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285B1 -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285B1
KR101673285B1 KR1020160106083A KR20160106083A KR101673285B1 KR 101673285 B1 KR101673285 B1 KR 101673285B1 KR 1020160106083 A KR1020160106083 A KR 1020160106083A KR 20160106083 A KR20160106083 A KR 20160106083A KR 101673285 B1 KR101673285 B1 KR 10167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type retaining
soil nailing
blo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우
김영주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뉴
Priority to KR102016010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식 옹벽 시공을 위해 소일네일링설치, 터파기, 기초면 형성 후 블록식 옹벽과 투수성 채움재를 적층하되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된 높이에 적층되는 블록식 옹벽은 소일네일링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한 후 연결부재가 배치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이들을 일체화시킨 후 나머지 블록식 옹벽 및 투수성 채움재를 계획된 높이만큼 적층하여 시공을 실시함으로서, 소일네일링 및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옹벽 높이를 5m 이상 최대 8m까지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고, 블록식 옹벽 시공시 소일네일링의 위치에 맞게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작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일네일링이 적용되는 위치의 블록식 옹벽 배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부식 방지와 더불어 블록식 옹벽을 높은 위치까지 적층하더라도 구조적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variable structure and soil nailing}
본 발명은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일네일링을 적용하여 블록식 옹벽의 설치 높이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구조물은 주택부지 및 노변 등에 형성된 경사지, 절토지 및 암반 등의 전면에 이들이 토압 또는 우수 등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를 말한다.
이러한 옹벽으로서, 종래에는 자연석을 쌓기도 하였으나 자연석은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쌓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옹벽용으로서 자연석을 구하기도 쉽지 않아 최근에는 벽돌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주로 구축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규모 및 시공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많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중력식 옹벽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293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4924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등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 2는 블록식으로 옹벽을 제작한 후 이를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KR10-16492930 B1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특허문헌 2) KR10-2015-0094924 A 콘크리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의 시공방법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 2의 중력식 옹벽은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서 블록형태로 제작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옹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약 5m이상 적층시 구조적인 문제점에 의해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그 이상 높이로는 옹벽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은 소일네일링 및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옹벽 높이를 5m 이상 최대 8m까지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식 옹벽 시공시 소일네일링의 위치에 맞게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작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일네일링이 적용되는 위치의 블록식 옹벽 배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부식 방지와 더불어 블록식 옹벽을 높은 위치까지 적층하더라도 구조적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계획된 높이에 설치되는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링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옹벽 높이를 최대 8m까지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일네일링과 이와 연결될 블록식 옹벽 간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동 가능한 연결부재가 구성되어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연결부재가 배치된 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 콘크리트 보강층을 형성하여 블록식 옹벽과 절토사면에 고정된 소일네일링을 일체화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보강층 내에 다수의 투수관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옹벽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제1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2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3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 블록식 옹벽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 투수성 채움재를 채우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 다짐면을 채우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블록식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5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6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 7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블록식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절토사면에 소일네일링을 설치하는 제1 단계와, 블록식 옹벽을 설치할 지반을 터파기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의 터파기한 공간 내의 바닥면에 채움 및 레벨링을 실시하여 블록식 옹벽을 배치하기 위한 기초면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한 기초면에 블록식 옹벽의 적층시 최 하단에 배치하는 블록식 옹벽 설치 후 블록식 옹벽의 배면 바닥면에 유공관 및 투수성 채움재를 먼저 설치하고, 그 이후 블록식 옹벽을 다단형태로 적층하되, 일정 높이만큼 블록식 옹벽을 적층한 후에는 블록식 옹벽의 배면과 절토사면 사이에 투수성 채움재를 채움작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블록식 옹벽 및 투수성 채움재를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하되,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된 높이에 적층되는 블록식 옹벽들의 배면에는 갈고리 철근 및 이에 결합하는 수평바를 형성하고, 절토사면에 고정 결합하는 소일네일과 갈고리 철근에 결합된 수평바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일정 높이에 있는 블록식 옹벽을 고정시키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소일네일링 및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블록식 옹벽들의 배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 이후 계획된 높이까지 블록식 옹벽 및 투수성 채움재를 적층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 제1 단계 -
본 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블록식 옹벽(1)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절토사면(2)에 소일네일링(3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소일네일링(30)의 설치는 다른 소일네일링공법과 유사하게 절토사면(2)의 일부 구간을 천공한 후 소일네일링(30)을 삽입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에, 소일네일링(30)과 절토사면(3)과의 고정력 발생을 위해 소일네일링(30)을 천공에 삽입한 후 천공에 콘크리트를 타설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소일네일링(30)가 설치되는 높이 위치는 시공 전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된 높이에 설치하도록 한다.
- 제2 단계 -
본 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블록식 옹벽(1)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터파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터파기는 설계도면에 명시된 깊이까지 실시하여 과도한 터파기기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되 안정구배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 제3 단계 -
본 단계는 상술한 제2 단계에서 터파기한 공간에 도 4에서와 같이 기초면(3)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단계를 실시하기 위해서 제2 단계에서 터파기한 공간 내에 잡석 등을 깔거나 또는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특히, 상술한 기초면(3)은 그 상측으로 다수의 블록식 옹벽(1)이 적층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블록식 옹벽(1)이 적층되었을 때에 이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을 형성하도록 구조계산을 통해 기초면(3)을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기초면(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식 옹벽(1)이 적층되는 만큼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 제4 단계 -
본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한 기초면(3)에 블록식 옹벽(1)을 적층하되, 블록식 옹벽(1) 배면으로 투수성 채움재(5)를 채워놓는 단계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기초면(3)의 상측면에 하단석인 블록식 옹벽(1)을 배치한다. 이때에, 최 하부층의 블록식 옹벽(1)은 옹벽설치시 안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선형과 수평의 레벨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매우 주의하여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단석인 블록식 옹벽(1)의 배치가 완료되면 그 위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블록식 옹벽(1)을 적층하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하게 된다.
추가의 블록식 옹벽(1)의 조적시공은 기 시공된 블록식 옹벽(1)의 상단을 깨끗하게 청소를 실시한 후 선형과 수평을 주의하여 실시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식 옹벽(1)의 일부 적층이 완료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절토사면(2)과 블록식 옹벽(1)의 배면 사이 공간에 투수성 채움재(5)를 블록식 옹벽(1)이 적층된 높이만큼 적층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투수성 채움재(5)는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도가 20 ∼ 40mm인 자갈과 같은 골재를 채워넣는 단계이다.
이러한, 투수성 채움재(5)는 1회 포설두께는 30cm이내, 1층 다짐 후 두께가 20cm이내가 되도록 하며, 이때에, 다짐밀도는 95%이상이 되도록 다짐관리를 실시하여야만 한다.
한편, 투수성 채움재(5)는 물이 투수할 수 있을 정도의 입도로 형성된 관계로 채움작업시 다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절토사면(3)과 투수성 채움재(5) 사이에 무근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다짐면(6)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투수성 채움재(5)의 하부에는 투수성 채움재(50)의 채움 이전에 투수된 물이 유도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공관(5a)을 설치하여 하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순차적으로 블록식 옹벽(1) 적층 후 그 배면에 투수성 채움재(5)를 채움 및 다짐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 제5 단계 -
본 단계는 상술한 제4 단계에서의 블록식 옹벽(1)의 적층 및 투수성 채움재(5)의 채움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되, 구조계산에 의해 계획된 높이에 배치될 블록식 옹벽(1) 후면에는 투수성 채움재(5)를 채우것 대신 도 8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갈고리 철근(1a)을 형성하고, 이 갈고리 철근(1a)에 끼워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바(10)를 결합하여 절토사면(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소일네일링(30)과 블록식 옹벽(1)에 결합된 수평바(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0)를 결합하여 계획된 높이에 형성되는 블록식 옹벽(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록식 옹벽(1)을 적층하여 5m를 초과한 높이로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 5m 초과시 구조적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 위치의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을 연결할 수 있는 위치를 계산하여 이를 연결시킴으로써 기존 블록식 옹벽(1)을 통해 구현할 수 없었던 높이까지 옹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식 옹벽(1)의 갈고리 철근(1a)에 수평바(10)가 끼워지고, 이 수평바(10)에 소일네일링(30)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20)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소일네일링(30)과 블록식 옹벽(1) 사이의 위치가 일부 오차가 있다 할지라도 수평바(10) 내에서 연결부재(20)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오차에 의한 시공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10)와 소일네일링(30)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20)는
절토사면(2)에 소일네일링(30)을 시공한 이후에 블록식 옹벽(1)을 적층하고, 구조계산을 통해 얻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는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을 연결부재(20)를 이용해 연결하여 일체화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연결부재(20)는 도 9에서와 같이 봉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바(10)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스파이럴 철근(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파이럴 철근(21)에 결합하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철재고리(22)가 형성되며, 상기 철재고리(22)의 일측으로는 봉형태의 강봉(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강봉(23)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23a)에 의해 소일네일링(30)에 결합되어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는 수평바(10) 내에서 수평바(10)가 연장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소일네일링(30)과의 수평 위치가 맞지않을 경우 수평바(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결부재(20)의 스파이럴 철근(21)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수평바(10) ↔ 스파이럴 철근(21), 스파이럴 철근(21) ↔ 철재고리(22)의 결합이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현장 여건상 소일네일링(30)이 설치된 위치와 블록식 옹벽(1)의 설치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이를 보정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을 일체화시켜 지지력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6 단계 -
본 단계는 상기 제5 단계에서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가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콘크리트 보강층(40)을 형성하여 그 공간 내에 배치된 연결부재(20)의 구조적 안정성 및 외부 환경에 의한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해당 위치의 블록식 옹벽(1)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특히,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20)에는 스파이럴 철근(21)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파이럴 철근(21)은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보강층(40) 형성을 위해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그 사이로 스며들어가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보강층(40)에는 다수의 투수관(41)을 형성하여 투수성 채움재(5)를 통해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제7 단계 -
본 단계는 상기 제5, 6단계에서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되었던 높이 위치의 상측으로 제4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블록식 옹벽(1) 및 투수성 채움재(5)를 계획된 높이만큼 적층하여 옹벽 시공을 마무리하기 위한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3 단계 이후 절토사면(2)과 투수성 채움재(5)가 채워지는 하측면으로 부직포(4)를 더 형성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된 옹벽은 계획된 높이에 설치되는 블록식 옹벽(1)과 소일네일링(30)이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더 높은 위치까지 블록식 옹벽(1)을 적층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일네일링(30)의 설치위치와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된 높이 위치에 있는 블록식 옹벽(1) 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재(20)가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연결부재(20)가 배치된 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 콘크리트 보강층(40)을 형성하여 블록식 옹벽(1)과 절토사면(2)에 고정된 소일네일링(30)을 일체화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보강층(40) 내에 다수의 투수관(41)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한 물은 유공관(5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 : 블록식 옹벽 1a : 갈고리 철근
2 : 절토사면
3 : 기초면
4 : 부직포
5 : 투수성 채움재 5a : 유공관
6 : 다짐면
10 : 수평바
20 : 연결부재
21 : 스파이럴 철근 22 : 철재고리 23 : 강봉 23a : 나사산
30 : 소일네일링
40 : 콘크리트 보강층 41 : 투수관

Claims (5)

  1. 블록식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절토사면에 소일네일링을 설치하는 제1 단계;
    블록식 옹벽을 설치할 지반을 터파기 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의 터파기한 공간 내의 바닥면에 채움 및 레벨링을 실시하여 블록식 옹벽을 배치하기 위한 기초면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한 기초면에 블록식 옹벽의 적층시 최 하단에 배치하는 블록식 옹벽 설치 후 블록식 옹벽의 배면 바닥면에 유공관 및 투수성 채움재를 먼저 설치하고, 그 이후 블록식 옹벽을 다단형태로 적층하되, 일정 높이만큼 블록식 옹벽을 적층한 후에는 블록식 옹벽의 배면과 절토사면 사이에 투수성 채움재를 채움작업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블록식 옹벽 및 투수성 채움재를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하되, 구조계산을 통해 산출된 높이에 적층되는 블록식 옹벽들의 배면에는 갈고리 철근 및 이에 결합하는 수평바를 형성하고, 절토사면에 고정 결합하는 소일네일과 갈고리 철근에 결합된 수평바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일정 높이에 있는 블록식 옹벽을 고정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소일네일링 및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블록식 옹벽들의 배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 이후 계획된 높이까지 블록식 옹벽 및 투수성 채움재를 적층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연결부재는, 블록식 옹벽 배면에 형성된 갈고리 철근 내에 삽입하는 수평바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스파이럴 철근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 철근에 결합하는 원형 형상의 철재고리 및 소일네일과 철재고리를 연결하는 강봉으로 구성되어 소일네일의 위치에 따라 수평바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 하 방향으로 방향을 조정하여 블록식 옹벽과 소일네일을 연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후 절토사면과 채움재가 채워지는 하측면으로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및 제6 단계에서의 투수성 채움재는 입도가 20 ∼ 40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기준으로 상, 하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투수관을 형성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60106083A 2016-08-22 2016-08-22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KR10167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83A KR10167328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83A KR10167328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285B1 true KR101673285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083A KR10167328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08B1 (ko) * 2017-01-23 2017-09-07 주식회사 코뉴 절토부 및 성토부의 옹벽시공을 위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864354B1 (ko) * 2017-08-07 2018-07-13 (주)케이에이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2673473B1 (ko)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자중식 채움 블록 및 속빈 블록의 혼합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44A (ko) * 2007-07-13 2009-01-16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산석을 이용한 옹벽
KR100975028B1 (ko) * 2009-10-01 2010-08-11 도일산업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 결합구조
KR101252133B1 (ko) * 2012-12-18 2013-04-08 주식회사 한길산업 절토부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수평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44A (ko) * 2007-07-13 2009-01-16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산석을 이용한 옹벽
KR100975028B1 (ko) * 2009-10-01 2010-08-11 도일산업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 결합구조
KR101252133B1 (ko) * 2012-12-18 2013-04-08 주식회사 한길산업 절토부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수평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08B1 (ko) * 2017-01-23 2017-09-07 주식회사 코뉴 절토부 및 성토부의 옹벽시공을 위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864354B1 (ko) * 2017-08-07 2018-07-13 (주)케이에이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2673473B1 (ko)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자중식 채움 블록 및 속빈 블록의 혼합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KR20140047118A (ko)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KR101673285B1 (ko) 가변형 연결구조와 소일네일링을 이용한 블록식 옹벽의 시공방법
CN109972638B (zh) 预制装配式薄壁模壳格构梁生态护坡的施工方法
KR101145393B1 (ko)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JP2020513075A (ja)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1775508B1 (ko) 절토부 및 성토부의 옹벽시공을 위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111655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JP6420090B2 (ja) 地盤の液状化対策工法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JP2003328374A (ja) 擁壁構造物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209854748U (zh) 一种预制装配式薄壁模壳格构梁生态护坡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JP7101408B2 (ja) 現場打設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50702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성토부 축조방법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20090084571A (ko) 토목 벽제 건설용 블록구조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