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15B1 -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15B1
KR101672115B1 KR1020147034463A KR20147034463A KR101672115B1 KR 101672115 B1 KR101672115 B1 KR 101672115B1 KR 1020147034463 A KR1020147034463 A KR 1020147034463A KR 20147034463 A KR20147034463 A KR 20147034463A KR 101672115 B1 KR101672115 B1 KR 10167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ing means
reaction shaft
movable piston
channel
refrigeran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886A (ko
Inventor
뻬떼르 비외르끄룬드
아끼 라니넨
까를레 뻴또니에미
까를레 ?y또니에미
라우리 뻬소넨
Original Assignee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filed Critical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500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28Smelting or conve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28Smelting or converting
    • C22B15/0047Smelting or converting flash smelting or conve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6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8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using a flui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34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avoiding CO2, e.g. using hyd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원은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탁물 용융로는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을 가진 반응 샤프트 (1) 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 샤프트 (1) 는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가동 피스톤 (7) 을 가진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의 개구 (5) 에서 그리고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의 가능한 부산물을 밀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이 배열된다.

Description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MOVING OUTGROWTH IN A SUSPENSION SMELTING FURNACE}
본원은 독립항 1 의 전제부에 규정된 바와 같이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 (outgrowth) 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또한 독립항 10 의 전제부에 규정된 바와 같이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탁물 용융로의 정광 (concentrate) 버너에 의해 공급된,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용융된 미세 고형물들을 포함하는 부산물은 현탁물 용융로 반응 샤프트의 반응 샤프트의 내부에, 특히 정광 버너의 주변에서 반응 샤프트의 내부의 최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은 현탁물 용융 프로세스에 악영향을 준다.
당업계에는 이러한 부산물을 수동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반응 샤프트에는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작업은 더럽고 물리적으로 소모적이다.
공보 WO 2012/001238 에서는, 반응 샤프트 구조물을 가진 반응 샤프트, 하부로, 상승부 및 적어도 반응 가스와 구리 또는 니켈 정광과 같은 미세 고형물들을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뿐만 아니라 반응 샤프트 구조물과 정광 버너 사이의 냉각 블록에서 부산물 제거 수단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현탁물 용융로가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목적은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독립항 1 의 규정들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 2 내지 9 에서 규정된다.
본원의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이에 대응하여 독립항 10 의 규정들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 11 내지 19 에서 규정된다.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반응 샤프트에 부산물 제거 수단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추가적으로, 가동 피스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을 제공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이 반응 샤프트에서의 개구에서 그리고 반응 샤프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을 배열하는 것, 및 상기 반응 샤프트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분리하고 그리고 가능한 부산물이 반응 샤프트에 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에 의해 반응 샤프트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을 반응 샤프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반응 샤프트는 부산물 제거 수단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추가로 가동 피스톤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이 반응 샤프트에서의 개구에서 그리고 상기 반응 샤프트로 이동되어, 반응 샤프트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분리하고 그리고 가능한 부산물이 반응 샤프트에 떨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에 의해 반응 샤프트에서의 가능한 부산물을 밀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이 배열된다.
본 방법 및 본 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들을 제공한다. 정광 버너의 주변에 형성된 부산물로 인해 점화 구역이 노 아래로 추가로 이동하면, 반응 샤프트의 체적과 높이를 사용할 수 없고 그리고 효율이 떨어진다. 이는 노의 산소 이용 효율 (oxygen utilization efficiency) 의 저하를 유발한다.
부산물 형성물이 또한 정광 버너에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부산물 형성물로 인해 반응 샤프트에서의 산화 조건들이 변경되어, 반응 샤프트에서는 과산화 조건들 (over-oxidizing conditions) 을 가진 수직방향 섹션들, 즉 반응들에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산소를 포함하는 수직방향 섹션과, 아산화 조건들 (under-oxidizing conditions) 을 가진 섹션, 즉 반응들에 필요한 것보다 더 적은 산소를 포함하는 수직방향 섹션 둘 다를 형성할 것이고, 이 수직방향 섹션들은 다른 섹션들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가진다. 반응 샤프트에서의 상이한 수직방향 섹터들에 있어서, 반응 샤프트에는 상이한 양의 자철석 (Fe304) 이 형성될 것이다. 이는 침강기 슬래그 품질에 악영향을 주고, 예를 들어 Cu/Ni 손실들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반응 샤프트로부터 변하는 자철석 (Fe304) 이 형성되면, 이 또한 침강기 벽들 및 루프에서 변하는 자생 (보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너무 두꺼운 자생층은 노의 용융물 유지 용량을 저감시킬 것이고, 너무 얇은 자생층은 노의 수명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형성물 상황을 규칙적으로 보장하고 그리고 부산물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규칙적인 간격들로 피스톤들을 자동적으로 강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적합한 간격은 1 ~ 2 번/h 이며, 그로 인해 형성물을 밀고 이 형성물을 파괴하여 반응 샤프로 떨어지도록 한다.
정광 버너가 반응 샤프트로 연장되는 어퍼쳐를 가지고 그리고 반응 샤프트의 상부에 체결된 냉각 블록에서 순환하는 냉매에 있어서의 열손실들은 부산물 형성물 형성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냉각 블록은 다수의 수평방향 섹션들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섹션들은 냉매 유체용 채널을 가지며 그리고 각각의 블록에는 채널에서 냉매 유체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매 순환 수단에는 수평방향 섹션의 채널로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 수단 및 그에 대응하여 수평방향 섹션 유출 온도의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매 순환 수단에는 냉매 유체 유동 측정 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온도 측정 수단이 제공된다. 온도 및 유동 측정의 결과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이하의 식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향 섹션에 대하여 열손실 산출을 할 수 있다.
Q=cp*Vout*ro*(Tin-Tout)
여기에서,
Q 는 열손실이고,
cp 는 냉매 유체의 열용량이며,
Vout 는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이고,
ro 는 냉매 유체의 밀도이며,
Tin 는 채널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고,
Tout 는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다.
냉각 블록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향 섹션에 형성물이 형성되면, 산출된 열손실이 저하된다. 어떠한 섹션에 대하여 열손실이 절대 설정값으로서 또는 평균들 또는 최대에 기초한 산출값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설정된 한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들은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로 이동된 후 인출되어, 이러한 섹션에서의 형성물이 반응 샤프트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원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현탁물 용융로이다.
도 2 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상세도이다.
도 3 은 최대 8 개의 부산물 제거 수단을 위한 8 개의 개구들이 제공된 냉각 블록을 도시한다.
도 4 는 냉각 블록에서 냉매 채널들에 공급되고 또한 냉각 블록의 냉매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에서의 열손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 일 실시형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 는 냉각 블록에서 냉매 채널들에 공급되고 또한 냉각 블록의 냉매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에서의 열손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 일 실시형태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원은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반응 샤프트 (1), 상승부 (2) 및 하부로 (3) 뿐만 아니라 반응 가스 (도면들에 비도시) 및 미세 고형물들 (비도시), 예를 들어 정광,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니켈 정광, 매트 (matte) 및/또는 플럭스를 반응 샤프트 (1) 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4) 를 포함하는 현탁물 용융로를 도시한다. 이러한 현탁물 용융로의 작동은 예를 들어 핀란드특허공보 FI22694 에 개시되어 있다.
우선,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들과 이 실시형태들의 변형예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방법에 있어서 현탁물 용융로는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을 가진 반응 샤프트 (1) 및 적어도 반응 가스와 구리 또는 니켈 정광과 같은 미세 고형물들을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4) 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반응 샤프트 (1) 에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가동 피스톤 (7) 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이 반응 샤프트 (1) 에서의 개구 (5) 에서 그리고 반응 샤프트 (1) 로, 즉 반응 샤프트 (1) 의 내부 (도면부호로 표시하지 않음) 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서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서 반응 샤프트 (1) 에 존재하는 부산물을 밀도록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방법은 정광 버너 (4) 를 위한 어퍼쳐 (13) 를 가진 냉각 블록 (8), 냉각 블록 (8) 에 정광 버너 (4) 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 수단 (10), 및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냉각 블록 (8) 을 체결하기 위한 제 2 체결 수단 (11) 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의 상기 실시형태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냉각 블록 (8) 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의 상기 실시형태는 추가로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냉각 블록 (8) 을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 냉각 블록 (8) 은 제 2 체결 수단 (11) 을 사용하여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에 체결되고 또한 냉각 블록 (8) 은 제 1 체결 수단 (10) 을 사용하여 정광 버너 (4) 에 체결되며 그리고 정광 버너 (4) 는 반응 샤프트 (1) 로 연장된다. 냉각 블록은 예를 들어 구리로 제조될 수 있거나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에서는 8 개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8 개의 가동 피스톤들 (7) 을 위한 총 8 개의 개구들 (5) 을 가진 냉각 블록 (8) 을 도시한다.
본 방법이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블록 (8) 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면, 본 방법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냉각 블록 (8) 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 (도면들에 비도시) 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수단 (14) 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방법은 냉매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 에 공급함으로써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냉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를 측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를 측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열손실 (Q) 을 산출하는 것, 및 산출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열손실 (Q) 은 예를 들어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Q=cp*Vout*ro*(Tin-Tout)
여기에서,
Q 는 열손실이고,
cp 는 냉매 유체의 열용량이며,
Vout 는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이고,
ro 는 냉매 유체의 밀도이며,
Tin 는 채널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고,
Tout 는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냉각 블록 (8) 은 4 개의 수평방향 섹터 (도면부호로 표시하지 않음) 로 분리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각각의 수평방향 섹터는 냉매 유체를 위한 채널 (15) 을 가진다. 이러한 수평방향 섹터들의 각각에는 각각의 수평방향 섹터내의 열손실 (Q) 을 독립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제 1 온도 측정 수단 (16), 제 2 온도 측정 수단 (17), 및 유동 측정 수단 (19) 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열손실 (Q) 을 산출하는 것, 및 산출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면, 본 방법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산출된 열손실 (Q) 이 미리 정해진 값 (Q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열손실 (Q) 을 산출하는 것, 및 산출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면, 본 방법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여러 개의 산출된 열손실들 (Q) 을 사용하여 산출된 평균 열손실 (Qave) 이 미리 정해진 평균값 (Qave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내부의 상부에서 정광 버너 (4) 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정광 버너 (4) 에 부착하는 부착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서 공압식 실린더-피스톤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의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서 선형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기계식 액츄에이터, 유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 (12) 를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들과 이 실시형태들의 변형예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현탁물 용융로는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을 가진 반응 샤프트 (1) 및 적어도 반응 가스와 구리 또는 니켈 정광과 같은 미세 고형물들을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4) 를 포함한다.
반응 샤프트 (1) 는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가동 피스톤 (7) 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이 반응 샤프트 (1) 에서의 개구 (5) 에서 그리고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 존재하는 부산물을 밀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이 배열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장치는 정광 버너 (4) 를 위한 어퍼쳐 (13) 를 가진 냉각 블록 (8), 이 냉각 블록 (8) 에 정광 버너 (4) 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 수단 (10), 및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냉각 블록 (8) 을 체결하기 위한 제 2 체결 수단 (11) 을 포함한다. 이 냉각 블록 (8) 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가 제공된다. 냉각 블록 (8) 은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내부의 상부에 배열되어, 냉각 블록 (8) 은 제 2 체결 수단 (11) 을 사용하여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에 또한 제 1 체결 수단 (10) 을 사용하여 정광 버너 (4) 에 체결되고 그리고 정광 버너 (4) 는 반응 샤프트 (1) 로 연장된다. 냉각 블록은 예를 들어 구리로 제조될 수 있거나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에서는 8 개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8 개의 가동 피스톤들 (7) 을 위한 총 8 개의 개구들 (5) 을 가진 냉각 블록 (8) 을 도시한다.
본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블록 (8) 을 포함하면, 본 장치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냉매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함으로써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냉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냉각 블록 (8) 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수단 (14) 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온도 측정 수단 (16) 을 포함하고, 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온도 측정 수단 (17) 을 포함한다. 본 장치에는 제 1 온도 측정 수단 (16) 및 제 2 온도 측정 수단 (17) 이외에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측정하기 위한 유동 측정 수단 (19) 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이하의 식에 의해 열손실 (Q) 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18) 을 포함한다:
Q=cp*Vout*ro*(Tin-Tout)
여기에서,
Q 는 열손실이고,
cp 는 냉매 유체의 열용량이며,
Vout 는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이고,
ro 는 냉매 유체의 밀도이며,
Tin 는 채널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고,
Tout 는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장치는 산출 수단 (18) 에 의해 산출된 산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냉각 블록 (8) 은 4 개의 수평방향 섹터 (도면부호로 표시하지 않음) 로 분리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각각의 수평방향 섹터는 냉매 유체를 위한 채널 (15) 을 가진다. 이러한 수평방향 섹터들의 각각에는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온도 측정 수단 (16) 이 제공될 수 있고, 본 장치는 각각의 수평방향 섹터내의 산출된 열손실 (Q) 을 독립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온도 측정 수단 (17) 을 포함한다.
본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 수단 (18) 에 의해 산출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하면, 제어 장치 (12) 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산출된 열손실 (Q) 이 미리 정해진 값 (Q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 수단 (6) 에 의해 산출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하면, 제어 장치 (12) 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여러 개의 산출된 열손실들 (Q) 을 사용하여 산출된 열손실 (Qave) 이 미리 정해진 평균값 (Qave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현탁물 용융로의 반응 샤프트 (1) 의 내부의 상부에서 정광 버너 (4) 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정광 버너 (4) 에 부착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해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 공압식 실린더-피스톤-장치를 포함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이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기계식 액츄에이터, 유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게, 예를 들어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가동 피스톤 (7) 을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도록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원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원 및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20)

  1.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을 가진 반응 샤프트 (1) 및 적어도 반응 가스와 구리 또는 니켈 정광 (concentrate) 과 같은 미세 고형물들을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4) 를 포함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 (outgrowth) 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가동 피스톤 (7) 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공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이 상기 반응 샤프트 (1) 내의 개구 (5) 에서 그리고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배열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서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상기 부산물을 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
    상기 정광 버너 (4) 를 위한 어퍼쳐 (13) 를 가진 냉각 블록 (8), 상기 냉각 블록 (8) 에 상기 정광 버너 (4) 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 수단 (10), 및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상기 냉각 블록 (8) 을 체결하기 위한 제 2 체결 수단 (11) 을 제공하는 것,
    상기 냉각 블록 (8) 에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는 것,
    상기 냉각 블록 (8) 이 상기 제 2 체결 수단 (11) 을 사용하여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기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에 또한 상기 제 1 체결 수단 (10) 을 사용하여 상기 정광 버너 (4) 에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정광 버너 (4) 는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연장되도록 상기 냉각 블록 (8) 을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 체결하는 것,
    상기 냉각 블록 (8) 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순환 수단 (14) 을 제공하는 것,
    냉매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냉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를 측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를 측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측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열손실 (Q) 을 산출하는 것, 및
    산출된 상기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열손실 (Q) 이 미리 정해진 값 (Q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상기 부산물을 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산출된 열손실들 (Q) 을 사용하여 산출된 평균 열손실 (Qave) 이 미리 정해진 평균값 (Qave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부산물을 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상기 정광 버너 (4) 에 인접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광 버너 (4) 에서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해 공압식 실린더-피스톤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해 기계식 액츄에이터, 유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와 같은 선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 (12) 를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
  9.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을 가진 반응 샤프트 (1) 및 적어도 반응 가스와 구리 또는 니켈 정광과 같은 미세 고형물들을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 공급하기 위한 정광 버너 (4) 를 포함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반응 샤프트 (1) 는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가동 피스톤 (7) 을 가진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의 개구 (5) 에서 그리고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상기 부산물을 밀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이 배열되며,
    상기 정광 버너 (4) 를 위한 어퍼쳐 (13) 를 가진 냉각 블록 (8), 상기 냉각 블록 (8) 에 상기 정광 버너 (4) 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 수단 (10), 및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상기 냉각 블록 (8) 을 체결하기 위한 제 2 체결 수단 (11)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블록 (8) 에는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제공하며,
    상기 냉각 블록 (8) 이 상기 제 2 체결 수단 (11) 을 사용하여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기 반응 샤프트 구조물 (9) 에 또한 상기 제 1 체결 수단 (10) 을 사용하여 상기 정광 버너 (4) 에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정광 버너 (4) 는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연장되도록 상기 냉각 블록 (8) 은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장치는 냉매 유체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함으로써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냉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냉각 블록 (8)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순환 수단 (14)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온도 측정 수단 (16) 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온도 측정 수단 (17)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측정하기 위한 유동 측정 수단 (19)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 공급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유체의 온도 (Tou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체적 유동 (Vout) 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15) 에서 냉매 유체의 열손실 (Q) 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수단 (18)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산출 수단 (18) 에 의해 산출된 산출 열손실 (Q) 에 기초하여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12) 는 산출된 상기 열손실 (Q) 이 미리 정해진 값 (Q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상기 부산물을 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12) 는 여러 개의 산출된 열손실들 (Q) 을 사용하여 산출된 평균 열손실 (Qave) 이 미리 정해진 평균값 (Qaveset) 미만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에 의해 상기 반응 샤프트 (1) 에서 가능한 상기 부산물을 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물 용융로의 상기 반응 샤프트 (1) 의 상부에서 상기 정광 버너 (4) 에 인접한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가동 피스톤 (7)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5) 를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상기 정광 버너 (4)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식 실린더-피스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식 액츄에이터, 유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와 같은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6.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의 상기 가동 피스톤 (7) 을 상기 반응 샤프트 (1) 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산물 제거 수단 (6) 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 (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7034463A 2012-05-09 2013-05-08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KR10167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5499A FI124773B (fi) 2012-05-09 2012-05-09 Menetelmä ja järjestely kasvannaisten poistamiseksi suspensiosulatusuunissa
FI20125499 2012-05-09
PCT/FI2013/050509 WO2013167810A1 (en) 2012-05-09 2013-05-08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moving outgrowth in a suspension smelting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86A KR20150006886A (ko) 2015-01-19
KR101672115B1 true KR101672115B1 (ko) 2016-11-02

Family

ID=4955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463A KR101672115B1 (ko) 2012-05-09 2013-05-08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845993B2 (ko)
EP (1) EP2847532B1 (ko)
KR (1) KR101672115B1 (ko)
CN (1) CN104321606B (ko)
BR (1) BR112014027932A2 (ko)
CA (1) CA2870834C (ko)
CL (1) CL2014003022A1 (ko)
EA (1) EA026558B1 (ko)
ES (1) ES2728717T3 (ko)
FI (1) FI124773B (ko)
MX (1) MX2014013531A (ko)
PH (1) PH12014502395A1 (ko)
PL (1) PL2847532T3 (ko)
RS (1) RS58805B1 (ko)
TR (1) TR201908221T4 (ko)
WO (1) WO2013167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8464B1 (ru) * 2017-05-29 2021-08-31 Оутотек (Финлэнд) О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горелкой в печи для плавки во взвешенном состояни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461A (ja) 2007-09-04 2008-12-25 Kawasaki Plant Systems Ltd プラズマ式灰溶融炉の制御方法及びプラズマ式灰溶融炉
WO2012001238A1 (en) 2010-06-29 2012-01-05 Outotec Oyj Suspension smelting furnace and a concentrate bur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7251B1 (ko) 1971-09-22 1973-02-08 Steag Ag, 4300 Essen
JPS589945A (ja) 1981-07-09 1983-01-20 古河鉱業株式会社 水冷式ブレ−カ−及び自溶炉ベコ除去方法
JPH05240588A (ja) * 1992-02-26 1993-09-17 Daido Steel Co Ltd スラグ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2817595B2 (ja) * 1993-12-02 1998-10-30 日本鋼管株式会社 除滓装置の制御方法
US7017755B1 (en) * 2000-02-23 2006-03-28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Large coating lump removing device
CN1136428C (zh) * 2000-03-16 2004-01-28 冶金工业部钢铁研究总院 悬浮熔炼水冷坩埚
FI109938B (fi) 2000-06-29 2002-10-31 Outokumpu Oy Laite pölykasvannaisten poistamiseksi sulatusuunista
FI122703B (fi) * 2006-12-14 2012-05-31 Foster Wheeler Energia Oy Likaantuvan pinnan ravistuslaite
JP4499772B2 (ja) 2007-09-28 2010-07-07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自溶炉の点検孔構造体
US7832367B2 (en) * 2007-12-05 2010-11-16 Berry Metal Company Furnace panel leak detection system
FI121852B (fi) * 2009-10-19 2011-05-13 Outotec Oyj Menetelmä polttoainekaasun syöttämiseksi suspensiosulatusuunin reaktiokuiluun ja rikastepoltin
FI122306B (fi) 2009-12-11 2011-11-30 Outotec Oyj Järjestely suspensiosulatusuunin rikastepolttimen jauhemaisen kiintoaineen syötön tasaamiseks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461A (ja) 2007-09-04 2008-12-25 Kawasaki Plant Systems Ltd プラズマ式灰溶融炉の制御方法及びプラズマ式灰溶融炉
WO2012001238A1 (en) 2010-06-29 2012-01-05 Outotec Oyj Suspension smelting furnace and a concentrate bu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86A (ko) 2015-01-19
US20150102537A1 (en) 2015-04-16
FI124773B (fi) 2015-01-30
PH12014502395A1 (en) 2014-12-22
PL2847532T3 (pl) 2019-09-30
EP2847532B1 (en) 2019-03-13
EP2847532A4 (en) 2016-03-09
MX2014013531A (es) 2015-01-19
ES2728717T3 (es) 2019-10-28
CL2014003022A1 (es) 2015-02-20
EP2847532A1 (en) 2015-03-18
FI20125499A (fi) 2013-11-10
BR112014027932A2 (pt) 2018-04-10
RS58805B1 (sr) 2019-07-31
CA2870834C (en) 2017-01-17
CN104321606A (zh) 2015-01-28
EA201491903A1 (ru) 2015-06-30
WO2013167810A1 (en) 2013-11-14
CA2870834A1 (en) 2013-11-14
CN104321606B (zh) 2016-03-23
TR201908221T4 (tr) 2019-07-22
EA026558B1 (ru) 2017-04-28
US9845993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7015C (zh) 熔融金属容器中的熔融金属的排出口及熔融金属排出口的套筒更换装置
KR102004873B1 (ko) 방향성 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672115B1 (ko) 현탁물 용융로에서 부산물을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
JP5726614B2 (ja) 転炉の耐火レンガの冷却構造及びその方法
CN204185539U (zh) 一种炉前处理钛渣的装置
Rodd et al. SNNC: a new ferronickel smelter in Korea
JP5445744B2 (ja) 三相交流電極式円形電気炉とその炉体の冷却方法
JP2009085495A (ja) 鋳付き除去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5573005A (zh) 一种下阴极稀土电解槽
CN212902609U (zh) 侧吹熔炼炉
CN106241809B (zh) 电石生产成套设备
KR101860618B1 (ko) 서스펜션 제련로 및 정광 버너
AU2004201935A1 (en) Metallurgical 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cast iron
JP5061624B2 (ja) Rh真空脱ガス装置の溶鋼環流量推定方法及び環流用ガス吹き込み方法
JP5103942B2 (ja) Rh真空脱ガス装置の上昇側浸漬管
CN111649585A (zh) 侧吹熔炼炉
KR20180055821A (ko)
JP2008100248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連続鋳造方法
US3882261A (en) Electric furnace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refining of magnesium
JPS63137113A (ja) 溶融還元方法及び装置
CN215063666U (zh) 一种采用氧气顶吹熔炼冰铜的熔炼炉
CN220462220U (zh) 一种再生铜杆连续生产装置
RU64331U1 (ru) Печь автогенной плавки сульфидного сырья на штейн
JP4337579B2 (ja) 溶湯流路の切替装置
KR20240016791A (ko) 전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