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744B1 -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744B1
KR101674744B1 KR1020140158318A KR20140158318A KR101674744B1 KR 101674744 B1 KR101674744 B1 KR 101674744B1 KR 1020140158318 A KR1020140158318 A KR 1020140158318A KR 20140158318 A KR20140158318 A KR 20140158318A KR 101674744 B1 KR101674744 B1 KR 10167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ipe
linear
ring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586A (ko
Inventor
전지연
시성규
윤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5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744B1/ko
Priority to CN201510219548.XA priority patent/CN106191382B/zh
Publication of KR2016005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on rails, e.g. under the action of scrapers or pushers
    • F27B9/22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on rails, e.g. under the action of scrapers or pushers the path comprising a section specially adapted for effecting equalis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1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circular or arcuat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링 헤더는 복수의 단관과 복수의 플렉시블 튜브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링 배관과, 상기 링 배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링 배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로 구비된다. 이러한 링 헤더를 한 쌍의 직선형 노와 이들 노를 연결하는 곡선경로를 포함한 열처리 장치에서 적용하여 링 형태의 가스관이 대차와 함께 연결되어 대차의 이동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열손실을 저감하고 온도편차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RING HEADER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경로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용 열처리 장치는 원형의 무한궤도를 운행하는 대차 위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피처리재(예컨대, 코일 등)를 적재하고, 머플(muffle)을 씌운 후에 도넛 형상의 노(爐) 안에서 이송된다.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노에는 장전 도어를 설치한 가열영역과 회수 도어를 설치한 냉각영역을 갖추고 있다. 노 내에서, 대차는 1피치씩 이동되어 피처리재가 가열영역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게 하고, 그 온도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피처리재가 냉각영역에 도달하면, 다른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다.
예를 들면, 가열영역에서 피처리재는 노 벽에 설치한 직화식 버너의 연소 가스에 의해 가열된 머플을 통하여 복사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냉각영역에서는 버너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 채로 또는 머플 밖의 노 내에 냉각용 공기를 불어 머플 밖의 노 내 온도를 적정하게 제어하면서 머플을 통하여 간접적인 냉각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열영역 및 냉각영역을 통과시킴으로써 소정의 열처리를 이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 이후에 대차로부터 머플이 제거되어 피처리재가 다음 공정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곡선형 노에서는 무한궤도를 따라 선회하여 순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선회중심으로부터의 내경 및 외경의 차이로 인해 노 안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필요한 열량이 공급되는 영역, 즉 데드 존(dead zone)이 생기게 된다. 결국, 불필요한 열손실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데드 존이 노의 근위부(선회중심에 가까운 부분)보다는 원위부(선회중심에서 먼 부분)에서 더 넓게 차지하기 때문에, 노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는 온도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편차는 제품의 형상 불량 내지 품질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한 쌍의 직선형 노와 이들 노를 연결하는 곡선경로를 포함하는 폐곡선의 형태인 노에서, 대차가 직선형 노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직선형태를 유지하고, 곡선경로를 이동하는 경우 구부러져 이동할 수 있는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 헤더는, 복수의 단관과 복수의 플렉시블 튜브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링 배관; 및 상기 링 배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링 배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복수의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링크들 사이에 스위블 조인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장치는, 각각 투입단부와 배출단부를 갖춘 제1 직선형 노와 제2 직선형 노;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를 관통하여 이어지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를 통과할 수 있고, 피처리재를 적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 헤더를 사용하여 상기 대차에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에 대응되는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형 노의 배출단부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투입단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배출단부와 상기 제1 직선형 노의 투입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스 공급원에 연통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을 구비하는 무빙 커플러; 및 상기 대차로부터 확장된 설치대 상에 장착되는 밸브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링 헤더는 상기 설치대에 지지되고, 상기 단관의 일측은 접속관을 매개로 상기 밸브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단관의 타측에 연결구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에 대응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곡선부로 설치되고, 상기 곡선부에 상기 무빙 커플러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무빙 커플러의 연결관이 상기 단관의 연결구와 탈착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의 곡선부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무빙 커플러의 연결관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단관의 연결구와 서로 번갈아 가며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링 헤더에 따르면, 대차와 함께 연결되어 대차의 이동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링 헤더가 한 쌍의 직선형 노와 이들 노를 연결하는 곡선경로를 포함하는 열처리 장치에 적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곡선형 노와 비교하여 열손실을 저감하고 온도편차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에서 링 헤더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열처리 장치의 일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1)는 각각 투입단부(13)와 배출단부(14)를 갖춘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를 관통하여 이어지는 무한궤도(20), 상기 무한궤도(2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를 통과할 수 있고, 피처리재(m) 예를 들어, 코일 등을 적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30), 그리고 상기 대차(30)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는 상기 무한궤도(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고, 각각 투입단부(13)에 인접한 가열영역과, 배출단부(14)에 인접한 냉각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 노(11, 12)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배출단부(14)는 상기 제2 직선형 노(12)의 투입단부(13)와 가까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선형 노(12)의 배출단부(14)는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투입단부(13)에 가까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노(11, 12) 내부의 가열영역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련의 직화식 버너가 마련되어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영역에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는데, 가열을 정지하여 노 내의 온도가 급속히 저하되지 않도록 감시하면서 완만하게 냉각을 실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송풍기에 의한 냉각도 병행하면서 강제 또는 자연적으로 냉각을 실시할 수 있다. 더구나, 유량 조정된 냉각용 공기가 송풍됨으로써 피처리재에 적정한 히트 패턴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장치(1)는 한 쌍의 직선형 노(11, 12)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곡선형 노와 비교하여 불필요한 열량이 공급되는 영역을 제거하여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온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20)는 대차(30)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를 관통하여 순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될 피처리재(m)의 하중에 따라 대차(30)의 바퀴(31)를 지지하는 레일의 개수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는 지상(地上)에 설치되며, 무한궤도(20)는 지중(地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한궤도(20)는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에 대응되는 직선부(21)와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배출단부(14)와 제2 직선형 노(12)의 투입단부(13)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직선형 노(12)의 배출단부(14)와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투입단부(13)를 연결하는 곡선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곡선부(22)는 부채꼴 또는 반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대차(30)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31)를 구비하여, 상기 무한궤도(20)를 따라 1피치씩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처리재(m)는 대차(30) 상에 적재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30)는 내화재료로 라이닝 되어 있으며, 대차(30) 상의 피처리재(m)를 덮어씌울 수 있는 머플(3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대차(30)가 이동함으로써, 피처리재(m)가 가열영역 및 냉각영역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열처리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직선형 노(11, 12)의 각각의 가열영역에서는 버너의 연소에 의해 상기 직선형 노(11, 12)의 내부가 고온의 연소 가스로 충만하게 된다. 이때, 피처리재(m)는 연소 가스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머플(32)을 통해 대략 1200℃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의 가스 공급원(미도시)에 연통되는 고정관(42)과, 상기 고정관(42)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4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43)을 구비하는 무빙 커플러(41), 그리고 상기 대차(30)로부터 확장된 설치대(33) 상에 장착되는 밸브 스탠드(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33)에 지지되는 상기 링 헤더(50)의 단관(61)의 일측은 접속관(47)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밸브 스탠드(46)에 연결되고, 상기 단관(61)의 타측에 연결구(63)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43)과 연결된다.
상기 무빙 커플러(41)는 회전식 가스 공급장치로서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고정관(42) 주위로 연결관(4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은 상기 단관(61)의 연결구(63)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오토 커플러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무빙 커플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커플러(41)는,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관(43)의 원활한 회동과 휘어짐 없는 형상 유지를 위하여 연결관(43)의 일측에는 이동부재(44)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44)는 예를 들어, 바퀴나 볼 등과 같은 구름부재 또는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44)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형태의 안내부재(45)가 상응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밸브 스탠드(46)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대차(30)로부터 측방으로 확장된 설치대(33) 상에 장착되고, 각각의 대차(30)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33)는 각 대차(30)와 함께 1피치씩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바퀴(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대(33) 및 바퀴(31)를 유도하고 지지하기 위한 보조궤도(2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스탠드(46)에는 상기 대차(30)와 머플(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분위기 가스를 분사하도록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가스 공급배관(48)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배관(48)에는 분위기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밸브, 분위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 분위기 가스의 종류를 바꾸기 위한 전환 밸브, 이종의 분위기 가스를 혼합하는 믹서 등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배관(48)은 밸브 스탠드(4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대차(30)의 하부를 통과하고 피처리재(m)를 향하여 분위기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머플(32) 내 공간까지 연장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처리 장치에서 링 헤더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링 헤더(50)는 접속관(47)을 매개로 상기 밸브 스탠드(46)에 연통되면서 상기 설치대(3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대차(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링 헤더(50)는 상기 무한궤도(20)의 직선부(21)에서는 곧게 연장하는 한편, 곡선부(22)에서는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 헤더(50)는 복수의 단관(61)과 복수의 플렉시블 튜브(62)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링 배관(60)과, 상기 링 배관(6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링 배관(6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70)을 포함한다.
상기 링 배관(60)은 복수의 단관(61)이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단관(61)과 단관(61) 사이에 굽을 수 있는 플렉시블 튜브(6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링 배관(60)은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무한궤도(20)의 곡선부(22)를 지나갈 때 자연스럽게 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관(61)은 상기 설치대(33)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이 접속관(47)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밸브 스탠드(46)에 연통된다. 즉, 하나의 대차(30)에 대해 하나의 단관(61)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관(61)의 타측에는 상기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과 연결되기 위하여 니플과 같은 연결구(63)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단관(61)의 연결구(63)와 상기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이 연결되어, 상기 대차(30)와 머플(32) 내에 형성된 공간에 환원 반응의 활성화와, 내부 압력의 유지, 불활성 가스에 의한 퍼징(perging) 등을 위한 분위기 가스가 불어 넣어진다. 이러한 분위기 가스로는 예를 들어, H2, N2,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 등이 채택되어 단독으로 혹은 순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위기 가스는 상기 무빙 커플러(41)로부터 연결관(43)을 통하여 상기 링 헤더(50)의 링 배관(60)을 거치게 되고, 상기 대차(30) 마다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밸브 스탠드(46)를 지나 대차(30)의 하부로부터 피처리재(m)를 향하여 머플(32) 내 공간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70)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마련된다.
상기 링크(71)들이 연결되는 부위에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를 구비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링크(71)들은 서로 스위블 조인트(72)를 매개로 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대차(30)가 직선형 노(11, 12)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직선형태를 유지하고, 곡선부(22)를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 링크(71)들이 스위블 조인트(72)에 의해 회동되어 상호 필요한 각도로 굽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계적 체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링크(71)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즉, 상기 설치대(33) 상에 위치하는 링크(71)는 상기 설치대(33)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에 위치한 링크(71)는 설치대(33)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무한궤도(20)의 곡선부(22)에서 상부에 위치한 링크(71)가 회동하여 곡선구간을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70)은 상기 링 배관(6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한궤도(20)의 곡선부(22)에서 가이드 레일(70)이 굽으면서 사이에 위치한 링 배관(60)을 함께 곡선이 되도록 가이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차(30)는 피처리재(m)를 적재하고서 그 상부가 머플(32)에 의해 덮어 씌워진 후 제1 직선형 노(11) 또는 제2 직선형 노(12)에 투입된다. 이 대차(30)는 무한궤도(20)를 따라 1피치씩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한궤도(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직선형 노(11)와 제2 직선형 노(12)에 해당하는 직선부(21)와,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배출단부(14)와 제2 직선형 노(12)의 투입단부(13)를 연결하는 곡선부(22) 및 상기 제2 직선형 노(12)의 배출단부(14)와 상기 제1 직선형 노(11)의 투입단부(13)를 연결하는 곡선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대차(30)가 무한궤도(20)의 직선부(21)를 따라 이동하여 제1 직선형 노(11) 또는 제2 직선형 노(12) 내에서 피처리재(m)를 열처리 되게 한다. 이어서, 피처리재(m)의 열처리가 완료된 대차(30)는 제1 직선형 노(11) 또는 제2 직선형 노(12)에서 배출되어, 무한궤도(20)의 곡선부(22)에 근접하게 된다. 이 곡선부(22)를 따라 대차(30)가 이동하는 동안에, 열처리 된 피처리재(m)는 대차(30)로부터 내려지고 열처리할 새로운 피처리재(m)가 실어지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20)의 각 곡선부(22) 근처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각 곡선부(22)의 곡률 중심에는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무빙 커플러(41)가 배치되고, 상기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은 곡선부(22)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관(61)의 연결구(63)에 결합되어, 곡선부(22)를 이동하는 대차(30)의 선회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은 단관(61) 및 대차(30)와 함께 회전하다가 곡선부(22)의 타단에 도달하면 해당 연결구(63)로부터 탈락되어 분리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관(43)은 대차(30)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로 역회전, 또는 링 헤더와의 결합 없이 대차(30)의 이동방향으로 계속해서 정회전하여, 다시 곡선부(22)의 일단, 즉 곡선부(22)가 시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해당 곡선부(22)의 반대쪽 곡선부(22)에 배치된 반대쪽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이 단관(61)의 연결구(63)들 중 하나에 결합되어, 링 배관(60)으로의 가스 공급이 끊임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빙 커플러(41)에 연결된 링 배관(60)는 각 밸브 스탠드(46)를 거쳐 대차(30)와 머플(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지속적으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한다. 또한, 링 배관(60)은 밸브 스탠드(46)에 연통되면서 대차(30)로부터 확장된 설치대(33)에 의해 지지되어 대차(30)의 이동과 함께 연동하여 움직인다.
특히, 상기 대차(30)가 직선형 노(11, 12)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 배관(60)은 직선형태를 유지하고, 곡선부(22)를 이동하는 경우에 단관(61)과 단관(61) 사이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튜브(62)에 의해 필요한 각도로 굽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링 배관(60)이 굽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70)은 각 링크(71)들이 스위블 조인트(72)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20)는 타원형 형태로 설치되고서, 그 곡선부(22)들이 한 쌍의 직선형 노(11, 12)의 양단 끝에 각각 위치하며 각 곡선부(22)의 곡률 중심에는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무빙 커플러(41)가 배치되어, 양쪽 무빙 커플러(41)의 연결관(43)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단관(61)의 연결구(63)와 서로 번갈아 가며 연결되어 상기 링 배관(60)에 지속적으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m : 피처리재 1 : 열처리 장치
11 : 제1 직선형 노 12 : 제2 직선형 노
13 : 투입단부 14 : 배출단부
20 : 무한궤도 21 : 직선부
22 : 곡선부 23 : 보조궤도
30 : 대차 32 : 머플
33 : 설치대 41 : 무빙 커플러
46 : 밸브 스탠드 50 : 링 헤더
60 : 링 배관 61 : 단관
62 : 플렉시블 튜브 70 : 가이드 레일
71 : 링크 72 : 스위블 조인트

Claims (8)

  1.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복수의 대차 간을 연계하여 배치되고, 상기 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링 헤더에 있어서,
    복수의 단관과 복수의 플렉시블 튜브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링 배관; 및
    상기 링 배관의 양측에 밀착하여 상기 대차에 배치되고, 상기 대차 간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링 배관을 변형시키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링 헤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헤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링크들 사이에 스위블 조인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헤더.
  4. 각각 투입단부와 배출단부를 갖춘 제1 직선형 노와 제2 직선형 노;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를 관통하여 이어지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를 통과할 수 있고, 피처리재를 적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 헤더를 사용하여 상기 대차에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를 포함하는 열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에 대응되는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형 노의 배출단부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투입단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배출단부와 상기 제1 직선형 노의 투입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스 공급원에 연통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을 구비하는 무빙 커플러; 및
    상기 대차로부터 확장된 설치대 상에 장착되는 밸브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링 헤더는 상기 설치대에 지지되고, 상기 단관의 일측은 접속관을 매개로 상기 밸브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단관의 타측에 연결구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제1 직선형 노와 상기 제2 직선형 노에 대응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곡선부로 설치되고,
    상기 곡선부에 상기 무빙 커플러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무빙 커플러의 연결관이 상기 단관의 연결구와 탈착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의 곡선부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무빙 커플러의 연결관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단관의 연결구와 서로 번갈아 가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KR1020140158318A 2014-10-16 2014-11-13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KR10167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18A KR101674744B1 (ko) 2014-11-13 2014-11-13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CN201510219548.XA CN106191382B (zh) 2014-10-16 2015-04-30 具备一对直线式炉和集电环的热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18A KR101674744B1 (ko) 2014-11-13 2014-11-13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586A KR20160057586A (ko) 2016-05-24
KR101674744B1 true KR101674744B1 (ko) 2016-11-10

Family

ID=5611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318A KR101674744B1 (ko) 2014-10-16 2014-11-13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7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351A (ja) * 2008-02-07 2009-08-20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フレキシブル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924A (ja) * 1993-03-12 1994-09-20 Suzuki Motor Corp 懸架装置
JPH1089851A (ja) * 1996-09-17 1998-04-10 Murata Mfg Co Ltd 連続型熱処理炉
JPH10300359A (ja) * 1997-04-28 1998-11-13 Ngk Insulators Ltd 回転式連続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351A (ja) * 2008-02-07 2009-08-20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フレキシブル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586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789B1 (ko) 레일 열처리 장치
US50096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ES2310585T3 (es) Metodo para calentar hojas de vidrio en preparacion del temple.
JP6596703B2 (ja) 多室型熱処理装置
KR101830802B1 (ko) 파이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열처리 방법
CN101454466B (zh) 用于在热处理炉中控制金属带材的方法
KR101674744B1 (ko)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KR101412129B1 (ko) 배관 내면 코팅장치
JP6133359B2 (ja) 金属部材を熱処理する方法
KR101674738B1 (ko) 링 헤더 및 이를 사용하는 열처리 장치
KR101630946B1 (ko) 한 쌍의 직선형 노를 갖춘 열처리 장치
EP011065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olling and treating steel rod
JP6229066B2 (ja) Ahss熱延コイルの熱処理方法、これを利用した冷間圧延方法および熱処理装置
EP2942407A1 (en) Method for adjusting in-furnace atmosphere of continuous heat-treating furnace
CN106191382B (zh) 具备一对直线式炉和集电环的热处理装置
US9441282B2 (en) Furnace and system for heat treating material
JP6038262B1 (ja) 管の熱処理装置および熱処理方法
CN113337696A (zh) 一种不锈钢焊管热处理设备
US11230487B2 (en) Glass processing system with variable bending station
JP4675681B2 (ja) 特殊断面レールの連続頭部硬化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装置
US6527547B2 (en) Ove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nvelope for use in a display tube
CN107250701A (zh) 热处理系统
JP6785672B2 (ja) 焼入れ装置及び焼入れ方法
KR102139992B1 (ko) 연속소둔로
JP2016044933A (ja) 真空処理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