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88B1 - 척추측만증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88B1
KR102632688B1 KR1020210170027A KR20210170027A KR102632688B1 KR 102632688 B1 KR102632688 B1 KR 102632688B1 KR 1020210170027 A KR1020210170027 A KR 1020210170027A KR 20210170027 A KR20210170027 A KR 20210170027A KR 102632688 B1 KR102632688 B1 KR 102632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support pieces
scoliosis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269A (ko
Inventor
정택성
김선욱
정하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티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티엠엑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티엠엑스
Priority to KR102021017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88B1/ko
Priority to PCT/KR2021/019573 priority patent/WO2023101093A1/ko
Publication of KR2023008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여 환자의 측면 일측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00); 상기 고정패드의 반대측에서 환자의 측면 타측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지지대(200); 및 상기 고정패드(100)와 상기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111, 1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대(210)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220)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대(2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 및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1본체(212)를 포함하고, 제2지지대(2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 및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의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2본체(2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보조기{Scoliosis brace}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일상생활이 용이함과 동시에 척추측만증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환자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측만증(scoliosis)란, 그리스어의 굽었다는 뜻의 skolios 에서 유래한 말로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이다. 척추를 앞이나 뒤에서 볼 때, 머리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는데, 측면으로 휘어진(측만) 상태인 것이 척추측만증이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자세의 이상이나 통증에 의해 발생하면서 척추의 구조에는 변화가 없는 측만증을 기능성 척추측만증, 척추의 구조자체에 변화가 발생하는 측만증을 구조적 척추측만증이라 한다. 이러한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점차 악화되어 심, 폐기능의 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보조기에 의한 치료방법과 수술에 의한 치료방법 등이 있으며, 측만증의 각도가 20 ~ 40° 도 정도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보조기에 의한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보조기는 목까지 올라오는 밀워키 보조기, 겨드랑이 아래까지 오는 흉요추 보조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척추측만증 치료용 보조기는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안쪽으로 휘어지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곡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가 지지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는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를 착용하면 지지부에 내장된 다수의 보강대가 허리의 요추를 정확히 지지하며, 고정부의 벨크로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척추보조기에 의해 일정각도의 압박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척추측만증의 경우, 환자마다 척추의 만곡 각도가 상이하므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일정하게 고정된 교정 각도를 가진 척추보조기의 착용 만으로는 소정의 치료 효과를 거두는데 한계가 있으며, 환자의 증상에 맞는 적정 각도의 척추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비용, 시간, 노력 등에 많은 부담이 주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18-0078879호("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상생활이 용이함과 동시에 척추측만증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여 환자의 측면 일측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00); 상기 고정패드의 반대측에서 환자의 측면 타측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지지대(200); 및 상기 고정패드(100)와 상기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111, 1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대(210)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220)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대(2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 및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1본체(212)를 포함하고, 제2지지대(2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 및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의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2본체(2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본체(212)는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서 수평 방향 보다 상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222)는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서 수평 방향 보다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는 제1 스트랩 결합지점(231)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는 제2 스트랩 결합지점(23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에 의해서 상기 제1, 2지지편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은 제1 지지편의 제1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스트랩은 제2 지지편의 제2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된다.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하여, 환자의 몸통을 감싸는 고정밴드(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은 힌지축(23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회동하되, 회동하는 각도에 제한을 주는 회동제한수단(S1,S2)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S1)와,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힌지축(230)을 기준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S1)에 부딪히는 돌출편(S2)으로 이루어지는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고정패드를 중심으로 각각 상, 하향 방향으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는 서로 힌지축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 증상에 맞는 교정 각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환자의 척추 측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설정해주어 척추측만증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일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타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 구성의 이동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회동제한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커버재질로 감싼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중 "일측" 이란,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구성에서 한쪽의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지지편의 일측은 힌지축과 연결된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일단"은 일측의 한 부분, 즉, 한 끝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이란, 사용 상태에서 일측의 반대 측을 의미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한 끝을 의미한다.
아울러, "내측" 이란,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내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서 환자의 몸통과 맞닿는 면을 내측 또는 내측면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패드와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는 면을 내측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이란, 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 환자의 앞쪽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배면" 이란, 환자의 등쪽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척추측만증 보조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보조기(10, 이하, 간단히 '보조기'라고도 함)는, 고정패드(100), 지지대(200) 및 고정밴드(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는 고정패드(100); 및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고정패드(100)와 연결되어, 고정패드(100)를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는 지지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200)는, 고정패드(100)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 제1지지대(210)와 고정패드(100)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 제2지지대(220)를 포함하되,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의 양단은 서로 힌지축(230)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고정패드(100)에 각각 상, 하향 방향으로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는 서로 힌지축(230)에 의해서 소정각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 증상에 맞는 교정 각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환자의 척추 측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0)가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설정해주어 척추측만증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착용이 용이하며, 척추측만증 보조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패드(100)는 환자의 옆구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패드(100)는 인체에 무해한 직물패드 또는 고무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패드(100)의 내면에는 환자의 옆구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00)는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고정패드(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패드(100)를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척추 측만이 좌측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0)는 우측에 착용되어, 상기 고정패드(100)를 우측으로 당겨줄 수 있으며, 척추 측만이 우측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0)는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0)를 좌측으로 당겨 줌으로써, 척추 측만을 교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0)는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고 있어, 환자의 한쪽 가슴부분과 이와 연결된 등부분을 감쌀 수 있고, 제2지지대(220)는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고 있어, 환자의 한쪽 복부 부분과 이와 연결된 등부분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고정패드(100)를 중심으로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를 두 개의 변으로 하는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삼점압 원리(three-point pressure principle)에 의해 척추 측만을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삼점압 원리" 라 하면, 보조기의 지지력은 세개의 방향으로부터 작용된다는 이론으로, 두방향의 압력과 이와 반대 방향의 한 점의 압력이 필요한 원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두 개의 압력과 하나의 반대되는 압력으로 만곡된 척추를 교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2지지대(210, 220)는 지지편과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대(210)는 제1지지편(211, 211')과 제1본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대(21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지지편(211, 211') 및 한 쌍의 제1지지편(211, 211')에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는 제1본체(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지지대(220)는 제2지지편(221, 221')과 제2본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대(22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지지편(221, 221') 및 고정패드(100)와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되, 한 쌍의 제2지지편(221, 221')에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는 제2본체(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편(211, 211')의 일측과 제2지지편(221, 221')의 일측은 서로 힌지축(230)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지지편(211, 211')의 타측은 제1본체(2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편(211, 211')의 타측은 소정각도 절곡될 수 있으며, 특정 양태로서,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편(211, 211')과 제1본체(212)가 이루는 각은 100 내지 130 °범위일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제2지지편(221, 221')의 타측은 제2본체(2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편(221, 221')의 타측은 소정각도 절곡될 수 있으며, 특정 양태로서,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지지편(221, 221')과 제2본체(222)가 이루는 각은 100 내지 13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는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서로 상하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한편, 고정패드(100)는 제1, 2지지편(211, 211', 221, 2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패드(100)는 연결 스트랩(111, 112)에 의해서 제1, 2지지편(211, 211', 221, 22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스트랩(111, 112)은 제1, 2지지편(211, 211', 221, 221')의 절곡된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스트랩(111)은 제1지지편(211, 2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스트랩(112)은 제2지지편(221, 22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스트랩(111, 112)은 상기 제1, 2지지편(211, 211', 221, 221') 타단에 위치한 스트랩 결합지점(231, 2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스트랩(111, 112)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결합지점은 제1 스트랩 결합지점(231)과 제2 스트랩 결합지점(2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트랩 결합지점(231)은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트랩 결합지점(232)은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 위치한다.
한편,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는 척추측만증을 용이하게 교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의료용 폴리테트라플루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및 섬유강화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환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는 내부 충진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진재는 폴리우레탄, 라텍스, 고어텍스, 스폰지, 실리콘 또는 부직포와 등의 충진재료일 수 있다.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의 내측면에 충진재를 포함하여, 척추측만증 보조기(10)를 착용하는 몸체에 직접적인 고통이 수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고정밴드(3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300)는 고정패드(100)와는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 사이에 위치하여,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300)의 양단은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가 연결되는 힌지축(23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고정밴드(300)는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라인 상에 위치하되,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300)는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0)를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300)는 스트랩형태일 수 있으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작동기작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 구성의 이동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회동을 제한하는 구조로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를 보여준다.
먼저, 척추측만증 보조기(10)의 고정패드(100)는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착용한다. 이때,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축(230)이 환자의 상부 몸체의 가운데에 오도록 조정하고, 연결 스트랩(111, 112)과 고정밴드(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척추측만증 보조기(10)를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착용한다. 특히,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환자의 상부 몸체에 맞도록 연결 스트랩(111, 112)과 고정밴드(300)를 이용하여, 조여줄 수 있다.
상기 연결 스트랩이 연결되는 지점이 척추측만증 보조기 역할을 위해 특정한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는 제1 스트랩 결합지점(231)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는 제2 스트랩 결합지점(232)이 위치하는데,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에 의해서 상기 제1, 2지지편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은 제1 지지편의 제1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스트랩은 제2 지지편의 제2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삼점압 원리에 의해서, 두 개의 압력과 하나의 반대되는 압력으로 만곡된 척추를 교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2지지대(210, 220)의 압력과 이와 반대되는 고정패드(100)의 압력으로 만곡된 척추를 교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밴드(300)의 양측은 제1, 2지지대(210, 220)가 결합된 힌지축(230)에 연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밴드(300)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230)은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는 힌지축(230)에 의해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편(211)과 제2지지편(221)의 타단은 각각의 연결 스트랩(111, 112)에 의해서 고정패드(100)와 연결되며, 이때, 연결 스트랩(111, 112)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서, 스트랩 결합지점(231, 232)에 결합된 제1지지편(211)과 제2지지편(221)은 '〉' 형상과 같이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의 제1본체(212) 및 제2본체(222)는 고정패드(10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는 환자 증상에 맞는 교정 각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환자의 척추 측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대(210) 및 제2지지대(220)가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설정해주어 척추측만증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회동하되, 회동하는 각도에 제한을 주기 위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동제한수단(S1,S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 표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S1)와,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이 힌지축(230)을 기준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S1)에 부딪히는 돌출편(S2)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대 중 상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대(210)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220)가 상기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특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보조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므로 서로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동제한수단으로 제1지지편(211,211') 표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S1)와, 제2지지편(221,2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편(S2)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지지편이 회동하기 전의 모습이며, 도 6은 상기 지지편이 회동하여 회동제한수단이 서로 부딪힌 모습으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커버재질로 감싼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 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여 환자의 측면 일측에 밀착되는 고정패드(100);
    상기 고정패드의 반대측에서 환자의 측면 타측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지지대(200); 및
    상기 고정패드(100)와 상기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111, 1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대(210)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220)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대(21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 및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1본체(212)를 포함하고,
    제2지지대(2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 및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의 연결되어 환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 밴드 형상의 제2본체(2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211,211')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221,221')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212)는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서 수평 방향 보다 상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222)는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서 수평 방향 보다 하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 상단에는 제1 스트랩 결합지점(231)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 하단에는 제2 스트랩 결합지점(23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에 의해서 상기 제1, 2지지편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은 제1 지지편의 제1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스트랩은 제2 지지편의 제2 스트랩 결합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하여, 환자의 몸통을 감싸는 고정밴드(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은 힌지축(23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편의 하단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편의 상단은 힌지축(230)에 의해서 회동하되, 회동하는 각도에 제한을 주는 회동제한수단(S1,S2)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S1)와,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힌지축(230)을 기준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S1)에 부딪히는 돌출편(S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0210170027A 2021-12-01 2021-12-01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63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27A KR102632688B1 (ko) 2021-12-01 2021-12-01 척추측만증 보조기
PCT/KR2021/019573 WO2023101093A1 (ko) 2021-12-01 2021-12-22 척추측만증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27A KR102632688B1 (ko) 2021-12-01 2021-12-01 척추측만증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69A KR20230082269A (ko) 2023-06-08
KR102632688B1 true KR102632688B1 (ko) 2024-02-02

Family

ID=8661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27A KR102632688B1 (ko) 2021-12-01 2021-12-01 척추측만증 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2688B1 (ko)
WO (1) WO20231010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88261A1 (en) 2016-05-26 2019-12-26 Standing Tall Co., Ltd. Scoliosis br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23Y1 (ko) * 2003-11-25 2004-03-04 엠에스메디텍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
KR101013298B1 (ko) * 2007-11-16 2011-02-09 선동윤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927594B1 (ko) 2016-12-30 2019-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KR102103271B1 (ko) * 2018-07-19 2020-04-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41811B1 (ko) *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88261A1 (en) 2016-05-26 2019-12-26 Standing Tall Co., Ltd. Scoliosis br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69A (ko) 2023-06-08
WO2023101093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2221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EP2612626B1 (en) Soft orthopedic knee brace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KR101584194B1 (ko) 척추 보호 및 보정 용구
JPH07255762A (ja) 骨関節症の膝用装具
CA3083493C (en) Limb orthosis, in particular knee orthosis
WO1995017142A1 (en)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KR20180078879A (ko)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US20240108531A1 (en) Spinal Weighting Devices
EP3323391B1 (en) Scoliosis activity suit
KR10263268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US11510802B1 (en) Scoliosis brace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KR200323715Y1 (ko) 개방형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20230052112A (ko)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기능성 보조기
KR200240869Y1 (ko) 자세교정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