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175B1 -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175B1
KR101679175B1 KR1020117006083A KR20117006083A KR101679175B1 KR 101679175 B1 KR101679175 B1 KR 101679175B1 KR 1020117006083 A KR1020117006083 A KR 1020117006083A KR 20117006083 A KR20117006083 A KR 20117006083A KR 101679175 B1 KR101679175 B1 KR 10167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oxygen
gas
carbon dioxid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495A (ko
Inventor
데츠로 후카세
노부히로 오리타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간이하고 또한 염가의 수단으로 미생물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조체 (30) 내에 2 장의 판 형상 카티온 교환막 (31, 31) 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그 카티온 교환막 (31, 31) 끼리의 사이에 부극실 (32) 이 형성되고, 그 부극실 (32) 과 각각 그 카티온 교환막 (31) 을 사이에 두고 2 개의 정극실 (33, 33) 이 형성되어 있다. 정극실 (33) 에 산소 함유 가스를 유통시키고, 부극실에 부극 용액 (L) 을 공급하여, 바람직하게는 부극 용액을 순환시킨다. 정극실 (33) 에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 (탄산 가스) 를 도입한다. 산성 가스에 의한 pH 중화 작용에 의해 Na, K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켜, 이로써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MICROBIAL POWER GENERATION METHOD AND MICROBIAL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미생물의 대사 반응을 이용하는 발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유기물을 미생물로 산화 분해시킬 때에 얻어지는 환원력을 전기 에너지로서 취출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을 배려한 발전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미생물 발전의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 발전은 미생물이 유기물을 자화시킬 때에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를 꺼냄으로써 발전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발전에서는 부극이 배치된 부극실 내에 미생물, 미생물로 자화되는 유기물, 및 전자 전달 매체 (전자 메디에이터) 를 공존시킨다. 전자 메디에이터는 미생물체 내에 들어가,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를 받아 부극에 전달한다. 부극은 외부 저항 (부하) 을 통해 정극과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고, 부극에 전달된 전자는 외부 저항 (부하) 을 통해 정극으로 이동하고, 정극과 접하는 전자 수용체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전자의 이동에 의해 정극과 부극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미생물 발전에서는 전자 메디에이터가 미생물체로부터 직접 전자를 취출하기 때문에, 이론상의 에너지 변환 효율은 높다. 그러나, 실제 에너지 변환 효율은 낮아, 발전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의 재료나 구조, 전자 메디에이터의 종류, 및 미생물종의 선택 등에 대해 여러가지 검토 및 개발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에는, 정극실과 부극실을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알칼리 이온 도전체를 사이에 두고, 정극실 내 및 부극실 내를 인산 완충액 (버퍼) 으로 pH 7 로 하고, 정극실 내의 인산 완충액 (캐소드액) 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발전을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정극실과 부극실을 구획하는 전해질막에 접하도록 정극판으로서 다공질체를 설치하고, 정극실에 공기를 유통시켜, 다공질체의 공극 중에서 공기와 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정극실 내에 공기를 유통시켜, 공기 중의 산소를 전자 수용체로서 이용하는 정극을 「에어 캐소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어 캐소드를 사용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이면, 캐소드액이 불필요하고, 또 정극실에 단순히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만으로 되고, 캐소드액 중에 대한 폭기 (曝氣) 의 필요성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종래, 에어 캐소드를 사용한 미생물 발전 장치에 있어서의 발전 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1) 부극의 메디에이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2) 부극실의 pH 조정
3) 정극 촉매의 종류나 촉매 활성 성분의 담지 방법
4) 정극의 형상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3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24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1706호 종래의 미생물 발전 장치에서는, 발전 효율이 부극 1 ㎥ 당 50 ∼ 150 W/㎥ 로 작아, 한층 더 발전 효율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이하고 또한 염가의 수단으로 미생물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양태의 미생물 발전 방법은 부극을 갖고, 미생물 및 전자 공여체를 함유하는 액을 유지하는 부극실과, 그 부극실에 대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을 개재하여 사이를 두고,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에 접하는 정극을 갖는 정극실을 구비한 미생물 발전 장치의 그 정극실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에 있어서, 그 정극실에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양태의 미생물 발전 방법은 제 1 양태에서, 그 산성 가스가 탄산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양태의 미생물 발전 방법은 제 1 또는 2 양태에서, 상기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이 카티온 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양태의 미생물 발전 방법은 제 2 또는 3 양태에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기이며, 공기에 대해 탄산 가스를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1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양태의 미생물 발전 방법은 제 2 또는 3 양태에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순산소이며, 순산소에 대해 탄산 가스를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양태의 미생물 발전 장치는 부극을 갖고, 미생물 및 전자 공여체를 함유하는 액을 유지하는 부극실과, 그 부극실에 대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을 개재하여 사이를 두고,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으로 접하는 정극을 갖는 정극실과, 그 정극실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미생물 발전 장치에 있어서, 그 정극실에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하는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양태의 미생물 발전 장치는 제 6 양태에서,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이 탄산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양태의 미생물 발전 장치는 제 6 또는 7 양태에서, 상기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이 카티온 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양태의 미생물 발전 장치는 제 7 또는 8 양태에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기이며, 공기에 대해 탄산 가스를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1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양태의 미생물 발전 장치는 제 7 또는 8 양태에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순산소이며, 순산소에 대해 탄산 가스를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극실에 공급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한다는 간이하고 또한 염가의 수단으로, 이 산성 가스에 의한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의 pH 중화 작용에 의해 Na+, K+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켜, 이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성 가스로서는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염가이며 또한 안전성이 높고, 부식의 문제 등도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어떤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에 대해서도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카티온 투과막인 경우에 유효하다.
산소 함유 가스에 대한 산성 가스의 도입량은, 산소 함유 가스 및 산성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산소 함유 가스로서 공기를 사용하고, 산성 가스로서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100 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청구항 4, 9), 산소 함유 가스로서 순산소를 사용하고, 산성 가스로서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생물 발전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생물 발전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미생물 발전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조체 (槽體) (1) 내가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에 의해 정극실 (3) 과 부극실 (4) 로 구획되어 있다. 정극실 (3) 내에 있어서는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에 접하도록 정극 (5) 이 배치되어 있다.
부극실 (4) 내에는 도전성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극 (6)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부극 (6) 은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에 직접적으로, 또는 1 ∼ 2 층 정도의 미생물막을 개재하여 접하고 있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이 카티온 투과막이면, 부극 (6) 으로부터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에 프로톤 (H+) 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극실 (3) 내는 공실이며, 가스 유입구 (7) 로부터 공기 등의 산소 함유 가스가 도입되고, 가스 유출구 (8) 로부터 배출 배관 (25) 을 거쳐 배기 가스가 유출된다. 이 정극실 (3) 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 (23) 에는 산성 가스의 도입 배관 (24) 이 접속되어 있어, 정극실 (3) 에는 산성 가스를 함유하는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급된다.
정극실 (3) 과 부극실 (4) 을 나누는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티온 투과막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것이어도 된다.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극 (6) 에 미생물이 담지되어 있다. 부극실 (4) 에는 유입구 (4a) 로부터 부극 용액 (L) 을 도입하고, 유출구 (4b) 로부터 폐액를 배출시킨다. 또한, 부극실 (4) 내는 혐기성이 된다.
부극실 (4) 내의 부극 용액 (L) 은 순환 왕구 (往口) (9), 순환 배관 (10), 순환용 펌프 (11) 및 순환 복귀구 (12) 를 통해 순환된다. 이 순환 배관 (10) 에는 부극실 (4) 로부터 유출되어 온 액의 pH 를 측정하는 pH 계 (14) 가 형성됨과 함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 첨가용 배관 (13) 이 접속되어, 부극 용액 (L) 의 pH 가 7 ∼ 9 가 되도록 필요에 따라 알칼리가 첨가된다.
정극실 (3) 내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도시되지 않은 응축수 유출구로부터 배수된다.
정극 (5) 과 부극 (6) 사이에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단자 (20, 22) 를 통해 외부 저항 (21) 으로 전류가 흐른다.
정극실 (3) 로 산성 가스를 함유하는 산소 함유 가스를 통기시킴과 함께 필요에 따라 펌프 (11) 를 작동시켜 부극 용액 (L) 을 순환시킴으로써 부극실 (4) 내에서는,
(유기물)+H2O→CO2+H++e-
가 되는 반응이 진행된다. 이 전자 e- 가 부극 (6), 단자 (22), 외부 저항 (21), 단자 (20) 를 거쳐 정극 (5) 으로 흐른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프로톤 H+ 는,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5A) 의 카티온 투과막을 통과하여 정극 (5) 으로 이동한다. 정극 (5) 에서는,
O2+4H++4e-→2H2O
가 되는 반응이 진행된다. 이 정극 반응에서 생성된 H2O 는 응축하여 응축수가 발생한다. 이 응축수에는,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의 카티온 투과막을 투과해 온 K+, Na+ 등이 용해되어, 이로 인하여 산소 함유 가스만을 통기시키는 종래의 미생물 발전 장치에 있어서는, 응축수가 pH 9.5 ∼ 12.5 정도의 고알칼리성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산성 가스를 첨가한 산소 함유 가스를 통기시키기 때문에, 산성 가스에 의한 중화 작용에 의해 이 응축수의 pH 는 7.5 ∼ 9 정도가 된다.
즉,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으로서 예를 들어 카티온 투과막을 사용한 경우, 부극 (6) 에서 생성된 전자는 단자 (22), 외부 저항 (21), 단자 (20) 를 거쳐 정극 (5) 으로 흐르는 한편, 프로톤과 함께 부극 (6) 에 도입되는 부극 용액 (L) 중의 Na+, K+ 가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2) 의 카티온 투과막을 투과하여 정극실 (3) 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정극실 (3) 로 통기시키는 산소 함유 가스가 산성 가스를 함유하는 것에 의한 pH 중화 작용에 의해, Na+, K+ 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있다고 추정되고, 이로 인하여 발전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부극실 (4) 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물의 분해 반응에 의해 CO2 가 생성됨으로써, pH 가 저하되려고 한다. 그래서, pH 계 (14) 의 검출 pH 가 바람직하게는 7 ∼ 9 가 되도록 알칼리가 부극 용액 (L) 에 첨가된다. 이 알칼리는, 부극실 (6) 에 직접 첨가되어도 되는데, 순환수에 첨가함으로써 부극실 (6) 내의 전체 영역을 부분적인 치우침 없이 pH 7 ∼ 9 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관련된 미생물 발전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조체 (30) 내에 2 장의 판 형상의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31) 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31) 끼리의 사이에 부극실 (32) 이 형성되고, 그 부극실 (32) 과 각각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을 사이에 두고 2 개의 정극실 (33, 33) 이 형성되어 있다.
부극실 (32) 내에는, 각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과 직접적으로, 또는 1 층 ∼ 2 층 정도의 생물막을 개재하여 접하도록,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극 (34) 이 배치되어 있다. 부극 (34) 은,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31) 에 대해 가볍게 (예를 들어 0.1 ㎏/㎠ 이하의 압력으로) 내리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극실 (33) 내에는,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과 접해 정극 (35)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정극 (35) 은, 패킹 (36) 으로 가압되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으로 내리눌려져 있다. 정극 (35) 과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31) 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양자를 용착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해도 된다.
정극 (35) 과 조체 (30) 의 측벽 사이는 산성 가스가 첨가된 산소 함유 가스의 유통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이 정극 (35) 및 부극 (34) 은 단자 (37, 39) 를 통해 외부 저항 (38) 에 접속되어 있다.
부극실 (32) 에는 유입구 (32a) 로부터 부극 용액 (L) 이 도입되고, 유출구 (32b) 로부터 폐액이 유출된다. 부극실 (32) 내는 혐기성이 된다.
부극실 (32) 내의 부극 용액은 순환 왕구 (41), 순환 배관 (42), 순환 펌프 (43) 및 순환 복귀구 (44) 를 통해 순환된다. 각 정극실 (33) 에는 배관 (61) 으로부터의 산소 함유 가스가 배관 (62) 으로부터의 산성 가스와 함께 가스 유입구 (51) 로부터 유입되고, 배기 가스가 가스 유출구 (52) 로부터 배관 (63) 을 거쳐 유출된다.
부극 용액의 순환 배관 (42) 에, pH 계 (47) 가 형성됨과 함께, 알칼리 첨가용 배관 (45) 이 접속되어 있다. 부극실 (32) 로부터 유출되는 부극 용액의 pH 를 pH 계 (47) 로 검출하고, 이 pH 가 바람직하게는 7 ∼ 9 가 되도록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가 첨가된다.
이 도 1 의 미생물 발전 장치에 있어서도, 정극실 (33) 에 산성 가스를 첨가한 산소 함유 가스를 유통시키고, 부극실 (32) 에 부극 용액을 유통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부극 용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정극 (35) 과 부극 (34)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고 외부 저항 (38) 으로 전류가 흐른다.
다음으로, 이 미생물 발전 장치의 미생물, 부극 용액 등 이외에, 산소 함유 가스나 산성 가스,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 부극 및 정극의 바람직한 재료 등에 대해 설명한다.
부극 용액 (L)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산시키는 미생물은 전자 공여체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accharomyces, Hansenula, Candida, Micrococcus,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Leuconostoa, Lactobacillus, Corynebacterium, Arthrobacter, Bacillus, Clostridium, Neisseria, Escherichia, Enterobacter, Serratia, Achromobacter, Alcaligenes, Flavobacterium, Acetobacter, Moraxella, Nitrosomonas, Nitorobacter, Thiobacillus, Gluconobacter, Pseudomonas, Xanthomonas, Vibrio, Comamonas 및 Proteus (Proteus vulgaris) 의 각 속에 속하는 세균, 사상균, 효모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을 함유하는 오니로서 하수 등의 유기물 함유수를 처리하는 생물 처리조로부터 얻어지는 활성 오니, 하수의 최초 침전지로부터의 유출수에 함유되는 미생물, 혐기성 소화 오니 등을 식종으로서 부극실에 공급하여, 미생물을 부극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극실 내에 유지되는 미생물량은 고농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미생물 농도는 1 ∼ 50 g/ℓ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극 용액 (L) 로는, 미생물 또는 세포를 유지하고, 또한 발전에 필요한 조성을 갖는 용액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호흡계의 발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부극측의 용액으로는, 부용 배지, M9 배지, L 배지, MaLt Extract, MY 배지, 초화균 선택 배지 등의 호흡계 대사를 실시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원이나 영양소 등의 조성을 갖는 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하수, 유기성 산업 배수, 젖은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부극 용액 (L) 중에는, 미생물 또는 세포로부터의 전자 빼내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메디에이터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 전자 메디에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닌, 디메틸디술폰화티오닌, 뉴메틸렌블루, 톨루이딘블루-O 등의 티오닌 골격을 갖는 화합물, 2-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등의 2-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골격을 갖는 화합물, 브릴리언트크레실블루, 갈로시아닌, 레소루핀, 알리자린브릴리언트블루, 페노티아디논, 페나진에소술페이드, 사프라닌-O, 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 페로센, 벤조퀴논, 프탈로시아닌, 혹은 벤질비올로겐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발전 기능을 증대시키는 재료, 예를 들어 비타민 C 와 같은 항산화제나, 미생물 중의 특정 전자 전달계나 물질 전달계만을 작용시키는 기능 증대 재료를 용해시키면, 더욱 효율적으로 전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부극 용액 (L) 은 필요에 따라 인산 버퍼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부극 용액 (L) 은 유기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 유기물로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수용성 유기물, 수중으로 분산되는 유기물 미립자 등이 사용된다. 부극 용액은 하수, 식품 공장 배수 등의 유기성 폐수여도 된다. 부극 용액 (L) 중의 유기물 농도는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100 ∼ 10000 ㎎/ℓ 정도의 고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극실에 유통시키는 산소 함유 가스로는, 공기가 바람직하지만, 순산소나 산소를 부화시킨 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정극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필요에 따라 탈산소 처리한 후, 부극실로 통기시켜, 부극 용액 (L) 으로부터의 용존 산소의 퍼지로 사용해도 된다.
산소 함유 가스에 첨가하는 산성 가스로는, 아황산 가스, 염화수소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 수용액이 되었을 경우 산성을 나타내는 가스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특히 탄산 가스는 염가이며 안전하고 부식의 문제도 없고, 또한 지구 온난화 방지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산성 가스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산소 함유 가스에 대한 산성 가스의 도입량은, 산소 함유 가스 및 산성 가스의 종류 및 산소 함유 가스의 통기량에 의존하지만, 산소 함유 가스로서의 공기에 산성 가스로서 탄산 가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유량비로서 통기 가스량의 0.1 ∼ 100 %, 바람직하게는 0.1 % ∼ 20 %, 즉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보다 탄산 가스가 많아도 더 나은 발전 활성 향상 효과는 없어 비경제적이고, 또 이 범위보다 탄산 가스가 적으면 탄산 가스를 도입하는 것에 의한 발전 효율의 향상 효과가 작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는 탄산 가스의 도입량에 비례하여 발전 효율은 향상되지만, 더욱 늘리면 반대로 발전 효율은 저하된다.
또, 산소 함유 가스로서 순산소를 사용하고, 산성 가스로서 탄산 가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산소 가스의 400 정도까지 탄산 가스를 도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보다 탄산 가스가 많아도 더 나은 발전 활성 향상 효과는 없어 비경제적이고, 또 이 범위보다 탄산 가스가 적으면 탄산 가스를 도입하는 것에 의한 발전 효율의 향상 효과가 작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는 탄산 가스의 도입량에 비례하여 발전 효율은 향상되지만, 더욱 늘리면 반대로 발전 효율은 저하된다.
산소 함유 가스의 산성 가스에 대한 도입 방법으로는, 미리 산소 함유 가스와 산성 가스를 혼합한 혼합 가스를 정극실에 공급해도 되고, 또 정극실의 가스 유입구에 산소 함유 가스와 산성 가스를 동시에 유입시키도록 해도 되고,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소 함유 가스의 공급 배관에 산성 가스의 도입 배관을 접속하여 도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으로는, 비도전성이며 이온 투과성이 있는 카티온 투과막 또는 아니온 투과막 등의 이온 투과막이면 되고, 각종 이온 교환막이나 역침투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온 교환막으로는, 프로톤 선택성이 높은 카티온 교환막, 또는 아니온 교환막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티온 교환막으로서는 듀퐁 주식회사 제조 나피온 (등록상표), 주식회사 아스톰사 제조의 카티온 교환막인 CMB 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아니온 교환막으로는, 아스톰사 제조 아니온 교환막이나 토쿠야마사 제조 아니온형 전해질막 등이 바람직하다.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은, 얇고 튼튼한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그 막두께는 30 ∼ 300 ㎛, 특히 30 ∼ 2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으로는 특히 카티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산성 가스의 도입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부극은 많은 미생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표면적이 크고 공극이 많이 형성되어 통수성을 갖는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표면이 거친 도전성 물질의 시트나 도전성 물질을 펠트 형상 그 밖의 다공성 시트로 한 다공성 도전체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펠트, 발포 티탄, 발포 스테인리스 등) 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공질의 부극을 직접 또는 미생물층을 개재하여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에 맞닿게한 경우, 전자 메디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부극에 전달되게 되어, 전자 메디에이터가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시트 형상 도전체를 적층시켜 부극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동종의 도전체 시트를 적층시켜도 되고, 상이한 종류의 도전체 시트끼리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펠트와 조면을 갖는 그라파이트 시트) 를 적층시켜도 된다.
부극은 전체의 두께가 3 ㎜ 이상 40 ㎜ 이하, 특히 5 ∼ 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시트에 의해 부극을 구성하였을 경우, 시트끼리의 맞춤면 (적층면) 을 따라 액이 흐르도록, 적층면을 액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부극실을 복수의 분실로 분할하고, 각 분실을 직렬 접속시킴으로써 각 분실에서의 pH 저하를 억제한 다음 부극실 내의 액의 pH 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부극실을 분할하면 각 분실에서의 유기물 분해량이 작아지는 결과, 탄산 가스의 생성량도 작아지기 때문에 각 분실에서의 pH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정극은 도전성 기재와 그 도전성 기재에 담지된 산소 환원 촉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기재로는 도전성이 높고, 내식성이 높고, 두께가 얇아도 충분한 도전성과 내식성, 또한 도전성 기재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그라파이트 페이퍼, 그라파이트 펠트, 그라파이트 크로스, 스테인리스 메시, 티탄 메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특히 내구성과 가공하기 쉽다는 점에서, 그라파이트 페이퍼, 그라파이트 펠트, 그라파이트 크로스 등의 그라파이트계 기재가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그라파이트 페이퍼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그라파이트계 기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소수화된 것이어도 된다.
정극의 도전성 기재의 두께는 지나치게 두꺼우면 산소의 투과가 나빠지고, 지나치게 얇으면 기재에 필요한 강도 등의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수 없으므로, 20 ∼ 30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환원 촉매로는, 백금 등의 귀금속 외에 염가이며 또한 촉매 활성이 양호한 점에서, 이산화망간 등의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며, 그 담지량은 0.01 ∼ 2.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교예 1]
7 ㎝ × 25 ㎝ × 2 ㎝ (두께) 의 부극실에, 두께 1 ㎝ 의 그라파이트 펠트를 2 장 겹쳐 충전하여 부극을 형성하였다. 이 부극에 대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으로서 카티온 교환막 (듀퐁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등록상표)「나피온 115」) 을 개재하여 정극실을 형성하였다. 정극실은 7 ㎝ × 25 ㎝ × 0.5 ㎝ (두께) 이며, 타나카 귀금속사 제조 Pt 촉매 (Pt 담지 카본 블랙, Pt 함유량 50 중량%) 를, 5 중량% 나피온 (등록상표) 용액 (듀퐁사 제조) 으로 분산시킨 액을 PTFE 에서 발수 처리한 두께 160 ㎛ 의 카본 페이퍼 (토요 카본사 제조) 에 Pt 부착량이 0.4 ㎎/㎠ 가 되도록 도포하고, 50 ℃ 에서 건조시켜 얻어진 것을 정극으로 하여 상기 카티온 교환막과 밀착시켰다.
부극의 그라파이트 펠트와 정극의 카본 페이퍼에는 스테인리스선을 도전성 페이스트로 접착시켜 전기 인출선으로 하여, 2 Ω 의 저항으로 접속시켰다.
부극실에는 pH 를 7.5 로 유지하고, 아세트산 1000 ㎎/ℓ 와 인산 및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부극 용액을 통액시켰다. 이 부극 용액은 미리 다른 수조에서 35 ℃ 로 가온하고, 이 수조에서 가온한 액을 부극실로 10 ㎖/min 으로 통액시킴으로써, 부극실의 온도를 35 ℃ 로 가온하였다. 또한, 부극 용액의 통액에 앞서 다른 미생물 발전 장치의 유출액을 식균으로서 통액시켰다.
정극실에는 상온의 공기를 1.0 ℓ/min 의 유량으로 통기하였다.
그 결과, 부극 용액의 통액 개시부터 3 일 후에는 발전량은 거의 일정해지고, 부극 1 ㎥ 당 발전량은 140 W (발전 효율 140 W/㎥) 가 되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에 있어서, 정극실에 공급하는 공기에, 탄산 가스봄베로부터 탄산 가스를 1 ㎖/min (공기에 대해 0.1 %) 도입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발전을 실시한 결과, 탄산 가스 도입 직후부터 발전 효율은 향상되기 시작하여 5 분 후에는 발전 효율 180 W/㎥ 가 되었다.
[실시예 2 ∼ 7]
실시예 1 에 있어서, 탄산 가스의 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발전을 실시하고, 이때의 발전 효율을 조사하여 결과를 비교예 1 및 실시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1 에 나타내었다.
공기에 대한 탄산 가스 도입량 (㎖/min)※ 발전 효율 (W/㎥)
비교예 1 0 140
실시예 1 1(0.1) 180
실시예 2 10(1) 205
실시예 3 50(5) 230
실시예 4 100(10) 252
실시예 5 200(20) 255
실시예 6 500(50) 255
실시예 7 1000(100) 248
※ 괄호 안은 공기에 대한 유량비 (%)
[비교예 2, 실시예 8 ∼ 11]
공기 대신에 산소 함유 가스로서 순산소를 사용하고, 정극실에 대한 통기량을 50 ㎖/min 으로 하고, 이 순산소에 대해 탄산 가스를 표 2 에 나타내는 유량으로 도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발전을 실시하여 (단, 비교예 2 에서는 탄산 가스를 도입하지 않고 순산소만), 이때의 발전 효율을 조사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순산소에 대한 탄산 가스 도입량 (㎖/min)※ 발전 효율 (W/㎥)
비교예 2 0 175
실시예 8 1(2) 240
실시예 9 10(20) 303
실시예 10 50(100) 330
실시예 11 100(200) 330
※ 괄호 안은 순산소에 대한 유량비 (%)
[실시예 12 ∼ 15]
탄산 가스 대신에 산성 가스로서 아황산 가스 (SO2) 를 사용하고, 순산소에 대해 아황산 가스를 표 3 에 나타내는 유량으로 도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발전을 실시하여, 이때의 발전 효율을 조사한 결과를 비교예 2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내었다.
순산소에 대한 아황산 가스 도입량 (㎖/min)※ 발전 효율 (W/㎥)
비교예 2 0 175
실시예 12 10(1) 202
실시예 13 50(100) 232
실시예 14 100(200) 232
실시예 15 500(1000) 120
※ 괄호 안은 순산소에 대한 유량비 (%)
이상의 결과보부터, 정극실에 공급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08년 10월 3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08-280104) 을 기초로 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13)

  1. 미생물 발전 장치의 정극실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에 있어서,
    그 미생물 발전 장치는,
    부극을 갖고, 미생물 및 전자 공여체를 함유하는 액을 유지하는 부극실과,
    그 부극실에 대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을 개재하여 사이를 두고,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에 접하는 정극을 갖는 정극실과,
    그 정극실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정극실에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산성 가스가 탄산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이 카티온 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기이며, 공기에 대해 탄산 가스를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1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순산소이며, 순산소에 대해 탄산 가스를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방법.
  6. 부극을 갖고, 미생물 및 전자 공여체를 함유하는 액을 유지하는 부극실과,
    그 부극실에 대해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을 개재하여 사이를 두고, 그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에 접하는 정극을 갖는 정극실과,
    그 정극실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미생물 발전 장치에 있어서,
    그 정극실에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에 산성 가스를 도입하는 도입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그 산성 가스가 탄산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투과성 비도전성막이 카티온 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기이며, 상기 도입 수단은 공기에 대해 탄산 가스를 공기 : 탄산 가스 = 100 : 0.1 ∼ 1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함유 가스가 순산소이며, 상기 도입 수단은 순산소에 대해 탄산 가스를 순산소 : 탄산 가스 = 100 : 0.1 ∼ 400 의 유량비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극실의 양측에 각각 정극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극은 다공성 도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다공성 도전체는 그라파이트 펠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발전 장치.
KR1020117006083A 2008-10-30 2009-10-09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KR101679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80104A JP5287149B2 (ja) 2008-10-30 2008-10-30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JPJP-P-2008-280104 2008-10-30
PCT/JP2009/067635 WO2010050354A1 (ja) 2008-10-30 2009-10-09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95A KR20110088495A (ko) 2011-08-03
KR101679175B1 true KR101679175B1 (ko) 2016-11-24

Family

ID=4212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083A KR101679175B1 (ko) 2008-10-30 2009-10-09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9735B2 (ko)
JP (1) JP5287149B2 (ko)
KR (1) KR101679175B1 (ko)
CN (1) CN102217131B (ko)
TW (1) TWI450440B (ko)
WO (1) WO2010050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8328B2 (ja) 2008-12-24 2014-02-26 栗田工業株式会社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CN102087921B (zh) * 2011-01-21 2014-01-01 清华大学 一种自支撑超级电容器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914387B (zh) * 2016-06-16 2018-05-29 苏州赛福瑞生物科技有限公司 体外生物燃料电池嵌入式供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26A (ja) 1998-10-30 2000-05-12 Canon Inc 生体代謝利用発電方法及び電池
JP2007027019A (ja) 2005-07-21 2007-02-01 Ebara Corp 生物発電用アノード及びこれを利用する生物発電方法及び装置
JP2007117995A (ja) 2005-09-28 2007-05-17 Ebara Corp 有機性高分子物質含有廃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412A (ja) 2003-04-08 2004-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331706A (ja) 2005-05-24 2006-12-07 Ebara Corp 生物発電用電子メディエーター、生物発電用アノード及びこれらを利用する発電方法及び発電装置
US20090142627A1 (en) * 2005-09-28 2009-06-04 Tatsuo Shimomura Biological Power Generator, and Method of Treating Organic Solid Pollutant-Containing Waste, a Method of Treating Organic Polymeric Substance-Containing Wastewater, a Method of Treating Organic Substance-Containing Wastewater, as Well as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These Treatment Methods
JP5332196B2 (ja) * 2007-12-21 2013-11-06 栗田工業株式会社 微生物発電方法および微生物発電装置
JP2009231231A (ja) * 2008-03-25 2009-10-08 Kurita Water Ind Ltd 微生物発電方法および装置
JP2009295488A (ja) * 2008-06-06 2009-12-17 Kurita Water Ind Ltd 微生物発電装置及び微生物発電装置用正極
CN102224102A (zh) * 2008-10-15 2011-10-19 昆士兰大学 过氧化氢的制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26A (ja) 1998-10-30 2000-05-12 Canon Inc 生体代謝利用発電方法及び電池
JP2007027019A (ja) 2005-07-21 2007-02-01 Ebara Corp 生物発電用アノード及びこれを利用する生物発電方法及び装置
JP2007117995A (ja) 2005-09-28 2007-05-17 Ebara Corp 有機性高分子物質含有廃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7131B (zh) 2014-06-25
US8409735B2 (en) 2013-04-02
JP2010108778A (ja) 2010-05-13
US20110200847A1 (en) 2011-08-18
KR20110088495A (ko) 2011-08-03
TWI450440B (zh) 2014-08-21
TW201021279A (en) 2010-06-01
CN102217131A (zh) 2011-10-12
WO2010050354A1 (ja) 2010-05-06
JP5287149B2 (ja)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144B1 (ko)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JP5298589B2 (ja) 微生物発電装置
JP5526505B2 (ja) 微生物発電装置
JP5407156B2 (ja) 微生物発電方法および微生物発電装置
JP2010033824A (ja) 微生物発電装置
WO2010071059A1 (ja)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KR101679175B1 (ko) 미생물 발전 방법 및 미생물 발전 장치
JP5359725B2 (ja)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JP6252702B1 (ja) 微生物発電方法及び装置
JP2009295488A (ja) 微生物発電装置及び微生物発電装置用正極
WO2019171833A1 (ja) 微生物発電装置及び方法
JP6358352B1 (ja) 微生物発電装置及び微生物発電方法
JP2010102953A (ja) 微生物発電装置及び微生物発電装置用正極
JP5369700B2 (ja) 微生物発電方法及び微生物発電装置
JP2019160459A (ja) 微生物発電装置の運転方法
JP2018163750A (ja) 微生物発電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