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449B1 - 폐기물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449B1
KR101670449B1 KR1020150004080A KR20150004080A KR101670449B1 KR 101670449 B1 KR101670449 B1 KR 101670449B1 KR 1020150004080 A KR1020150004080 A KR 1020150004080A KR 20150004080 A KR20150004080 A KR 20150004080A KR 101670449 B1 KR101670449 B1 KR 10167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rum
waste
diaphragm
air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014A (ko
Inventor
이성일
구본상
박태신
이용진
허남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이앤씨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4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상기 격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공기가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는 상기 격판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과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경량 폐기물이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리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 장치{WASTE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대부분이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많은 양의 폐기물을 일시에 처리하기 위한 대규모의 부지가 확보되어야 하고, 매립비용이 과도하며, 침출수 등으로 인한 토양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부지에서 폐기물 처리가 가능하나, 소각 시설을 구비하는 데 드는 설비비용이 과도하고, 소각 후 남는 소각잔재를 결국에는 매립해야 하며, 소각시 발생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 오염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무작위로 매립된 혼합폐기물이나 새로이 버려지는 혼합폐기물은 그 처리를 위한 종류별 선별작업이 불가피하며, 혼합폐기물은 토사폐기물 및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돌덩어리와 쇠붙이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과 함께,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물도 함께 섞여 있는 관계로, 폐기물 전체를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작업하기 위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폐기물 선별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일 예로 선별하고자 하는 폐기물을 그 내부로 흡입하여 폐기물을 무게에 따라 선별하도록 구성된 폐기물 선별 장치를 들 수 있다. 종래의 폐기물 흡입선별장치는, 폐기물을 흡입할 시 경량 폐기물은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싸이클론으로 공급되고, 중량 폐기물은 흡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떨어져 배출되는 원리에 의해 폐기물을 선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폐기물 흡입선별장치는 혼합폐기물에 흡입력을 인가하였을 때, 비닐 등과 같은 경량의 폐기물이 병이나 쇠붙이 등과 같은 중량의 폐기물 밑에 깔려 있게 되면 선별장치 내로 흡입되지 못하고 중량의 폐기물과 같이 배출됨으로써 혼합폐기물의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기물 흡입선별장치는 시설을 구비하기 위해 과도하게 넓은 부지가 요구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폐기물 흡입선별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경량 폐기물과 중량 폐기물의 선별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고, 공간 집약적이며,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폐기물 선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상기 격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공기가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는 상기 격판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과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경량 폐기물이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리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격판을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격판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음압영역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탈착영역; 및 상기 탈착영역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지 않는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 드럼의 양 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내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지지영역이 삽입되도록 일 면 상에서 요입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영역과 맞닿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지지영역과 맞닿게 제공되는 실링 링에 의해 개구가 밀폐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상기 격판이 상기 회전 드럼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격판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고정되는 격판 고정부재; 및 상기 격판 고정부재 상에 고정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격판 삽입 가이드를 지지하는 격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격판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양 측에 제공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면에 맞닿아서 상기 음압영역과 상기 양압영역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단부에 상기 브러쉬가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관절 구조를 갖는 브러쉬 암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면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내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는, 단부에 상기 에어 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노즐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관절 구조를 갖는 노즐 암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노즐은,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노즐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에어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부분의 양 측에 제공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음압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상기 음압영역을 연결하는 흡기로; 상기 흡기로와 상기 음압영역을 연결하는 흡기구; 상기 송풍수단과 상기 양압영역을 연결하는 공급로; 및 상기 공급로와 상기 양압영역을 연결하는 공급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닛은, 폐기물을 상기 회전 드럼을 향해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라인;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중량 폐기물을 배출하는 중량폐기물 배출라인; 및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경량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량폐기물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량폐기물 배출라인은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경량폐기물 배출라인은 상기 회전 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본체의 수직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위치 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수평지지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와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 2 수평지지대; 및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 2 수평지지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위치조절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위치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나사; 및 상기 위치조절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위치조절나사와 계합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의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 폐기물과 중량 폐기물의 선별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고, 공간 집약적이며,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폐기물 선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기물 선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선별부의 본체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드럼을 펼친 모습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격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에어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회전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선별부의 드럼 내에 양압과 음압이 동시에 가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폐기물 선별 장치에 의해 쓰레기가 선별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폐기물 선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1)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중 금속 등 고중량의 폐기물과 비닐 등 저중량의 폐기물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폐기물 선별 장치(1)는 선별 유닛(20)의 송풍부(230)에 의해 표면에 일정 패턴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된 회전 드럼(204)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저중량의 폐기물들이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고중량의 폐기물들은 회전 드럼(204)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도록 하여, 투입되는 폐기물을 중량에 따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비닐 등과 같이 회전 드럼(204)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끌려와서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될 정도로 중량이 작은 저중량의 폐기물을 "경량 폐기물"이라고 칭하고, 쇠붙이 등과 같이 음압에 의해 끌려오지 않을 정도로 중량이 큰 고중량의 폐기물을 "중량 폐기물"이라고 칭하여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고, 선별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을 별도로 배출하는 이송 유닛(10), 이송 유닛(10)에 의해 이송된 폐기물을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분류하는 선별 유닛(20) 및 선별 유닛(20)의 본체(20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 유닛(30)을 포함한다.
이송 유닛(10)은 외부로부터 폐기물이 투입되는 제 1 폐기물 이송라인(110), 제 1 폐기물 이송라인(110)에서 투입된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이송하는 제 2 폐기물 이송라인(120), 선별 유닛(20)으로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라인(130), 선별 유닛(20)에 의해 선별된 중량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중량폐기물 배출라인(140) 및 선별 유닛(20)에 의해 선별된 경량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량폐기물 배출라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10)에 포함되는 각 라인(110, 120, 130, 140, 150)은 일 예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송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자유롭게 적용 가능하다.
제 1 폐기물 이송라인(1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상측으로 꺾여서 올라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폐기물 이송라인(110)의 단부의 하측에 제 2 폐기물 이송라인(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폐기물 이송라인(120)은 폐기물 투입라인(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폐기물 투입라인(130)으로 이송된 폐기물들을 투하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투하된 폐기물들은 폐기물 투입라인(130)에 의해 선별 유닛(20)으로 이송되어 중량에 따라 선별된다.
폐기물 투입라인(130)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는 선별 유닛(20)의 회전 드럼(204)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폐기물이 회전 드럼(204)을 향해 낙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낙하되는 폐기물 중 중량 폐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폐기물 투입라인(130)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의 직하방에 중량폐기물 배출라인(14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204)으로부터 이탈하는 경량 폐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경량폐기물 배출라인(150)이 회전 드럼(204)을 사이에 두고 폐기물 투입라인(13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선별 유닛(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선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선별부의 본체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별 유닛(20)은 본체(200), 본체(200)에 제공되는 회전 드럼(204)의 내부에 제공되는 격판부(210), 회전 드럼(204)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20) 및 격판부(210)의 격판(212)으로 구획된 회전 드럼(204)의 내부 중 일 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타 영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회전 드럼(204)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02)와, 지지 플레이트(202)와 회전 드럼(204)의 사이에 제공되어 지지 플레이트(20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드럼(204)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06)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202)는 회전 드럼(204)의 양 단부에서 회전 드럼(204)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02)는 회전 드럼(20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강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2)는 회전 드럼(204)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에는 위치조절 유닛(30)의 수평위치 조절부(30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20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부(206)는 지지 플레이트(202)에 고정되고, 지지 플레이트(202)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 연통홀(205)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 드럼(204)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홈(207)이 일 측 면에 요입 형성된다. 베어링부(206)는 용접 또는 볼팅 고정 등의 수단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02)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홈(207)은 베어링부(206)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삽입홈(207)의 내측으로 베어링(208)이 마찬가지로 베어링부(206)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며, 베어링(208)에 의해 회전 드럼(20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삽입홈(207)은 베어링(208)의 외측에서 회전 드럼(204)과 맞닿게 제공되는 실링 링(209)에 의해 개구가 밀폐될 수 있으며, 실링 링(209)은 회전 드럼(204)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한 개씩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링(209)은 고무 등 공기를 실링(sealing)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공기가 삽입홈(207)을 통해 회전 드럼(204)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회전 드럼(204)의 내부 공기가 삽입홈(207)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드럼(204)은 타공에 의해 일정 패턴으로 홀들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판재를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말아서 양 단을 용접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드럼(204)의 말기 전 상태의 판재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드럼을 펼친 모습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드럼(204)은 중앙 부분에 복수의 홀이 타공되어 형성된 탈착영역(204b)과, 탈착영역(204b) 외측의 타공되지 않은 지지영역(204a)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영역(204b)에 형성된 홀은, 외기가 회전 드럼(204)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경량 폐기물이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음압이 형성되거나, 회전 드럼(204)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경량 폐기물이 떨어져 나가기 위한 양압이 형성되도록 공기가 연통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영역(204a)에는 탈착영역(204b)과는 달리 홀이 형성되지 않으며, 베어링부(20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영역이다. 또한, 베어링부(206)의 삽입홈(207)에 회전 드럼(204)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일부가 삽입홈(207)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삽입홈(207)의 깊이와 같거나, 이보다 짧게 지지영역(204a)의 폭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회전 드럼(204)의 내부 공간은 격판부(210)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일 측 영역은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도 10: 2041)이고, 타 측 영역은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도 10: 2042)이 된다.
이하, 격판부(2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도 1의 격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격판부(210)는 회전 드럼(204)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212), 격판(212)이 회전 드럼(204)에 삽입 설치될 때 가이드하는 격판 삽입 가이드(214), 격판부(210)를 베어링부(206)에 고정시키는 격판 고정부재(215), 격판 고정부재(215) 상에 고정되어 격판(212)과 격판 삽입 가이드(214)를 지지하는 격판 지지부재(216) 및 격판 지지부재(216) 상에 연결되는 노즐 암(218)과 브러쉬 암(219)을 포함할 수 있다.
격판(212)은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일 예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격판(212)은 격판 삽입 가이드(21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 드럼(204)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판(212)이 격판 지지부재(216)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거나, 아예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격판 삽입 가이드(214)는 회전 드럼(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두 개의 빔이 격판(212)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격판(212)이 회전 드럼(204)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할 뿐만 아니라, 삽입이 완료된 격판(212)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자세를 고정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격판 지지부재(216)는 격판 삽입 가이드(214)와 마찬가지로 회전 드럼(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일의 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격판 삽입 가이드(214)를 구성하는 두 개의 빔과 고정되어 지지한다.
격판 고정부재(215)는 격판 지지부재(216)를 베어링부(206)와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회전 드럼(204) 양 측의 두 베어링부(206) 각각에 대하여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판 고정부재(215)가 회전 드럼(204) 양 측의 두 베어링부(206)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격판 삽입 가이드(214)와 마찬가지로 회전 드럼(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격판(212)은 회전 드럼(204)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술한 격판 삽입 가이드(214), 격판 지지부재(216) 및 격판 고정부재(215)는 회전 드럼(204)의 지름 방향 양 끝에 각각 한 개씩 제공될 수 있다.
격판 지지부재(216) 상에는 단부에 브러쉬(211)가 제공된 브러쉬 암(219)과, 단부에 에어 노즐(213)이 제공되는 노즐 암(218)이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암(218)과 브러쉬 암(219)은 이단 관절 구조로 구성되어 브러쉬(211)와 에어 노즐(21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암(219)과 노즐 암(218)이 이단 관절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단 이상의 관절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단일한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암(219)과 노즐 암(218)의 관절 구조에 의해 브러쉬(211)와 에어 노즐(21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브러쉬(211) 및 에어 노즐(213) 자체가 브러쉬 암(219) 및 노즐 암(218)에 대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브러쉬(211)는 회전 드럼(204)의 내면에 닿아서 음압영역(2041)과 양압영역(204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로써, 음압 및 양압이 형성되어 유지되는 것이 더 용이하며, 음압 및 양압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에너지가 그만큼 절감될 수 있다.
에어 노즐(213)은 회전 드럼(204)의 내측에서부터 공기를 불어내어 회전 드럼(204)의 외표면에 들러붙어서 채 떨어지지 않은 폐기물 찌꺼기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드럼(204)의 표면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으며,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형성된 홀들이 폐기물에 의해 막혀서 선별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에어 노즐(213)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1의 에어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 노즐(213)은 회전 드럼(20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 일 열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형성된 노즐 구멍(2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노즐(213)은 도시하지 않은 에어 공급 수단에 의해 세척용 공기가 공급되어 노즐 구멍(213b)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노즐(213)은 일 단이 상기 에어 공급 수단과 연결되고, 타 단은 폐쇄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상기 에어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양 단으로부터 동시에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에어 노즐(213)의 둘레에는 노즐 구멍(213b)이 형성된 부분의 양 측에 제공되는 에어 가이드(21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 가이드(213a)에 의해 노즐 구멍(213b)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용 공기가 어느 정도 직진성을 확보하면서 분사되어 세척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회전 드럼(204)은 회전 구동부(220)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하, 회전 구동부(2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는 도 1의 회전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구동부(220)는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20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2), 회전 드럼(204)과 연결된 제 1 풀리(224), 모터(222)와 연결되고 제 1 풀리(224)와 벨트(229)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풀리(226) 및 벨트(229)에 텐션(tension)을 가하는 텐션 풀리(228)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22)는 지지 플레이트(20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플랜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 1 풀리(224)는 회전 드럼(204)과 동일한 축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회전 드럼(204)의 둘레부, 그 중에서도 특히, 공기가 드나드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영역(204a)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풀리(226)는 모터(222)와 연결되어 모터(222)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고, 이를 벨트(229)를 통해 제 1 풀리(224)로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제 1 풀리(224)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 드럼(204)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송풍부(230)는 회전 드럼(204)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수단(232)을 포함한다. 송풍수단(232)은 회전 드럼(204)의 일 측 연통홀(205)과 연통하도록 베어링부(206)의 외측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공급구(238)와 흡기구(239)에 각각 연결된 공급로(234)와 흡기로(236)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할 수 있다.
공급구(238)는 회전 드럼(204)의 양압영역(2042)에 연결되어 송풍수단(232)으로부터 양압영역(2042)으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양압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흡기구(239)는 회전 드럼(204)의 음압영역(2041)에 연결되어 음압영역(2041) 내의 공기가 송풍수단(232)으로 흡입됨으로써 음압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급구(238)와 흡기구(239)는 격판(212)의 양 측에 대하여 각각 형성된다. 또한, 공급구(238)와 흡기구(239)가 서로 만나는 경계 부분이 격판(212)의 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구(238) 및 흡기구(239)는 회전 드럼(204)의 회전 구동부(220)가 제공된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 구동부(220)가 제공된 측의 회전 드럼(204)의 연통홀(205)은 폐쇄되어 공기가 드나들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구(238) 및 흡기구(239)와 연결된 공급로(234)와 흡기로(236)는 위치조절 유닛(30)에 의해 본체(2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스(bellows)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절 유닛(30)은 회전 드럼(20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수평지지대(302), 제 1 수평지지대(302)와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 2 수평지지대(304) 및 제 1 수평지지대(302)와 제 2 수평지지대(304)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3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 유닛(30)은 본체(20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 위치 조절부(310)와, 본체(200)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한다.
수직 위치 조절부(310)는 회전 드럼(204)의 양 측에 제공되는 지지 플레이트(202)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플레이트 연결부재(312), 지지 플레이트 연결부재(312)와 지지 플레이트(202)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313), 연결 플레이트(31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나사(314) 및 위치조절나사(314)에 계합되어 위치조절나사(31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본체(200)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위한 핸들(316)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316)은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평상시에는 회전이 고정되고, 본체(2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 지지 플레이트(202)에 대하여 각각 수직 위치 조절부(310)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일 측 핸들(316)의 고정수단이 해제될 때 타 측 핸들(316)의 고정수단도 함께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일 측의 핸들(316)을 조작하는 것 만으로도 본체(20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위치 조절부(310)가 양 측 지지 플레이트(202)에 대하여 각각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수직 위치 조절부(310)는 어느 한 측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평 위치 조절부(320)는 마주보는 두 면이 뚫려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쉘(shell) 형상의 위치조절박스(321), 위치조절박스(321) 내에 제공되는 휠 지지대(322) 및 휠 지지대(3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324)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박스(321)는 위치조절박스(321)에 연통하는 홀에 제 2 수평지지대(304)가 삽입된 상태로 제공되어, 위치조절박스(321)가 제 2 수평지지대(30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휠(324)은 제 2 수평지지대(304)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는 장홈(305)에 계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인력 또는 크레인 등에 의해 위치조절박스(321)를 제 2 수평지지대(304)를 따라 이동시킬 때 휠(324)이 장홈(305)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위치조절박스(321)의 상면에는 핸들(316)이 고정되며, 지지 플레이트(202)를 향하는 면에는 가이드 돌기(3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6)는 지지 플레이트(202)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홀(20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핸들(316)의 조작에 의해 본체(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위치가 고정된 가이드 돌기(326)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02)의 이동이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 돌기(326)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02)의 상하 방향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박스(321)가 제 2 수평지지대(304)를 따라 이동될 때, 핸들(316)에 계합된 위치조절나사(314)도 핸들(316)에 의해 밀리는 힘을 받고, 가이드 돌기(326)도 가이드 홀(203)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202)를 밀어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이로써, 위치조절박스(321)가 제 2 수평지지대(304)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면, 지지 플레이트(202)를 포함하는 본체(200)도 함께 수평 이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위치 조절부(302)에는 앞서 설명한 본체(200)의 수평 이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규제 수단은, 선별 유닛(20)이 가동중인 상황에서 본체(200)의 수평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수평 이동이 필요한 때에는 규제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규제 수단이 없더라도 본체(200) 자체의 자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선별 유닛(20)의 가동 중에는 위치가 어느 정도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0은 선별부의 드럼 내에 양압과 음압이 동시에 가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폐기물 선별 장치에 의해 쓰레기가 선별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폐기물이 투입되면, 제 1 폐기물 이송라인(110)과 제 2 폐기물 이송라인(120)을 거쳐서 폐기물 투입라인(130)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폐기물은 중량 폐기물(H)과 경량 폐기물(L)이 혼합된 상태이다.
또한, 선별 유닛(20)의 가동이 시작되고, 회전 구동부(220)의 모터(222)를 구동시키면, 제 1 풀리(224)의 회전이 시작되고, 제 1 풀리(224)와 벨트(229)로 연결된 제 2 풀리(226)도 회전이 시작되며, 제 2 풀리(226)와 연결된 회전 드럼(204)도 지지 플레이트(202)에 대하여 회전이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송풍부(230)의 송풍수단(232)이 가동되고, 공급로(234)를 통해 공급구(238)로 공기가 공급되어 양압영역(2042)이 형성되고, 흡기로(236)를 통해 흡기구(239)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음압영역(2041)이 형성된다.
이때, 음압영역(2041)과 양압영역(2042)을 구획하는 격판(212)의 격판 삽입 가이드(214)에 삽입된 말단부와 격판 지지부재(216) 사이의 갭과, 격판 고정부재(215)와 회전 드럼(204)의 내측면 사이의 갭 등 음압영역(2041)과 양압영역(2042) 사이를 연통하는 갭들이 일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갭들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부재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실링 부재들이 추가로 제공되지 않더라도, 브러쉬(211)에 의해 공기 유동이 어느 정도는 제한되고, 송풍수단(232)을 통해 지속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공기량이 공급되고 흡입되므로, 폐기물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음압영역(2041)은 격판(212)에 의해 구획된 회전 드럼(204) 내부의 두 영역 중 폐기물 투입라인(130)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양압영역(2042)은 두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폐기물 투입라인(130)으로부터 선별 유닛(20)을 향해 폐기물이 낙하하면, 중량 폐기물(H)은 회전 드럼(204)의 음압영역(2041)에 의한 음압에도 불구하고 중량이 무거우므로 중량폐기물 배출라인(140) 상으로 낙하하고, 경량 폐기물(L)은 음압영역(2041)에 의한 음압으로 인해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된다.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부착된 경량 폐기물(L)은 회전 드럼(204)과 함께 회전하면서 음압영역(2041)에서 양압영역(2042)으로 이동되고, 양압영역(2042)에서 회전 드럼(204)으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회전 드럼(204)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경량폐기물 배출라인(150) 상으로 낙하된다.
이러한 선별 유닛(20)의 작동에 따라, 중량 폐기물(H)은 중량폐기물 배출라인(140)으로, 경량 폐기물(L)은 경량폐기물 배출라인(150)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드럼(204)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표면에 경량 폐기물(L)이 부착되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작동 중 혹은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 에어 노즐(213)을 이용하여 회전 드럼(204)의 표면 클리닝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1)는, 경량 폐기물과 중량 폐기물의 선별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고, 공간 집약적이며,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폐기물 선별 장치 10: 이송 유닛
20: 선별 유닛 30: 위치조절 유닛
110: 제 1 폐기물 이송라인 120: 제 2 폐기물 이송라인
130: 폐기물 투입라인 140: 중량폐기물 배출라인
150: 경량폐기물 배출라인 200: 본체
202: 지지 플레이트 203: 가이드 홀
204: 회전 드럼 205: 연통홀
206: 베어링부 207: 삽입홈
208: 베어링 209: 실링 링
210: 격판부 211: 브러쉬
212: 격판 213: 에어 노즐
214: 격판 삽입 가이드 215: 격판 고정부재
216: 격판 지지부재 218: 노즐 암
219: 브러쉬 암 220: 회전 구동부
222: 모터 224: 제 1 풀리
226: 제 2 풀리 228: 텐션 풀리
229: 벨트 230: 송풍부
232: 송풍수단 234: 공급로
236: 흡기로 238: 공급구
239: 흡기구 302: 제 1 수평지지대
304: 제 2 수평지지대 305: 장홈
306: 수직지지대 310: 수직위치 조절부
312: 지지 플레이트 연결부재 313: 연결 플레이트
314: 위치조절나사 316: 핸들
320: 수평위치 조절부 321: 위치조절박스
322: 휠 지지대 324: 휠
326: 가이드 돌기 2041: 음압영역
2042: 양압영역

Claims (20)

  1.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상기 격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공기가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는 상기 격판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과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경량 폐기물이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리되고,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격판을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격판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음압영역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면에 맞닿아서 상기 음압영역과 상기 양압영역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탈착영역; 및
    상기 탈착영역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지 않는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 드럼의 양 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내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지지영역이 삽입되도록 일 면 상에서 요입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영역과 맞닿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지지영역과 맞닿게 제공되는 실링 링에 의해 개구가 밀폐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상기 격판이 상기 회전 드럼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격판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고정되는 격판 고정부재; 및
    상기 격판 고정부재 상에 고정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격판 삽입 가이드를 지지하는 격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격판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양 측에 제공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단부에 상기 브러쉬가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관절 구조를 갖는 브러쉬 암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2.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상기 격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공기가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는 상기 격판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과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경량 폐기물이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리되고,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격판을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격판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음압영역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면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내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단부에 상기 에어 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노즐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관절 구조를 갖는 노즐 암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은,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노즐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에어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부분의 양 측에 제공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음압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상기 음압영역을 연결하는 흡기로;
    상기 흡기로와 상기 음압영역을 연결하는 흡기구;
    상기 송풍수단과 상기 양압영역을 연결하는 공급로; 및
    상기 공급로와 상기 양압영역을 연결하는 공급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폐기물을 상기 회전 드럼을 향해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라인;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중량 폐기물을 배출하는 중량폐기물 배출라인; 및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경량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량폐기물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량폐기물 배출라인은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폐기물이 투입되는 측 단부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경량폐기물 배출라인은 상기 회전 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폐기물 투입라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9. 외부로부터 투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상기 격판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폐기물을 전달받아서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공기가 연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는 상기 격판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음압영역과 양압이 형성되는 양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경량 폐기물이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리되고,
    상기 선별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격판을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격판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음압영역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양압영역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본체의 수직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위치 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수평지지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와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 2 수평지지대; 및
    상기 제 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 2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 2 수평지지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위치조절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위치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나사; 및
    상기 위치조절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위치조절나사와 계합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의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폐기물 선별 장치.
KR1020150004080A 2015-01-12 2015-01-12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67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80A KR101670449B1 (ko) 2015-01-12 2015-01-12 폐기물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80A KR101670449B1 (ko) 2015-01-12 2015-01-12 폐기물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14A KR20160087014A (ko) 2016-07-21
KR101670449B1 true KR101670449B1 (ko) 2016-10-31

Family

ID=5668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80A KR101670449B1 (ko) 2015-01-12 2015-01-12 폐기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23B1 (ko) * 2018-07-09 2020-06-05 엠엔테크(주)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장치
CN112327378B (zh) * 2020-11-02 2023-10-20 合肥格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x光机跨境物品图像查验系统
KR102505781B1 (ko) *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N115090527B (zh) * 2022-06-14 2023-09-15 江苏隽诺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负压滚筒选膜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278A (en) 1977-10-04 1979-08-21 Irving Jaffey Separator for shredded materi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278A (en) 1977-10-04 1979-08-21 Irving Jaffey Separator for shredded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14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449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ES2890878T3 (es) Clasificación de materiales de desecho
JP4693882B2 (ja) 吸引風力式選別装置
JP5465589B2 (ja) 廃棄物選別処理装置
JP2012020215A (ja) 廃棄物選別処理装置
KR102111567B1 (ko)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JP2018075521A (ja) 選別装置
CN106362962A (zh) 一种隔离振源的两层履带式色选机
KR101046574B1 (ko)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JP5156055B2 (ja) 吸引風力式選別装置
KR101136058B1 (ko) 스크린 순환벨트 방식의 비닐류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류 쓰레기 선별방법
JP2017213490A (ja) 揺動選別機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KR101804507B1 (ko) 선별장치
KR101904148B1 (ko) 유속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기
KR102168370B1 (ko) 쇼트 블라스터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101053468B1 (ko)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류 선별장치
RU2333038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ортировальный стол
KR101956753B1 (ko) 재활용 쓰레기 형상 선별장치
KR20130141265A (ko) 폐비닐 선별장치
JP3420099B2 (ja) 廃棄物選別装置
CN219702677U (zh) 一种筛选装置及筛选系统
KR101402598B1 (ko) 디스크 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