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847B1 -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847B1
KR101678847B1 KR1020160045680A KR20160045680A KR101678847B1 KR 101678847 B1 KR101678847 B1 KR 101678847B1 KR 1020160045680 A KR1020160045680 A KR 1020160045680A KR 20160045680 A KR20160045680 A KR 20160045680A KR 101678847 B1 KR101678847 B1 KR 10167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raw material
primary
table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웅상
Original Assignee
장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웅상 filed Critical 장웅상
Priority to KR102016004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65Solid detergents containing builders
    • C11D17/0073Tablets
    • C11D17/0091Dishwashing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6Esters or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8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정시 불량률을 낮춰 정제 수율을 높인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타정기 작동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타정기에서 손실량이 없어 원하는 중량만큼만 투입해도 되며, 일정 중량의 정제 주방세제가 제작되는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한 완성된 정제의 강성을 높여 정제,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정제가 부숴지는 등으로 인해 생기는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First class kitchen detergent having shape of tabl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정시 불량률을 낮춰 정제 수율을 높인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세제의 종류는 보통 액상 혹은 분말 형태가 있으며 사용처는 그릇 등 주방용기 이외에도 커피기계 등을 세척하기도 한다. 기존의 분말 세제는 화학 제품이 대부분으로서 화학성분 때문에 독한 냄새가 나며, 물에 녹는 속도가 매우 느림은 물론 100% 물에 용해가 되지 않아 세제 잔여물이 세척 후에도 남는 단점이 있다.
보건복지부 고시기준(위생용품의 규격 및 기준-별표 3)에 의하면 사람이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야채 또는 과일을 씻는데 사용되는 세척제는 1종으로 분류되며, 음식기, 조리기구 등 식품용 기구를 씻는데 사용되는 세척제는 2종, 그리고 식품의 제조장치, 가공장치 등 제조가공용 기구를 씻는 세척제는 3종으로 분류된다.
통상 세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기준을 알고 있지 않으며 대개 2종 세제를 각종 세척물에 대하여 세척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중에서 1종으로 분류될 수 있는 세제를 알약형태로 제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2종 혹은 3종 주방 세제에는 제3인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설파민산,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산소성표백제 등 제1종 주방세제 조건에는 부적합한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져 있다.
또한,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주방세제(혹은 주방세제)로는 액상의 형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제를 정확히 계량하여 쓰는 사용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주방세제의 과다 사용이 발생하여 수질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요 요인의 하나가 되곤 한다. 그러나 이를 개선한 형태의 주방세제는 제조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액상의 주방 세제는 여행이나 캠핑시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별도의 작은 용기에 소량으로 담아서 소지하기도 힘들다.
그리고 젖병이나, 커피기계, 정수기 등 위생 관리가 매우 엄격히 요구되는 도구들을 세척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건강에도 해롭고 세제 잔여물이 많이 남는 세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보통의 주방세제는 오로지 세척력 향상을 위하여 계면활성제 및 여러 화학물질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품으로써 조리 도구를 세척할 경우 남은 세제 잔여물이 인체에 흡수 또는 접촉되어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정도가 심각함에도 이를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정제 형태의 주방 세제가 시중에 소개되기는 한 바 있지만, 이러한 시중 제품들은 정제 형태로 만듦과 동시에 인체 유해 여부는 고려하지 않은 채, 세척력만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 원료인 계면활성제 및 다양한 화학제품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존의 정제 형태의 주방 세제는 1종은 소개되지 않은 상황이며 2종 혹은 3종으로 분류되는 주방세제 만이 소개되어 있다.
즉 1종 주방세제로 분류되기 위하여는, 식물과 같은 천연추출물 위주로 원료가 배합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정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 유해한 화학제품을 다량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 1종 주방세제로 분류되면서도 그와 동시에 정제 형태로 제조된 알약 형태의 1종 주방세제 제조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특허발명 제10-1273926호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세제는 천연추출물을 주 원료로 사용하며 부원료 역시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그와 동시에, 휴대하기 편리하고 정량을 사용할 수 있는, 알약 형태의 주방세제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특허발명은 액상의 1종 주방세제의 주원료 및 각종 부원료를 이용하여 마치 알약 형태의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정제 세제 기술을 제시하는데. 도 3과 같이 주원료를 준비하고(도 3의 10), 이를 건조하는 단계(도 3의 20)를 거쳐 분쇄(30), 혼합(40), 정제(50) 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에 의할 경우 정제(50) 단계에서 원료가 타정기의 상,하 펀치에 들러붙게 되어 수시로 제품 불량(도 2의 (a) 참고)이 발생되고, 이를 청소하기 위해 타정기를 분해하여 재조립 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정제과정에서 분해, 청소 등의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초래하고, 제품 수율 역시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도 2의 (a) 참고)
또한 정제된 결과물 역시 강성이 떨어져 정제, 포장 혹은 유통 등의 과정에서 깨어짐으로 인한 불량도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도 2의 (b) 참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등록특허 제10-1273926호를 개량하여 건조단계에서 불량률을 낮추고, 정제단계에서 위와 같이 타정기에 원료가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강성이 좋아 제조,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잘 깨지지 않는 알약 형태(도 2의 (c) 참고)의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3926호 (2013.06.05.)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등록특허 제10-1273926호를 개량하여 건조단계에서 불량률을 낮추고, 정제단계에서 타정기에 원료가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강성이 좋아 제조,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잘 깨지지 않는 알약 형태의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원료인 식물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s10); 1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주원료에 용해하여 1차 혼합하는 단계(s15); 상기 1차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s20); 상기 건조된 1차 혼합물을 1mm이하 입경으로 분쇄하는 단계(s30); 2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된 1차 혼합물와 2차 혼합하는 단계(s40); 알약 형태로 준비된 형틀에 상기 단계(s40)에서의 재료들을 인입하여 정제 주방세제를 타정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s10 단계에서 상기 주원료의 수분함유량은 50 ~ 95 중량% 이고, s15 단계에서 1차 부원료는 분말유당으로서,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를 1~30으로 준비하여 주원료에 용해하며, s40 단계에서 2차 부원료 준비는, 정제형태 주방세제 1개의 중량에 대하여, 세척제 1을 20~60중량%, 세척제 2를 10~40중량%, 결합제를 9~35중량%, 활택제를 0.3~5중량% 비율로 준비하되, 세척제 1은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세척제 2는 구연산이며, 결합제는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활택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2차 부원료와 분쇄된 1차 혼합물을 혼합하는 비율은, 2차 부원료 70~96 중량%와 1차 혼합물 분말 4~30중량% 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고, s15 단계의 1차 부원료는 덱스트린과 분말유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으로서,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를 1~30으로 준비하여 주원료에 용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또는 세척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20~75중량%, 세척제로서 구연산 10~40중량%, 결합제로서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3은 9~35중량%, 활택제로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0.3~5중량%를 준비하여 혼합한 후, 타정기에 의해 찍어서 제조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를 제시한다.
삭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타정기 작동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타정기에서 손실량이 없어 원하는 중량만큼만 투입해도 되며, 일정 중량의 정제 주방세제가 제작되는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한 완성된 정제의 강성을 높여 정제,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정제가 부숴지는 등으로 인해 생기는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제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공정도.
도 2는 특허발명 제10-1273926호에 의해 제조된 불량품 사진(a,b) 및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양품 사진(c).
도 3은 특허발명 제10-1273926호의 정제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결건조 결과물(a) 및 동결건조물 시편 테두리가 트레이에서 깨끗하게 분리되는 사진(b).
도 5는 도 4의 시편이 트레이에서 깨끗하게 분리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균등 수준의 발명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원료인 식물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s10); 1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주원료에 용해하여 1차 혼합하는 단계(s15); 상기 1차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s20); 상기 건조된 1차 혼합물을 1mm이하 입경으로 분쇄하는 단계(s30); 2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된 1차 혼합물와 2차 혼합하는 단계(s40); 알약 형태로 준비된 형틀에 상기 단계(s40)에서의 재료들을 인입하여 정제 주방세제를 타정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s10 단계에서 상기 주원료의 수분함유량은 50 ~ 95 중량% 이고, s15 단계에서 1차 부원료는 분말유당으로서,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를 1~30으로 준비하여 주원료에 용해하며, s40 단계에서 2차 부원료 준비는, 정제형태 주방세제 1개의 중량에 대하여, 세척제 1을 20~60중량%, 세척제 2를 10~40중량%, 결합제를 9~35중량%, 활택제를 0.3~5중량% 비율로 준비하되, 세척제 1은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세척제 2는 구연산이며, 결합제는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활택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2차 부원료와 분쇄된 1차 혼합물을 혼합하는 비율은, 2차 부원료 70~96 중량%와 1차 혼합물 분말 4~30중량% 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세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1. 바람직한 실시예
주원료 준비단계(s10)
먼저, 본 발명의 세제의 주원료는 1종 세제로 적합한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므로 주원료는 액상으로 준비된다. 주원료의 수분함유량은 50 ~95 중량% 정도이다.
주원료의 구성물로서는 쌀겨, 콩, 녹차, 귤진피, 한라봉, 다시마, 천일염, 천연보존료, 글리세린 등 100% 천연발효제품 물질로서 최종 제조되는 1알의 정제 세제 중량의 5~30%를 차지한다. 1알은 대략 1~1.5g 정도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종의 주원료는 환경을 전혀 오염시키지 않으며, 인체에 영향력이 없고, 국가적인 시험성적표(사람이 먹는 야채 등에 세척해도 이상이 없다는 기준합격품)을 통과한 제품에 해당한다.
1차 부원료 용해단계(s15)
상기 주원료에 1차 부원료를 용해한다.
1차 부원료는 분말유당, 덱스트린 중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로 준비한다.
주원료와 1차 부원료의 혼합비는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 중량 1~10 정도이며, 주원료에 당류를 완전히 용해하여 혼합한다. 더욱 바람직한 중량비는 주원료 30 대비 1차 부원료 3~7 이다.
상기 1차 혼합과정 없이 액상의 주원료만을 건조할 경우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아 건조단계(s20)의 결과물은 부분적으로 떡과 같은 형태(gel 형태)로 된다. 따라서 다시 건조해야 하거나, 정제단계에서 타정기 작동시 기계에 들러붙는 현상으로 인해 기계 과부하에 의한 정지를 초래하게 되고, 1시간 이상 걸리는 기계 분해 청소를 수차례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s15 단계는 본 발명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다.
상기 1차 부원료는 하기 건조단계(s20)에서 응집력을 높여 형태가 일그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 완벽하게 제거되도록 하므로, s15 단계를 거쳐 1차 혼합물을 건조할 경우 건조단계(s20)의 결과물은 완전 탈수된 스폰지와 같은 형태로 된다. 이는 1차 부원료가 주원료에 완전히 용해되면 건조시 수분이 뭉치지 않고 작은 알갱이로 쪼개지게 되어 건조를 빠르게 하고, 작은 알갱이의 수분이 건조되고 남은 구멍들이 미세하게 남아 스폰지와 같은 형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정제화 과정에서도 결합제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건조 및 타정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춰 정제 수율을 높이며 제품생산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실제로, s15 단계 없이 바로 주원료만 건조할 경우 불량률은 5~20%에 달하나, s15 단계를 거쳐 1차 혼합물을 건조할 경우 불량률은 0.001% 정도로서, 이후 정제과정에서 타정기를 세척할 일 역시 전혀 없어지게 되는 바,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1차 혼합물 건조단계(s20)
상기 용해단계(s15)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수분 제거방법은 크게 두가지로서, 첫째 동결건조기계를 사용하는 것이고 둘째 분무건조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동결건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1차 혼합물을 영하 40~90도 에서 급속 냉동시켜 고체화시키게 된다. 수분이 50% 이상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급속 냉동시키면 마치 얼음덩어리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동결된 상태에서 1~4일 진공 챔버에서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키게 된다. 상기 동결건조기계에는 냉각장치와 진공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타 동결상태의 1차 혼합물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수분포집장치가 아울러 설치되어져 있다.
동결건조기 내부의 각 층 마다 액상의 1차 혼합물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닫은 뒤 냉동 진공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건조단계가 완료되면 수분이 알갱이가 위치하던 자리에는 빈공간(구멍)이 생기면서 마치 스폰지와 같은 상태가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s15 단계를 거치지 않을 경우 건조단계(s20)의 결과물은 부분적으로 떡과 같은 형태(gel 형태)로 되나, s15 단계를 거치면 1차 부원료가 건조시 수분이 뭉치지 않고 작은 알갱이로 쪼개지게 되어 건조를 빠르게 하고, 작은 알갱이의 수분이 건조되고 남은 구멍들이 미세하게 남아 있게 하므로 스폰지화 현상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동결건조의 장점으로는 상기 1차 혼합물의 구성물질들이 열에 의한 변형 없이 그대로 보존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물질들이 모두 식물추출물이므로 이러한 동결건조 방식은 주방세제로서의 성능 발휘에 매우 적합한 건조 방식에 해당한다. 상기 '변형이 없이'인 말은 즉슨 식물추출물의 향이나 유효성분, 미생물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결건조방식의 장점이 많기는 하나, 분무건조방식으로 액상의 주원료를 건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분무건조기계는 액상의 원액을 고온인 열풍에 노출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인데, 1차 혼합물을 펌프를 통해 분무건조기계에 주입한 뒤 이를 분사시키되 열풍(온도 섭씨 100 ~300)에 노출시켜서 수분을 제거한다.
분무건조방식은 주원료의 열변형이라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짧은 시간 내에 1차 혼합물을 분말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5는 주원료의 식물추출물인 액상의 1종 세제 30kg에 분말유당 2~6kg를 1차 혼합(s15)하여 동결건조(s20)하여 수분을 제거한 사진이며, 트레이에서 동결건조 결과물 시편이 깨끗하게 분리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과정(s15)을 거친 후 동결건조(s20)를 하게 되면 도 4(a)와 같은 최상의 동결건조 상태의 시편을 얻을 수 있다. 이 시편의 테두리를 트레이와 분리하게 되면 도 4(b)와 같이 들러붙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되며, 궁극적으로 도 2(c)와 같은 양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동결건조물 시편이 트레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1차 혼합과정(s15)이 추가됨에 따른 결과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단계에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첫째 조건이다.
분쇄단계(s30)
상기 건조가 완료된 1차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1차 혼합물을 1mm 이하로 분쇄되어져서 다음 공정에서 준비되는 2차 부원료와 고르게 혼합될 준비를 하게 된다.
분쇄단계에서는 이물질이 혼입되어서는 아니되며, 주로 동결건조 공정 이후에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상기 분무건조 공정 후의 분말에 대해서도 추가 분쇄 작업을 할 수도 있다.
2차 부원료 혼합단계(s40)
본 단계에서 준비되는 2차 부원료는 분말 상태이며, 상기 분쇄된 1차 혼합물과 혼합을 하게 되는 물질로서 식품 첨가물에 해당하는 물질들이며 이러한 2차 부원료는 알약 형태로 고형화가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매우 낮은 온도의 물에도 용해가 잘 되는 특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2차 부원료는 하기 세척제 1, 결합제 및 활택제가 혼합된 것이며, 세척제 2 및 3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세척제 1 :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세척제 2 : 구연산을 포함한 성분
세척제 3 :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을 포함한 성분
결합제 :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활택제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여기서 활택제란 정제 조제에 있어서 정제기를 이용해 약제를 부술 때에, 기계의 압축력이 유효하게 작용하므로 약제의 과립이 절구나 절굿공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 또한 부순 후에 정제가 쉽게 절굿공이에서 떨어지고, 또한 정제에 광택을 주는 것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약품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부원료로서 세척제 1, 세척제 2, 결합제 및 활택제가 혼합된 경우를 제시한다.
이 때 중량비는 세척제 1은 20~60중량%, 세척제 2는 10~40중량%, 결합제는 9~35중량%, 활택제는 0.3~5중량%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들은 정제형태로 된 최종 세제의 전체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며, 2차 부원료 준비단계에서는 각 물질의 상대적인 중량 비율로서 2차 부원료를 준비하면 된다.
2차 부원료를 준비한 후에는 분쇄된 1차 혼합물와 혼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2차 부원료 중량과 상기 건조를 마친 1차 혼합물분말의 중량 비율은, 2차 부원료는 70~96 중량%와 1차 혼합물분말 4~30중량% 비율(상대적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 정제형태의 세제로 제조되어진다. (2차 부원료 70%일때 1차 혼합물은 30%이고, 2차 부원료 96%일때는 1차 혼합물 4%)
이러한 비율은 본 출원인이,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발견한 중량비로서, 이러한 비율로 혼합되지 않으면, 타정기에서 정제형태로 제조되지 않고 깨지거나 타정기에서 인출이 잘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2차 부원료는 주원료의 세척력을 보조하며, 정제 형태로 타정기에서 제조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진 형태로 최종 제품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2차 부원료의 역할은 세척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제형태로 보다 잘 뭉쳐지도록 하는데 있는데, 주요 성분에 대한 역할들은 등록특허 제10-1273926호에 제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추가로 제시되는 성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유당은 앞서 s15 단계에서는 s20 단계의 건조를 원활히 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본 단계(s40)에서는 결합제 역할로서 완성된 정제의 강성을 높게 한다. 즉, 정제,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정제가 부숴지는 등으로 인해 생기는 불량품(도 3(b) 참고)을 없애기 위함이다. 또한 정제 사용단계에서 물에 녹일 때 혼탁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활택제로서 정제시 정제기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은 삼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금속이온 착화능, 알칼리 완충능 등이 뛰어나며 합성 세제의 증강제로 사용된다. 경수 연화제, 염색 조제, 식물 첨가물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세척력을 높이기 위한 선택적 요소이다.
정제화 및 검사 포장단계(s50,s60,s70)
상기 2차 혼합물을 타정기에서 일정 중량단위를 가진 정제 형태로 만드는 공정이다. 이러한 중량은 1~1.5g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됨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등록특허 제10-1273926호의 방법에 의하면 타정기에서 손실량을 감안하여 원하는 1개의 중량보다 다소 높게 투입하여야 했으며. 타정기 작동중에는 수시로 일정 중량의 정제 주방세제가 제작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s15 단계를 거침으로써 타정기 작동시 불량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바(그 결과물은 도 2(a) 참고), 타정기에서 손실량이 없어 원하는 중량만큼만 투입해도 되며, 일정 중량의 정제 주방세제가 제작되는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도 없게 된다.
타정기에서 정제 형태로 찍어 내는 압력은 정제 세제의 크기, 주위 환경상 습도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타정기는 통상의 제약 기술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구조 및 기능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타정기에 의한 타정 공정 이후에는 검사 및 포장을 하여 제품을 출시하게 된다.
2. 다른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부원료만을 준비하여 타정기에 의해서 정제 형태로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원료와의 혼합을 생략하고 단지 부원료로만 정제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만 이는 등록특허 제10-1273926호에도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에 제시된 방법에 의하면 완성된 정제의 강성이 떨어져 도 2(b)와 같이 쉽게 부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완성된 정제의 강성을 높인 방법을 제시한다. 즉, 정제, 포장 및 유통단계에서 정제가 부숴지는 등으로 인해 생기는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차별화된 특징이다.
이 때 부원료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며, 하기 세척제 1, 결합제 및 활택제를 필수로 하여, 세척제 2 또는 3을 선택적으로 추가한 혼합물이다.
세척제 1 :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세척제 2 : 구연산을 포함한 성분
세척제 3 :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을 포함한 성분
결합제 :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활택제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 성분
실시예(2-1)
세척제 1 및 2, 결합제, 활택제를 포함하여 혼합한다.
이 때 중량비는 세척제 1은 20~75중량%, 세척제 2는 10~40중량%, 결합제는 9~35중량%, 활택제는 0.3~5중량% 정도이다.
상기 부원료를 혼합한 후, 상기 타정기에 의해 찍어서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2-2)
세척지 1 내지 3, 결합제, 활택제를 포함하여 혼합한다.
이 때 중량비는 세척제 1은 20~75중량%, 세척제 2는 5~40중량%, 세척제 3은 8~40중량%, 결합제는 9~35중량%, 활택제는 0.3~5중량%, 정도이다.
상기 부원료를 혼합한 후, 상기 타정기에 의해 찍어서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2-3)
세척제 1, 결합제, 활택제를 포함하여 혼합한다.
이 때 중량비는 세척제 1은 20~87중량%, 결합제는 9~65중량%, 활택제는 0.3~15중량% 정도이다.
상기 부원료를 혼합한 후, 상기 타정기에 의해 찍어서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주원료인 식물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s10);
    1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주원료에 용해하여 1차 혼합하는 단계(s15);
    상기 1차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s20);
    상기 건조된 1차 혼합물을 1mm이하 입경으로 분쇄하는 단계(s30);
    2차 부원료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된 1차 혼합물와 2차 혼합하는 단계(s40);
    알약 형태로 준비된 형틀에 상기 단계(s40)에서의 재료들을 인입하여 정제 주방세제를 타정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s10 단계에서
    상기 주원료의 수분함유량은 50 ~ 95 중량% 이고,

    s15 단계에서
    1차 부원료는 분말유당으로서,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를 1~30으로 준비하여 주원료에 용해하며,

    s40 단계에서
    2차 부원료 준비는,
    정제형태 주방세제 1개의 중량에 대하여,
    세척제 1을 20~60중량%, 세척제 2를 10~40중량%, 결합제를 9~35중량%, 활택제를 0.3~5중량% 비율로 준비하되,
    세척제 1은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세척제 2는 구연산이며,
    결합제는 유당 또는 포도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활택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2차 부원료와 분쇄된 1차 혼합물을 혼합하는 비율은,
    2차 부원료 70~96 중량%와 1차 혼합물 분말 4~30중량% 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s15 단계의 1차 부원료는 덱스트린과 분말유당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으로서,
    주원료 중량 30 대비 1차 부원료를 1~30으로 준비하여 주원료에 용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5680A 2016-04-14 2016-04-14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7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80A KR101678847B1 (ko) 2016-04-14 2016-04-14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80A KR101678847B1 (ko) 2016-04-14 2016-04-14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847B1 true KR101678847B1 (ko) 2016-11-23

Family

ID=5754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680A KR101678847B1 (ko) 2016-04-14 2016-04-14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62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케빈오차드 고형 세정제
KR102074295B1 (ko) 2019-02-26 2020-02-06 윤상훈 맑은 em 발효원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맑은 em 발효원액
CN112940872A (zh) * 2019-12-11 2021-06-11 凯文果园株式会社 固体洗涤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8776A1 (en) * 2005-07-11 2007-01-18 Genencor International, Inc. Enzyme fabric care tablets for consumers and methods
KR20110118982A (ko) * 2010-04-26 2011-11-02 장웅상 정제 형태를 갖는 1종 세척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3926B1 (ko) 2011-10-10 2013-06-12 장웅상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8776A1 (en) * 2005-07-11 2007-01-18 Genencor International, Inc. Enzyme fabric care tablets for consumers and methods
KR20110118982A (ko) * 2010-04-26 2011-11-02 장웅상 정제 형태를 갖는 1종 세척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3926B1 (ko) 2011-10-10 2013-06-12 장웅상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62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케빈오차드 고형 세정제
KR102085107B1 (ko) * 2018-06-12 2020-03-05 주식회사 케빈오차드 고형 세정제
KR102074295B1 (ko) 2019-02-26 2020-02-06 윤상훈 맑은 em 발효원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맑은 em 발효원액
CN112940872A (zh) * 2019-12-11 2021-06-11 凯文果园株式会社 固体洗涤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chirasiri et al. The effects of banana peel preparations on the properties of banana peel dietary fibre concentrate.
KR101678847B1 (ko)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536805B (zh) 一种杏子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004031B (zh) 一种厨房用洗涤剂及其制备方法
CN105062728A (zh) 一种植物洗涤盐制备方法
CN102835706A (zh) 一种芒果浆的增香方法
CN103952245A (zh) 天然清洁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060123A (zh) 一种水果蔬菜清洗剂
KR101273926B1 (ko)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240012A (zh) 一种复合枣粉及其加工方法
CN107629870A (zh) 一种同时提取花生油和花生蛋白质的方法
CN102293253B (zh) 一种鱼骨钙奶片的制备方法
CN109370793A (zh) 一种去农药残留洗涤盐及其制备方法
KR20150094851A (ko)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1107351A (zh) 具有薄片体添加剂的洗衣清洁剂组合物
CN109234037A (zh) 一种茶枯粉及其制备工艺
KR101138531B1 (ko) 정제 형태를 갖는 1종 세척제 및 그 제조 방법
CN110013522A (zh) 鲜天麻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1475885B (zh) 花椒皂基制备方法
CN108048225A (zh) 一种环保无污染的洗衣粉及其制备方法
CN104509884A (zh) 一种海参粉剂
KR101600836B1 (ko)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CN107815358A (zh) 一种油茶籽洗衣粉的制备方法
CN109971564A (zh) 可定量投放的天然立体洗衣块及其制备方法
CN102041203B (zh) 一种食用菌基天然生物质洗涤剂的制备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