112)와 배출포트(132)의 연결을 차단한다. 또한, 스풀(120)이 하강하면 공급포트(114)와 제어포트(112)의 연결을 차단하며, 제어포트(112)와 배출포트(132)를 연결한다.
솔레노이드부(200)는 밸브부(100) 내의 스풀(120)을 상하 왕복시킴으로써 스풀(120)을 제어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부(200)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220), 보빈(220)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230), 코어(260), 코어(260)의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240), 및 케이스(210)의 타단에 결합된 덮개(25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에는 보빈(220)이 설치된다. 케이스(210)의 하단은 덮개(250)를 감싸도록 컬링 처리될 수 있다. 케이스(210)의 하단을 컬링 처리할 경우, 보빈(220)과 덮개(250)가 코어(260)의 플랜지(코어의 상단에서 보빈의 상단으로 연장된 부분) 측으로 압착되어,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210)의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의 상단도 컬링 처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홀더(110)가 솔레노이드부(200)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220)은 중공의 스풀(120)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코일(230)이 권취된다. 전원인가 시 코일(23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코어(260)를 통해 플런저(240)를 상승시킨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보빈(220)에 권취된 코일(230)의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코일(230)에 큰 전류를 인가하거나 코일(230)을 많이 감을수록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플런저(24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코어(260)는 코일(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어(260)의 중단 외주면에는 자력유도홈(262)이 형성되고, 코어(260)의 상단과 하단 외주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264)이 구비된다.
자력유도홈(262)은 고압 및 고유량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기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유도홈(262)이 형성된 코어(260)의 중단 벽면은 그 상부 및 하부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서, 전원 인가 시 코일(2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코어(260)를 따라 유도되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자력유도홈(262)에 집중된다. 이는 자기장이 형성된 물체의 면적이 감소할수록 자속밀도가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력유도홈(262)은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져, 자기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240)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고압 및 고유량의 유체를 제어할 수 있다.
플런저(240)는 코일(2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코어(260) 내를 왕복운동하는 가동철심으로서, 스풀(120)의 하단과 접촉된다. 이러한 플런저(240)에는 플런저(240)를 상하로 관통하는 플런저 유로(242)가 형성된다. 플런저 유로(242)는 플런저(240)가 왕복운동할 때 플런저(240)의 상부에 충전된 오일이 플런저(240)의 하부로, 플런저(240)의 하부에 충전된 오일이 플런저(24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플런저 유로(242)는 스풀(120)과의 접촉에 의해 플런저 유로(242)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런저(240)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편심되게 형성된다. 또한, 플런저(240)의 하단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덮개(250)의 바닥과 국소 면접촉을 한다. 플런저(240)와 덮개(250)가 국소면접촉을 할 경우, 덮개(250)를 통해 플런저(240)로 직접 이어지던 자기장의 흐름을 차단하여 플런저(240)가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250)의 바닥이 다소 경사지더라도 플런저(240)의 기울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플런저(240)의 기울기에 따른 마찰저항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플런저(240)의 표면은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무전해 니켈 도금 처리될 수 있으며, 홀더(110)의 내주면, 특히 플런저(240)와 접촉되는 부분은 연질화 처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보빈(220)을 통해 코어(260)에 자기장이 유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플런저(240)가 상승하지 않으며, 플런저(240) 상에 위치된 스풀(120) 역시 상승하지 않는다. 즉, 스풀(120)의 제1 랜드(122)는 홀더(110)의 공급포트(114)와 제어포트(112)가 연통되지 않도록 위치되며, 제2 랜드(124)는 공급포트(114)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때, 코어(260) 내부는 플런저 유로(242)와 스풀 노치(126a), 벤트 홀(121b), 스풀(120) 유로 및 배출포트(13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플런저 유로(242)와 스풀 노치(126a)가 연통되기 위해서는, 로드가 삽입된 영역의 코어 지름은 상기 로드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이후, 솔레노이드부(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20)을 통해 코어(260)에 자기장이 유도되어 플런저(240)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240) 상에 위치된 스풀(120)이 상승하게 되며, 스풀(120)이 상승함에 따라 제1 랜드(122)와 제2 랜드(124) 및 제3 랜드(126)의 위치가 변화된다. 즉, 제1 랜드(122)는 제어포트(112)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2 랜드(124)는 공급포트(114)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홀더(110)의 공급포트(114)와 제어포트(112)는 서로 연통되며, 공급포트(114)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제어포트(1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코어(260) 내부는 플런저 유로(242)와 스풀 노치(126a), 벤트 홀(121b), 스풀(120) 유로 및 배출포트(13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상태이므로, 플런저(240) 상승 시 배출포트(132)를 통해 유체가 코어(260) 내부로 유입되므로 코어(260) 내부 압력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240) 상승 시 코어(260)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플런저(240) 상승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2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플런저(240)를 상승시킨 자기장이 사라진다. 또한, 조절스크루(130)와 홀더(110)의 제1 랜드(122)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40)에 의해 스풀(120)이 하향 압박되며, 이에 따라 스풀(120)이 하강하고, 상승했던 플런저(240)가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코어(260) 내 플런저(240) 하부에 유입됐던 유체는 플런저 유로(242)와 스풀 노치(126a), 벤트 홀(121b), 스풀(120) 유로 및 배출포트(13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플런저(240) 하강 시 코어(260) 내 유입됐던 유체에 의해 플런저(240) 하강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풀 유로와 벤트 홀 및 스풀 노치를 형성하여 밸브 작동 시, 유체의 흐름과 관계없이 솔레노이드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솔레노이드부의 내부 압력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과 로드를 일체형으로 하여 스풀의 축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밸브부 110: 홀더
112: 제어포트 114: 공급포트
116, 264: 오링 120: 스풀
121: 스풀 몸체 121a: 스풀 배출포트
121b: 벤트 홀 122: 제1 랜드
124: 제2 랜드 126: 제3 랜드
126a: 스풀 노치 130: 조절스크루
132: 배출포트 140: 스프링
200: 솔레노이드부 210: 케이스
220: 보빈 230: 코일
240: 플런저 242: 플런저 유로
250: 덮개 260: 코어
262: 자력 유도홈

Claims (5)

  1. 홀더 내에 스풀이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스풀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로서,
    상기 스풀은 봉 형상인 스풀 몸체와,
    상기 스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랜드와,
    상기 스풀 몸체의 중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랜드,
    상기 스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3 랜드,
    상기 제2 랜드와 상기 제3 랜드 사이의 스풀 몸체에 형성된 벤트 홀,
    상기 제1 랜드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벤트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스풀 몸체 내에 형성된 스풀 유로,
    상기 제3 랜드의 일 측면에 형성된 스풀 노치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포트와,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어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랜드는 상기 공급포트와 상기 제어포트의 연통을 단속하며,
    상기 제2 랜드는 상기 공급포트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솔레노이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 몸체에서 상기 제3 랜드의 하부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는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 내에 구비된 코어,
    상기 코어 내에 구비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코어 내부에서 상기 플런저와 접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된 영역의 코어 지름은 상기 로드의 직경보다 큰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플런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편심된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20160130847A 2016-10-10 2016-10-10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78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47A KR101786820B1 (ko) 2016-10-10 2016-10-10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US16/341,038 US11078816B2 (en) 2016-10-10 2017-02-13 Oil pump control valve
EP17860617.4A EP3524784B1 (en) 2016-10-10 2017-02-13 Oil pump control valve
PCT/KR2017/001531 WO2018070621A1 (ko) 2016-10-10 2017-02-13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47A KR101786820B1 (ko) 2016-10-10 2016-10-10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820B1 true KR101786820B1 (ko) 2017-10-19

Family

ID=6029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847A KR101786820B1 (ko) 2016-10-10 2016-10-10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470B1 (ko) 2012-05-14 2012-06-27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101167503B1 (ko) 2011-11-01 2012-07-20 주식회사 유니크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03B1 (ko) 2011-11-01 2012-07-20 주식회사 유니크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160470B1 (ko) 2012-05-14 2012-06-27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53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EP2775110B1 (en) Oil pump control valve
KR101167503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0923436B1 (ko)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0926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57499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140019026A (ko) 커먼 레일 배출용 전자 밸브
KR101786820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816015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US11078816B2 (en) Oil pump control valve
KR20180002973A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18303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724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679803B1 (ko) 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145735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114843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86109B1 (ko) 개선된 형상의 랜드부를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KR102086117B1 (ko) 개선된 정렬 특성을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JP7091681B2 (ja) 制御弁
KR100819203B1 (ko)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솔레노이드 밸브
KR10111484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3249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4991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19802B1 (ko)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0883887B1 (ko) 자동변속기 직접 변속제어용 고유량 제어를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