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399B1 -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 Google Patents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399B1
KR101673399B1 KR1020160037847A KR20160037847A KR101673399B1 KR 101673399 B1 KR101673399 B1 KR 101673399B1 KR 1020160037847 A KR1020160037847 A KR 1020160037847A KR 20160037847 A KR20160037847 A KR 20160037847A KR 101673399 B1 KR101673399 B1 KR 10167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longitudinal direction
bollard body
elastic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욱
Original Assignee
안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욱 filed Critical 안광욱
Priority to KR102016003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 작용 시 그 힘이 볼라드 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외력 작용 시 탄성부재의 심한 변형 및 그에 따른 탄성 상실의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내구성은 강화되면서 볼라드 본체와 베이스부 간 원뿔형 내지 각뿔형 결합 구조를 통해 기울어짐 및 복원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는 상부에 하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삽입구를 형성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구와 대응되는 삽입부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볼라드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인장 작용을 위한 탄성을 갖는 상태로 상기 볼라드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 본체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볼라드 본체의 기울어짐 발생 시 세워지는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Bollard with elastic property}
본 발명은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 작용 시 그 힘이 볼라드 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외력 작용 시 탄성부재의 심한 변형 및 그에 따른 탄성 상실의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내구성은 강화되면서 볼라드 본체와 베이스부 간 원뿔형 내지 각뿔형 결합 구조를 통해 기울어짐 및 복원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 ‘교통안전봉’이라고도 하며, 이하 ‘볼라드’라 함)는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 영역 혹은 차량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안전지대 주변 등에 설치되어 차량 진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국내를 기준으로 차량 수의 빠른 증가에 비해 주차공간 확보는 그에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볼라드는 차량으로부터 보호되는 최소한의 여유 공간을 확보케 하려는 측면에서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통상 원통형이나 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차량 충돌 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디는 강도로 설치된다. 즉, 볼라드는 비교적 고가의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대리석, 화강석 등의 석재를 가공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이렇게 금속이나 석재로 제작된 볼라드는 차량 진입을 규제하는 기능은 우수한 반면, 자전거 운전자 내지 보행자의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이 크고, 이는 자전거 운전자가 늘어나면서 자전거 도로가 확충되는 최근 추세에 비춰볼 때 그 위험성이 한층 높아지는 상황이며, 차량 역시 볼라드와의 경미한 충돌에도 비교적 심한 손상을 입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측 방향으로부터 일정 수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받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충격 해제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형태의 볼라드(이하 “탄성 볼라드”라 함)가 제공되고 있다. 즉, 탄성 볼라드는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차량 충돌 등 외부로부터 충격 전달 시 휘는 동작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킨 후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탄성 볼라드들은 그 몸체와 지면 간의 연결 영역 또는 분리된 두 몸체 간의 연결 영역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되, 이러한 탄성부재가 탄성 볼라드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전적으로 받아 흡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의 강한 충돌 시는 물론이고 비교적 경미한 차량 충돌 시에도 탄성부재가 복원력을 상실하는 변형을 일으켜 해당 탄성 볼라드의 복원력이 상실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탄성 볼라드들의 잦은 교체 내지 보수에 따른 탄성 볼라드 유지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59948호(2009.06.11.공개), “탄성 스프링 볼라드” 한국 등록특허 제10-1337335호(2013.12.05.공고), “볼라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 작용 시 그 힘이 볼라드 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외력 작용 시 탄성부재의 심한 변형 및 그에 따른 탄성 상실의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내구성은 강화되면서 볼라드 본체와 베이스부 간 원뿔형 내지 각뿔형 결합 구조를 통해 기울어짐 및 복원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는 상부에 하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삽입구를 형성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구와 대응되는 삽입부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볼라드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인장 작용을 위한 탄성을 갖는 상태로 상기 볼라드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 본체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볼라드 본체의 기울어짐 발생 시 세워지는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선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의 내면 또는 상기 삽입구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볼라드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볼라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볼라드 본체에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라드 본체는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단차를 갖는 스프링 수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수납홈은 상기 삽입부의 관통 부위와 통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는 상기 스프링 수납홈의 단차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거치되되 길이방향 기준의 전체 중 적어도 상기 단차에 거치되는 양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를 따라 구름 동작이 가능한 탄성부재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걸려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구의 하단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 쪽에서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와이어홀 주변의 상기 베이스부 하면 영역에 거치되는 와이어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와이어 지지바에 결속되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의 중앙에 융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에 상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볼라드 본체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구의 하면과 대응되는 선단이 라운드형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각진 형태를 이루는 원뿔형 내지 각뿔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볼라드에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 작용 시 그 힘이 볼라드 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지는 않아 해당 탄성부재의 심한 변형 및 그에 따른 탄성 상실의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볼라드 전체의 내구성이 강화되고, 이와 동시에 볼라드 본체와 베이스부 간 원뿔형 내지 각뿔형 결합 구조를 통해 기울어짐 및 복원 동작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를 분리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에서 볼라드 본체의 삽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를 분리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100: 이하 “탄성 볼라드”라 약칭함)는 베이스부(110), 볼라드 본체(120), 탄성 지지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100)는 와이어(131) 및 탄성부재(132)의 지지를 위한 와이어 지지바(150) 및 탄성부재 지지바(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상부에 하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삽입구(111)를 형성한 형태이며, 이러한 베이스부(1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부(110)는 지면에 매립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상면의 중앙에 융기부(112)가 형성되어 이러한 융기부(112)에 삽입구(111)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지면에 대한 매립형 고정 시 융기부(112)의 전체 또는 상측 일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볼라드 본체(120)는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와 대응되는 삽입부(121)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러한 삽입부(121)를 베이스부의 삽입구(111)에 삽입시켜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된다. 그리고 볼라드 본체(120)의 삽입부(121)는 상기 삽입구(111)의 하면과 대응되는 선단이 라운드형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각진 형태를 이루는 원뿔형 내지 각뿔형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부(121)가 라운드형 선단을 형성한 원뿔형인 것을 예로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 예와 같이 볼라드 본체(120)의 삽입부(121) 선단이 라운드형을 이루는 것에 의해서, 볼라드 본체(120)는 외력 작용 시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 및 삽입부(112)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볼라드 본체(220)의 삽입부(221)가 그 선단이 수평 방향으로 각진 형태를 이루는 원뿔형인 것을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가서, 탄성 지지선(130)은 베이스부(110)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인장 작용을 위한 탄성을 갖는 상태로 볼라드 본체(1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탄성 지지선(130)은 상기 볼라드 본체(120)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볼라드 본체(120)의 기울어짐 발생 시 세워지는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탄성 지지선(130)이 와이어(131) 및 탄성부재(132)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셜명한다.
와이어(131)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 내면 또는 삽입구(1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베이스부(110)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볼라드 본체(120)의 삽입부(121)를 관통하여 볼라드 본체(120)의 내부에서 볼라드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탄성부재(132)는 와이어(131)의 길이방향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볼라드 본체(120)에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지지된다.
또한 볼라드 본체(120)는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단차(122a)를 갖는 스프링 수납홈(122)이 형성되되, 이러한 스프링 수납홈(122)은 삽입부(121)의 관통 부위와 통하며, 스프링 수납홈(122)에 탄성부재(132)가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볼라드 본체(120)는 스프링 수납홈(122)이 삽입부(121)와 인접한 위치까지 길게 형성되어 중공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며, 삽입부(121)의 관통 부위로부터 와이어(131)의 삽입 및 안내를 위한 홀이 스프링 수납홈(122)과 통하는 상태로 일정 구간 길게 형성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32)의 설치를 위한 스프링 수납홈(122)이 볼라드 본체(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스프링 수납홈(122)이 삽입부(121)의 관통 부위와 통하여 와이어(131)가 삽입부(121)의 관통 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스프링 수납홈(122)으로 인입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수납홈(122) 내에서의 탄성부재(132) 지지 및 설치를 위해 탄성부재 지지바(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 지지바(140)는 스프링 수납홈(122)의 단차(122a)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거치되되 길이방향 기준의 전체 중 적어도 스프링 수납홈(122)의 단차(122a)에 거치되는 양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프링 수납홈(122)의 단차(122a)를 따라 구름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탄성부재(132)는 일단이 탄성부재 지지바(140)에 걸려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삽입구(111)의 하단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되는 와이어홀(113)이 형성되며,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바(150)가 길이방향을 양단을 상기 와이어홀(113) 주변의 상기 베이스부(110) 하면 영역에 거치시키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31)는 일단이 와이어 지지바(150)에 결속되어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도 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 본체(120)에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에 의한 충격이 작용할 시, 볼라드 본체(120) 내 탄성부재(132)의 탄성 발휘에 따라 탄성 지지선(130)의 인장 기능이 발휘되면서 볼라드 본체(120)는 지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볼라드 본체(120)의 기울어지는 정도는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볼라드 본체(120)가 삽입부(121)를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에 삽입시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동시에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한 와이어를 통해 측방향 내지 측상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므로, 볼라드 본체(120)는 외부로부터 충격 작용 시 옆쪽으로 크게 밀리거나 꺽이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삽입부(121) 및 삽입구(111) 간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볼라드 본체(120) 전체가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볼라드 본체(12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 해제 시, 인장되었던 탄성부재(132)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그 복원력이 탄성부재 지지바(140)를 매개로 볼라드 본체(120)에 전달됨에 따라, 볼라드 본체(120)는 삽입부(121)를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에 삽입한체 세워져 거치되는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술한 일련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서, 볼라드 본체(120)의 외부 충격에 의한 기울어짐 시 그 꺽이는 힘이 탄성부재(132)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며, 탄성부재(132)는 단지 볼라드 본체(120)의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인장된 후 볼라드 본체(120)에 대한 외부 충격 해제 시 복원되면서 탄성부재 지지바(140)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기능만 하므로, 볼라드 본체(120)의 완만한 기울어짐 시는 물론이고 지면과 인접되는 90°에 가까운 기울어짐 발생 시에도 탄성부재(132)는 변형 및 탄성 상실의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온전한 상태로 복원력 제공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는 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 작용 시 그 힘이 볼라드 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해당 탄성부재의 심한 변형 및 그에 따른 탄성 상실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시키고, 이를 통해 볼라드 전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볼라드 본체와 베이스부 간 원뿔형 내지 각뿔형 결합 구조를 통해 기울어짐 및 복원 동작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탄성 볼라드 110 : 베이스부
111 : 삽입구 112 : 융기부
113 : 와이어홀 113a 단차
120 : 볼라드 본체 112 : 삽입부
122 : 스프링 수납홈 122a : 단차
130 : 탄성 지지선 131 : 와이어
132 : 탄성부재 140 : 탄성부재 지지바
150 : 와이어 지지바

Claims (5)

  1. 상면의 중앙에 융기부가(112)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11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삽입구(111)를 형성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구(111)의 하단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되는 와이어홀(113)이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 쪽에서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와이어홀(113) 주변의 상기 베이스부(110) 하면 영역에 거치되는 와이어 지지바(150);
    상기 베이스부(110)의 삽입구(111)와 대응되는 삽입부(121)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1)를 상기 삽입구(111)에 삽입시켜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되,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삽입구(111)의 하면과 대응되는 선단이 라운드형 선단을 형성한 원뿔형이며,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단차(122a)를 갖는 스프링 수납홈(122)이 형성되는 볼라드 본체(120);
    상기 스프링 수납홈(122)의 단차(122a)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거치되되 길이방향 기준의 전체 중 적어도 상기 단차(122a)에 거치되는 양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122a)를 따라 구름 동작이 가능한 탄성부재 지지바(140);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111)의 내면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 지지바(150)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상기 삽입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수납홈(122) 내에서 상기 볼라드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131) 및 상기 와이어(131)의 길이방향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 지지바(14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2)를 포함하여, 상기 볼라드 본체(120)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볼라드 본체(120)의 기울어짐 발생 시 세워지는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선(130)을 포함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32)는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 지지바(140)에 걸려 지지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37847A 2016-03-29 2016-03-29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KR10167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47A KR101673399B1 (ko) 2016-03-29 2016-03-29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47A KR101673399B1 (ko) 2016-03-29 2016-03-29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99B1 true KR101673399B1 (ko) 2016-11-07

Family

ID=5752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47A KR101673399B1 (ko) 2016-03-29 2016-03-29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376A (zh) * 2018-08-17 2018-12-18 青岛澳波泰克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恢复型防撞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44A (ja) * 1989-09-30 1991-05-22 Rheon Autom Mach Co Ltd パン生地等のグルテンディベロップ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0191218Y1 (ko) * 2000-02-26 2000-08-16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205536Y1 (ko) * 2000-06-28 2000-12-01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40028894A (ko) * 2004-03-11 2004-04-03 신 동 섭 차량용 안전지주
KR20090059948A (ko) 2007-12-07 2009-06-11 최경엽 탄성 스프링 볼라드
KR101337335B1 (ko) 2011-12-27 2013-12-05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볼라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44A (ja) * 1989-09-30 1991-05-22 Rheon Autom Mach Co Ltd パン生地等のグルテンディベロップ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0191218Y1 (ko) * 2000-02-26 2000-08-16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205536Y1 (ko) * 2000-06-28 2000-12-01 이철두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40028894A (ko) * 2004-03-11 2004-04-03 신 동 섭 차량용 안전지주
KR20090059948A (ko) 2007-12-07 2009-06-11 최경엽 탄성 스프링 볼라드
KR101337335B1 (ko) 2011-12-27 2013-12-05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볼라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376A (zh) * 2018-08-17 2018-12-18 青岛澳波泰克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恢复型防撞结构
CN109024376B (zh) * 2018-08-17 2024-02-06 青岛澳波泰克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恢复型防撞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426B1 (ko) 도로용 탄성 볼라드
US20060043353A1 (en) Safety barrier anchorage
KR101673399B1 (ko)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KR200491930Y1 (ko)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KR200390521Y1 (ko) 도로용 방호책 구조
KR101081793B1 (ko)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20190036801A (ko) 오뚜기 볼라드 및 이에 적합한 볼라드 커버
KR100804095B1 (ko) 슬림 타입 탄력 볼라드
KR200460100Y1 (ko)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ES2928139T3 (es) Módulo de soporte elástico de poste
KR100536619B1 (ko) 차량용 안전지주
KR200449625Y1 (ko) 볼라드
KR101973588B1 (ko) 휀스
KR20200001573U (ko) 차선규제봉
KR102231697B1 (ko) 탄성 어댑터를 이용한 펜스용 지주와 횡대의 연결장치
JP5149638B2 (ja) 道路用支柱
KR200405973Y1 (ko) 안전 유도봉
KR101223748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20070064413A (ko) 차선 규제봉
JP6974121B2 (ja) 可動支柱、ワイヤロープ式防護柵及び橋梁
KR200191218Y1 (ko)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176142Y1 (ko) 자동차용 범퍼 보강 구조체
KR100995335B1 (ko) 펜스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JP4468164B2 (ja) 鳥害防止器および該鳥害防止器用のローリング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