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38B1 - 원료통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원료통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38B1
KR101670938B1 KR1020150078334A KR20150078334A KR101670938B1 KR 101670938 B1 KR101670938 B1 KR 101670938B1 KR 1020150078334 A KR1020150078334 A KR 1020150078334A KR 20150078334 A KR20150078334 A KR 20150078334A KR 101670938 B1 KR101670938 B1 KR 10167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ixing table
material container
passages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일
Original Assignee
최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양일 filed Critical 최양일
Priority to KR102015007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두 줄의 적재통로가 구비되고 각 적재통로에 2개씩의 원료통이 들어간 상태에서 각 원료통들이 개별적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적재통로에 원료통이 홀수로 적재되더라도 해당 원료통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고, 또한 원료통을 고정하는 수단이 원료통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도록 하여 무게중심의 차이로 인한 원료통의 전복이 방지되는 원료통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쌍의 포크끼움부를 갖는 팔레트의 상부에 상기 각 포크끼움부와 대응되는 한쌍의 적재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원통형의 원료통이 두개씩 적재되며, 상기 팔레트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으로 수직기둥이 세워지고, 상기 수직기둥들의 상단에는 상부수평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기둥들의 중간에는 상기 적재통로를 막지 않도록 중간수평기둥들이 구비된 원료통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후방에는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원료통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방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중간에는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두개의 원료통 사이에 놓여 이들의 대향면과 밀착되는 중앙고정대가 회동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전방에는 앞쪽에 놓이는 원료통의 전면과 밀착되는 전방고정대가 회동식으로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료통 운반장치{Raw material tank carrier}
본 발명은 원료통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원료통을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하되, 각 원료통을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원료통을 낱개로 하나씩 고정하거나 또는 쌍으로 묶어 4개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원료통을 홀수 또는 짝수로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원료통의 중간 부분에 고정수단이 마련되므로 무게중심이 안정되어 운반과정에서 전복사고를 막을 수 있는 원료통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레트(pallet)는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부분이 내부에 마련된 것으로서, 상부에는 운반대상물이 놓인다. 운반대상물은 포대에 담기거나 또는 압력용기 형태의 원형 원료통에 담기는데, 포대에 담긴 운반대상물의 경우 적층식으로 팔레트에 쌓이므로 적층 무게로 인하여 운반대상물들이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고정하는데 특별히 어려움이 없다.
종래 실용등록 제457124호는 팔레트의 사방으로 벽의 역할을 하는 판넬을 세워서 운반대상물이 내부에 담기도록 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팔레트는 포대에 담긴 대상물을 운반하는데 적당하나,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되는 원료통 같은 경우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액체가 담긴 원통형의 원료통 같은경우 수직으로 세워져 팔레트에 적재되므로 원료통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원료통 들이 충돌되지 않도록 중간에 완충성 패드를 끼워넣어서 충돌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된다. 종래 원통형의 원료통을 운반하는 팔레트의 경우 대부분 원료통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원료통들은 내부에 액체가 담긴 것이므로 운반과정에서 내부 액체의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원료통의 상부가 흔들리게 되므로 하부 고정방식은 맞지 않았다. 또한 각 원료통을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팔레트에 적재된 원료통들을 동시에 묶어 고정하다 보니 고정밴드를 여러번 무질서하게 감아 고정하거나 또는 팔레트의 입구쪽에서 앞쪽의 원료통을 가압하여 뒤쪽의 원료통이 밀리면서 함께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원료통을 적재하는 팔레트의 경우 대부분 두줄의 적재통로가 구비되고, 각 줄에 2개의 원료통이 들어가서 하나의 팔레트에 4개의 원료통을 적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위의 경우 팔레트의 입구쪽에 놓인 원료통을 눌러 뒤쪽의 원료통 까지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다 보니, 적재할 원료통이 짝수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홀수인 경우 어느 한줄에는 하나의 원료통만 들어가게 된다. 한줄에 하나만 적재되면 원료통이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앞쪽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므로 안쪽의 원료통을 고정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홀수로 적재되는 팔레트의 빈 공간에 원료통을 눌러줄 수 있는 다른 수단을 마련해야 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도록 두 줄의 적재통로가 구비되고 각 적재통로에 2개씩의 원료통이 들어간 상태에서 각 원료통들이 개별적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적재통로에 원료통이 홀수로 적재되더라도 해당 원료통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고, 또한 원료통을 고정하는 수단이 원료통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도록 하여 무게중심의 차이로 인한 원료통의 전복이 방지되는 원료통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쌍의 포크끼움부를 갖는 팔레트의 상부에 상기 각 포크끼움부와 대응되는 한쌍의 적재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원통형의 원료통이 두개씩 적재되며, 상기 팔레트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으로 수직기둥이 세워지고, 상기 수직기둥들의 상단에는 상부수평기둥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기둥들의 중간에는 상기 적재통로를 막지 않도록 중간수평기둥들이 구비된 원료통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후방에는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원료통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방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중간에는 상기 각 적재통로마다 두개의 원료통 사이에 놓여 이들의 대향면과 밀착되는 중앙고정대가 회동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중간수평기둥들의 전방에는 앞쪽에 놓이는 원료통의 전면과 밀착되는 전방고정대가 회동식으로 구비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레트의 상부에 두줄의 적재통로가 구비되는데, 각 적재통로에는 두개의 원료통이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진다. 상기 각 적재통로에는 후방고정대, 중앙고정대 및 전방고정대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후방고정대는 적재통로의 안쪽으로 끼워진 원료통의 후방 외주면과 밀착되어 원료통의 좌우측 흔들림을 막아준다.
상기 중앙고정대는 위쪽으로 90도 세워지는 구성인데, 원료통이 각 적재통로의 안쪽으로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뒤 다시 원상태의 수평으로 회동된다. 상기 중앙고정대에는 뒷면에 상기 안쪽 원료통의 전면과 닿는 패드가 구비되어 안쪽에 놓인 원료통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중앙고정대의 전면에는 원호형의 패드가 구비된다.
적재통로에 두번째 원료통이 끼워지면 상기 중앙고정대의 원호형 패드와 닿으면서 좌우측의 흔들림 방지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전방고정대를 회동시켜 각 적재통로를 닫으면 상기 전방고정대의 뒷면에 구비된 패드가 앞쪽의 원료통에 닿아 안쪽 및 앞쪽의 원료통들이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다수의 원료통을 여러대의 팔레트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팔레트에 한개 또는 세개의 원료통을 적재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만약 한개의 원료통만 적재해야 될 경우 전방고정대 및 중앙고정대를 회동시켜 적재통로를 개방시킨 뒤 원료통을 안쪽으로 밀어넣어 후방고정대와 밀착되도록 하고, 이후 중앙고정대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중앙고정대 뒷면의 패드가 안쪽 원료통의 전면과 밀착되도록 하면 적재통로에 하나의 원료통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를 짝수 또는 홀수로 적재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의 적재통로를 개방시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의 적재통로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에 원료통을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의 중앙고정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방장치의 평면도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는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쌍의 포크끼움부(11)를 갖는 팔레트(10)가 구비된다. 상기 팔레트(10)의 사방 모서리에는 수직으로 수직기둥(12)이 세워지는데, 상기 수직기둥(12)은 원료통(5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기둥(12)들의 상단에는 상부수평기둥(13)이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각 수직기둥(12)을 지탱한다.
상기 팔레트(10)는 각 포크끼움부(11)의 상측으로 상기 수직기둥(12)들로 감싸진 한쌍의 적재통로(10a)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기둥(12)들의 중간에는 중간수평기둥(14)이 구비된다. 상기 중간수평기둥(14)은 상기 적재통로(10a)를 가리지 않도록 일렬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중간수평기둥(14)의 안쪽에는 각 적재통로(10a)마다 후방고정대(2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고정대(20)는 원통형의 원료통(50)과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원료통(50)의 좌우측 흔들림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중간수평기둥(14)들의 중간에는 상기 각 적재통로(10a)를 개폐하는 회동식 중앙고정대(30)가 구비된다.
상기 각 중앙고정대(30)는 한쪽이 브래킷(33)을 통하여 상기 중간수평기둥(14)과 연결된다. 상기 브래킷(33)에 힌지축(34)을 통하여 상기 중앙고정대(30)의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34)은 브래킷(3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35) 및 버튼(36)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4)은 버튼(36)의 반대쪽으로 핀(37)이 구비되어 상기 중앙고정대(30)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중앙고정대(30)의 상면을 구속한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대(30)에는 수직으로 세워졌을때 상기 핀(37)에 끼워지는 핀구멍(3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고정대(30)의 자유단은 힌지(38a)를 통하여 연장부(38)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부(38)는 중앙고정대(30)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부수평기둥(13)과 간섭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38)가 힌지(38a)를 중심으로 접어져서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적재통로(10a)의 전방에는 전방고정대(40)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고정대(40)는 힌지(41)를 통하여 한쪽이 수직기둥(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은 각 적재통로(10a)의 중앙에 놓인 수직기둥(12)의 걸이부(15)에 걸친 상태로 놓인다.
그리고 상기 전방고정대(40) 및 중앙고정대(30)에는 원료통(50)과 닿는 패드(42)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고정대(30)에는 원료통(50)의 원호면과 밀착되는 원호형 패드(31) 및 직선형 패드(32)가 더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16은 중앙고정대(30)의 자유단에 형성된 연장부(38)가 놓이는 걸이부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운반장치는 원료통(50)을 각 적재통로(10a)에 두개씩 적재하거나 또는 어느 한 적재통로(10a)에 한개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원료통(50) 적재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으로 놓인 전방고정대(40)를 270도 회동시켜 각 적재통로(10a)의 앞쪽이 개방되도록 해준다. 이후 중앙고정대(30)를 수직으로 세워서 각 적재통로(10a)의 중간이 개방되도록 해준다. 상기 전방고정대(40)는 해당 자유단이 걸이구(15)에 단순히 놓이거나 또는 안전핀으로 꼽힌 상태이다. 따라서 안전핀을 뽑으면 전방고정대(4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대(30)는 버튼(36)을 누르면 핀(37)이 중앙고정대(30)의 상면에서 벗어나므로 이때 중앙고정대(30)를 수직으로 세운다. 이후 버튼(36)을 놓으면 압축된 스프링(35)이 복원되면서 핀(37)이 중앙고정대(30)의 핀구멍(30a)으로 들어가 상기 중앙고정대(30)가 수직으로 구속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원료통(50)을 바퀴(51)로 굴리면서 해당 적재통로(10a)에 밀어 넣으면 안쪽에서 후방고정대(20)와 밀착된다. 상기 후방고정대(20)는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원료통(50)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이후 중앙고정대(30)를 원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버튼(36)을 누르면 핀구멍(30a)에서 핀(37)이 빠지므로 중앙고정대(30)가 수평으로 회동되어 걸이구(16)에 자유단이 놓인다. 이후 두번째 원료통을 해당 적재통로(10a)에 밀어 넣고 전방고정대(40)를 원위치 시키면 전방의 원료통(50)은 전방고정대(40)의 패드(42) 및 중앙고정대(30)의 원호형 패드(31)와 밀착되고, 후방의 원료통(50)은 중앙고정대(30)의 패드(32) 및 후방고정대(20)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10 : 팔레트 10a : 적재통로
11 : 포크끼움부 12 : 수직기둥
13 : 상부수평기둥 14 : 중간수평기둥
20 : 후방고정대 30 : 중앙고정대
31 : 원호형 패드 32 : 패드
33 : 브래킷 34 : 힌지축
35 : 스프링 36 : 버튼
37 : 핀 40 : 전방고정대
41 : 힌지 42 : 패드
50 : 원료통

Claims (3)

  1.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쌍의 포크끼움부를 갖는 팔레트의 상부에 원료통이 양쪽으로 두 개씩 분리 적재되도록 후방고정대, 중앙고정대 및 전방고정대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앙고정대 및 전방고정대는 각 원료통의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양분되고 상기 양분된 중앙고정대는 상기 팔레트에 구비된 중간수평기둥의 브래킷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원료통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양단이 상기 브래킷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한쪽은 스프링 및 버튼이 구비되고, 반대쪽은 핀이 구비되어서 상기 중앙고정대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핀이 중앙고정대의 상면을 구속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중앙고정대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을 놓으면 상기 중앙고정대의 핀구멍으로 상기 핀이 끼워져 상기 중앙고정대가 수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통 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78334A 2015-06-03 2015-06-03 원료통 운반장치 KR10167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34A KR101670938B1 (ko) 2015-06-03 2015-06-03 원료통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34A KR101670938B1 (ko) 2015-06-03 2015-06-03 원료통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38B1 true KR101670938B1 (ko) 2016-10-31

Family

ID=5744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334A KR101670938B1 (ko) 2015-06-03 2015-06-03 원료통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3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209B1 (en) Pallet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car glass
JP3497129B2 (ja) 液体の搬送および貯蔵用容器
US68803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acking goods on a pallet
US20140126844A1 (en) Bulk Bag Carrier with Pallet
KR20110069867A (ko) 물품 운송
GB2291038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2019510703A (ja) パレットコンテナ
US20080190810A1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101540579B1 (ko) 포장 운송용 거치 장치
KR101670938B1 (ko) 원료통 운반장치
EP2855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ylindrical objects
JP2008056304A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KR200481456Y1 (ko) 운송용 거치대
CN210140139U (zh) 运输架
JP3187246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200355U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US3338402A (en) Receptacle for bottles or the like
JPH0624444A (ja) パレット容器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JP2006001593A (ja) ロール製品搬送用輸送形態
CN213620849U (zh) 一种仓储用钢托盘
JPH0320314Y2 (ko)
JP3191310U (ja) シリンダロール用コンテナ
US20030038052A1 (en) Shipping cage and vertical cargo
FR2582286A1 (fr) Conteneur de transport avec plateaux intercala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