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67B1 -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67B1
KR102111567B1 KR1020180051260A KR20180051260A KR102111567B1 KR 102111567 B1 KR102111567 B1 KR 102111567B1 KR 1020180051260 A KR1020180051260 A KR 1020180051260A KR 20180051260 A KR20180051260 A KR 20180051260A KR 102111567 B1 KR102111567 B1 KR 10211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loat
impact roller
remov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05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8005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벨트가 회전하도록 하는 헤드 풀리와, 상기 헤드 풀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팁과, 상기 헤드 풀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팁에 의해 부유물이 제거된 벨트의 표면을 밀착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임팩트 롤러와, 상기 임팩트 롤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하부에 타격을 가하여 잔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비트 클리너와, 상기 임팩트 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된 부유물을 수집하는 드랍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An apparatus of exclude floating matter using belt speed}
본 발명은 이송용 벨트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오염물 등을 벨트 속도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부유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 사이에 설치되어 원료 등을 자동으로 연속 이동하는 장치로서, 제철소나 발전소 또는 제분공장에서는 원료를 이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를 널리 사용한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리턴 벨트 측에는 원료 배출 후 벨트에 묻어 떨어지지 않은 원료의 찌꺼기나 오염물, 이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부유물 제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에 부착된 부유물을 고무, 초경합금 또는 합성 플라스틱 소재의 팁(3, 또는 팁(Tip)을 사용한 클리너)에만 의존하여 제거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고무, 초경합금 또는 플라스틱 합성 소재의 팁(3)이 마모되었을 때 부유물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벨트(1) 표면에 부착된 일부 부유물의 경우,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벨트(1) 아래의 바닥에 그대로 떨어지게 되어, 직접 인력을 고용하여 별도의 벨트와 설비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을 청소를 하는 등의 효율 저하와 작업환경의 오염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팁(3)의 벨트(1)와의 정확한 접촉을 전제로 하는 구조상의 제약에 따라, 팁(3)의 설치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예시적으로는 팁(3)의 폭, 길이, 높이 등이 벨트(1)의 폭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경우 등)나, 팁(3) 설치 이후 벨트(1)와의 마찰 등에 의해 팁(3)의 구조나 부착 형태 등이 변형되어 벨트(1)에 부착된 부유물 제거가 불충분하게 될 경우도 다수 존재하였다.
또한, 이 경우 제거되지 않고 팁(3)을 통과하여 벨트(1)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부유물이 스너브 풀리(Snub Pulley, 4)의 특정한 위치에 몰려 달라붙거나 엉기는 등 불규칙적으로 부착되고, 이로 인해 설비의 효율적 작동을 위해 벨트(1)의 안정적 회전 운동을 지지해야 하는 스너브 풀리(4)가 불균일하게 벨트(1)의 회전 운동, 즉 표면에 부착된 부유물에 의해 특정한 방향이나 편심으로 벨트(1)의 회전 운동을 변형시킴으로써, 전체 설비에 추가적인 부하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한 설비의 고장이나 오작동 등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의 제거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고, 편리성 및 설비의 안정성과 수명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벨트 속도 및 벨트 타격을 통한 부유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는, 이송용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외부 동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벨트가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헤드 풀리; 상기 헤드 풀리를 통과한 상기 벨트의 일부분의 표면에 밀착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임팩트 롤러; 및 상기 임팩트 롤러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벨트에 타격을 가하여 상기 벨트에 부착된 잔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비트 클리너;를 포함하되, 상기 비트 클리너는,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의 설정된 위치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파이브; 및 상기 파이프의 설정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 운동하는 상기 벨트와 꼭지점이 맞닿아 상기 벨트의 회전 운동에 의한 벨트 속도에 따라 상기 돌기와 상기 파이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동력원이 없이도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 제거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상기 돌기는, 크기와 모양, 두께가 같은 2 이상의 사각형 판재로 각각 형성되되, 각 돌기의 사각형 꼭지점과 인접한 다른 돌기의 꼭지점은 일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되어, 일정한 시간차로 상기 벨트의 설정된 이격 거리를 타격하여 보다 손쉽게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 제거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는 상기 헤드 풀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팁; 및 상기 임팩트 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트 클리너 및 상기 팁을 통해 제거된 부유물을 수집하는 드랍장치;를 포함하되,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물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상기 임팩트 롤러는 제1임팩트 롤러와, 상기 제1임팩트 롤러의 후방에 설치된 제2임팩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 클리너는 상기 제1임팩트 롤러와 상기 제2임팩트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비트 클리너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벨트가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상기 드랍장치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드랍박스; 상기 드랍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집된 부유물 및 수분을 분리하도록 하는 스크류 모듈; 및 상기 스크류 모듈에서 분리된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드랍박스는 무게, 온도 및 습도 센서가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드랍박스에 수집되는 부유물 및 수분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 모듈을 가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로도 제공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부유물의 제거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안정적 회전 운동을 지지함으로써, 부유물 제거 장치의 수명의 연장과 유지보수 관리에 있어 비용과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벨트에 부착되어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 등을 오염시킬 수 있는 부유물이 미리 설정된 구역으로 자동으로 수집, 제거될 수 있는 바, 부유물이 작업 공간 등의 바닥에 떨어져 내부 공간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이를 통한 작업 공간 및 작업 환경, 근로 조건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 역시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유물 제거 장치.
도 2및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비트 클리너.
도 4는 도 3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유물 제거 장치이고, 도 2 및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비트 클리너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2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속도 및 벨트타격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100)는, 벨트(1), 헤드 풀리(2), 팁(3), 스너브 풀리(4), 임팩트 롤러(5, 6), 비트 클리너(7) 및 드랍장치(8)를 포함하여, 벨트(1)를 통해 이송되는 석탄 등 이송물을 전달받는 이송슈트(90)에 전달되지 못한 석탄재 등의 이송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송슈트(90)는 회전운동하는 벨트(1)의 단부에서 떨어지는 석탄 등의 이송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벨트(1)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을 다른 목적하는 장소나 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대용량 슈트(Chute)를 지칭한다. 효과적인 이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슈트(90)는 만곡되고 또는 원형 깔때기 형태(round funnel-shaped)로 형성된 변이 구간이 슈트의 상단에 형성되며, 변이 구간 사이에 위치된 원형 로딩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슈트(90)의 구성 부분들은 외부 골격에 의해 지지되며 내식성 재료의 그 외 다른 유사한 형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석탄과 같은 대용량 이송물 등이 벨트(1)로부터 방출(이탈)될 때부터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헤드 풀리(2)는 외부의 동력원(모터 등)의 동력공급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로, 헤드 풀리(2)의 회전에 따라 이의 표면에 일부분이 맞닿아 있는 벨트(1) 역시 헤드 풀리(2)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된다.
헤드 풀리(2)는, 대형 부유물 제거 장치의 경우 스너브 풀리(4)와 함께, 벨트(1)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체로, 회전하는 헤드 풀리(2)의 표면을 따라 벨트(1)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팁(3)은 상기 헤드 풀리(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1)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팁(3)은 헤드 풀리(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1)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벨트(1)의 폭과 대응하여 형성된 도출된 판(3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3)은 벨트(1)에 부착되고, 벨트(1)의 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부유물 제거를 위해, 부유물 제거 장치의 설정된 일부분에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회전하는 벨트(1)에 밀착하여 벨트(1)에 부착된 부유물이 벨트(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교체 가능한 판(3a)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운동하는 벨트(1)의 속도나 방향, (긁음)제거가 필요한 부유물의 양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부착 및 탈착, 벨트(1)와의 밀착 정도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3a)은, 회전 운동하는 벨트(1)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나 변형 등을 고려하여, 마찰열과 마찰에 따른 충격에 저항할 수 있는 탄소섬유(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셀로로우즈 및 석유와 석탄 핏치를 프리커서로 하여 제조되는 탄소섬유 등)를 강화제로 사용된 플라스틱, 탄소를 매트릭스로 한 탄소/탄소복합재(C/C) 또는 탄소섬유에 실리콘카바이드를 매트릭스한 탄소/실리콘카바이드(C/SiC), 실리콘카바이드섬유에 실리콘카바이드를 매트릭스로 한 SiC/SiC 세라믹복합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도 2의 일점쇄선 확대 부분 참조).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 장치(100)는 후술할 임팩트 롤러(5, 6) 및 비트 클리너(7)의 채택에 따라 별도의 전술한 팁(3)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임팩트 롤러(5, 6)는 헤드 풀리(2)의 후방 등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팁(3)에 의해 부유물이 제거된 벨트(1)의 표면을 밀착하여 벨트(1)에 진동을 부여하여 벨트(1)에 부착된 부유물을 떨어 제거하는 롤러를 지칭한다.
임팩트 롤러(5, 6)는 제1임팩트 롤러(5)와 제2임팩트 롤러(6)를 포함하며, 헤드 풀리(2)의 후방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팁(3)에 의해 1차적으로 부유물이 제거된 벨트(1)의 표면과 밀착하여, 사전에 설정된 상태나 조건 등에 따라, 벨트(1)에 진동을 공급 또는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임팩트 롤러(5, 6)는 헤드 풀리(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헤드 풀리(2)를 따라 하부에 위치하여 이동하고 있는 벨트(1)의 하면에 설치(도 2 참조)되고, 벨트(1)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타격 등에 의한 충격, 진동 등)을 제어하여, 벨트(1)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롤러(5, 6)는 제1임팩트 롤러(5)와, 제1임팩트 롤러의 후방에 설치된 제2임팩트 롤러(6)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비트 클리너(7)는 제1임팩트 롤러(5)와 제2임팩트 롤러(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트 클리너(7)에 의한 타격 진동에 의해서도 벨트(1)가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롤러(5, 6)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의 크기 및 용도 등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팁(3) 제공없이, 충분한 진동 공급을 통해 벨트(1) 부착 부유물 제거가 가능할 경우, 팁(3)을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트 클리너(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는 벨트(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임팩트 롤러(5, 6) 사이에 위치한다. 다만, 비트 클리너(7)의 설치 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크기나 용량, 설치 장소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비트 클리너(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71)과, 상기 브라켓(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파이프(72)와, 상기 파이프(72)에 설치된 다수 개의 돌기(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트 클리너(7)는 다수 개의 돌기(73)에 의해 벨트(1)에 고착된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즉, 다시 설명 하지면 비트 클리너(7)는 부유물 제거 장치의 설정된 위치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71), 브라켓(71)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파이브(72) 및 파이프(72)의 설정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돌기(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기(73)는 회전 운동하는 벨트(1)와 꼭지점(사각형 판재 등으로 형성된 경우 사각형의 단부인 꼭지점을 지칭)이 맞닿아 벨트(1)의 회전 운동에 의한 벨트 속도에 따라 돌기(73)는 물론, 돌기(73)가 수용 고정(체결)된 파이프(72)까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비트 클리너(7)에는 이의 구동을 위한 별도로 제공되는 동력원이 없이도 벨트(1)의 회전과 속도에 의해 벨트(1)에 부착된 부유물 제거를 자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73)는 크기와 모양, 두께가 같은 2 이상의 사각형 판재로 각각 형성되고, 각 돌기의 사각형 꼭지점과 인접한 다른 돌기의 꼭지점은 일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되어(도 4 참조), 일정한 시간차(즉, 파이프(72)에 수용 체결된 복수개의 돌기(73)들 간의 체결각도를 달리함으로써, 각 돌기(73)의 각 꼭지점이 벨트(1)에 맞닿아 타격을 가하는 시점이 각 돌기(73)별로 달리 발생시키는 등의 탄력적 조절이 가능)로 벨트(1)의 설정된 이격 거리(즉, 파이프(72)에 수용 체결된 복수개의 돌기(73) 사이의 간격이나 폭을 조절하여 동일 선상에서 벨트(1)를 타격할 수 있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이 가능)를 타격하여 보다 손쉽게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 제거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7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돌기(73)는 제1돌기(731)와, 제1돌기(731)의 후방에 설치된 제2돌기(732)와, 제2돌기(732)의 후방에 설치된 제3돌기(733)와, 제3돌기(733)의 후방에 설치된 제4돌기(734)와, 제4돌기(734)의 후방에 설치된 제5돌기(735)와, 제5돌기(735)의 후방에 설치된 제6돌기(736)와, 제6돌기(736)의 후방에 설치된 제7돌기(737)와, 제7돌기(737)의 후방에 설치된 제8돌기(738)와, 제8돌기(738)의 후방에 설치된 제9돌기(7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731)는 사각형상을 하며, 제2돌기(732) 및 제3돌기(733) 및 제4돌기(734) 및 제5돌기(735) 및 제6돌기(736) 및 제7돌기(737) 및 제8돌기(738) 및 제9돌기(739)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돌기(731) 및 제2돌기(732) 및 제3돌기(733) 및 제4돌기(734) 및 제5돌기(735) 및 제6돌기(736) 및 제7돌기(737) 및 제8돌기(738) 및 제9돌기(739)는 파이프(72)의 길이방향에 대해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파이프(72)의 중심축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각각 설치된다. 즉, 제1돌기(731)의 제1꼭지점과 상기 제2돌기(732)의 꼭지점은 일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이며, 제1돌기(731)와 제2돌기(732)의 경사각도, 제2돌기(732)와 제3돌기(733)의 경사각도, 제3돌기(733)와 제4돌기(734)의 경사각도, 제4돌기(734)와 제5돌기(735)의 경사각도, 제5돌기(735)와 제6돌기(736)의 경사각도, 제6돌기(736)와 제7돌기(737)의 경사각도, 제7돌기(737)와 제8돌기(738)의 경사각도, 제8돌기(738)와 제9돌기(739)의 경사각도를 가지며, 각각의 돌기별 경사각도는 필요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제1돌기(731) 및 제2돌기(732) 및 제3돌기(733) 및 제4돌기(734) 및 제5돌기(735) 및 제6돌기(736) 및 제7돌기(737) 및 제8돌기(738) 및 제9돌기(739)가 상호 다른 경사각도로 체결되어 있을 경우, 연속적으로 벨트(1)를 시간차이를 두고 설정된 이격 위치를 각각 타격하게 되므로, 벨트(1)에 고착된 부유물이 보다 용이하게 떨어진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클리너(7)는 벨트(1)의 회전에 따라 벨트(1)에 접해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73)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음에 따라 비트 클리너(7)에 추가적인 전원이나 동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단순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클리너(7)는 벨트(1)의 폭과 회전속도, 처리(또는 제거)가 필요한 부유물의 양, 뭉침 상태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파이프(72)의 직경이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파이프(72)에 삽입 수용되는 돌기(73) 역시 벨트(1)의 폭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숫자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고, 돌기(73)의 크기와 각 돌기별 경사각도나 체결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부유물 제거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클리너(7)의 돌기(73)는 현장 작업 조건이나 부유물 처리 조건 등을 반영하여 직사각형이나 세모, 마름모 등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도 제공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돌기별로 각기 상이한 형태나 모양, 크기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드랍장치(8)는 비트 클리너(7)에 의해 벨트(1)에서 떨어진 부유물이 수집하는 장치로, 드랍박스(81)와, 스크류 모듈(83) 및 배출구(8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랍박스(81)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수용부이며, 내부에는 무게,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랍박스(81) 내부로 팁(3), 비트 클러너(7) 등을 통해 벨트(1)로부터 분리된 부유물이 떨어지게 되면, 센서(82)가 떨어진 부유물을 감지하여 스크류 모듈(83)을 가동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류 모듈(83)은 드랍박스(81) 내부로 떨어진 부유물을 섞어 열을 방출한 후 남은 부유물을 배출구(85)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배출모듈을 지칭하는 것으로, 부유물 밀어배출 수행을 위해 스크류 모듈(83)은 별도 구동 전원공급 수단인 모터(8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는, 스프레이 노즐(미도시)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레이 노즐(미도시)은 벨트(1)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벨트(1)에 붙어있는 잔여물을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프레이 노즐은 벨트(1)의 상부 또는 하부 등 추가적인 부유물 제거나 사전 부유물 제거가 필요한 단계 수행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 등 외부 동력원(외부 동력의 공급)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헤드 풀리(2)에 의해 벨트(1)가 회전하면서 벨트(1) 상면에 위치한 일부 부유물이 벨트(1)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벨트(1) 표면에 부착된 부유물이 팁(3)에 의해 1차로 제거된다.
부유물이 1차로 제거된 벨트(1)가 스너브 풀리(4)를 통과하면서 2차로 부유물을 제거되며, 임팩트 롤러(5, 6)에 의해 진동을 제어한다.
비트 클리너(7)에 의해 벨트(1)의 표면을 모두 타격하여 3차로 부유물을 제거한다.
벨트(1)의 회전에 따라 제거된 부유물이 드랍장치(8)로 이동하며, 스크류 모듈(83)을 통해 혼합 분리 후 별도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는, 특히, 벨트 표면에 부착된 잔여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벨트속도 및 벨트타격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적합하다.
100: 부유물 제거 장치
1: 벨트 2: 헤드 풀리(Head Pulley)
3: 팁 4: 스너브 풀리(Snub Pulley)
5: 제1임팩트 롤러(Impact Roller) 6: 제2임팩트 롤러 7: 비트 클리너(Beat Cleaner)
71: 브라켓 72: 파이프
73: 다수 개의 돌기 731: 제1돌기
732: 제2돌기 733: 제3돌기
734: 제4돌기 735: 제5돌기
736: 제6돌기 737: 제7돌기
738: 제8돌기 739: 제9돌기
8: 드랍장치
81: 드랍박스 82: 센서 83: 스크류 모듈 84: 모터 85: 배출구
90: 이송슈트

Claims (5)

  1. 이송용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외부 동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벨트가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헤드 풀리;
    상기 헤드 풀리를 통과한 상기 벨트의 일부분의 표면에 밀착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임팩트 롤러;
    상기 임팩트 롤러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벨트에 타격을 가하여 상기 벨트에 부착된 잔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비트 클리너;
    상기 벨트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벨트에 붙어있는 잔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스프레이 노즐; 및
    상기 임팩트 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트 클리너 및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제거된 부유물을 수집하는 드랍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비트 클리너는,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의 설정된 위치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설정된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은,
    크기와 모양, 두께가 같은 2 이상의 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되,
    각 돌기의 사각형 꼭지점과 인접한 다른 돌기의 꼭지점이 벨트 속도에 따라 설정된 시간차로 벨트의 설정된 이격 거리를 타격하도록 체결각도를 달리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돌기 중 일부는 간격, 폭 및 체결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상기 회전 운동하는 상기 벨트와 꼭지점이 맞닿아 상기 벨트의 회전 운동에 의한 벨트 속도에 따라 상기 돌기와 상기 파이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동력원이 없이도 상기 벨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하며,
    상기 드랍장치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드랍박스;
    상기 드랍박스에서 수집되는 부유물 및 수분을 감지하는 무게, 온도 및 습도 센서;
    상기 드랍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집된 부유물 및 수분을 분리하도록 하는 스크류 모듈; 및
    상기 스크류 모듈에서 분리된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드랍박스에서 수집되는 부유물 및 수분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고, 상기 드랍박스 내부로 떨어진 부유물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부유물을 자동 수집 및 자동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는,
    상기 헤드 풀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팁을 포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물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롤러는 제1임팩트 롤러와, 상기 제1임팩트 롤러의 후방에 설치된 제2임팩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비트 클리너는 상기 제1임팩트 롤러와 상기 제2임팩트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비트 클리너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벨트가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5. 삭제
KR1020180051260A 2018-05-03 2018-05-03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KR10211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60A KR102111567B1 (ko) 2018-05-03 2018-05-03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60A KR102111567B1 (ko) 2018-05-03 2018-05-03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05A KR20190127105A (ko) 2019-11-13
KR102111567B1 true KR102111567B1 (ko) 2020-05-15

Family

ID=6853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60A KR102111567B1 (ko) 2018-05-03 2018-05-03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5166A (zh) * 2020-01-03 2020-05-08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固结层剥离机
CN113213103B (zh) * 2021-04-26 2022-10-14 唐山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散货输送设备的制动轮随动清料装置
CN114852581B (zh) * 2022-06-10 2024-01-30 河北邯峰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落煤筒振打装置及方法
CN115302350B (zh) * 2022-09-01 2023-08-18 江苏优盛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自添加润滑油的理化板毛刺打磨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7185B2 (ja) * 1994-01-21 2003-01-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付着荷剥離装置
KR101602946B1 (ko) * 2015-08-31 2016-03-14 (주)성부콘베어 폐합성수지패널을 재활용하는 롤러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398Y1 (ko) * 1991-11-04 1994-05-23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프리 디코더의 드라이브 버퍼
KR20150062016A (ko) * 2013-11-28 2015-06-05 아시아플랜텍(주) 벨트 컨베이어 세척용 진동장치
KR20160015562A (ko) * 2014-07-31 2016-02-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7185B2 (ja) * 1994-01-21 2003-01-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付着荷剥離装置
KR101602946B1 (ko) * 2015-08-31 2016-03-14 (주)성부콘베어 폐합성수지패널을 재활용하는 롤러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05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567B1 (ko) 벨트 속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 장치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US4326362A (en) Shot blast machine
CN107089485A (zh) 一种带式输送机输送带清洗装置
CN108945968A (zh) 一种避免物料残留的斗式提升机
KR20190016521A (ko)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 이탈과 벨트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이탈 방지 및 집진장치
CN205294322U (zh) 一种输送机
CN206782744U (zh) 一种带式输送机输送带清洗装置
US4771579A (en)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KR100646754B1 (ko)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A1069763A (en) Ballast cleaner
KR101670449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CN109335583A (zh) 皮带刮料装置及沥青搅拌站
KR101341277B1 (ko) 재활용 폐비닐 건조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CA3074454A1 (en) A sieve device for fine cleaning of grainy material
US5134810A (en) Mobile outside surface pipe cleaner
US4155442A (en) Rotary devices for cleaning conveyor belts
KR101228684B1 (ko) 잔류물 제거 장치
JP3758919B2 (ja) 選別コンベヤ
JP5569536B2 (ja) 圧延鋼用研掃設備
JPH0283069A (ja) 粒状材料の摩擦仕分け方法及び装置
JPH07215433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
CN207876716U (zh) 自动调节式输送带头部清扫器
AU2008203179A1 (en) Self-Cleaning Conveyor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