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218Y1 - 도로용 안전 표시구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218Y1
KR200191218Y1 KR2020000005348U KR20000005348U KR200191218Y1 KR 200191218 Y1 KR200191218 Y1 KR 200191218Y1 KR 2020000005348 U KR2020000005348 U KR 2020000005348U KR 20000005348 U KR20000005348 U KR 20000005348U KR 200191218 Y1 KR200191218 Y1 KR 20019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pole
base portion
b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두
Original Assignee
이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두 filed Critical 이철두
Priority to KR2020000005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관한 것으로, 도로상에 고정구비되어 도로의 진행방향을 경계짓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원판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한 접촉돌기가 돌설되고, 선단부에는 일정간격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안착돌기에 그 일단이 볼조인트 접촉되도록 볼록면을 갖춘 중공으로 이루어진 폴부와; 상기 폴부의 내측으로 내장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폴부내측으로 삽입되되, 그 일단은 탄성스프링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 중앙부에 그 일단이 고착되되, 타단은 베이스부의 접촉돌기에 형성된 관통공까지 연장형성되어 나사부를 갖춘 탄성와이어부재와; 상기 탄성와이어부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중앙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삽입안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와 폴부는 상호 독립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과의 접촉시 폴부가 접힘이 아닌 롤링되는 것과 같이 넘어지게 됨으로 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탄성스프링에 의해 총격 후 폴부가 베이스에 최초의 입설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됨으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안전 표시구{Safety Indicator On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이의 상면에 롤링가능하게 입설되는 폴부를 각각 독립되게 구비하여 차량 접촉시 폴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폴부의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상에는 차량의 진행을 경계하기 위해 도로의 중앙에 표시구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안전 표시구(이하, 표시구이라 함)(10)은 서로 진행방향이 다른 차선을 경계하기 위한 표시구(10)으로 도로(A)의 중앙선에 일정간격 복수개가 입설되게 설치된다.
상기 표시구(1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빈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표시구(10)은 이를 도로(A)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홀(11)이 다수개 형성된 베이스부(12)와, 이 베이스부(12)로부터 일체로 입설되는 폴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12)와 폴부(13)는 축경부인 휨부(14)에 의해 일체로 연결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표시구(10)을 도로(A)의 중앙에 고정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부(12)에 형성된 고정홀(11)을 통하여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도로(A)상에 고정설치된 표시구(10)에 외부충격 즉, 진행중인 차량이 부딪치게 되면, 도로(A)에 고정된 베이스부(12)와 폴부(13)를 연결하는 휨부(14)가 꺾여 휘어진 후, 상기 표시구(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베이스부(12)에 다시 입설되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구(10)은 휨부(14)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하게 되는데, 이는 표시구(10)이 일정이상 즉, 복원가능한 정도로 휘어진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표시구(10)의 휨부가(14) 탄성복원되는 그 이상의 각도록 완전히 꺾어지면 상기 휨부(14)는 접힘되어 탄성력을 잃게 됨으로써 복원되지 않게 되어 사용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시구(10)의 재질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폴부(13)가 복원되므로 복원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탄성스프링이 내장된 폴부와 도로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각각 독립되게 형성하여 상호 볼조인트방식과 같이 연결시켜 폴부가 베이스부에 롤링되도록 함으로써 볼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아울러, 폴부의 입설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안전 표시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상에 고정구비되어 도로의 진행방향을 경계짓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원판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한 접촉돌기가 돌설되고, 선단부에는 일정간격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안착돌기에 그 일단이 볼조인트 접촉되도록 볼록면을 갖춘 중공으로 이루어진 폴부와; 상기 폴부의 내측으로 내장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폴부내측으로 삽입되되, 그 일단은 탄성스프링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 중앙부에 그 일단이 고착되되, 타단은 베이스부의 접촉돌기에 형성된 관통공까지 연장형성되어 나사부를 갖춘 탄성와이어부재와; 상기 탄성와이어부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중앙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삽입안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와 폴부는 상호 독립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중앙부에는 체결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부의 상부에는 이를 막음하는 덮개부가 고착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안전 표시구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전 표시구 105 : 베이스부
105a : 접촉돌기 110 : 폴부
110a : 축경부 110b : 볼록면
115 : 관통공 120 : 고정홀
125 : 안착홈 130 : 탄성스프링부재
135 : 지지부재 140 : 탄성와이어부재
140a : 나사부 145 : 체결부재
145a : 나사공 150 : 덮개부
B : 도로 C : 볼트
D : 차량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D)의 진행방향을 경계짓기 위해 도로(b)의 중앙에 설치되는 본 고안 도로용 안전 표시구(100)는 각각 독립되게 성형되어 도로(B)상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부(105)와, 이 베이스부(105)에 볼조인트와 같은 방식으로 접촉되어 입설되는 폴부(110)로 대분되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부(105)에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115)이 형성된 접촉돌기(105a)와, 선단부에는 이의 베이스부(105)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B)상에 볼트(C)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홀(120)과, 또한 저면에 소정 깊이로 안착홈(125)이 형성어 이루어진다. 상기 폴부(110)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축경된 축경부(110a)가 형성되며, 이의 축경부(110a)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5)의 안착돌기(105a)에 볼조인트 접촉되도록 볼록면(110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폴부(110)의 내측으로는 그 일단이 축경부(110a)측에 안착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탄성스프링부재(130)와 그 일단이 축경부(110a)에 접촉안착된 탄성스프링부재(130)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재(135)가 내장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5)의 일면 즉,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30)와 접촉하는 면의 중앙부에는 그 일단이 고착되고 타단에는 나사부(140a)가 형성된 탄성와이어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와이어부재(140)는 베이스부(105)의 접촉돌기(105a)에 형성된 관통공(115)까지 관통하여 구비되고, 이때 상기 탄성와이어부재(140)를 고정시키기 위해 중앙부에 나사공(145a)이 형성된 체결부재(145)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145)는 베이스부재(105)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125)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폴부(110)의 상단부에는 탄성스프링부재(130)와 지지부재(135)를 이의 내측으로 내장시킨 후, 막음시키기 위한 덮개부(150)가 고정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내 표시구(100)를 조립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일단은 볼록면(110b)이 형성된 축경부(110a)를 갖는 폴부(110)의 상부내측으로 탄성스프링부재(130)를 내장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30)의 일단은 폴부(110)의 축경부(110a)의 내측에 안착접촉하게 된다. 이때 일면에 탄성와이어부재(140)가 고착된 지지부재(135)를 폴부(110)내측으로 내장시킨다. 상기 지지부재(135)의 내장으로 탄성와이어부재(140)는 탄성스프링부재(130)의 중앙측으로 삽입되고, 지지부재(135)는 탄성스프링부재(130)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폴부(110)내측으로 탄성스프링부재(130)와 지지부재(135)가 그 일면에 고착된 탄성와이어부재(140)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도로(B)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5)의 접촉돌기(105a)에 폴부(110)의 볼록면(110b)을 볼조인트와 같은 방식으로 접촉시킴과 동시에 폴부(110)의 내측으로 내장된 탄성와이어부재(140)의 타단 즉, 나사부(140a)가 형성된 탄성와이어부재(140)를 관통공(115)측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나사공(145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부재(145)를 베이스부(105)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125)측으로 안착시켜 탄성와이어부재(140)의 나사부(140a)와 나사결합시키면 안전 표시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이때 상기 폴부(110)의 상부측에는 덮개부(150)에 의해 막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100)를 도로(B)상에 고정설치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5)에 형성된 고정홀(120)을 통해 볼트(C)를 매개체로 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도로(B)상에 고정된 도로용 안전 표시구(100)는 외부충격시 즉, 차량(D)이 부딪히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110)는 베이스부의 접촉돌기상에서 오뚝이와 같이 롤링되게 넘어지면서 이의 폴부(100) 내측에 내장된 탄성스프링부재(130)가 압축된다.
즉, 폴부(110)내측에 내장된 지지부재(135)에 일단이 고착되어 있고 타단은 베이스부(105)의 안착홈(125)에 안착구비된 체결부재(145)에 의해 나사고정되어 있는 탄성와이어부재(140)가 폴부(110)의 넘어짐으로 인해 지지부재(135)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탄성스프링부재(130)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탄성스프링부재(130)는 그 복원되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폴부(110)는 베이스부(105)에 예컨대 오뚝이와 같이 최초이 설치상태로 복귀되어 입설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부가 베이스부로부터 독립되게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고, 이에 내측으로 탄성스프링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내장되에 따라 차량충돌시에는 폴부가 베이스부의 접촉돌기상에서 오뚝이와 같이 롤링됨으로 폴부의 파손이 없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폴부가 신속하게 입설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 표시구은 도로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이의 상부에 볼조인트방식과 같이 연결되므로 폴부가 각각 독립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과의 접촉시 폴부가 접힘이 아닌 롤링되는 것과 같이 넘어지게 됨으로 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탄성스프링에 의해 총격 후 폴부가 베이스에 최초의 입설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됨으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로상에 고정구비되어 도로의 진행방향을 경계짓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에 있어서,
    원판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한 접촉돌기가 돌설되고, 선단부에는 일정간격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안착돌기에 그 일단이 볼조인트 접촉되도록 볼록면을 갖춘 중공으로 이루어진 폴부와;
    상기 폴부의 내측으로 내장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폴부내측으로 삽입되되, 그 일단은 탄성스프링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 중앙부에 그 일단이 고착되되, 타단은 베이스부의 접촉돌기에 형성된 관통공까지 연장형성되어 나사부를 갖춘 탄성와이어부재와;
    상기 탄성와이어부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중앙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삽입안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와 폴부는 상호 독립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중앙부에는 체결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의 상부에는 이를 막음하는 덮개부가 고착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20000005348U 2000-02-26 2000-02-26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191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48U KR200191218Y1 (ko) 2000-02-26 2000-02-26 도로용 안전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48U KR200191218Y1 (ko) 2000-02-26 2000-02-26 도로용 안전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218Y1 true KR200191218Y1 (ko) 2000-08-16

Family

ID=1964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48U KR200191218Y1 (ko) 2000-02-26 2000-02-26 도로용 안전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2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51A (ko) * 2002-07-19 2004-01-31 임창현 교통안내표지
KR20040008952A (ko) * 2002-07-19 2004-01-31 임창현 차량의 진입방지용 포스트
KR101673399B1 (ko) * 2016-03-29 2016-11-07 안광욱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KR102158426B1 (ko) * 2019-04-04 2020-09-21 안치훈 도로용 탄성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51A (ko) * 2002-07-19 2004-01-31 임창현 교통안내표지
KR20040008952A (ko) * 2002-07-19 2004-01-31 임창현 차량의 진입방지용 포스트
KR101673399B1 (ko) * 2016-03-29 2016-11-07 안광욱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KR102158426B1 (ko) * 2019-04-04 2020-09-21 안치훈 도로용 탄성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9518A1 (en) Isolator with improved symmetrical response to shock and vibration forces
KR102158426B1 (ko) 도로용 탄성 볼라드
KR200191218Y1 (ko) 도로용 안전 표시구
US6237268B1 (en) Sign stand with single spring base assembly
US7793910B2 (en) Surface-mounted post base
US4090465A (en) Traffic control director
US20040265056A1 (en) Road stud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ES2928139T3 (es) Módulo de soporte elástico de poste
KR20100025666A (ko) 볼라드
US20020043000A1 (en) Self-leveling device
KR100880271B1 (ko) 차선 규제봉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KR101673399B1 (ko)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볼라드
KR200381723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0776670B1 (ko) 탄성복원력을 구비한 볼라드
KR100676079B1 (ko) 도로 표시병
KR200205536Y1 (ko) 도로용 안전 표시구
KR200389738Y1 (ko) 가이드레일의 델리네이터고정용 클립
KR100769554B1 (ko) 교통안전 표시판
KR200403523Y1 (ko) 차선분리 탄력봉
KR20230068607A (ko) 도로표지병
KR200252796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KR200398306Y1 (ko) 도로 표시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