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456B1 -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56B1
KR101675456B1 KR1020140163374A KR20140163374A KR101675456B1 KR 101675456 B1 KR101675456 B1 KR 101675456B1 KR 1020140163374 A KR1020140163374 A KR 1020140163374A KR 20140163374 A KR20140163374 A KR 20140163374A KR 101675456 B1 KR101675456 B1 KR 10167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mmunity
mixture
fee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494A (ko
Inventor
정형학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티바이오 filed Critical (주) 에이티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16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력이 약해서 외부의 병원균의 침입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취약한 자견 및 환견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천연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기능 향상용 사료는, 쌀가루, 탈지분유,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표고버섯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면역력 기능 향상용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준비단계, 배합단계, 압출 및 성형단계, 건조단계, 분쇄 및 선별단계 및 포장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Feed for improving immuni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feed}
본 발명은 애완견의 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역력이 약해서 외부의 병원균의 침입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취약한 자견(강아지; puppy) 및 환견(patient dog)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천연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면역력 향상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애완견은, 야생의 늑대 또는 야생개의 후손들에 대한 가축화, 애완동물화 및 반려동물화 과정을 거치면서, 그들의 음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야생생활 중에 섭취하는 음식은 이들에게는 단순히 에너지의 섭취와 허기를 채우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은 때때로 피 포식자의 먹이가 되기도 하였으며, 외부의 열악한 환경때문에 수많은 질병과 사투 끝에 생존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가축화되면서 인간으로부터 안정적인 먹이의 공급을 받을 수 있었으며, 외부의 질병으로부터도 보호를 받을 기회가 증가하였다.
가축화된 이후 이들의 음식은 수많은 변화를 거듭한 끝에 요즈음은 완전하고 균형이 잡힌 영양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애완동물의 사료로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만든 음식(애완동물만을 위하여 특별히 가정에서 만든 음식과 사람이 먹는 테이블 음식을 포함)과 사료회사에서 상업용으로 제조한 것이 사용되며, 요즘은 상업용으로 제조된 사료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사료회사에서 제조되는 사료가 비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정에 따라 생산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애완동물을 모두 만족할 만한 사료를 생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반려동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애완견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100% 완벽하게 포함된 사료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불균형적인 영양공급, 필수영양소의 공급 부족 및 개체내의 내외부적인 원인에 의해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고, 급기야는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애완견의 질병은 애완견을 기르는 인간에게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하에서는 반려동물 중 애완견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침투한 병원균에 대항하는 능력을 면역력(immunity)이라고 한다. 면역력의 종류는 선천면역(자연면역)과 후천면역(획득면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천면역(congenital immunity)은 어미개의 유전인자에 의하여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세포를 잡아 먹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병원균을 죽이는 백혈구(leukocyte)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 후천면역(acquired immunity)은 처음 침입한 병원균에 대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동일한 균이 침입하면 반응하여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말한다. 선천면역을 보완하며, 면역력을 높인다고 할 때의 면역력은 후천면역을 의미한다.
면역력은 대식세포와 백혈구의 정상적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활동 기능이 저하되면, 침입한 병원균에 저항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질병에 걸리게 된다. 걸린 질병 자체에 대한 치료는 처방으로 회복이 가능할지라도 면역력 자체가 저하된 경우에는 또 다른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은 애완견의 편안한 생활과 생명 연장에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면역력이 약해서 외부의 병원균의 침입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취약한 자견(강아지; puppy) 및 환견(patient dog)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천연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면역력 향상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기능 향상용 사료는, 쌀가루, 탈지분유,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표고버섯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기능 향상용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준비단계, 배합단계, 압출 및 성형단계, 건조단계, 분쇄 및 선별단계 및 포장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면역력 향상용 사료를 구성하는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각각 비율대로 준비한다. 상기 배합단계는 상기 면역력 향상용 사료 중 상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것과 상기 면역력 향상용 사료 중 나머지 재료를 배합하여 3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상기 압출 및 성형단계는 상기 3차 혼합물에 대해 압출 및 성형을 수행하여 성형물을 생성한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수분율 6% 미만으로 건조한다. 상기 분쇄 및 선별단계는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분쇄한 후 선별한다.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분쇄 및 선별단계에서 분쇄 및 선별된 입자들을 스틱형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는 자견 및 환견을 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분양되어 어미견으로부터 떨어진 자견 및 병을 앓고 있는 환견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천연물로 만들기 때문에 자견 및 환견이 다량 섭취하여도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원가 역시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배합비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순서를 나타낸다.
도 3은 3회에 걸친 분양 후 생존율의 비교표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배합비율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는 쌀가루, 탈지분유,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각각 55.046%, 18.349%, 9.174%, 4.587%, 3.670%, 3.670%, 2.752%, 2.752%이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을 실험할 때에는 상기의 비율을 맞추기 위해, 쌀가루, 탈지분유,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각각 60㎏, 20㎏, 10㎏, 5㎏, 4㎏, 4㎏, 3㎏ 및 3㎏을 사용하였다.
에키나시아(echinacea purpurea)는 면역을 증가시키는 T림프세포와 네추럴 킬러세포, 항체의 기능을 높이고 백혈구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허브로서, 면역력의 향상과 더불어 바이러스를 직접 억제하고 박테리아가 세포막이나 점막을 뚫고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키나시아의 잎, 꽃 또는 뿌리의 추출물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다. 구성성분 중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및 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는 항암작용을 한다. 프로폴리스는 전체적으로 항염, 항산화 및 면역증강에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액상의 프로폴리스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프로폴리스의 면역력 향상 효과와 관련하여,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 중 가장 중요한 물질이 훌라보노이드이다. 프로폴리스 속에는 18 여종의 플라로노이드가 존재하는데, 벌집 속이 무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훌라보노이드 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이 훌라보노이드는 동물의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특정효소의 반응을 억제하는 항산화작용을 한다. 프로폴리스는 세포막을 강화하는 작용으로 피부세포의 재생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항 알러지작용을 하기도 한다.
또한 체내의 식세포나 항체의 생성을 강화하여 신체조직의 면역력을 조절하여, 항질병 기능을 증강하는 등 전반적인 생체의 면역기능을 촉진하여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프로폴리스는 천연의 항생재로써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제로써 각종 미생물, 곰팡이듄 등으로부터 벌집을 방어하여 청결하게 지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벌집은 천영상태에서 가장 깨끗하게 살균되어 있는 장소로서, 표면이 프로폴리스로 잘 싸여져 있다. 만일 프로폴리스가 없다면 좁은 공간의 벌집 속의 수만 마리의 벌들은 질병의 전염속도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동물의 체내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줌으로써 백혈구의 세균을 파괴하는 식세포기능을 향상시킨다.
베타글루칸은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와 백혈구의 특정세포 기능을 활성화하며, 면역관련 물질인 인터페론을 생성을 촉진한다. 베타글루칸은 면역세포의 덱틴-1(dectin-1)이라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면역세포들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베타글루칸은 버섯이나 곡류 등에 많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효모속에 존재하는 베타글루칸은 그들보다 40배 이상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베타글루칸은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한 아연 및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셀렐과 비타민 E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타글루칸을 분말상태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발효홍삼은 대식세로를 활성화시킨다. 후천적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면역세포인 T림프구에 관여하는 흉선(흉선은 노화할 수록 크기와 기능이 퇴화하면서 면역력을 약화시킨다.)이라는 장기를 활성화 시키려면, 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대식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홍삼의 산성 다당체 성분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력을 높인다.
홍삼이 함유하고 있는 진세노이드라는 고 기능성 사포닌 성분이 혈액순환에 많은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복원시키는데도 매우 효과적이다. 홍삼에 존재하는 사포닌 중의 하나인 RG1은 병원균을 잡아먹는 대식세포의 기능을 최고도로 높이고, 병원균을 죽이는 백혈구의 생성과 기능을 높인다. 특히 발효홍삼에는 사포닌 성분이 일반홍삼보다 월등이 높다. 홍삼은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인터페론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본 발명에서는 분말 상태의 홍삼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표고버섯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특수한 성분이 들어있으며, 항암 및 면역증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인터페론을 생성함으로써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순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200)은, 준비단계(210), 배합단계(220), 압출 및 성형단계(230), 건조단계(240), 분쇄 및 선별단계(250) 및 포장단계(260)를 수행한다.
준비단계(210)에서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를 구성하는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각각 비율대로 준비한다.
배합단계(220)에서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 중 준비단계(210)에서 준비된 것을 제외한 쌀가루, 탈지분유 및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을 배합 비율대로 믹서기에 넣고 약 4~5분 정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1차 혼합단계,, 1차 혼합물에 베타글루칸 분말과 발효홍삼을 추가로 넣은 후 약 3~4분 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2차 혼합단계, 및 2차 혼합물에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추가로 넣은 후 약 5분 정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3차 혼합단계를 각각 수행한다.
압출 및 성형단계(230)에서는 배합단계(220)에서 혼합된 3차 혼합물에 대해 압출단계 및 성형단계을 수행한다. 압출단계에서는 압출기의 내부 온도는 11℃로 하고 3차 혼합물이 압출기에 체류하는 시간은 20초간 하도록 한다. 성형단계에서는 압출 및 성형된 3차 혼합물의 건조의 용이성을 위해 지름이 3㎜인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단계(240)에서는 성형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약 90℃~10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도록 한다. 최종 수분율은 6%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온도 조건으로는 3시간 정도 건조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분쇄 및 선별단계(250)에서는 건조단계(240)를 거친 성형물을 분쇄한 후 150메쉬(mesh)의 망을 사용하여 선별한다. 분쇄는 핀밀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면 된다.
포장단계(260)에서는 분쇄 후 선별된 입자들을 스틱형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도 3은 3회에 걸친 분양후 생존율의 비교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후 50~60일 된 건강한 소형종 자견들 중 31두, 25두 및 37두씩 총 93두에 대해 행한 생존율 3회에 걸쳐 관찰하였고, 어미로부터 분양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를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본 제품을 급여하지 않고 분양한 대조구와 분양 14일 전부터 본 제품을 1일에 3회 급여하고 분양 후에는 약 3주간 본 제품을 1일에 3회 급여한 실험구를 비교해보니, 본 제품을 급여한 실험구에 포함되는 자견의 생존율이 대조구에 포함된 자견의 생존률에 비해 22% 더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도 3에 도시된 대조구를 참조하면, 분양된 애견의 35%는 30일 이내에 사망한다. 선행연구자료에 의하면 사망의 대부분은 분양에 따른 생활환경의 변화 때문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 때문에 외부의 질병을 방어할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이 종래에도 존재하기는 하였지만, 이들 대부분이 화학물질이 포함된 사료이고 그 효과도 미약한 정도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일부 제품의 경우에는 설사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제품은 천연물로 만든 것으로, 다량 섭취하여도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원가 역시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준비단계 220: 배합단계
233: 압출 및 성형단계 240: 건조단계
250: 분쇄 및 선별단계 260: 포장단계

Claims (7)

  1. 쌀가루 55.046%, 탈지분유 18.349%,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 9.174%, 에키나시아 추출물 4.587%, 프로폴리스액 3.670%, 베타글루칸 분말 3.670%, 발효홍삼 분말 2.752%, 표고버섯 추출물 2.75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
  2. 삭제
  3. 제1항의 면역력 향상용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면역력 향상용 사료를 구성하는 에키나시아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글루칸 분말, 발효홍삼 분말 및 표고버섯 추출물을 각각 비율대로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면역력 향상용 사료 중 상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것과 상기 면역력 향상용 사료 중 나머지 재료를 배합하여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3차 혼합물에 대해 압출 및 성형을 수행하여 성형물을 생성하는 압출 및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수분율 6% 미만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분쇄한 후 선별하는 분쇄 및 선별단계; 및
    상기 분쇄 및 선별단계에서 분쇄 및 선별된 입자들을 스틱형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는,
    상기 쌀가루, 상기 탈지분유 및 상기 가금류 가수분해 처리물 분말을 배합 비율대로 믹서기에 넣고 4~5분 정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상기 베타글루칸 분말과 상기 발효홍삼 분말을 추가로 넣은 후 3~4분 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2차 혼합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상기 에키나시아 추출물, 상기 프로폴리스액 및 상기 표고버섯 추출물을 추가로 넣은 후 5분 정도 혼합하여 상기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3차 혼합단계;를
    각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및 성형단계에서는,
    압출기의 내부 온도는 11℃로 하고 상기 3차 혼합물이 압출기에 체류하는 시간은 20초간 하도록 하는 압출단계; 및
    상기 압출단계에서 압출된 혼합물을 지름이 3㎜인 원형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물을 90℃~100℃의 열풍으로 3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및 선별단계에서는,
    분쇄된 분말을 150메쉬(mesh)의 망을 사용하여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140163374A 2014-11-21 2014-11-21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167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74A KR101675456B1 (ko) 2014-11-21 2014-11-21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74A KR101675456B1 (ko) 2014-11-21 2014-11-21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94A KR20160061494A (ko) 2016-06-01
KR101675456B1 true KR101675456B1 (ko) 2016-11-15

Family

ID=5613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374A KR101675456B1 (ko) 2014-11-21 2014-11-21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62B1 (ko) 2017-01-25 2017-09-19 주식회사 구펍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3564A (ko) 2017-02-14 2018-08-22 주식회사 구펍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5895B1 (ko) * 2018-04-02 2021-07-12 김중식 홍삼 코팅 처리된 애완동물의 수제 간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382A (ja) * 2001-04-17 2006-10-19 Tahitian Noni Internatl Inc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ノニ)強化動物用飼料製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32B1 (ko) * 2003-02-13 2005-05-06 황성규 사료첨가제가 함유된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0868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1101A (ko) * 2013-05-03 2014-11-12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홍삼박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382A (ja) * 2001-04-17 2006-10-19 Tahitian Noni Internatl Inc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ノニ)強化動物用飼料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94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9666B (zh) 一种蛋鸡专用发酵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734519B (zh) 以豆腐渣和桔皮生产饲用免疫增强剂的方法及产品
KR101755167B1 (ko) 기능성 귀뚜라미 사료
CN105010900A (zh) 一种蛹虫草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2771670A (zh) 捕食性天敌昆虫-蝽类的人工饲料
KR102337884B1 (ko) 반려동물용 면역강화 조성물
KR20120138079A (ko) 닭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5456B1 (ko) 면역력 향상용 사료 및 면역력 향상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8260731A (zh) 一种控制宠物犬猫体重的营养膏
CN103380855B (zh) 神农草猪饲养饲料及其喂养方式
CN104782957A (zh) 一种羔羊饲料
CN104431488A (zh) 一种含有杜仲粉的草鱼饲料添加剂的制备工艺
Fan et al. Recent advances in edible bird's nests and edible bird's nest hydrolysates
KR20170057907A (ko) 꽃송이 버섯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CN104171481B (zh) 一种保健禽类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190530A (zh) 乌鸡排毒中草药饲料及排毒方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CN107801876B (zh) 一种斑蝥成虫的人工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19160A (zh) 一种用于仔猪的饲料诱食剂及其制备方法
CN111587960A (zh) 一种中草药饲料添加剂及猪饲料
CN108651719A (zh) 一种含盐地碱蓬渣羊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920831A (zh) 一种生长鸡养殖用的六堡茶饲料及其制作方法
CN108576481A (zh) 一种蛋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594988A (zh) 一种富硒饲料添加剂
CN104324153A (zh) 一种提高动物免疫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