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79A -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79A
KR20180078879A KR1020160184126A KR20160184126A KR20180078879A KR 20180078879 A KR20180078879 A KR 20180078879A KR 1020160184126 A KR1020160184126 A KR 1020160184126A KR 20160184126 A KR20160184126 A KR 20160184126A KR 20180078879 A KR20180078879 A KR 2018007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al
patient
pad
scoli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594B1 (ko
Inventor
이정훈
김성중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며, 환자에게 부착되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 연결되어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Wire scoliosis proofreading orthosis}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측만증(scoliosis)"은 그리스어의 "굽었다"는 의미의 "skolios"로부터 유래한 용어로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를 앞 또는 뒤에서 볼 때, 머리 및 다리와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일측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의 질병을 일컫는 것으로, 이는 자세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척추 측만증은 통증은 발생하지만 척추의 구조에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기능성 척추 측만증과, 척추 구조 자체에 변화가 발생하는 구조성 척추 측만증으로 구분된다.
특히, 구조성 척추 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그 증상이 점차 악화되면 심, 폐기능의 저하를 유발하는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상술한 척추 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조기에 의한 치료 방법과, 수술에 의한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척추 측만의 정도가 약 20 ~ 40° 정도인 경우, 통상 보조기를 이용하여 치료하게 된다.
도 1은 환자의 목까지 올라오는 밀워키 보조기, 도 2는 환자의 겨드랑이까지 올라오는 보스턴 보조기, 도 3은 U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척추 측만증 치료용 보조기는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지지부와, 이러한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부는 내측으로 휘어지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바, 곡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가 지지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고정부에는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기들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착용한 상태로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데 불편하고, 환자의 체격, 체형 등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해야 하는 것은 물론,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고정부, 지지부, 보강대의 각도 등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002157 A(2014.01.08)
본 발명은 착용이 간단하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것은 물론, 좌우 및 회전 방향 척추 측만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교정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며, 환자에게 부착되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 연결되어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패드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고정패드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패드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고정패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다이얼과,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패드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고정패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는, 환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1다이얼을 연결함과 동시에, 환자의 등을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1다이얼을 연결하며, 상기 제2와이어는, 환자의 복부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2다이얼을 연결함과 동시에, 환자의 허리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2다이얼을 연결할 수 있다.
환자의 가슴 및 등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다이얼의 서로 다른 외주면에 그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환자의 복부 및 허리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다이얼의 서로 다른 외주면에 그 일단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상의 피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드, 상기 제1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 상기 제1다이얼 및 상기 제2다이얼은 상기 상의 피복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에 따르면, 간단하게 착용 가능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불편함없이 영위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좌우 및 회전 방향 척추 측만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밀워키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보스턴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U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고정패드(10) 및 와이어(20)를 포함한다.
고정패드(10)는 환자의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되, 척추(50)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패드(10)는 환자의 옆구리에 고정,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바, 부착 시 환자 피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정패드(1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젤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일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양한 돌기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자의 옆구리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착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환자의 옆구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20)는 그 일단이 고정패드(10)에 연결되어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고정패드(10)를 당겨주는 기능을 한다. 즉, 좌측으로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경우에는 와이어(20)가 고정패드(10)를 우측 방향으로 당겨주고, 우측으로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경우에는 와이어(20)가 고정패드를 좌측 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척추(50) 측만을 교정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바, 와이어(2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방향 척추(50) 측만을 교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와이어(20)는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22)는 그 일단이 고정패드(10)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고, 제2와이어(24)는 그 일단이 고정패드(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은 고정패드(10)를 중심으로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두 개의 변으로 하는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삼점압 원리에 의해 척추(50) 측만을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얼(30)은 환자의 척추(50)를 중심으로 고정패드(10)와 반대편에 위치하되, 제1와이어(22)를 매개로 고정패드(10)와 연결되어, 제1와이어(2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제1와이어(22)가 고정패드(10)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다이얼(30)은 환자의 어깨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다이얼(40)은 척추(50)를 중심으로 고정패드(10)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2와이어(24)를 매개로 고정패드(10)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24)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바, 제2다이얼(40)은 제2와이어(24)가 고정패드(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환자의 엉치뼈 부근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척추(50) 측만은 좌우 측면 방향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옆으로 척추(50)가 휘어지면서 회전을 동반하는 형태로 발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이용하여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부위에 반대 방향 텐션을 가함으로써 척추(50)의 좌, 우 방향 측만을 교정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을 이용하여 척추(50) 회전 방향 대비 역방향 토크를 가함으로써 회전을 동반한 척추(50) 측만을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 우 방향 척추(50) 측만 및 회전 방향 척추(50) 측만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이유는, 고정패드(10)를 중심으로 가상의 수평 라인을 형성하였을 때,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이 가상의 수평 라인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곳에 위치하여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 조절에 의해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에 걸리는 텐션을 서로 달리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에 걸리는 텐션이 동일한 경우에는 좌, 우 방향 척추(50) 측만을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제1와이어(22)에 걸리는 텐션과 제2와이어(24)에 걸리는 텐션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척추(50)의 회전된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토크를 가할 수 있게 되어 회전 방향 척추(50) 측만을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은 각각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가 권취되거나, 풀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는바,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동일한 힘 또는 서로 다른 힘으로 팽팽하게 유지함으로써, 척추(50) 측만이 발생한 부위의 반대 방향 또는 회전 방향으로 항상 텐션 내지 토크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작동 편의성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가 연결되어 진다.
따라서,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의 회전에 따라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는 각각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로부터 풀리거나,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은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가 감기거나, 풀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바, 이러한 스토퍼 기능은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 외주면에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를 고정하는 돌기, 또한 홈 등 다양한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스토퍼 기능을 갖는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한 선행기술에 존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의 일단은 각각 고정패드(1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그 타단은 각각 환자의 신체 또는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구조물은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 고정을 위해 별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상술한 고정패드(10)일 수도 있다.
고정패드(10) 하나에 제1와이어(22)의 일단 및 타단, 제2와이어(24)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기 위해서,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4)는 고리 또는 밴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그 일단이 고정패드(10)에 고정된 제1와이어(22)를 환자의 가슴 부위 및 어깨 부위에 접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타단을 어깨 부위로 넘겨 등을 가로지르게 설치하고, 고정패드(10)에 연결한다.
더 효율적으로 상술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제1와이어(22)는 환자의 가슴 쪽을 가로지르는 것과, 환자의 등을 가로지르는 것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환자의 가슴 쪽을 가로지르는 제1와이어(22)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고정패드(10) 및 제1다이얼(30)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환자의 등 쪽을 가로지르는 제1와이어(22)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1다이얼(30) 및 고정패드(10)에 연결된다.
가슴 쪽, 등 쪽에 각각 설치되는 제1와이어(22)가 제1다이얼(30)에 권취되거나, 제1다이얼(30)로부터 풀릴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다이얼(30)의 서로 반대편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와이어(24)의 일단은 고정패드(10)에 연결되고, 고정패드(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2다이얼(40)을 경유한 후, 환자의 허리를 가로질러 그 타단이 다시 고정패드(10)로 연결된다.
제1와이어(22)와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24) 역시 한 쌍을 준비하여, 하나는 환자의 복부 쪽에, 다른 하나는 환자의 허리 쪽에 설치하되, 각각의 제2와이어(24)의 일단은 고정패드(10)에 연결하고, 그 타단은 제2다이얼(40)의 외주면에 연결함으로써, 제2와이어(24)의 권취, 풀림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는 상의 피복(60)을 더 포함하고, 상술한 고정패드(10), 제1와이어(22), 제2와이어(24),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은 상의 피복(6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의 피복(60)을 환자가 착용할 때, 고정패드(10)는 환자의 옆구리 쪽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의 피복(60)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다이얼(30)은 상의 피복(60)의 어깨, 제2다이얼(40)은 고정패드(10)가 설치된 가상의 수평라인을 중심으로 제1다이얼(30)과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의 피복(60)에 상술한 구성을 설치함으로써, 환자가 간편하게 상의 피복(60)을 착의한 상태에서 제1다이얼(30) 및 제2다이얼(40)만을 조작하여 좌우 방향 척추 측만, 회전 방향 척추 측만을 삼점압 원리에 의해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고정패드 20 : 와이어
22 : 제1와이어 24 : 제2와이어
30 : 제1다이얼 40 : 제2다이얼
50 : 척추 60 : 상의 피복

Claims (6)

  1. 척추 측만이 발생한 부위와 동일한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위치하며, 환자에게 부착되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 연결되어 척추 측만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패드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고정패드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패드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고정패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다이얼과,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패드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고정패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다이얼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환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1다이얼을 연결함과 동시에, 환자의 등을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1다이얼을 연결하며,
    상기 제2와이어는,
    환자의 복부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2다이얼을 연결함과 동시에, 환자의 허리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패드 및 상기 제2다이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환자의 가슴 및 등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다이얼의 서로 다른 외주면에 그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환자의 복부 및 허리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다이얼의 서로 다른 외주면에 그 일단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환자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상의 피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드, 상기 제1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 상기 제1다이얼 및 상기 제2다이얼은 상기 상의 피복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KR1020160184126A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KR10192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26A KR101927594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26A KR101927594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79A true KR20180078879A (ko) 2018-07-10
KR101927594B1 KR101927594B1 (ko) 2019-03-12

Family

ID=6291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26A KR101927594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5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8235A (zh) * 2019-01-07 2019-03-2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具有矫治力系动态调控功能的智能脊柱矫形器
KR20200009470A (ko) *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62571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77094A (ko) * 2018-12-20 2020-06-30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N111759563A (zh) * 2020-07-13 2020-10-13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二〇医院 脊柱矫形装置
WO2021025182A1 (ko) * 2019-08-02 2021-02-11 밸류앤드트러스트㈜ 최적의 3 포인트 프레셔 기능을 구현하는 척추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측만증 관리 시스템
WO2023101093A1 (ko) * 2021-12-01 2023-06-08 유한회사 티엠엑스 척추측만증 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KR20140002157A (ko) 2012-06-28 2014-01-08 하병욱 척추보조기
US20140296759A1 (en) * 2011-03-10 2014-10-02 Martin Matthews Orthot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 Orthotic Device
KR20150005892A (ko) * 2014-12-19 2015-01-15 박윤미 벨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KR101638138B1 (ko) *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953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
US20140296759A1 (en) * 2011-03-10 2014-10-02 Martin Matthews Orthot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 Orthotic Device
KR20140002157A (ko) 2012-06-28 2014-01-08 하병욱 척추보조기
KR20150005892A (ko) * 2014-12-19 2015-01-15 박윤미 벨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
KR101638138B1 (ko) *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70A (ko) *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62571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20200077094A (ko) * 2018-12-20 2020-06-30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N109498235A (zh) * 2019-01-07 2019-03-2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具有矫治力系动态调控功能的智能脊柱矫形器
CN109498235B (zh) * 2019-01-07 2024-02-09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具有矫治力系动态调控功能的智能脊柱矫形器
WO2021025182A1 (ko) * 2019-08-02 2021-02-11 밸류앤드트러스트㈜ 최적의 3 포인트 프레셔 기능을 구현하는 척추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측만증 관리 시스템
CN111759563A (zh) * 2020-07-13 2020-10-13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二〇医院 脊柱矫形装置
WO2023101093A1 (ko) * 2021-12-01 2023-06-08 유한회사 티엠엑스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30082269A (ko) 2021-12-01 2023-06-08 유한회사 티엠엑스 척추측만증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594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59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ES2326361T3 (es) Compresor ajustable de la arteria radial.
KR101769288B1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US20130085533A1 (en) Orthosis to correct spinal deformities
KR101788154B1 (ko) 척추만곡증 교정기
WO2003094699A3 (en) Dynamic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10506694A (ja) 複数の脊椎分節拘束用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BR112012021211A2 (pt) cinta lombar altamente ajustável.
KR20190068020A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EP3638161A1 (en) A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for use in treating a bone fracture
RU24639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020033614A (ko)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CN113301879A (zh) 一种肘部和前臂矫形器
KR20190082234A (ko) 요추 및 흉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형교정 베개
KR20130094491A (ko) 경추 보조기
US20080082030A1 (en) Adjustable nose splint
JP2017158941A (ja) ハイブリッド型体幹装具
SE0950988A1 (sv) Dorsal underarmsplatta
US20110178450A1 (en) Manual Spinal Traction Device
KR10263268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RU2158119C1 (ru) Корректор осанки
BE1027653B1 (nl) Dynamisch korset
JP2014087381A (ja) 側弯矯正装具
US20210282995A1 (en) Scoliosis Correctio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