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157A - 척추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57A
KR20140002157A KR1020120069863A KR20120069863A KR20140002157A KR 20140002157 A KR20140002157 A KR 20140002157A KR 1020120069863 A KR1020120069863 A KR 1020120069863A KR 20120069863 A KR20120069863 A KR 20120069863A KR 20140002157 A KR20140002157 A KR 2014000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ist
bobbin
driv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522B1 (ko
Inventor
하병욱
노성환
Original Assignee
하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병욱 filed Critical 하병욱
Priority to KR102012006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매직테이프(105)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우측 허리밴드(110,1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110,120)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135)과 고정구(136)를 갖는 연결밴드(130)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100)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300) 및 상기 허리밴드부(100)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200)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136)는, 상기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기어뭉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보빈을 전동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 전원 배터리와; 상기 모터의 구동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제어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보빈과 모터와 기어뭉치와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외측으로 상기 스위치가 형성된 얇은 박스형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당김줄(135)의 당김과 풀림을 전동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힘에 의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부착되며, 최적 착용 상태가 자동 인지되면서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타인이 착용을 도울 수 있는 척추보조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척추보조기{spine brace}
본 발명은 일측에 매직테이프(105)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우측 허리밴드(110,1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110,120)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135)과 고정구(136)를 갖는 연결밴드(130)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100)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300) 및 상기 허리밴드부(100)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200)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136)는, 상기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기어뭉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보빈을 전동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 전원 배터리와; 상기 모터의 구동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제어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보빈과 모터와 기어뭉치와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외측으로 상기 스위치가 형성된 얇은 박스형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당김줄(135)의 당김과 풀림을 전동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허리보호대는 복대(요대)라고도 불리우며, 신축성 있는 섬유재질(스판덱스)을 사용하여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 버클이나 벨크로파스너 테이프(매직테이프)를 봉재하여 허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허리보호대는 허리를 약간 압박하면서 폭 넓게 받쳐주어 착용자의 허리를 똑바로 펴진 상태로 편안하게 만들어 주면서 통증이 없는 상태로 보호해주는 의료용구의 일종이다.
허리보호대는 그 재질에 따라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임산부, 배가 많이 나온 사람 등에는 적합하지만 허리 디스크와 같은 척추 환자의 경우에는 허리를 바르게 펴주어야 하므로 늘어나는 성질이 있는 스판덱스 재질의 허리보호대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일반적인 허리보호대는 앞쪽에서만 조임하도록 된 것이므로 허리를 반듯하게 받쳐주기 위해서는 허리 뒤쪽에서 척추와 허리를 잇는 선을 넓은 폭으로 받쳐주기 위한 구조의 허리보호대가 필요하였다.
이에 도 3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 146563 호에서 선단에는 매직테이프(11)(21)를 후단에는 걸림환홈(12)(22)을 갖는 다수의 체결돌기(13)(23)를 연결한 좌,우측밴드(10)(20)와, 상기 체결돌기(13)(23)에 끼워 맞춤되는 다수의 체결공(35)(35')을 형성시킨 연결대(31)(31') 내부에 다수 돌설한 돌기축(33)(33')마다 로울러(36)(36')를 공회전되게 끼우고 상기 로울러(36)(36')에 당김줄(37)을 지그재그로 걸되, 일측 연결대(31')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당김줄(37)의 양단(38)(38')을 조임밴드(40)에 연결하여서 된 후방조임구(30)로 구성하여 조임밴드(40)를 당겨주면 허리 뒤쪽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요대가 제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허리질병은 통상 허리디스크를 칭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잘못된 구조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척추의 올바른 교정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척추의 잘못된 구조는 척추 전망증, 후만증, 측만증과 같은 허리디스크를 유발한다. 이에 척추의 교정에 필요한 척추보조기가 더욱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한 도 5과 도 6a, 6b 각각은 상술한 도 3에 상응하는 허리보호대(요대)(10)의 구성에 사용자 등에 밀착되는 등판(20)이 더욱 부과되어 일체화된 일반적인 척추 보조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척추보조기의 등판(20)은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어깨끈(30)이 더 부과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척추보조기의 간단한 착용법을 알아보면, 착용자는 어깨끈(30)을 메고, 허리보호대(10)를 허리에 맞게 둘리는데 이에 양 밴드(11,12)를 서로 엇갈러 포개어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양 밴드(11,12)에는 벨크로테이프(15)에 의해 쉽게 고정되도록 한다.(도 6a 참조)
이후 허리보호대(10)에 마련된 조임밴드(16)를 손으로 당겨 당김줄(17)을 알맞게 당겨 조이고 이 상태로 상기 조임밴드(16)를 근접한 일 밴드(11 또는 12)의 선단에 마련된 벨크로테이프(15)에 접착한다.
하지만 상술한 척추보조기는 착용자가 장시간 몸에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특성상 착용자마다 조금씩 다른 체형에 따른 등판의 구조가 적절히 대응되지 못하여 장시간 착용하면 착용자의 행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착용자가 척추보조기의 착용으로 인해 척추의 교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교정되어 가는 척추의 상태에 따른 등판(또는 척추보조기)을 계속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척추보조기의 마련된 조임밴드(16)의 경우, 착용자가 조임밴드(16)를 당겨야 하는 과정에서 이를 착용하는 노인들에게는 다소 힘에 무리가 따르는 경우가 있어, 조임밴드(17)가 느슨하게 일 밴드(11 또는 12)에 고정되어 척추보조기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등록특허 제10-1070973호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136)는,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의 양단을 그 내부에서 권선 처리하고, 마련된 다이얼(a)의 조정에 따라 상기 당김줄(135)의 조임과 풀림이 가능한 원터치 다이얼 방식의 프리락(freelock)장치의 형식으로서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110,120) 중 일 허리밴드(120)의 외측면에 박음질하여 부착되어, 착용자의 척추 교정시 착용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신체 변형에 대응하여 등판의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허리밴드부의 당김줄 고정을 간단한 다이얼의 조작으로 개량하여 그 착용이 편리한 척추보조기를 개시하였다.
그런데 상기 척추보조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힘에 의지하여 다이얼을 돌려서 착용하므로 환자가 직접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다이얼의 위치 역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번 사용할 때마다 적정 착용 상태를 보정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체감 상태를 알려주지 않으면, 타인이 착용을 도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298호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 등록실용신안 제0362859호 "착탈식 허리 보호대" 등록실용신안 제0249325호 "척추보조기" 등록실용신안 제0323715호 "개방형 척추 측만증 보조기" 등록특허 제10-1074235호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등록특허 제10-1070973호 "척추보조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힘에 의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부착되는 척추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적 착용 상태가 자동 인지되면서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타인이 착용을 도울 수 있는 척추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매직테이프(105)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우측 허리밴드(110,1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110,120)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135)과 고정구(136)를 갖는 연결밴드(130)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100)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300) 및 상기 허리밴드부(100)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200)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4)는, 상기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이 감기는 보빈(42)과; 상기 보빈(42)과 기어뭉치(43)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보빈(42)을 전동 구동시키는 모터(44)와; 상기 모터(44)의 구동 전원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모터(44)의 구동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40)와; 상기 스위치(40)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제어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41)와; 상기 보빈(42)과 모터(44)와 기어뭉치(43)와 배터리(미도시) 및 상기 제어부(41)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외측으로 상기 스위치(40)가 형성된 얇은 박스형 케이스(400)로 구성되어 상기 당김줄(135)의 당김과 풀림을 전동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척추보조기는 케이스(400)의 하단에 상기 좌, 우측 허리밴드의 매직테이프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당김줄(135)로 최적 상태로 허리 조임을 실시한 후 상기 케이스(400)를 허리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41)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척추보조기의 사용 상태, 시간, 빈도, 조임량을 기록하고, 재사용시 최적 구동량을 모터에 피드백되게 하여 당김줄(135)의 자동 조임이 실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힘에 의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부착되는 척추보조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최적 착용 상태가 자동 인지되면서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타인이 착용을 도울 수 있는 척추보조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보조기 고정구 내부의 평면 구성도
도 3과 도 4 각각은 등록실용실안 제 146563호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구성도.
도 5과 도 6a, 6b 각각은 종래의 척추보호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선등록특허 제10-1070973호의 전개 구조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보조기 고정구 내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매직테이프(105)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 우측 허리밴드(110,120)와, 상기 좌, 우측 허리밴드(110,120)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135)과 고정구(136)를 갖는 연결밴드(130)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100)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300) 및 상기 허리밴드부(100)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200)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4)는, 보빈(42)과 모터(44)와 배터리(미도시, 도 2의 제어부(41) 회로기판 아랫 부분에 배치됨)와 스위치(40)와 제어부(41)와 기어뭉치(43)와 케이스(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고정구(4)는 상기 케이스(400)에 내장되어 상기 당김줄(135)의 당김과 풀림을 전동 구동시키는 전동장치이다.
상기 케이스(400)에는 상기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이 감기는 보빈(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400)에는 상기 당김줄(135)이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통공을 통하여 케이스(400) 내부로 인입된 당김줄(135)은 상기 보빈(42)에 결합되어, 보빈(42)의 구동에 따라 보빈(42)에 감겨지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보빈(42)은 모터(4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데, 상기 보빈(42)과 모터(44) 사이에는 모터(44)의 회전량을 감속시키고 회전토크를 상승시키는 감속 기어뭉치(43)가 삽입된다,.
상기 모터(44)의 구동 전원은 배터리(미도시)가 사용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전원 입력단자()를 마련하여 배터리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터(44)는 제어부(41)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는데, 본 발명의 케이스(400)에는 모터 구동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40)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1)는 스위치(40)의 구동에 따라 모터(44)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44)의 구동량은 사용자의 인체 특성, 병변 교정특성, 허리 사이즈 및 영양 상태에 따른 허리 상태의 변화 등에 의하여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41)는 메모리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44)의 구동량 등의 정보를 누적하여 데이터로 보관하며, 상기 누적 데이터는 추후 모터(44)의 구동시 최적 구동량 정보로 제공되게 하여, 상기 스위치(40)의 온, 오프만으로 최적 모터의 구동량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00)에 내장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400)의 하면에는 상기 좌, 우측 허리밴드의 매직테이프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당김줄(135)로 최적 상태로 허리 조임을 실시한 후 상기 케이스(400)를 허리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매직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는 부착 위치에 따른 구분에 불과하며 실제에 있어서는 서로 부착되는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는 벨크로 테이프로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케이스(400)를 손에 들고 최적 조임 상태가 되도록 조인 후에, 허리 부분에 부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안한 조작 상태를 유지하여 최적 허리 조임을 실현할 수 있으며, 추후 최적 조임량이 자동 구동되고, 케이스의 보관이 편리하고 손쉬운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4 : 고정구 40 : 스위치
41 : 제어부 42 : 보빈
43 : 기어뭉치 44 : 모터
400 : 케이스
100 : 허리밴드부 200 : 등판부
300 : 어깨끈 105 : 매직테이프
110, 120 : 좌,우측 허리밴드 130 : 연결밴드
135 : 당김줄 136 : 고정구
210, 220 : 등판의 상,하판
201 : 결합공 205 : 결합부
206 : 커버 207 : 커버의 개방부
230 : 연결부재 235 : 나사공
236 : 연결봉
a : 다이얼

Claims (3)

  1. 일측에 매직테이프(105)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하는 좌,우측 허리밴드(110,1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110,120) 사이에 허리를 2차적으로 조여서 고정하며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당김줄(135)과 고정구(136)를 갖는 연결밴드(130)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부(100)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접하며, 어깨끈(300) 및 상기 허리밴드부(100)를 외면에서 결합하는 등판부(200)로 형성된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부(100)의 고정구(136)는,
    상기 연결밴드(130)로부터 인출되는 당김줄(135)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기어뭉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보빈을 전동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 전원 배터리와;
    상기 모터의 구동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제어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보빈과 모터와 기어뭉치와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외측으로 상기 스위치가 형성된 얇은 박스형 케이스;
    로 구성되어 상기 당김줄(135)의 당김과 풀림을 전동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는
    케이스의 하단에 상기 좌, 우측 허리밴드의 매직테이프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당김줄(135)로 최적 상태로 허리 조임을 실시한 후 상기 케이스를 허리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척추보조기의 사용 상태, 시간, 빈도, 조임량을 기록하고, 재사용시 최적 구동량을 모터에 피드백되게 하여 당김줄(135)의 자동 조임이 실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조기.
KR1020120069863A 2012-06-28 2012-06-28 척추보조기 KR10142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863A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2-06-28 척추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863A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2-06-28 척추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57A true KR20140002157A (ko) 2014-01-08
KR101425522B1 KR101425522B1 (ko) 2014-07-31

Family

ID=5013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863A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2-06-28 척추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879A (ko)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CN112334027A (zh) * 2018-05-11 2021-02-05 惠亚达私人有限公司 支撑服
WO2021145524A1 (ko) * 2020-01-17 2021-07-22 이광은 체형 맞춤형 허리벨트
CN114939017A (zh) * 2022-05-17 2022-08-26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脊柱矫形装置
CN115138026A (zh) * 2022-06-20 2022-10-04 南通九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式多功能行走训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84B1 (ko) * 2014-03-24 2015-05-20 이성종 허리 보호대
CN104013484A (zh) * 2014-05-29 2014-09-03 任宪锋 一种脊椎稳定系统
KR101668950B1 (ko) * 2015-05-07 2016-10-24 최수영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2924B1 (ko) *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KR102000991B1 (ko) 2017-05-23 2019-10-01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KR20230068504A (ko) 2021-11-11 2023-05-18 전병국 백 부착이 가능한 허리의 상태에 따라 조임 가능한 요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75Y1 (ko) 2000-05-25 2001-01-15 황인옥 허리 보호대
KR200362859Y1 (ko) 2004-06-28 2004-09-22 대 식 박 착탈식 허리보호대
KR100799718B1 (ko) 2006-09-28 2008-02-01 강욱 허리보호대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10-14 하병욱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879A (ko)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CN112334027A (zh) * 2018-05-11 2021-02-05 惠亚达私人有限公司 支撑服
WO2021145524A1 (ko) * 2020-01-17 2021-07-22 이광은 체형 맞춤형 허리벨트
CN114939017A (zh) * 2022-05-17 2022-08-26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脊柱矫形装置
CN114939017B (zh) * 2022-05-17 2024-05-2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脊柱矫形装置
CN115138026A (zh) * 2022-06-20 2022-10-04 南通九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式多功能行走训练器
CN115138026B (zh) * 2022-06-20 2023-10-13 南通九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式多功能行走训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522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22B1 (ko) 척추보조기
US7727172B2 (en) Back brace having pull cord for size adjustment
KR101070973B1 (ko) 척추보조기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11331240B2 (en) Suit type exoskeleton adjustable to user's body size and suit type exoskeleton for knee power assistance
JP2009017932A (ja) 腰部サポーター
US20070144527A1 (en) Tracheal tube anti-disconnect device
CN204246321U (zh) 头带结构以及焊接面罩
US20010023695A1 (en) Nasal dilator
KR200208722Y1 (ko)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0208575Y1 (ko) 허리 보호대
CN205988354U (zh) 腰部高腰固定器
TWI549667B (zh) Can detect the pull of the protective gear
CN208910650U (zh) 一种约束装置
CN218961083U (zh) 一种具有定时功能的约束带
CN212755608U (zh) 一种腕戴式睡眠监测装置及具有其的远程睡眠监测系统
US20040049142A1 (en) Trochanter belt
CN219558009U (zh) 颈部按摩装置
CN212118421U (zh) 一种用于耳外科换药固定的耳套
CN209827264U (zh) 一种一次性医用改良头套
KR102566002B1 (ko) 코 부착용 장치
CN207898580U (zh) 重症监护约束装置
CN216702751U (zh) 一种新生儿约束床单
CN214713781U (zh) 一种鼻胆管固定装置
JPH05243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