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265A - 폐비닐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265A
KR20130141265A KR1020120064546A KR20120064546A KR20130141265A KR 20130141265 A KR20130141265 A KR 20130141265A KR 1020120064546 A KR1020120064546 A KR 1020120064546A KR 20120064546 A KR20120064546 A KR 20120064546A KR 20130141265 A KR20130141265 A KR 2013014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waste
inlet
blowe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939B1 (ko
Inventor
이광성
Original Assignee
이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성 filed Critical 이광성
Priority to KR102012006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9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과 잔재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는 흡입부;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폐기물에 풍력을 발생시켜 상기 폐비닐을 상기 흡입부측으로 투입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흡입부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을 부압(負壓)에 의하여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폐비닐을 선별하던 것을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는 감소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비닐 선별장치{Assorting apparatus of waste vinyl}
본 발명은 폐비닐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풍력에 의해 폐비닐이 선별되도록 구비되는 폐비닐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혼합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고, 캔이나 병 또는 플라스틱 등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들을 선별하여 자원을 확보함으로서, 자원절약을 물론 혼합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 혼합폐기물을 선별하는 선별작업에 있어서,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폐비닐 등은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선별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폐비닐 선별작업을 일일이 수행하다 보면 작업자는 피로도를 느끼게 되고 결국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문헌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4419호에는, 일단에 폐기물 정량공급기와, 공기투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사이클론과 함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선별덕트와, 상기 선별덕트 바닥에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는 선별호퍼 및 상기 공기투입구 전방에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풍압조절판이 구비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경사덕트를 포함하는 풍력 비중 선별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풍력 비중 선별장치는, 사이클론과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선별덕트가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의 분사드럼 및 풍압조절판이 각각 설치되어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투입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비산먼지, 종이 및 비닐 등을 사이클론에 배출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드럼은, 단지 공기투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분할 집중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이는 공기 배출구의 단부까지 풍력이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산먼지, 종이 및 비닐 등은 공기배출구에서 막힘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며, 나아가 풍력에 의해 선별되어 이동하는 폐비닐이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폐비닐 선별작업이 향상되는 폐비닐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비닐과 잔재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는 흡입부;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폐기물에 풍력을 발생시켜 상기 폐비닐을 상기 흡입부측으로 투입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흡입부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을 부압(負壓)에 의하여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을 상기 흡입부의 내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흡입부의 유입구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폐비닐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폐비닐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유입구 쪽에서 멀어질수록 통과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력부는, 풍력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기와, 상기 제1송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의 유입구측으로 풍력을 공급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와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일측에서 고속의 바람을 송풍하여 부압에 의해 상기 흡입부 상의 상기 폐비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더욱이 풍력에 의해 이동되는 폐비닐이 흡입부의 내측으로 더 이동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폐비닐은 막힘없이 용이하게 배출된다.
게다가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폐비닐을 선별하던 것을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어, 인력의 감소와 함께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극대화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100)는, 폐비닐(1)과, 잔재(2)를 포함하는 폐기물(10)을 풍력에 의해 상기 폐비닐(1)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흡입부(110)와, 풍력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110)는, 상기 폐비닐(1)과, 잔재(2)를 포함하는 폐기물(10)을 운반하는 컨베이어(20)의 배출단부(21)에 구비된다.
이러한 흡입부(110)는, 상기 폐기물(10)중 풍력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폐비닐(1)이 선별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1)와 이동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11)는 양측이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폐비닐(1)이 유입되어 이동하도록 유입공간(111a)을 형성한다. 부연하면,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컨베이어(20)의 배출단부(21)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0)에서 낙하되는 상기 폐비닐(1)과, 잔재(2)를 포함하는 폐기물(10)중 상기 폐비닐(1)이 풍력에 의해 투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111a)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입구(111)를 사각의 형상의 프레임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즉, 원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112)는, 일 단부가 상기 유입구(111)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후술(後術)할 송풍관(131)의 측면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12)의 내측은, 상기 유입공간(111a)과 연통되는 이동공간(112a)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공간(112a)은, 상기 유입공간(111a)상에 투입된 폐비닐(1)이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112)의 내측은, 상기 유입구(111) 쪽에서 멀어질수록 통과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112)의 타 단부는 송풍관(131) 내부에서 풍력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성형 된다.
부연하면, 상기 이동부(112) 내측의 통과단면을 축소되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112) 내에 이동된 폐비닐(1)은 비산되지 않고 송풍관(131)의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112)의 타단부가 송풍관(131) 내의 풍력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112) 내에 이동된 폐비닐(1)은 송풍관(131)으로 용이하게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풍력부(120)는, 제1송풍기(121)와, 덕트(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풍력부(120)는, 상기 컨베이어(20)의 배출단부(21)에서 낙하되는 상기 폐기물(10)중 비중이 가벼운 폐비닐(1)이 상기 흡입부(110)로 투입되도록 풍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송풍기(121)는, 상기 컨베이어(20)의 배출단부(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송풍기(121)는, 팬(Fan)의 회전에 의해 풍력을 발생시켜 상기 덕트(122)에 풍력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제1송풍기(121)가 풍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면, 팬(Fan)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덕트(122)는, 상기 제1송풍기(121)에 연결된다. 이러한 덕트(122)는 상기 제1송풍기(121)의 풍력이 이동될 수 있도록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된 상기 덕트(122)는, 상기 폐기물(10)의 낙하부위를 향하여 절곡된다. 특히, 상기 덕트(122)의 단부 일측은 단면이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덕트(122)의 단면이 축소됨에 따라, 상기 덕트(122)에서 배출되는 풍력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흡입부(110)에 유입된 폐비닐(1)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송풍관(131)과, 제2송풍기(132)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관(131)은, 상기 이동부(112)의 측면에서 상기 이동부(112)의 방향과 횡 방향으로 관통 된다. 특히, 상기 이동부(112)의 측면에 관통된 상기 송풍관(131)은, 상기 이동부(112)의 이동공간(112a)과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부(131a)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31a)는, 상기 이동부(112)상으로 이동된 상기 폐비닐(1)이 상기 송풍관(131)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입구(入口)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송풍기(132)는, 상기 송풍관(131)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고압의 바람을 송풍한다. 특히, 상기 제2송풍기(132)는 부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112)상의 폐비닐(1)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2송풍기(132)는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에 고속의 바람 즉, 풍압(風壓)을 발생시키면,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은 상기 이동부(112)의 내측보다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112)상에 유입된 상기 폐비닐(1)은, 부압에 의해 상기 개구부(131a)를 통하여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송풍관(131)의 폐비닐(1)은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가정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재생 가능한 생활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미도시)으로 수거된다. 그리고 페트병, PE, PP, 알루미늄 캔, 파지 및 공병 등 종류별로 각각 선별과정을 거친다.
위와 같은 선별과정을 거쳐 남게 되는 폐비닐(1)과 잔재(2)를 포함하는 폐기물(10)은, 컨베이어(20)의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0)의 배출단부(21)에서 하측의 배출컨베이어(30)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배출단부(21)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풍력부(120)는, 상기 배출단부(21)에서 낙하된 상기 폐기물(10)에 풍력을 송풍한다. 그러면 상기 풍력부(120)에 대향하는 상기 흡입부(110)의 유입구(111)측으로 비중이 가벼운 상기 폐비닐(1)은 풍력에 의해 투입되고, 비중이 무거운 유리나 고무조각들은 상기 배출컨베이어(30)로 낙하되고, 다시 잔재수납부(40)로 배출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풍력부(120)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로 투입된 상기 폐비닐(1)은 풍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112)상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부(130)의 제2송풍기(132)를 가동한다. 이때 상기 제2송풍기(132)는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고속의 바람을 송풍한다. 그러면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은 상기 제2송풍기(132)에 의해 풍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송풍관(131)은 상기 이동부(112)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이동부(112)상의 폐비닐(1)은 부압에 의해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끝으로, 상기 송풍관(131)의 내측으로 흡입된 상기 폐비닐(1)은, 상기 제2송풍기(132)의 계속되는 풍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비닐 선별장치(100)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폐비닐(1)을 선별하던 것을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어, 인력의 감소와 함께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극대화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를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첨보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선별장치(200)는, 복수의 분사노즐(14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140)은, 상기 흡입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110)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1)이 상기 흡입부(110)의 내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분사노즐(140)은 상기 흡입부(110)의 유입구(111)의 단부에서 상기 흡입부(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흡입부(110)의 일 측에는 상기 분사노즐(14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40a)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부(140a)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공기공급부(140a)의 일측에 분기된 복수의 분기관(140b)을 통해 상기 각 분사노즐(14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140)은 공기가 분사되는 노즐의 입구 방향이 상기 흡입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왜냐하면, 상기 풍력부(120)의 풍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112)로 이동된 폐비닐(1)이 상기 개구부(131a)측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140)에 의해 상기 흡입부(110)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1)은, 상기 이동부(112)의 내측에서 낙하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131a)구까지 더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30)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상기 폐비닐(1)은 모두 상기 송풍관(131)으로 흡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비닐 선별장치(200)는, 풍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폐비닐(1)을 상기 개구부(131a)까지 더 이동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140)을 설치하여, 상기 폐비닐(1)은 막힘없이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 폐비닐 선별장치 110: 흡입부
111: 유입구 111a: 유입공간
112: 이동부 112a: 이동공간
120: 풍력부 121: 제1송풍기
122: 덕트 130: 배출부
131: 송풍관 131a: 개구부
132: 제2송풍기 140: 분사노즐
140a: 공기공급부 140b: 분기관
10: 폐기물 20: 컨베이어
21: 배출단부 30:배출컨베이어
40: 잔재수납부 1: 폐비닐
2: 잔재

Claims (7)

  1. 폐비닐과 잔재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는 흡입부;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폐기물에 풍력을 발생시켜 상기 폐비닐을 상기 흡입부측으로 투입시키는 풍력부; 및
    상기 흡입부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을 부압(負壓)에 의하여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에 투입된 상기 폐비닐을 상기 흡입부의 내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흡입부의 유입구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폐비닐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폐비닐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유입구 쪽에서 멀어질수록 통과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부는,
    풍력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기와,
    상기 제1송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의 유입구측으로 풍력을 공급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와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일측에서 고속의 바람을 송풍하여 부압에 의해 상기 흡입부 상의 상기 폐비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폐비닐 선별장치.
KR1020120064546A 2012-06-15 2012-06-15 폐비닐 선별장치 KR10147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46A KR101473939B1 (ko) 2012-06-15 2012-06-15 폐비닐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46A KR101473939B1 (ko) 2012-06-15 2012-06-15 폐비닐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265A true KR20130141265A (ko) 2013-12-26
KR101473939B1 KR101473939B1 (ko) 2014-12-17

Family

ID=4998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546A KR101473939B1 (ko) 2012-06-15 2012-06-15 폐비닐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18B1 (ko) * 2019-03-18 2019-10-18 이호신 폐비닐 선별장치
KR102533914B1 (ko) * 2023-01-27 2023-05-17 김성 비닐 분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776B1 (ko) * 2023-04-20 2024-01-24 서민기 중앙투입·無쏠림형 골재펼침·균일분배분사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폐기물 분리선별용 진동선별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7845B1 (en) 2000-06-19 2002-08-06 Midamerica Recycling Company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tic bags from cans and/or bottles
JP4272617B2 (ja) 2004-12-17 2009-06-03 株式会社中山鉄工所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KR100862015B1 (ko) 2007-01-24 2008-10-07 뉴클린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18B1 (ko) * 2019-03-18 2019-10-18 이호신 폐비닐 선별장치
KR102533914B1 (ko) * 2023-01-27 2023-05-17 김성 비닐 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939B1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635B1 (ko) 풍력비중선별기
KR101938656B1 (ko)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101816278B1 (ko)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806725B1 (ko)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KR20140134829A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1473939B1 (ko) 폐비닐 선별장치
CN104174630A (zh) 生活垃圾卧式风选装置
CN203556574U (zh) 一种城镇生活垃圾立式分选装置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0801530B1 (ko) 풍력을 이용한 생활폐기물 선별방법과 그 장치
KR20070094464A (ko) 공기분사식 쓰레기 선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선별장치
CN106541513B (zh) 一种物料分选除尘系统
KR101816909B1 (ko)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792027B1 (ko) 풍력비중선별장치
KR100909894B1 (ko) 악취발생을 줄인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와 그 방법
KR102630107B1 (ko) 폐기물 재활용 스크린선별기를 갖는 풍력선별기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CN213079131U (zh) 物料分选装置
CN208213655U (zh) 一种利于环保的垃圾分类风选机
KR20190001123A (ko)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KR100528131B1 (ko)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KR20140047286A (ko) 비닐 및 필름류쓰레기의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