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466B1 -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466B1
KR101669466B1 KR1020160064832A KR20160064832A KR101669466B1 KR 101669466 B1 KR101669466 B1 KR 101669466B1 KR 1020160064832 A KR1020160064832 A KR 1020160064832A KR 20160064832 A KR20160064832 A KR 20160064832A KR 101669466 B1 KR101669466 B1 KR 10166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plate
coupled
extens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딩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딩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딩톨
Priority to KR102016006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66B1/ko
Priority to US16/304,279 priority patent/US11583428B2/en
Priority to PCT/KR2016/014588 priority patent/WO2017204429A1/ko
Priority to EP16903277.8A priority patent/EP3466378A4/en
Priority to CN201680085991.5A priority patent/CN109152652B/zh
Priority to JP2019514695A priority patent/JP690829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하여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 또는 일측 어깨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지지부에 대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신체의 흉부 부위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압박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Scoliosis bra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하여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고 회전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말하며, 옆으로 휘어진 정도가 약 20°~ 40°인 경우에는 수술보다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옆구리 부위를 압박하도록 착용하는 보조기를 통한 치료가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척추측만증 보조기(예컨대, 밀워키 타입, 보스톤 타입, tiso 타입)는 모두 단단한 경질 플라스틱 재질을 뼈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 보조기는 대부분 통형 구조로 만들어져, 착용시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의 물건을 집는 것도 힘들 정도로 경직되게 흉부 전체를 감싼다. 이 경우, 숨쉬는 것도 호흡이 가빠오고, 식사시에는 더부룩한 느낌을 있는 등 착용시 닥치는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척추 보조기의 특성상 보조기를 거의 24시간 착용해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하루종일 이러한 종류의 보조기를 입고 있으면 땀띠가 나는 등 매우 고통스럽다. 특히 청소년들이 이러한 보조기를 24시간 착용해야 하는 경우,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극심한 우울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장시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경직된 플라스틱의 힘으로 척추의 위치를 바로잡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강도의 차이가 없이 척추의 만곡부위를 누르다 보니, 초반에는 눈에 띄는 효과가 있더라도 장시간 착용시에는 그저 지지대로서의 역할밖에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명백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나온 밴드형 보조기의 경우, 탄력적인 밴드로 척추만곡부위를 계속 누르기 때문에, 기존의 것보다 만곡 정도를 줄이는데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어깨부터 허벅지까지 감싸는 구조는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주고 있다. 예컨대, 엉덩이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와, 배꼽과 생식기 사이의 부분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로 어깨에서 등을 총 4번 가로지르는 밴드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화장실에 갈 때마다 밴드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허벅지까지 밴드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바지는 물론이고 상의와 하의 모두 몸에 밀착되는 옷을 입을 수가 없으며, 걸을 때에도 불편한 느낌이 있다. 이와 같이, 착용하는데 걸리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 그리고 착용시 거추장스런 느낌 때문에, 밴드형 보조기의 24시간 착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개인별로 만곡 부위의 형상에 따라 석고로 본을 뜨고, 이를 이용하여 만곡 부위와 동일한 형상의 플레이트를 제작하였는데, 석고로 본을 뜨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제작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크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보조기의 파손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석고로 본을 뜨는 작업부터 다시 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기 판매점이나 제작업체를 한번 더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판매점에서 석고를 뜬 후 이 석고를 제작업체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석고의 형상 일부가 손상되어 결국 불량품이 제작되는 문제도 있다.
KR 20-0343123 Y1 (2004.02.14 등록) KR 10-1070973 B1 (2011.09.29 등록) KR 20-0323715 Y1 (2003.08.06 등록) KR 20-0249326 Y1 (2001.09.24 등록) KR 10-1612378 B1 (2016.04.0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과 탈의가 간편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의 만곡 정도나 부위에 따라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자의 신체 치수를 입력하고 3D 프린팅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격 제작이 가능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신체의 복부 부위 타측을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탄력성 있는 소재의 압박밴드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압박밴드는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압박밴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이나 허리 부위 일측 또는 골반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이나 허리 부위 일측 또는 골반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타측이나 허리 부위 타측 또는 골반 부위 타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양단에서 하향 외측으로 각각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신체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압박밴드의 일단을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압박밴드의 타단을 결합하도록 상기 척추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유연한 재질로서 신체 표면의 굴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3D 프린팅에 의해 부위별로 분할 출력되는 복수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레이저 커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측정 및 입력하는 단계; (b) 입력된 치수값을 토대로 3D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c) 3D 모델링 형상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를 3D 프린팅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보강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충격흡수부재를 덧대는 단계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f)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3D 프린팅에 의해 복수 개의 파트를 분할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를 일체로 레이저 커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된 탄력성 있는 압박밴드로 척추의 만곡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척추 측만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착탈식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고 활동이 자유로우며, 거추장스런 느낌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특히 척추측만증에서 가장 흔한 C자형 척추 만곡에 있어서, 현저한 통증 감소 및 교정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 제작방법에 의하면, 3D 모델링에 의한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하게 되므로, 원격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제작방법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이하, '보조기')(100)는, 신체의 일측 복부 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지지부(200)의 반대편에서 신체의 타측 복부 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압박밴드(300)를 포함한다. 이때, 압박밴드(300)는 지지부(200)와 대향하여 지지부(20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이격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2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띠 형태로서,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한다. 일 예로서, 보조기(100) 착용시 제1 지지 플레이트(210)는 복부 부위 중앙으로부터 겨드랑이 밑 또는 가슴 밑을 지나서 등 부위 중앙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내측면이 신체 표면에 밀착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22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부에서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이나 허리 부위 일측 또는 골반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며, 예컨대 보조기(100) 착용시 골반 앞쪽 중앙으로부터 골반 뒤쪽 중앙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플레이트(210)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플레이트(220) 역시 내측면이 신체 표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신체 표면의 굴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제2 지지 플레이트(220) 역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제2 지지 플레이트(220)는 양단에서 하향 외측으로 각각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1)와, 연장부(221)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222)는 신체의 골반 부위 일측에 밀착되는 것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연장부(221)의 끝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게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제2 지지 플레이트(210,220)는 금속,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의 단일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서로 다른 소재의 플레이트 복수 개가 상하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제1,제2 지지 플레이트(210,220)는 유연한 재질로서 신체 표면의 굴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외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240)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3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테프론, 폴리에틸렌 등 구부러지지만 견고성이 있고 회복력이 강한 플라스틱 종류의 소재를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 공정상의 어려움을 피하는 한편 비용 절감을 위해, 부위별로 나누어 복수 개의 파트로 분할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조기(100)가 착용되는 신체 부위의 치수를 측정하여 제작한 3D 모델을 이용하게 되므로,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230)는 신체 표면의 굴곡부를 따라 편안하게 밀착된다.
보강 플레이트(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일면에 결합되어 보조기(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 플레이트(240)는 폴리프로필렌, PVC 등 연성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레이저 커팅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결합시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굴곡 부위에 따라 굴곡지게 변형될 것을 미리 감안한 평면 형상으로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내측에는 신체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 또는 스펀지 등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2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240)의 외측에는 알루미늄 등 무게가 가벼운 금속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2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커버 플레이트(260)는 보강 플레이트(240)와 함께 보조기(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스크래치 등 보강 플레이트(240)와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60)는 경량화와 강성 보강을 위해 일부 구간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 플레이트(24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400)와,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타단과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척추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0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연결부재(400)의 상단이 제1 지지 플레이트(210)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단에 결합된다. 제1,제2 지지 플레이트(210,220)와 연결부재(400)의 결합은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이나 융착, 용접 등 다른 결합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기(100) 착용시 연결부재(400)는 신체의 복부 중앙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400)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결합홀(41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제1 결합홀(410)을 통해 후술하는 압박밴드(300)의 일단이 연결부재(400)에 결합된다.
척추지지부재(5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신체의 척추 부위에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척추지지부재(500)의 내측에 척추의 굴곡 형상과 대응되는 굴곡면이 형성되거나, 폭 방향 양측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51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척추지지부재(500)에는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제2 결합홀(520)이 관통 형성되며, 이 제2 결합홀(520)을 통해 후술하는 압박밴드(300)의 타단이 척추지지부재(500)에 결합된다.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는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부(200)에 결합된다. 상술한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보강 플레이트(240), 충격흡수부재(250) 및 커버 플레이트(26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접착제나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으며, 이때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가 지지부(2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 역시 신체 표면에 밀착되므로, 그 내측에 전술한 충격흡수부재(250)가 덧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밴드(300)는 고무나 합성섬유 등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200)와 대향하도록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조기(100)를 착용하면 지지부(200)가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에 밀착되고, 압박밴드(300)는 신체의 복부 부위 타측에 밀착된다.
이때, 연결부재(400)는 신체 앞쪽의 복부 중앙 부위에 위치하게 되며, 척추지지부재(500)는 신체 뒤쪽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게 되는데, 연결부재(400)로부터 옆구리를 지나서 척추지지부재(500)에 결합되는 압박밴드(300)가 옆구리 부위를 척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볼록하게 만곡된 척추 부위를 정상 형태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압박밴드(300)는 연결부재(400) 및 척추지지부재(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압박밴드(300)의 개수와 폭과 길이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 사이즈 및 척추의 만곡 정도에 따라 압박밴드(3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척추의 만곡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압박밴드(300)의 일단이 연결부재(400)(또는 척추지지부재(5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척추지지부재(500)(또는 연결부재(400))를 관통하여, 압박밴드(300)의 단부에 마련된 제1 결합부재(310)가 압박밴드(300)의 일측에 마련된 제2 결합부재(320)와 대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제2 결합부재(310,320)는 벨크로테이프나 스냅단추 등의 착탈 가능한 체결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압박밴드(300)를 잡아당겨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후, 제1,제2 결합부재(310,320)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신체의 옆구리 부위가 압박밴드(3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게끔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압박밴드(300)는 연결부재(4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1 결합부재(310)가 마련되는 제1 밴드(미도시)와, 제1 결합부재(310)와 대응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320)가 일단에 마련되고 척추지지부재(500)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밴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방끈이나 배낭끈의 길이 조절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길이조절구(미도시)가 압박밴드(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는, 지지부(200)의 제2 지지 플레이트(220)에 지지되어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는 고정밴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밴드(600)는 신체 활동시 지지부(20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등 지지부(2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고리부재(270)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이 고리부재(270)를 관통하는 고정밴드(600)가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서 고정된다. 고리부재(270)는 상단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봉재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밴드(600)는 천이나 피혁, 합성수지 또는 고무나 합성섬유 등 탄성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진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끈의 일측과 타측에는 전술한 제1,제2 결합부재(310,320)와 동일한 결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 착용시에는, 지지부(200)를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에 배치하고, 신체의 복부 부위 타측을 가압하도록 압박밴드(300)를 조여서 고정시킨 후, 고정밴드(600)를 허벅지 부위에 착용한다. 다만, 이러한 착용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착용 순서를 달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제작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 제작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체 치수 측정 및 입력 단계( S10 ):
보조기(100)를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슴 밑 둘레, 허리 둘레, 골반 둘레 등) 치수를 측정하고 입력한다. 다만, 예전에 입력된 값이 있고 그동안 신체 부위의 치수 변화가 없는 경우라면, 예전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D 모델링 작업 단계( S20 ):
입력된 치수값을 토대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체 부위의 3D 모델링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구현된 3D 모델에 보조기(100)를 착용시킨 가상의 착용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확인을 받은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3D 프린팅 단계( S30 ):
3D 모델링 형상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30)를 출력하는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3D 프린팅을 위한 적층 소재로는 단단한 플라스틱(ABS, PLA 등)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테프론, 폴리에틸렌 등 플렉시블(flexible)한 합성수지, 그리고 단단한 플라스틱과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소재의 합성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30) 전체를 한번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베이스 플레이트(230)가 굴곡진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평면 형상을 한 층씩 적층하여 3차원 형상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서포트(미도시)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제작 완료 후에는 3차원 형상에 일체로 형성된 서포트를 깨끗이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 제작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30)를 별도의 서포트 없이 형성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부위로 나누고, 부위별로 각각의 파트를 분할 출력한다.
분할 출력된 파트들은 그 단부가 서로 접착 또는 융착되어 원래의 베이스 플레이트(230)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240)의 일면에 원래의 형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보강 플레이트 레이저 커팅 단계( S30' ):
3D 모델링 데이터를 토대로 보강 플레이트(240)를 일체로 레이저 커팅한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240)는 폴리프로필렌, PVC 등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 플레이트로부터 커팅되며, 따라서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작된 보강 플레이트(240)는 이후,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굴곡면을 따라 밀착되며,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30)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주름이 접히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레이저 커팅시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3차원 형상을 감안한 평면 형상으로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평면 형상을 도출한 후, 그 형상에 맞춰 보강 플레이트(240)가 레이저 커팅되는 것이다.
보강 플레이트 적층 단계( S40 ):
3차원 형상으로 굴곡진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외측면에 전술한 보강 플레이트 형성 단계(S30')에서 평면 형상으로 레이저 커팅된 보강 플레이트(240)를 적층한다. 이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격흡수부재 적층 단계( S50 ):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내측면에 고무나 실리콘, 스펀지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부재(250)를 적층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250)는 전술한 보강 플레이트 형성 단계(S30')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3차원 형상을 감안한 평면 형상으로 레이저 커팅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 적층 단계(S40)와 충격흡수부재 적층 단계(S50)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 결합 단계( S60 ):
보강 플레이트(240)의 외측면에 알루미늄 등 무게가 가벼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 플레이트(260)를 적층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60)는 전술한 보강 플레이트 형성 단계(S30')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3차원 형상을 감안한 평면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레이저 커팅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60)는 보강 플레이트(240)의 전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보강 플레이트(240)의 일부 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플레이트(260)는 보강 플레이트(240)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으며,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보강 플레이트(240), 충격흡수부재(250) 및 커버 플레이트(26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60)는 보강 플레이트(240)의 일부 구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 플레이트(24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커버 플레이트(26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 결합 단계(S60)를 거치면 제1,제2 지지 플레이트(210,220)가 준비되며, 이때,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측에는 천이나 피혁, 또는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재질의 고리부재(270)를 리벳 등의 체결구로 결합한다. 다만, 고리부재(270)의 결합은 후술하는 연결부재 및 척추지지부재의 결합 단계(S70) 이후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재 척추지지부재 결합 단계( S70 ):
상술한 커버 플레이트 결합 단계(S60)를 거쳐서 제작된 제1,제2 지지 플레이트(210,220)의 양단에, 별도로 제작된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를 리벳 등의 체결구로 각각 결합한다.
한편, 본 단계는 전술한 충격흡수부재 적층 단계(S50)와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를 지지부(200)에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척추지지부재 결합 단계(S70)를 먼저 수행한 후,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의 내측에 충격흡수부재(250)가 부착되도록, 충격흡수부재 적층 단계(S50)를 연결부재 및 척추지지부재 결합 단계(S70) 이후에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압박밴드 및 고정밴드 결합 단계( S80 ):
지지부(200)의 일측에 압박밴드(300)를 결합한다. 일 예로서, 압박밴드(300)의 일단을 척추지지부재(500)의 제2 결합홀(520)을 통과시켜 재봉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시에는 압박밴드(300)의 타단을 연결부재(400)의 제1 결합홀(410)에 통과시킨 후 조여서 길이를 조절하고, 제1,제2 결합부재(310,320)를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압박밴드를 준비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연결부재(400)의 제1 결합홀(410)에 통과시킨 후 재봉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하나는 단부를 척추지지부재(500)의 제2 결합홀(520)에 통과시킨 후 재봉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밴드(600)는 고리부재(27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밴드(600)의 일측이 고리부재(270)의 일측에 재봉, 접착, 또는 융착이나 리벳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기 제작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석고본을 뜰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30)가 신체 치수에 따른 3D 모델링을 토대로 제작되므로, 신체 부위의 굴곡면에 보조기(100)의 지지부(200)가 밀착되어 활동에 불편함이 없고 착용감이 좋다.
또한, 보조기(100)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재제작이 필요한 경우, 신체 치수 입력값이나 3D 모델링 데이터가 남아있는 한, 다시 방문하여 신체 치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석고본을 보조기(100) 제작업체로 전달하거나, 보조기(100) 제작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석고본을 뜰 필요가 없이, 신체 치수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이나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작업체로 전달하면 되므로, 원격지에서 맞춤형 보조기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보조기(100)와 전체적으로 그 구성 및 제조방법이 유사하며, 다만,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가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210')는 중간부가 우측 어깨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가슴과 등 부위 중앙에 각각 밀착되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 플레이트(220)는 신체의 우측 허리 부위나 복부 부위 또는 골반 부위에 밀착되며, 압박밴드(300)는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 사이에 연결되어 신체의 좌측 흉부 부위 또는 복부 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리부재(270) 및 고정밴드(60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지지부(200')와 압박밴드(300)를 상술한 것과 반대쪽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부(200')를 신체의 좌측에, 그리고 압박밴드(300)를 신체의 우측에 착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보조기(100)와 전체적으로 그 구성 및 제조방법이 유사하다. 다만,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0")가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는 점, 그리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압박밴드(300)가 상하로 이격하여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100")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210")는 중간부가 우측 어깨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가슴과 등 부위 중앙에 각각 밀착되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 플레이트(220)는 신체의 좌측 허리 부위나 복부 부위 또는 골반 부위에 밀착된다.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 사이에는 상하 한 쌍의 압박밴드(300)가 연결되는데, 상부의 압박밴드(300)는 신체의 좌측 흉부 부위 또는 복부 부위를 압박하도록 연결되며, 하부의 압박밴드(300)는 신체의 우측 복부 부위 또는 허리 부위를 압박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리부재(270) 및 고정밴드(60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지지부(200")와 압박밴드(300)를 상술한 것과 반대쪽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 지지 플레이트(210")가 좌측 어깨에 걸쳐지도록 지지부(200")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상부의 압박밴드(300)는 신체의 우측 흉부 부위 또는 복부 부위를 압박하게 되고, 하부의 압박밴드(300)는 신체의 좌측 복부 부위 또는 허리 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 사이에 상하로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압박밴드(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00')와 척추지지부재(500')에는 한 쌍의 제1 결합홀(410)과 한 쌍의 제2 결합홀(520)이 각각 상하로 이격하여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100" : 보조기 200,200',200" : 지지부
210,210',210" : 제1 지지 플레이트 220 : 제2 지지 플레이트
230 : 베이스 플레이트 240 : 보강 플레이트
250 : 충격흡수부재 260 : 커버 플레이트
270 : 고리부재 300 : 압박밴드
311 : 제1 결합부재 321 : 제2 결합부재
400,400' : 연결부재 500,500' : 척추지지부재
600 : 고정밴드

Claims (18)

  1.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타측을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탄력성 있는 소재의 압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신체의 복부 부위 중앙으로부터 등 부위 중앙까지 연장되어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골반 앞쪽 중앙으로부터 골반 뒤쪽 중앙까지 연장되어 신체의 골반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신체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양단에서 하향 외측으로 각각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는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압박밴드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3. 삭제
  4. 신체의 일측 어깨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신체의 타측 흉부 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탄력성 있는 소재의 압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중간부가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가슴과 등 부위 중앙에 각각 밀착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복부 부위 일측이나 허리 부위 일측 또는 골반 부위 일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신체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양단에서 하향 외측으로 각각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5. 신체의 일측 어깨와 타측 골반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신체의 타측 흉부 부위와 일측 복부 또는 허리 부위를 상하 이격하여 각각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탄력성 있는 소재의 한 쌍의 압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중간부가 신체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고 양단부가 가슴과 등 부위 중앙에 각각 밀착도록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타측 골반 부위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신체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양단에서 하향 외측으로 각각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4,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압박밴드의 일단을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압박밴드의 타단을 결합하도록 상기 척추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9. 청구항 1, 4,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0. 청구항 1, 4,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유연한 재질로서 신체 표면의 굴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3D 프린팅에 의해 부위별로 분할 출력되는 복수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평면 형상을 도출한 후, 그 형상에 따라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 플레이트를 일체로 레이저 커팅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15. (a)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측정 및 입력하는 단계;
    (b) 입력된 치수값을 토대로 3D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c) 3D 모델링 형상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를 복수 개의 파트로 분할하여 3D 프린팅하는 단계;
    (d)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평면 형상을 도출한 후, 그 형상에 따라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 플레이트를 일체로 레이저 커팅하여 보강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적층하는 단계; 및
    (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충격흡수부재를 덧대는 단계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제작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f)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금속 재질의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제작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064832A 2016-05-26 2016-05-26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KR10166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32A KR101669466B1 (ko) 2016-05-26 2016-05-26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US16/304,279 US11583428B2 (en) 2016-05-26 2016-12-13 Scoliosis br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14588 WO2017204429A1 (ko) 2016-05-26 2016-12-13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EP16903277.8A EP3466378A4 (en) 2016-05-26 2016-12-13 ORTHOPEDIC APPARATUS FOR SCOLIOSI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201680085991.5A CN109152652B (zh) 2016-05-26 2016-12-13 脊柱侧凸矫形器及其制造方法
JP2019514695A JP6908298B2 (ja) 2016-05-26 2016-12-13 脊椎側湾症補助器及びその製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32A KR101669466B1 (ko) 2016-05-26 2016-05-26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466B1 true KR101669466B1 (ko) 2016-10-26

Family

ID=5725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832A KR101669466B1 (ko) 2016-05-26 2016-05-26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83428B2 (ko)
EP (1) EP3466378A4 (ko)
JP (1) JP6908298B2 (ko)
KR (1) KR101669466B1 (ko)
CN (1) CN109152652B (ko)
WO (1) WO201720442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29A1 (ko) * 2016-05-26 2017-11-30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09470A (ko)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62571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10136528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30148955A (ko) * 2022-04-19 2023-10-26 원남메디칼 (주) 3d 프린팅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1580B2 (en) 2020-11-25 2023-10-03 Deroyal Industries, Inc. TLSO/LSO spine brace
KR102632688B1 (ko) * 2021-12-01 2024-02-02 유한회사 티엠엑스 척추측만증 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133A (ja) * 1993-12-22 1997-07-22 サントル ドゥ レシェルシュ ドゥ ロピタル ステジュスティーヌ 側弯の変形の矯正のための減捻矯正器具
KR200249326Y1 (ko) 2001-06-08 2001-11-16 박기상 척추 보조기
KR200323715Y1 (ko) 2003-05-28 2003-08-19 엠에스메디텍 개방형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7129A (en) * 1952-01-11 1954-08-24 Ernest E Talkish Scoliosis brace
FR2061493B1 (ko) * 1970-12-29 1973-02-02 Allegre Gilbert
US4202327A (en) * 1978-05-24 1980-05-13 Glancy John J Dynamic orthotic device
US4658807A (en) * 1982-10-25 1987-04-21 International Positioning Systems, Ltd. Method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the human anatomy
FR2659547B1 (fr) * 1990-03-14 1995-05-19 Robert Fauchet Corset orthopedique.
US5360392A (en) 1993-05-14 1994-11-01 Northeast Orthotics & Prosthetics, Inc. Method of forming a scoliosis brace
US5449338A (en) * 1993-10-07 1995-09-12 Dobi-Symplex Modular orthopedic brace
IL157782A0 (en) * 2003-09-05 2004-03-28 Hadasit Med Res Service Derotational brace for treatment of idiopathic scoliosis
US7967767B2 (en) * 2004-10-28 2011-06-28 Ogilvie James W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coliosis orthosis
JP5015118B2 (ja) * 2007-11-16 2012-08-29 東允 宣 角度調節部を備えた脊椎側湾症補助器
JP4747327B2 (ja) * 2007-12-20 2011-08-17 鈴木義肢装具株式会社 側彎矯正装具
US8986234B2 (en) * 2008-11-09 2015-03-24 3D Systems, Inc Custom braces, casts and devices having fenestration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CN202342247U (zh) * 2011-11-28 2012-07-25 杜润泽 记忆动态脊柱侧弯矫形器
US11311402B2 (en) * 2013-05-06 2022-04-26 Aspen Medical Partners, Llc Scoliosis brace
US10265210B2 (en) * 2013-05-06 2019-04-23 Aspen Medical Partners, Llc Scoliosis brace
CN105310811A (zh) * 2015-11-04 2016-02-10 上海交通大学 载荷平衡式膝关节矫形支具及其实现方法
KR101669466B1 (ko) * 2016-05-26 2016-10-26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133A (ja) * 1993-12-22 1997-07-22 サントル ドゥ レシェルシュ ドゥ ロピタル ステジュスティーヌ 側弯の変形の矯正のための減捻矯正器具
KR200249326Y1 (ko) 2001-06-08 2001-11-16 박기상 척추 보조기
KR200323715Y1 (ko) 2003-05-28 2003-08-19 엠에스메디텍 개방형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공지기술(http://www.3ders.org/articles/20150909-chinese-researchers-treat-scoliosis-with-country-first-customized-3d-printed-back-brace.htm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29A1 (ko) * 2016-05-26 2017-11-30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09470A (ko)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62571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102141811B1 (ko)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102141810B1 (ko)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10136528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514948B1 (ko) 2020-05-08 2023-03-29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30148955A (ko) * 2022-04-19 2023-10-26 원남메디칼 (주) 3d 프린팅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제조 방법
KR102687840B1 (ko) * 2022-04-19 2024-07-24 원남메디칼 (주) 3d 프린팅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2652B (zh) 2021-09-21
US20190388261A1 (en) 2019-12-26
CN109152652A (zh) 2019-01-04
JP2019518579A (ja) 2019-07-04
JP6908298B2 (ja) 2021-07-21
WO2017204429A1 (ko) 2017-11-30
EP3466378A1 (en) 2019-04-10
US11583428B2 (en) 2023-02-21
EP3466378A4 (en)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46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US20210205146A1 (en) Graduated compress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circulatory disorders
KR100426130B1 (ko) 맞춤형 교정장치
JP4848260B2 (ja) 妊婦帯
EP2869795B1 (en) Girdle
JP3180360U (ja) サポーターベルト
CN111700720B (zh) 躯干矫形器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US20140005583A1 (en) Anti-Migration Pad for an Orthopedic Brace
CN112584800A (zh)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系统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US20070037483A1 (en) Maternity belt
KR20160146269A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A3178061A1 (en) Scoliosis brace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N207590814U (zh) 矫姿护腰带
EP4103113B1 (en) Lumbar-supporting back-bracing apparatus and methods
CN219763668U (zh) 一种用于上胸弯矫形的脊柱侧凸支具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KR102683049B1 (ko) 흉요천추 보조기
JP2023011441A (ja) 骨盤矯正装具
JP2022038469A (ja) 骨盤矯正用サポータ及びその装着方法
KR20230103713A (ko) 임산부용 다중 골반 밴드
CN114848251A (zh) 一种有助骨盆修复和耻骨闭合的医用外固定支具固盆带
JP3162952U (ja) 手のひら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