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353B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353B1
KR101247353B1 KR1020110025913A KR20110025913A KR101247353B1 KR 101247353 B1 KR101247353 B1 KR 101247353B1 KR 1020110025913 A KR1020110025913 A KR 1020110025913A KR 20110025913 A KR20110025913 A KR 20110025913A KR 101247353 B1 KR101247353 B1 KR 10124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ylinder
inner container
dispens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251A (ko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나노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에 유해한 프레온이나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부탄가스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분출시켜 주게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외부용기(10)의 개방된 상단을 봉해주는 봉합캡(30)과,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 하측에 주입구를 결합고정하는 내부용기(40)와,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장착하며 상단이 개방되고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장공(51)이 수직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수직형성되는 유통로(61)와 외면을 연결하게 수평형성되는 복수의 밸브공(62)을 구비하는 밸브(60)와, 상기 밸브의 하단과 실린더(50)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70)과, 하단부를 상기 봉합캡이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33)와 실린더의 상단을 통과하여 유통로에 결속하는 스템(80) 및 하부가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와 그 외주연부(32)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의 상단부를 하부에 삽입결속하게 중앙에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통구와 외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내단은 상기 유통구와 직교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분무구(92)를 구비하는 분무캡(9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압축공기와 함께 수용되며, 질소가 충전되고 크기가 작은 구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질소튜브(20)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질소튜브(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화성이 높으며 흡입하면 건강을 해치게 되는 부탄가스나 LPG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항상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주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상태로 된 화장품은 물론 모기약 등과 같은 에어로졸제품은 내용물을 분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에 충전하여 제공되고 있는데, 종래의 이러한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안개상태로 분출되게 하는 내부압력으로 이용하기 위해 부탄가스나 LPG 등을 내용물과 함께 혼입하였다.
따라서, 사용을 위해 내용물을 분무시키면 혼입된 부탄가스나 LPG 등이 함께 분출되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물론이고 사용 후 폐기할 때에도 내부에 잔류하는 부탄가스나 LPG 등에 의해 부주의로 화재나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내용물과 함께 분출되는 부탄가스나 LPG 등을 흡입하게 되므로 건강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원 출원인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방된 상단부가 체결부로 되는 외부용기와 팽창과 수축이 되는 재질로 되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개방된 상단의 결합구를 통해 내용물을 충전하는 주름이 없거나 일정간격의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내부용기와 주연부를 상기 외부용기의 체결부에 체결하여 개방된 상단을 밀봉시켜 주며 하부에는 내부용기의 결합구를 결속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누름관을 구비하는 펌핑부재와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충전되며 팽창력이 내부용기를 압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주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켜 주는 압축공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를 선출원(특허출원 제2010-67021호)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선출원 발명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충전되는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내용물이 분출되게 함으로써 내용물을 다 사용하면 내부용기에 재충전하여 사용할 있게 함은 물론 프레온 등과 같이 환경에 유해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원활하게 분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은 있었으나, 압축공기, 즉, 공기는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되기 때문에 온도가 높을 때에는 팽창하여 내용물을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주는 반면에 온도가 매우 낮을 때에는 응축되어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주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압축공기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열전도를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보관을 잘못하면 내용물이 변질되어 다 사용하기도 전에 폐기하고 새 제품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원재료는 물론 구입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등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온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용물을 항상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줌과 동시에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됨은 물론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내부용기의 수명이 다 될 때까지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봉해주게 결합고정하는 봉합캡과,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 하면에 주입구의 상단부를 결합고정하며 팽창과 수축하는 재질로 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봉합캡의 상부에 승강하게 결합설치되며 하강시키면 열려서 내부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게 하는 분무캡과,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삽입되며 비활성으로 독성과 인화성이 없는 기체인 질소를 충전한 질소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면 내부용기가 팽창됨에 따라 질소튜브를 터져서 질소가 내·외부용기 사이에 압축충전되어 발생하는 그 팽창력이 내부용기에 작용토록 하여 분무캡을 눌러 밸브가 열리게 하면 질소의 팽창력에 의해 내부용기가 압축되면서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튜브가 크기가 작은 구 형태로 된 것을 다수 삽입하거나 관 형상으로 된 것을 하나만 장착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비활성의 기체인 질소를 주입함으로써 압축으로 발생하는 팽창력이 질소에 의해 외부온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항상 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용물을 항상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외부용기의 사이에 주입된 질소가 내·외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온도의 변화 등에 관계없이 내용물을 장기간 변질하지 않게 보존시켜 주는 장점도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이 쉽게 변질하여 다 사용하기 전에 폐기하고 새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발생하던 원재료와 구입비용의 낭비 등을 해소시켜 주게 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내부용기에 내용물을 주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내부용기에 내용물을 주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내·외부용기의 사이에 개재되는 관 형상의 튜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부용기에 내용물을 주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상단이 개방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질소튜브(20)와, 외주연의 하단을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결속하여 개방된 상단을 봉해주는 봉합캡(30)과, 상기 봉합캡의 상향연장된 중앙부(31)의 하측 내주면에 주입구(41)의 상단 외주면을 결합고정되는 내부용기(40)와, 상기 내부용기의 주입구 내부에 장착하며 상단이 개방되고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장공(51)이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유통로(61)가 수직으로 요입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유통로와 외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밸브공(62)이 수평으로 형성된 밸브(60)와, 상기 밸브의 하단과 실린더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밸브을 상승시켜 주는 코일스프링(70)과, 하단부를 상기 봉합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33)와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단을 통과하여 밸브의 유통로에 결속하는 관 형상의 스템(80) 및 하부가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와 그 외주연부(32) 사이의 요입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의 상단부를 하부에 삽입 결속하게 중앙에 하부로 개방되게 요입 형성되는 유통구(91)와 외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내단은 상기 유통구와 직교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분무구(92)를 구비하는 분무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외부용기(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되며, 내부용기(20)는 PPT나 PET와 같은 필름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을 충전하면 팽창하고 내용물을 충전하기 전이나 충전된 내용물이 분출되면 수축하게 된다.
질소튜브(20)는 천연라텍스로 크기가 작은 구 형태로 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비활성으로 독성과 인화성이 없는 기체인 질소가 충전된다.
이러한 질소튜브(20)는 다수를 외부용기(10)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삽입한 다음에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중앙부(31)의 하면에 내부용기(40)와 실린더(50) 및 밸브(60)를 결합설치한 봉합캡(30)으로 봉해주게 결속할 때 상기 내부용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결속함으로써 질소튜브들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압축공기와 함께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무캡(90)을 눌러 하강시켜 스템(80)과 밸브(60)가 코일스프링(7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밸브공(62)이 실린더(50)의 장공(51)과 연통하게 열어 준 상태에서 분무구(92)를 통해 공급기로 내용물을 주입한다,
이렇게 하면, 내용물은 분무구(92)에서 유통구(91)를 거쳐 스템(80)과 유통로(61) 및 밸브공(62)을 통과하여 장공(51)을 통해 내부용기(40)에 주입충전되므로 상기 내부용기는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40)가 팽창하게 되면, 질소튜브(20)들은 상기 내부용기에 의해 가압압축되어 터지게 되므로 충전되어 있던 질소가 유출되어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40)의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압축공기와 함께 압축된 상태로 충전되어 있게 되는 것이며,이때 상기 질소튜브들 중 일부 터지지 않은 질소튜브들이 있을 때에는 그 상태로 압축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용물의 주입충전을 완료한 다음에는, 주입을 중단하고 분무캡(9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70)의 탄성과 질소와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압력에 의해 밸브(60)가 상승하므로 밸브공(62)이 닫히게 되어 내용물은 분출되지 않고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무캡(90)을 눌러 스템(80)과 밸브(60)를 하강시켜 밸브공(62)이 열리게 하면, 압축된 질소와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가압상태로 있는 내부용기(40)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은 즉시 상기 밸브공과 유통로(62) 및 상기 스템과 유통구(91)와 분무구(92)를 거쳐 분무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내부용기에 내용물을 주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내·외부용기의 사이에 개재되는 관 형태의 튜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상단이 개방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질소튜브(20)와, 외주연의 하단을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결속하여 개방된 상단을 봉해주는 봉합캡(30)과, 상기 봉합캡의 상향연장된 중앙부(31)의 하측 내주면에 주입구(41)의 상단 외주면을 결합고정하는 내부용기(40)와, 상기 내부용기의 주입구 내부에 장착하며 상단이 개방되고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장공(51)이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유통로(61)가 수직으로 요입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유통로와 외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밸브공(62)이 수평으로 형성된 밸브(60)와, 상기 밸브의 하단과 실린더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밸브을 상승시켜 주는 코일스프링(70)과, 하단부를 상기 봉합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33)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단을 통과하여 밸브의 유통로에 결속하는 관 형상의 스템(80) 및 하부가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와 그 외주연부(32) 사이의 요입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의 상단부를 하부에 삽입 결속하게 중앙에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통구(91)와 외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내단은 상기 유통구와 직교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분무구(92)를 구비하는 분무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질소튜브(20)를 천연라텍스로 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질소튜브(20)를 관 형태로 되게 형성하는 것은, 수축상태의 내부용기(40)가 상기 질소튜브의 중앙을 관통하게 되는 삽입부(21)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질소튜브(20)는 하나를 외부용기(10)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삽입한 다음에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중앙부(31)의 하면에 내부용기(40)와 실린더(50) 및 밸브(60)를 결합설치한 봉합캡(30)으로 봉해주게 결속할 때 상기 내부용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결속함으로써 압축공기와 함께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질소튜브(20)는 내부용기(40)에 내용물을 주입충전하면 팽창하는 상기 내부용기에 의해 가압압축되어 터지게 되며, 이에 따라 질소가 유출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10)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충전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압축된 질소와 압축공기의 팽창력은 내부용기(40)를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분무캡(90)을 누를 때마다 상기 내부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분무공(92)을 통해 분무시켜 주는 작동을 한다.
이와 같이, 질소튜브(20)를 관 형태로 형성하여 하나만 삽입하면 크기가 작은 구 형태로 형성한 다수의 질소튜브를 삽입하는 것보다는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과정에서는 크기가 작은 구 형태로 형성한 질소튜브(20)에 비하여 터지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외부용기(20)(10)의 사이에 비활성인 기체상태의 질소를 주입하여 압축공기와 함께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팽창력이 장기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용물을 원하는 상태로 분무시켜 주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내·외부용기(20)(10)의 사이에 주입된 질소가 내·외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온도의 변화 등에 관계없이 내용물을 장기간 변질하지 않게 보존시켜 주는 특징도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이 쉽게 변질하여 다 사용하기 전에 폐기하고 새 제품을 구입함에 따라 발생하던 원재료와 비용의 낭비를 해소시켜 주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권리범위는 상기 제1,2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 외부용기 20 : 질소튜브
30 : 봉합캡 40 : 내부용기
50 : 실린더 51 : 장공
60 : 밸브 61 ; 유통로
62 : 밸브공 70 : 스프링
80 : 스템 90 : 분무캡
91 : 유통공 92 : 분무공

Claims (3)

  1. 삭제
  2.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개방된 상단에 결속하여 봉해주는 봉합캡(30)과, 상기 봉합캡(30)의 중앙부(31) 하측 내주면에 주입구(41)의 상단 외주면을 결합고정되는 내부용기(40)와, 상기 주입구(41)의 내부에 장착하며 상단이 개방되고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장공(51)이 수직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수직형성되는 유통로(61)와 중간부에 상기 유통로(61)와 외면을 연결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밸브공(62)을 구비하는 밸브(60)와, 상기 밸브(60)의 하단과 실린더(50)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70)과, 하단부를 상기 봉합캡(30)이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33)와 상기 실린더(50)의 상단을 통과하여 유통로(61)에 결속하는 스템(80) 및 하부가 상기 봉합캡(30)의 중앙부와 그 외주연부(32) 사이의 요입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80)의 상단부를 하부에 삽입결속하게 중앙에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통구(91)와 외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내단은 상기 유통구(91)와 직교하게 수평형성되는 분무구(92)를 구비하는 분무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40)의 사이에 압축공기와 함께 수용되며, 내부에는 질소가 충전되고 중앙에는 상기 내부용기(40)의 삽입부(21)가 구비되게 관 형상을 갖는 천연라텍스 재질의 질소튜브(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삭제
KR1020110025913A 2011-03-23 2011-03-23 디스펜서 KR10124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13A KR101247353B1 (ko) 2011-03-23 2011-03-23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13A KR101247353B1 (ko) 2011-03-23 2011-03-23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51A KR20120108251A (ko) 2012-10-05
KR101247353B1 true KR101247353B1 (ko) 2013-03-25

Family

ID=4727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913A KR101247353B1 (ko) 2011-03-23 2011-03-23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934A1 (ko) * 2014-12-01 2016-06-09 왕정순 내부에 압력이 충진된 스프레이
WO2017052165A1 (ko) * 2015-09-21 2017-03-30 (주)크리에이티브 핸즈 압축 분사 용기
KR101962800B1 (ko) * 2017-11-20 2019-04-16 (주)크리에이티브 핸즈 압축 분사 용기의 주름관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2127A1 (en) * 1980-05-22 1982-05-26 Motorola, Inc. Stator fault detecor for automotive alternator battery charging systems
JPH0418281A (ja) * 1990-05-01 1992-01-22 Shogo Fujita 噴出装置
JP2000281156A (ja) 1999-03-31 2000-10-10 Koike Kagaku Kk エアゾール容器
KR20080109829A (ko) * 2006-04-17 2008-12-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우선적 팽창성/붕괴성 용기 및 이를 위한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2127A1 (en) * 1980-05-22 1982-05-26 Motorola, Inc. Stator fault detecor for automotive alternator battery charging systems
JPH0418281A (ja) * 1990-05-01 1992-01-22 Shogo Fujita 噴出装置
JP2000281156A (ja) 1999-03-31 2000-10-10 Koike Kagaku Kk エアゾール容器
KR20080109829A (ko) * 2006-04-17 2008-12-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우선적 팽창성/붕괴성 용기 및 이를 위한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51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7008A (ja) エアゾールバルブアセンブリ及びエアゾール容器
US9663341B2 (en) Refillable bottle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JP2014515668A5 (ko)
KR101049759B1 (ko)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KR101247353B1 (ko) 디스펜서
WO2011103855A3 (de) Verpackung
ITMI20121876A1 (it) Dispositivo per la conservazione del vino in bottiglia
CN202687024U (zh) 带有压紧硅胶阀柱塞的液体瓶盖
KR101320000B1 (ko)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KR100929149B1 (ko)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EA200971039A1 (ru) Резервуар с источником сжатого углекислого газа и защитой от разрыва при избыточном давлении
JP7021945B2 (ja) ネジキャップ付きの吐出容器
CN203638423U (zh) 一种袋式耐腐蚀型雌阀
KR101534548B1 (ko) 액체분사용 용기
JP7257852B2 (ja) 加圧製品の製造方法
JP7171384B2 (ja) 加圧容器、加圧製品、吐出部材および吐出装置
US3841602A (en) Valve
KR101559845B1 (ko) 용기
KR200391778Y1 (ko) 파우치백을 내장시킨 수동식 소화기
JP6671760B2 (ja)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KR100811103B1 (ko) 탄성 파우치를 이용한 분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430U (ko) 이중 재질로 구성된 안전밸브
KR101677695B1 (ko) 압축기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용 노즐
KR20020078891A (ko)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JP6172751B2 (ja) 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およびこのエアゾールハウジング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