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528A - 척추측만증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528A
KR20210136528A KR1020200054896A KR20200054896A KR20210136528A KR 20210136528 A KR20210136528 A KR 20210136528A KR 1020200054896 A KR1020200054896 A KR 1020200054896A KR 20200054896 A KR20200054896 A KR 20200054896A KR 20210136528 A KR20210136528 A KR 20210136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part
support
compression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948B1 (ko
Inventor
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딩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딩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딩톨
Priority to KR102020005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948B1/ko
Priority to PCT/KR2021/005060 priority patent/WO2021225310A1/ko
Priority to MX2022014000A priority patent/MX2022014000A/es
Priority to CA3178061A priority patent/CA3178061A1/en
Publication of KR2021013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일측 겨드랑이를 둘러 흉부 부위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며 흉부와 복부 부위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타측 허리를 둘러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보조기{Scoliosis brace}
본 발명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고 회전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말하며, 옆으로 휘어진 정도가 약 20°~ 40°인 경우에는 수술보다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옆구리 부위를 압박하도록 착용하는 보조기를 통한 치료가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 척추측만증 보조기(예컨대, 밀워키 타입, 보스톤 타입, tiso 타입)는 대부분 모두 단단한 경질 플라스틱 재질을 뼈대로 사용하는 통형 구조로 만들어져, 착용시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의 물건을 집는 것도 힘들 정도로 경직되게 흉부 전체를 감싼다. 이 경우, 숨쉬는 것도 호흡이 가빠오고, 식사시에는 더부룩한 느낌을 있는 등 착용시 닥치는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척추 보조기의 특성상 보조기를 거의 24시간 착용해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하루종일 이러한 종류의 보조기를 입고 있으면 땀띠가 나는 등 매우 고통스럽다. 특히 청소년들이 이러한 보조기를 24시간 착용해야 하는 경우,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극심한 우울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장시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경직된 플라스틱의 힘으로 척추의 위치를 바로잡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강도의 차이가 없이 척추의 만곡부위를 누르다 보니, 초반에는 눈에 띄는 효과가 있더라도 장시간 착용시에는 그저 지지대로서의 역할밖에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명백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나온 밴드형 보조기의 경우, 단단한 밴드로 척추만곡부위를 계속 누르기 때문에, 기존의 것보다 만곡 정도를 줄이는데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어깨부터 허벅지까지 감싸는 구조는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주고 있다. 예컨대, 엉덩이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와, 배꼽과 생식기 사이의 부분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로 어깨에서 등을 총 4번 가로지르는 밴드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화장실에 갈 때마다 이들 밴드를 모두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허벅지까지 밴드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바지는 물론이고 상의와 하의 모두 몸에 밀착되는 옷을 입을 수가 없으며, 걸을 때에도 불편한 느낌이 있다.
이와 같이, 착용하는데 걸리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 그리고 착용시 거추장스런 느낌 때문에, 밴드형 보조기의 24시간 착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이 간편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의 만곡 정도나 부위에 따라 지지부의 길이와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일측 겨드랑이를 둘러 흉부 부위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며 흉부와 복부 부위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타측 허리를 둘러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는, 복수 개의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제1-1 지지부와 제1-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지지부와 상기 제1-2 지지부의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측 겨드랑이를 둘러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1 압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일측 허리를 둘러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압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압박밴드의 타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대응 결합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압박밴드의 외측면에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 압박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응 결합하도록 제2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한 쌍의 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밴드로 요추 만곡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척추 측만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착탈식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시 활동이 자유로우며 거추장스런 느낌이 없다.
도 1은 척추측만증에 의해 척추가 휘어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재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고리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앞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자동 저장 시스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는, 신체의 등 부위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200)와, 신체의 가슴 부위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300)와,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를 연결하며 신체의 옆 부위를 압박하는 제1,제2 연결부(410,4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00)는 금속 재질로서 신체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바(bar) 형태의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데,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23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체결홀(230)은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행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볼트(B) 등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홀(230)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의 사용 상태도이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의 일단을 서로 겹쳐 각각의 체결홀(230)이 연통하도록 한 후, 볼트(B)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1 지지부(210)와 제1-2 지지부(220)가 상호 겹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지지부(20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각 개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300)는 금속 재질로서 신체의 흉부와 복부 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신체를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부(20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바(bar) 형태의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데,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체결홀(330)은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행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볼트(B) 등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홀(330)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지지부(200)의 예처럼,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의 일단을 서로 겹쳐 각각의 체결홀(330)이 연통하도록 한 후, 볼트(B)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를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가 상호 겹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 지지부(30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각 개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신체의 요추 부위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200)와, 신체의 흉부와 복부 부위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지지부(200)의 상단에 제1 연결부(41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일측 겨드랑이를 둘러 흉부 부위로 연장되어 제2 지지부(3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00)의 하단에 제2 연결부(42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허리를 둘러 요추 부위로 연장되어 제1 지지부(2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제2 연결부(410,42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서 띠 형태를 이루는 지지 플레이트(430)와, 지지 플레이트(430)의 내측에 덧대어지는 탄성층(440)과, 지지 플레이트(430)와 탄성층(440)의 외곽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피(450)를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430)는 신체의 굴곡 형태에 맞춰 구부려질 수 있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층(440)은 솜이나 스펀지, 발포폼 등 충격을 완화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피(450)는 땀 흡수가 가능하고 부드러운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천이나 가죽,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볼트(B)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지지부(200) 또는 제2 지지부(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제1,제2 지지부(200,300)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복수 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된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제1,제2 지지부(200,300)와 제1,제2 연결부(410,420)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제1,제2 연결부(410,420)의 전체 길이를 확장하는 역할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도로서, 제1-1 지지부(210)와 제1 연결부(410) 사이에 제1 연결부재(51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연결부(410)의 일단이 제1 연결부재(510)의 일단에 리벳 결합되고, 제1 연결부재(510)의 타단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1 지지부(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410)와 제2-1 지지부(310) 사이에 제2 연결부재(520)가 결합되는데, 제1 연결부(410)의 타단이 제2 연결부재(520)의 일단에 리벳 결합되고, 제2 연결부재(520)의 타단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2-1 지지부(3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2 지지부(220)와 제2 연결부(420) 사이에 제3 연결부재(530)가 결합되는데, 제2 연결부(420)의 일단이 제3 연결부재(530)의 일단에 리벳 결합되고, 제3 연결부재(530)의 타단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2 지지부(2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20)와 제2-2 지지부(320) 사이에 제4 연결부재(540)가 결합되는데, 제2 연결부(420)의 타단이 제4 연결부재(540)의 일단에 리벳 결합되고, 제4 연결부재(540)의 타단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2-2 지지부(3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지지부에 대한 각각의 연결부재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제2 지지부(200,300) 사이에 연장되는 각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1 지지부(210)와 제2-1 지지부(310)를 연결하도록 제1 압박밴드(60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압박밴드(600)는 상하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는 복수 개의 압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연결부(4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박밴드(600)는 상하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1-1 압박밴드(610)와 제1-2 압박밴드(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1 압박밴드(610)와 제1-2 압박밴드(620)는 제1-1 지지부(2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측 겨드랑이를 둘러 제2-1 지지부(310)에 타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압박밴드(60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제1-1 지지부(210)에 결합되는 고리부(630)와, 고리부(63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640)과, 연결링(640)의 타측을 관통한 일단이 재봉 결합되고 타단이 연결링(640)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부(650)와, 제1 밴드부(650)의 타단에 구비되는 걸림고리(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고리(660)의 일측에는 제1 밴드부(650)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관통홀(661)이 형성된다.
이때, 고리부(630)는 가죽이나 합성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링(640)과 걸림고리(660)는 금속 또는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부(650)는 섬유나 합성수지 등 탄성을 가진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밴드부(650)의 외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670)가 구비되고, 제1 밴드부(650)의 타단 외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670)와 상호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68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제2 결합부재(670,680)로서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스냅단추 등 다른 종류의 암수 결합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2 지지부(220)와 제2-2 지지부(320)를 연결하도록 제2 압박밴드(700)가 결합된다. 제2 압박밴드(700)는 상하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는 복수 개의 압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제2 연결부(42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박밴드(700)는 상하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2-1 압박밴드(710)와 제2-2 압박밴드(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1 압박밴드(710)와 제2-2 압박밴드(720)는 제1-2 지지부(2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일측 허리를 둘러 제2-2 지지부(320)에 타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압박밴드(700)는 전술한 제1 압박밴드(600)와 동일한 재질의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압박밴드(700)는 고리부(730), 연결링(740), 제2 밴드부(750), 및 걸림고리(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760)의 일측에는 제2 밴드부(750)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관통홀(761)이 형성되며, 제2 밴드부(750)의 외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770)가 구비된다. 또한, 제2 밴드부(750)의 타단 외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770)와 상호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780)가 구비된다.
제1,제2 압박밴드(600,700)의 걸림고리(660,760)가 결합되도록,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걸림부(340)가 형성된다. 걸림부(340)는 전술한 제1,제2 압박밴드(600,700)의 고리부(630,7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일측에 걸림홀(341)이 형성되도록 반으로 접혀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걸림홀(341)의 타측 부분이 제2-1 지지부(310)와 제2-2 지지부(3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고리의 사용 상태도이며, 사용자는 제1,제2 압박밴드(600,700)의 걸림고리(660,760)를 걸림부(340)의 걸림홀(341)에 삽입함으로써 제1,제2 압박밴드(600,700)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제1,제2 압박밴드(600,700)는 각각 제1,제2 연결부(410,420)의 반대편에서 신체의 겨드랑이 부분 또는 허리 부분을 압박하며, 볼록하게 만곡된 요추 부위를 가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앞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의 착용시, 제1 지지부(200)는 신체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며, 제2 지지부(300)는 신체의 흉부와 복부 부위에 밀착된다.
이때, 제1 연결부(410)는 왼쪽 겨드랑이를 둘러 제1-1 지지부(210)와 제2-1 지지부(310)의 상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제2 연결부(420)는 오른쪽 허리를 둘러 제1-2 지지부(220)와 제2-2 지지부(320)의 하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제1 압박밴드(600)는 제1 연결부(410)의 반대쪽인 오른쪽 겨드랑이를 둘러 제1-1 지지부(210)와 제2-1 지지부(310) 사이에 결합되며, 제2 압박밴드(700)는 제2 연결부(420)의 반대쪽인 왼쪽 허리를 둘러 제1-2 지지부(220)와 제2-2 지지부(320)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제1,제2 압박밴드(600,700)의 탄성력에 의해 오른쪽 겨드랑이와 왼쪽 허리 부분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며, 요추의 만곡 부위를 눌러주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자동 저장 시스템 순서도이며, 척추측만증 보조기(100)의 지지부와 연결부 등 각종 프레임은 다음의 순서로 그 규격 및 형태가 자동 생성, 저장될 수 있다.
먼저, 전처리 데이터로 생성된 바디 모델링에 엑스레이가 사이즈 굴곡없이 부착된다(S10). 이때, OCR 기술로 C1 척추 부분이 바디 모델링 부분의 맨 상단에 위치하며, L4 척추 부분이 맨 하단에 위치한다.
다음, 척추측만증 보조기(100) 앞 중심 프레임 제일 하단 부분이 L5 척추 부분에 위치하고, 뒷 중심 프레임 제일 상단 부분이 C1 척추 부분에 위치한다(S20).
다음, 몸 굴곡에 따라 나머지 맞춤 프레임이 생성되며(S30), 이후 시스템이 종료된다(S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척추측만증 보조기 200 : 제1 지지부
300 : 제2 지지부 340 : 걸림부
410 : 제1 연결부 420 : 제2 연결부
510 : 제1 연결부재 520 : 제2 연결부재
530 : 제3 연결부재 540 : 제4 연결부재
600 : 제1 압박밴드 700 : 제2 압박밴드

Claims (7)

  1. 신체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일측 겨드랑이를 둘러 흉부 부위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 상단이 결합되며 흉부와 복부 부위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타측 허리를 둘러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복수 개의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제1-1 지지부와 제1-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지지부와 상기 제1-2 지지부의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측 겨드랑이를 둘러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1 압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일측 허리를 둘러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제2 압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밴드의 타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대응 결합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밴드의 외측면에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 압박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응 결합하도록 제2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0200054896A 2020-05-08 2020-05-08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51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96A KR102514948B1 (ko) 2020-05-08 2020-05-08 척추측만증 보조기
PCT/KR2021/005060 WO2021225310A1 (ko) 2020-05-08 2021-04-22 척추측만증 보조기
MX2022014000A MX2022014000A (es) 2020-05-08 2021-04-22 Ortesis para la escoliosis.
CA3178061A CA3178061A1 (en) 2020-05-08 2021-04-22 Scoliosis br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96A KR102514948B1 (ko) 2020-05-08 2020-05-08 척추측만증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28A true KR20210136528A (ko) 2021-11-17
KR102514948B1 KR102514948B1 (ko) 2023-03-29

Family

ID=7846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96A KR102514948B1 (ko) 2020-05-08 2020-05-08 척추측만증 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14948B1 (ko)
CA (1) CA3178061A1 (ko)
MX (1) MX2022014000A (ko)
WO (1) WO2021225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0412B (zh) * 2023-04-04 2024-01-1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七医学中心 一种脊柱侧弯支具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49B2 (ko) * 1974-03-06 1977-03-24
US5012798A (en) * 1989-03-23 1991-05-07 Henry Graf Orthesis for the tridimensional reduction of scolioses
JP2002302801A (ja) * 2001-04-09 2002-10-18 Funny:Kk パニエ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CN200963211Y (zh) * 2006-08-14 2007-10-24 汤福刚 无创伤脊柱侧弯矫形装置
US20080262402A1 (en) * 2004-10-28 2008-10-23 Axial Bio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coliosis Orthosis
KR100987092B1 (ko) 2007-09-28 2010-10-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척추변형 교정기
CN204274735U (zh) 2014-08-14 2015-04-22 张学军 可调脊柱侧弯矫形器
KR101669466B1 (ko) * 2016-05-26 2016-10-26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160146269A (ko) * 2015-06-12 2016-12-21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901556L (sv) * 1999-04-30 2000-10-31 Camp Scandinavia Ab Justerbar ryggortos
KR200194615Y1 (ko) * 2000-03-03 2000-09-01 김영배 척추 보조기
JP5210449B1 (ja) 2012-11-06 2013-06-12 勲 河野 腰曲がり矯正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49B2 (ko) * 1974-03-06 1977-03-24
US5012798A (en) * 1989-03-23 1991-05-07 Henry Graf Orthesis for the tridimensional reduction of scolioses
JP2002302801A (ja) * 2001-04-09 2002-10-18 Funny:Kk パニエ
KR200343123Y1 (ko)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US20080262402A1 (en) * 2004-10-28 2008-10-23 Axial Bio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coliosis Orthosis
CN200963211Y (zh) * 2006-08-14 2007-10-24 汤福刚 无创伤脊柱侧弯矫形装置
KR100987092B1 (ko) 2007-09-28 2010-10-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척추변형 교정기
CN204274735U (zh) 2014-08-14 2015-04-22 张学军 可调脊柱侧弯矫形器
KR20160146269A (ko) * 2015-06-12 2016-12-21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695276B1 (ko) 2015-06-12 2017-01-11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669466B1 (ko) * 2016-05-26 2016-10-26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8061A1 (en) 2021-11-11
WO2021225310A1 (ko) 2021-11-11
MX2022014000A (es) 2023-02-09
KR102514948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EP2200545B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JP7333513B2 (ja) 体幹装具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8827940B2 (en) Lumbar support belt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US20100262056A1 (en) Back brace
CN112584800A (zh)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系统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20210136528A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0879630B1 (ko) 흉요추 보조기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249325Y1 (ko) 척추 보조기
CN212754287U (zh) 一种束腰带
WO2021104145A1 (zh) 用于护腰带上的压腹板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CN202821748U (zh) 脊柱矫形器
CN219679836U (zh) 一种双重加压护腰
KR200249326Y1 (ko) 척추 보조기
KR102547946B1 (ko) 선택적 브릿지 압박을 통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