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695B1 -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 Google Patents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695B1
KR101677695B1 KR1020160094161A KR20160094161A KR101677695B1 KR 101677695 B1 KR101677695 B1 KR 101677695B1 KR 1020160094161 A KR1020160094161 A KR 1020160094161A KR 20160094161 A KR20160094161 A KR 20160094161A KR 101677695 B1 KR101677695 B1 KR 10167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injection port
compressed gas
spray container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일
Original Assignee
윤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일 filed Critical 윤효일
Priority to KR102016009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1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gas or vapou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에 있어서,
상부에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100);와 하단부에는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된 내부충진물이 가압부(P)에 의해 내부충진물 흡입구(R)로 흡입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수단과 결합되는 흡입수단 삽입부(200);와 흡입수단 삽입부(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입부(100)를 고정하는 주입부 받침부재(300); 및 상기 주입부(100)를 감싸고 스프레이 용기(S)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노즐상부덮개(400);로 구성되되,
주입부(100)는,
주입구(410)에 밀착되되 일정압력에 의해 주입구(410)가 개폐되도록 하는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상기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음부재(120); 및 상기 이음부재(12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되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30);로 구성되고,
노즐상부덮개(400)에는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여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밀착되되 외부로부터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도록 관통된 주입구(410);가 형성되어,
탄성체(130)가 이음부재(12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주입구(410)에 밀착되어 스프레이 용기(S) 내부가 밀폐되고, 주입구(410)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로 인하여 탄성체(130)가 압축되면서 주입구(410)에 밀착된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이탈되어 개방됨으로서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는 제 1주입통로(F1)가 형성되고 내부충진물은 제 2주입통로(F2)를 통해 충진되어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각각 다른 주입통로로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레이 생산 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이로 인한 불량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Spray nozzle}
본 발명은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스프레이 용기 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각각 다른 주입통로를 통해 주입되도록 함으로서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된 스프레이 생산 시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용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용기 내부에 액체 및 액체와 액화된 가스를 함께 충진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프레이 용기의 상부에는 노즐이 결합되고 노즐의 하부에 연결된 스트로(straw)가 스프레이 용기 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한 노즐의 가압으로 스프레이 용기 내에 압력이 변화되어 액화된 가스가 액체를 스트로(straw)를 통해 노즐로 밀어내면서 외부로 내부충진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에, 압력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6126호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압력용기 내에 충전된 분사추진체와 압력용기 내 원액이 별도 경로를 통해 선회이동되어 분사노즐의 분사구에서 혼합분출되도록 하여, 원액의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선행 기술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187호의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용기 내로 산소 등과 같은 압축기체를 투입할 때에 누출을 방지하여 정량 투입이 가능함과 동시에 투입작업 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된 압축공기 투입식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1을 포함한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된 종래의 스프레이는 압축기체를 충진한 후에 내부충진물을 충진해야 함으로서 압축기체에 의한 폭발과 압축기체 및 내부충진물의 역류로 인해 스프레이 생산 시에 많은 불량률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발생한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단지 내부충진물의 분사력을 압축기체로 인해 상승시키는 방법에 대한 기술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포함하고 있으며, 선행기술 2는 종래의 주입 순서와는 다르게 내부충진물 충진 후에 압축기체를 충진하되, 별도의 압축기체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결합하여 유출입로를 통해 스프레이 용기 내에 충진하고 압축기체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동일한 장소에 다시 푸시버튼을 결합해야 하는 구성으로 작업의 번거로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와 푸시버튼이 결합되는 부분이 최소 2회 이상 탈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파손으로 인한 불량제품이 생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6126호 (2012.05.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187호 (2015.01.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된 후에 내부충진물이 충진되는 종래의 스프레이의 경우 충전 시에 압축기체로 인한 폭발 및 내부충진물 및 압축기체의 역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과는 달리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스프레이용 노즐을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주입통로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순수한 내부충진물 및 압축기체가 충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이 적용된 스프레이는 생산 시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구성에 따라 100[%]의 내부충진물만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프레이 사용 시 소비자의 사용감을 제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있어서,
상부에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하단부에는 스프레이 용기 내에 충진된 내부충진물이 가압부에 의해 내부충진물 흡입구로 흡입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수단과 결합되는 흡입수단 삽입부;
흡입수단 삽입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입부를 고정하는 주입부 받침부재; 및
상기 주입부를 감싸고 스프레이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노즐상부덮개;로 구성되되,
주입부는,
주입구에 밀착되되 일정압력에 의해 주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주입구 밀폐부재;
상기 주입구 밀폐부재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음부재;
상기 이음부재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되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노즐상부덮개에는,
주입구 밀폐부재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여 주입구 밀폐부재가 밀착되되 외부로부터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 내로 주입되도록 관통된 주입구;가 형성되어,
탄성체가 이음부재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주입구 밀폐부재가 주입구에 밀착되어 스프레이 용기 내부가 밀폐되고, 주입구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로 인하여 탄성체가 압축되면서 주입구에 밀착된 주입구 밀폐부재가 이탈되어 개방됨으로서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 내로 주입되는 제 1주입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충진물은 제 2주입통로를 통해 충진되어 스프레이 용기 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각각 다른 주입통로로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흡입수단 삽입부에는 스트로(straw) 또는 파우치팩(pouch) 또는 스트로(straw)와 파우치팩(pouch)이 결합된 결합체가 결합될 수 있으며, 압축기체는 게이지압력이 10[bar] 미만인 정제시킨 순수 압축공기를 이용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래의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된 스프레이의 경우에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된 후에 내부충진물이 충진됨으로서 압축기체로 인한 폭발과 내부 충진물 및 압축기체의 역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과는 달리 이러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주입통로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순수한 내부충진물 및 압축기체가 충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이 적용된 스프레이는 생산 시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구성에 따라 100[%]의 내부충진물만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프레이 사용 시 소비자의 사용감을 제고할 수 있다.
더하여서, 스프레이 생산 시에 작업자가 내부충진물 및 압축기체를 충진함에 있어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불량률이 저하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 및 압력기체가 정량으로 일정하게 충진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단면도 및 제 1, 2주입통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의 실시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이 적용된 스프레이 용기의 실시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에 있어서,
상부에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100);
하단부에는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된 내부충진물이 가압부(P)에 의해 내부충진물 흡입구(R)로 흡입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수단과 결합되는 흡입수단 삽입부(200);
흡입수단 삽입부(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입부(100)를 고정하는 주입부 받침부재(300); 및
상기 주입부(100)를 감싸고 스프레이 용기(S)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노즐상부덮개(400);로 구성되되,
주입부(100)는,
주입구(410)에 밀착되되 일정압력에 의해 주입구(410)가 개폐되도록 하는 주입구 밀폐부재(110);
상기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음부재(120);
상기 이음부재(12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되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30);로 구성되고,
노즐상부덮개(400)에는,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여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밀착되되 외부로부터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도록 관통된 주입구(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이 적용된 스프레이 용기(S)는 스프레이 용기(S) 내에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를 충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는 탄성체(130)가 이음부재(120)를 가압하고 있어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주입구(4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스프레이 용기(S) 내부가 밀폐되록 하고, 제 2주입통로(F2)를 통해 내부충진물을 충진한다.
제 2주입통로(F2)를 통해 내부충진물이 충진된 후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체를 방출시키는 전용 주입기를 통해 주입구(410)에 일정압력이 가해지면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가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탄성체(130)를 중력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하면서 주입구(410)에 밀착된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주입구(410)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됨으로서 이로 인해 생성되는 틈새로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도록 하는 제 1주입통로(F1)가 확보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충진물은 제 2주입통로(F2)를 통해, 압축기체는 제 1주입통로(F1)를 통해 각각 다른 주입통로로 충진된다.
즉, 본 발명은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시간차에 의해 서로 다른 주입통로를 통해 충진되도록 함으로서 종래와는 다르게 내부충진물이 먼저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될 수 있으므로 압축기체와 스프레이 용기(S) 내의 압력차에 인한 폭발 위험성과 내부충진물의 역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즐상부덮개(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용기(S)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410)에 밀착되는 주입구 밀폐부재(110) 역시 노즐상부덮개(400) 및 주입구(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이 적용된 스프레이 용기(S)의 실시 예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수단 삽입부(200)에는 스트로(straw)가 결합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팩(pouch)이 결합될 수 있으며, 스트로(straw)와 파우치팩(pouch)이 결합된 결합체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수단 삽입부(200)에 파우치팩(pouch)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100[%] 순수 내부충진물이 충진되는 고가의 제품 생산에 더욱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입부(100), 흡입수단 삽입부(200), 주입부 받침부재(300), 노즐상부덮개(400)로 구분되며 특히, 주입구 밀폐부재(110), 이음부재(120), 탄성체(130)로 형성된 주입부(100)와 주입구(410)가 형성된 노즐상부덮개(400)의 유기적인 결합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130)가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면서 이로 인해 이음부재(120),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평상 시에는 주입구(410)를 밀폐하며, 주입구(410)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압축기체가 주입되면 주입구(410)를 밀폐하고 있던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중력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로 인해 이음부재(120), 탄성체(130)가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압축기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 1주입통로(F1)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압축기체의 주입으로 인해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이음부재(120) 및 탄성체(130)가 반응할 수 있도록 운동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때 주입부 받침부재(300)는 탄성체(130)의 단부가 고정되어 탄성체(130)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주입부 받침부재(300)는 탄성체(130)의 형상 및 구성되는 개수(個數)에 대응하여 그 대응되는 형상과 개수(個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체는 정제시킨 순수 압축공기를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은 화장품용 및 기능성 제품에 주로 적용된다.
이때, 충진되는 압축공기의 게이지압력은 10[bar] 미만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이음부재(120)는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일정압력으로 인해 중력방향으로 밀리면서 이탈되어 스프레이 용기(S) 내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음부재(120)의 표면 역시 주입구 밀폐부재(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최근 스프레이 용기에 담긴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스프레이 생산 시 압축기체로 인한 폭발 및 내부충진물의 역류로 인해 생산의 어려움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은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통로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키고 나아가 불량률을 저하시키므로 스프레이 관련 제조업과 판매업 및 스프레이용 노즐이 적용되는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될 수 있다.
1 :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100 : 주입부 110 : 주입구 밀폐부재
120 : 이음부재 130 : 탄성체
200 : 흡입수단 삽입부 300 : 주입부 받침부재
400 : 노즐상부덮개 410 : 주입구
F1 : 제 1주입통로 F2 : 제 2주입통로
P : 가압부 R : 내부충진물 흡입구
S : 스프레이 용기

Claims (3)

  1. 내부충진물과 게이지압력이 10[bar] 미만인 정제시킨 순수 압축공기인 압축기체가 시간차에 의해 서로 다른 주입통로를 통해 충진되도록 함으로서 스프레이 용기(S) 내의 압력차로 인한 폭발 위험성 및 내부충진물의 역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1)에 있어서,
    상부에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100);
    하단부에는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된 내부충진물이 가압부(P)에 의해 내부충진물 흡입구(R)로 흡입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straw) 또는 파우치팩(pouch) 또는 스트로(straw)와 파우치팩(pouch)이 결합된 결합체가 결합된 흡입수단과 결합되는 흡입수단 삽입부(200);
    흡입수단 삽입부(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입부(100)를 고정하여 주입부(100)의 운동을 제한하는 주입부 받침부재(300); 및
    상기 주입부(100)를 감싸고 스프레이 용기(S)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노즐상부덮개(400);로 구성되되,
    주입부(100)는,
    주입구(410)에 밀착되되 일정압력에 의해 주입구(410)가 개폐되도록 하는 주입구 밀폐부재(110);
    상기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음부재(120);
    상기 이음부재(12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되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30);로 구성되어,
    압축기체의 주입으로 인해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이음부재(120) 및 탄성체(130)가 반응할 수 있도록 운동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되, 이때 탄성체(130)의 단부는 주입부 받침부재(300)에 고정됨으로서 충진되는 압축기체로 인해 압축되는 탄성체(130)의 운동을 제한하고,
    노즐상부덮개(400)에는,
    주입구 밀폐부재(110)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여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밀착되되 외부로부터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도록 관통된 주입구(410);가 형성되어,
    탄성체(130)가 이음부재(12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주입구(410)에 밀착되어 스프레이 용기(S) 내부가 밀폐되고, 주입구(410)를 통해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로 인하여 탄성체(130)가 압축되면서 주입구(410)에 밀착된 주입구 밀폐부재(110)가 이탈되어 개방됨으로서 압축기체가 스프레이 용기(S) 내로 주입되는 제 1주입통로(F1)가 형성되고 내부충진물은 제 2주입통로(F2)를 통해 충진되어 스프레이 용기(S) 내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과 압축기체가 각각 다른 주입통로로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4161A 2016-07-25 2016-07-25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KR10167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61A KR101677695B1 (ko) 2016-07-25 2016-07-25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61A KR101677695B1 (ko) 2016-07-25 2016-07-25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695B1 true KR101677695B1 (ko) 2016-11-21

Family

ID=5753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61A KR101677695B1 (ko) 2016-07-25 2016-07-25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6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64A (ja) * 1998-06-22 2000-01-11 Ai System Product:Kk スプレー缶
KR101146126B1 (ko) 2011-10-18 2012-05-16 강병성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KR20140005541U (ko) * 2013-04-16 2014-10-28 이근석 회전노즐의 회전속도저감장치
KR20150007187A (ko)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64A (ja) * 1998-06-22 2000-01-11 Ai System Product:Kk スプレー缶
KR101146126B1 (ko) 2011-10-18 2012-05-16 강병성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KR20140005541U (ko) * 2013-04-16 2014-10-28 이근석 회전노즐의 회전속도저감장치
KR20150007187A (ko)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62437B (zh) 流体产品分配瓶
CN100531925C (zh) 用于制造填充的定量给料泵装置的方法
KR20110102475A (ko) 휴대용 충전식 분무기
KR101268157B1 (ko)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US20060255072A1 (en) Metering pump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illed metering pump arrangement
CN102933312B (zh) 包括包囊体和分配盒的流体产品分配套件
ITMI20121876A1 (it) Dispositivo per la conservazione del vino in bottiglia
KR101677695B1 (ko)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JP4036946B2 (ja) リフィル容器、用時充填システム、及び、リフィル容器の製造方法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101247353B1 (ko) 디스펜서
KR102092203B1 (ko) 에어리스펌프를 구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505647B1 (ko) 제품 분사용 장치의 제조 방법
JP7021945B2 (ja) ネジキャップ付きの吐出容器
JP2003040368A (ja) 複数内容物の吐出装置
CN206798242U (zh) 一种气雾剂定量阀
JP3246459U (ja) 二重容器用エアゾールバルブ及びこれを利用した噴射器
JP3942708B2 (ja) 噴射器
JP6172756B2 (ja) 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およびこの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US3841602A (en) Valve
JPS644447Y2 (ko)
JP2002264978A (ja) 定量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エアゾール式噴射器
JPH0732462Y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定量弁
KR102594524B1 (ko) 이종 화장품이 수납되는 듀얼 화장품용기
KR200204700Y1 (ko) 휴대용 고압 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