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10B1 -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10B1
KR101673810B1 KR1020150129429A KR20150129429A KR101673810B1 KR 101673810 B1 KR101673810 B1 KR 101673810B1 KR 1020150129429 A KR1020150129429 A KR 1020150129429A KR 20150129429 A KR20150129429 A KR 20150129429A KR 101673810 B1 KR101673810 B1 KR 10167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ehicle
head lining
main body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
김지아
김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닝 내부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헤드라이닝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수납함에 선택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헤드라이닝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자성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을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Assist handle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 선회 시 또는 차량 탑승 시 어시스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조수석 및 리어 시트의 측면 상부 적소에는 차량의 주행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급동작 또는 원심력에 의하여 탑승자의 신체가 일측으로 기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탑승자가 손을 파지하여 신체를 고정 및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어시스트 핸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은 중앙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양단부가 차량 실내의 헤드 라이닝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헤드 라이닝에 대해 폴딩방향으로 회전 및 복원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이 초기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탑승자의 인지가 이루어진 후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만일 탑승자의 인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차량 급 선회 등의 상황 발생 시 어시스트 핸들의 활용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363호(2010.01.27.)
본 발명의 목적은, 어시스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의 급 선회 또는 차량 탑승을 인지하여 어시스트 핸들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어시스트 핸들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 장치는 차량의 헤드라이닝 내부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헤드라이닝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수납함에 선택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헤드라이닝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자성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을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 가이드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에 레일 결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된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을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전자석과 같은 극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은 차량 주행 중 급선회에 따른 신호 및 탑승에 따른 신호 발생 시 전원이 인가되어 자성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의 급 선회 또는 차량 탑승을 인지하여 어시스트 핸들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어시스트 핸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초기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개방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개방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초기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개방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의 개방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는 본체(100), 핸들(200) 및 핸들 가이드(30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00)는 차량의 헤드라이닝(10)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용공간(A)이 마련된다.
핸들(200)은 헤드라이닝(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탄성에 의해 헤드라이닝(10)에 마련된 수납함(12)에 선택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핸들(200)은 차량의 주행 또는 급선회 시와 같은 상황에서 탑승자가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사량 내부의 조수석 및 리어 시트의 측면 상부에 설치된다.
하지만, 수납함(12)에 폴딩된 핸들(200)의 초기위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탑승자가 핸들(200)의 정확한 위치를 인지하기 어렵고, 인지한다 하더라도 수납함(12)에 폴딩되어 있는 상태기 때문에, 파지가 어려울 수 있어 핸들(200)의 활용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가이드(300)를 포함하며, 이러한 핸들 가이드(300)는 핸들(200)의 양측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며, 헤드라이닝(10)에 마련된 헤드라이닝 홀(10a)을 통과하여 본체(100)와 연결된다.
핸들 가이드(300)는 회동경로를 따르는 핸들(200)의 회전 시 헤드라이닝 홀(10a)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형성되고, 그에 따라 헤드라인 홀(10a) 또한 핸들 가이드(30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형성된다.
핸들 가이드(300)는 자성에 의해 일단부가 수용공간(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핸들(200)을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 가이드(300)는 핸들 가이드(3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A) 내부에 위치되며, 본체(100)에 레일 결합되는 자성체(310)를 구비한다.
이러한 자성체(310)는 탄성부재(400)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자성체(310)는 본체(100)의 하부에 레일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400)에 의해 본체(100)에 마련된 전자석(110)과 연결된다.
자성체(310)는 본체(100)에 마련된 전자석(1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극성에 의해 전자석(110)을 밀어내 핸들 가이드(300)가 수용공간(A)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핸들(200)을 초기위치에서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개방위치는 핸들(200)이 수납함(12)에서 회동하여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주행 중 급선회 및 차량 탑승 등과 같은 기설정된 어시스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을 만족하면, 핸들(200)이 자성에 의해 자동으로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탑승자로 하여금 핸들(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파지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 가이드(300)는 자성체(310)를 구비하고, 이러한 자성체(310)는 본체(100)에 마련된 전자석(1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핸들(200)을 개방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하는 핸들(200)의 동작을 탑승자의 탑승 시에 따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에 의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을 통해 차량의 문 열림이 감지되면, 차량 내부의 룸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진다.
이후, 차량의 문 열림이 이루어진 반대편의 핸들(200)이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즉, 핸들 가이드(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자성체(310)와 본체(100)의 수용공간(A)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110)은 서로 같은 극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문 열림에 따라 전자석(110)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에 의해 전자석(110)이 자성체(310)를 밀어내게 된다.
이때, 자성체(310)와 결합된 핸들 가이드(300) 또한 헤드라이닝 홀(10a)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핸들(200)이 수납함(12) 상에서 회전하여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석(110)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탄성부재(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성체(310)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핸들(200)이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시간은 약 5초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되는데, 이는 차량의 문이 열리고 탑승자의 탑승이 이루어져 핸들(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5초 보다 더 짧은 시간 또는 더 긴 시간으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문 열림이 이루어진 반대편의 핸들(200)이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개방된 문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 방향의 정면에 위치된 반대편 문의 핸들(200)이 개방위치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용이하게 핸들(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하는 핸들(200)의 동작을 차량의 급선회 시에 따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에 의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을 통해 차속을 감지하여, 차량의 속도가 0km 이상이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차량의 전자제어현가장치(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를 통해 차제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휠 제어에 의해 차량이 왼쪽 방향으로 급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른쪽 리어 시트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핸들(200)이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반대로, 차량의 휠 제어에 의해 차량이 오른쪽 방향으로 급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왼쪽 리어 시트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핸들(200)이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왼쪽 방향으로 급선회하게 되면, 탑승자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오른쪽 리어 시트의 핸들(200)이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효과적으로 핸들(2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는 탑승자로 하여금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핸들(200)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핸들(200)의 회전 이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전술되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110)은 차량의 급 선회에 따른 탑승자의 핸들(200) 인지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도록 형성되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과정 또한 전술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 자동 사용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의 급 선회 또는 차량 탑승을 인지하여 어시스트 핸들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어시스트 핸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헤드라이닝 10a : 헤드라이닝 홀
12 : 수납함 100 : 본체
110 : 전자석 200 : 핸들
300 : 핸들 가이드 310 : 자성체
400 : 탄성부재 A : 수용공간

Claims (5)

  1. 차량의 헤드라이닝 내부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헤드라이닝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수납함에 선택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헤드라이닝에 마련된 헤드라이닝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자성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을 기설정된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가이드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에 레일 결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된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을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전자석과 같은 극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차량 주행 중 급선회에 따른 신호 및 탑승에 따른 신호 발생 시 전원이 인가되어 자성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KR1020150129429A 2015-09-14 2015-09-14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KR10167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429A KR101673810B1 (ko) 2015-09-14 2015-09-14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429A KR101673810B1 (ko) 2015-09-14 2015-09-14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810B1 true KR101673810B1 (ko) 2016-11-07

Family

ID=5752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429A KR101673810B1 (ko) 2015-09-14 2015-09-14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318A (zh) * 2019-08-08 2019-09-20 杭州航林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磁吸式顶棚拉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063B2 (ja) * 1989-05-24 1997-09-0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
KR100748186B1 (ko) * 2005-10-21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
US20080174145A1 (en) * 2007-01-18 2008-07-24 Toyota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tractable assist handle for a vehicle
KR20100009363A (ko) 2008-07-18 2010-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KR101050723B1 (ko) * 2010-03-17 2011-07-2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063B2 (ja) * 1989-05-24 1997-09-0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
KR100748186B1 (ko) * 2005-10-21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
US20080174145A1 (en) * 2007-01-18 2008-07-24 Toyota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tractable assist handle for a vehicle
KR20100009363A (ko) 2008-07-18 2010-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KR101050723B1 (ko) * 2010-03-17 2011-07-2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318A (zh) * 2019-08-08 2019-09-20 杭州航林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磁吸式顶棚拉手
CN110254318B (zh) * 2019-08-08 2020-07-17 嘉兴市瑞鑫塑业有限公司 新能源汽车磁吸式顶棚拉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35318A (ja) 自動車の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KR101876055B1 (ko) 버터플라이 도어 그립핸들 팝업 장치 및 그 방법
US10814790B2 (en) Running board with roof access step and method
JP2018079770A (ja) 車両
KR10167381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장치
KR101865956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CN108215967A (zh) 用于车辆的中央控制台扶手
FR2853868B1 (fr) Systeme de plage arriere escamotabl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KR20180051091A (ko)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US9452664B2 (en) Structure of side lid for vehicle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JP7045354B2 (ja) 操舵装置および移動体
CN204149835U (zh) 新型自动半罩车衣装置
JP2007276555A (ja) 電動シート
CN114746305A (zh) 交通工具系统
US20240067071A1 (en) Vehicle assist handle
CN207738400U (zh) 一种扶手联动结构和叉车
JP4081792B2 (ja) ドア開閉アシスト装置
KR20130062519A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미러 자동 작동장치 및 방법
JP7050173B2 (ja) 電動車両
KR100534899B1 (ko) 버스의 현수막 고정장치
JP2016050421A (ja) 車両用ドア装置
KR20160093969A (ko) 안전도어 시스템
KR0158180B1 (ko) 차량용 공구 보관장치
KR20040098292A (ko) 자동차의 수납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