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91B1 -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 Google Patents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991B1
KR102000991B1 KR1020170063268A KR20170063268A KR102000991B1 KR 102000991 B1 KR102000991 B1 KR 102000991B1 KR 1020170063268 A KR1020170063268 A KR 1020170063268A KR 20170063268 A KR20170063268 A KR 20170063268A KR 102000991 B1 KR102000991 B1 KR 10200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vice
spinal brace
present
receiving portion
automatic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154A (ko
Inventor
신종호
노성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06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에 적용되는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쉽게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자동체결장치가 구비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밴드 형태로 허리에 착용하여 척추를 받쳐주는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바 형태의 삽입부, 상기 척추보조기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단부 및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삽입부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맞닿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척추보조기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척추보조기의 조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한손으로 쉽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Automatic fastening device and spine orthosi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에 적용되는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쉽게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자동체결장치가 구비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보조기는 척추 질환 및 척추 근력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들이 허리 및 등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척추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보조 장치이다.
따라서 척추를 지지해야 하는 보조 장치로서, 장착 시, 많은 압력이 걸리므로 체결 및 조임 등의 기능을 구비 시,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한 정도이므로 견고하게 체결 및 조임을 실시하기 어려워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척추보조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5522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5522호 (2014.07.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척추보조기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의 조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의 체결 시,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체결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쉽게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밴드 형태로 허리에 착용하여 척추를 받쳐주는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바 형태의 삽입부, 상기 척추보조기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단부 및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삽입부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맞닿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척추보조기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척추보조기의 조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한손으로 쉽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삽입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수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삽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의 삽입부 및 수용부의 결합 및 해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형태로 허리에 착용하여 척추를 받쳐주는 척추보조기(A)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바 형태의 삽입부(1), 상기 척추보조기(A)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단부 및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부(1)를 수용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삽입부(1)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의 단부와 맞닿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삽입부(1)는, 상기 척추보조기(A)의 일단부에 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1) 및 하기의 수용부(2)는, 상기 척추보조기(A)의 양단에 마련되어 서로 결합을 통해 상기 척추보조기(A)를 체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삽입부(1)는, 하기의 수용부(2)의 단부 방향으로 진입하여 체결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의 단부 및 하기의 수용부(2)의 내측부에는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자력의 인력에 의해 소정 간격 이내로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1)의 단부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철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11) 및 결합해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걸림홈부(11)는, 상기 삽입부(1)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홈이 상기 삽입부(1)의 단부면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삽입부(1)의 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11)는, 하기의 체결돌기부(21)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기의 체결돌기부(21)와 결합 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1)의 단부와 하기의 수용부(2)의 내측 단부가 마주쳐 상기 걸림홈부(11)가 하기의 체결돌기와 결합한 후에는 상기 삽입부(1)에 역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볼 때, 지면에 수직한 면 형태의 벽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 및 수용부(2)가 결합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벽부(111)는, 상기 삽입부(1) 및 수용부(2)가 결합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해제부(12)는, 상기 삽입부(1)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홈부(11)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1)를 하기의 수용부(2)와 결합 후, 해제시에는 상기 결합해제부(12)가 형성된 반대방향 즉, 상기 삽입부(1)의 타측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1)를 슬라이딩 시켜 하기의 수용부(2)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 빗면(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삽입부(1)의 단부가 하기의 수용부(2)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빗면(13)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삽입부(1)와 하기의 수용부(2)가 결합 시, 상기 삽입부(1)가 하기의 수용부(2) 내부로 진입하며, 자연스럽게 하기의 체결돌기부(21)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며 진입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한, 상기 빗면(13)이 형성됨으로 인해, 자력이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1)의 단면의 면적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부(2)는, 상기 척추보조기(A)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전방에 형성된 단부 및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부(1)를 수용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삽입부(1)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의 단부와 맞닿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2)의 내측면은 상기 삽입부(1)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철재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1)의 단부가 소정간격 이하로 근접 시,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1)의 단부 및 상기 수용부(2)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이상은 자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걸림홈부(11)의 홈에 체결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돌기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돌기부(21)는, 상기 걸림홈부(11)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부(21)는, 상기 삽입부(1)와 결합 시, 상기 삽입부(1)의 단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수용부(2)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졌다가 탄력적으로 상기 걸림홈부(11)에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1)는, 개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2)의 일측으로 슬리이딩 되면서 해제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삽입부(1)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2)의 일측에는, 잠금부(22)가 더 마련된다.
상기 잠금부(22)는 탄성적인 재질이나 스프링에 의해, 힌지회동 후, 탄력적으로 원위치 될 수 있고, 상기 잠금부(22)의 힌지회동을 통해, 상기 수용부(2)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삽입부(1)가 슬라이딩 형태로 상기 수용부(2)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부(2)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1)의 단부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와의 결합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면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와 수용부(2)의 해제를 위해 자연스럽게 당기는 힘이 작용 시, 상기 비스듬한 면에 의해, 상기 수용부(2)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삽입부(1)가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유도하여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척추보조기(A)의 일측에는, 다이얼 형태로 끈을 조이거나 해제할 수 있는 다이얼조임부(3)가 더 마련되어 상기 척추보조기(A)의 전반적인 조임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A)의 전반에 걸쳐 연결되는 상기 끈의 단부가 상기 다이얼조임부(3)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조임부(3)의 조임에 의해, 상기 끈이 당겨져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끈이 조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끈의 조임 및 해제가 용이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 및 수용부(2)를 포함하여 체결장치가 구성되는 상기 척추보조기(A)는, 온열치료기능 및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ENS)기능이 더 마련되어 척추보조 및 신경치료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장치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2)의 단부로 진입하여 결하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의 단부 및 상기 수용부(2)의 단부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소정간격 이내로 접근 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체결되어 진다.
상기 체결 시, 상기 삽입부(1)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빗면(13)이 상기 체결돌기부(21)를 상기 수용부(2)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진입하고, 완전히 진입 시, 상기 걸림홈부(11)에 상기 체결돌기부(21)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후에는 상기 체결돌기부(21)와 상기 벽부(111)의 마찰에 의해, 상기 삽입부(1)는 진입방향의 역방향으로 해제가 불가능하다.
상기 삽입부(1)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삽입부(1)를 슬라이딩시켜 해제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잠금부(22)를 힌지 회동시켜 상기 삽입부(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척추보조기(A)를 사용 시, 손쉽게 체결 및 해제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척추보조기
1 : 삽입부
11 : 걸림홈부
111 : 벽부
12 : 결합해제부
13 : 빗면
2 : 수용부
21 : 체결돌기부
22 : 잠금부
3 : 다이얼조임부

Claims (5)

  1. 밴드 형태로 허리에 착용하여 척추를 받쳐주는 척추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의 일단부에 바 형태로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척추보조기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단부 및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삽입부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맞닿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와 수용부의 결합 시,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맞닿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자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부 및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홈이 단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돌기부의 단부면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돌기부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해제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홈부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걸림홈부의 홈에 체결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부는, 상기 삽입부와 결합 시,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졌다가 탄력적으로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결합 된 상기 삽입부의 해제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잠금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비스듬한 면이 형성되는 빗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조기의 일측에는,
    다이얼 형태로 끈을 조이거나 해제할 수 있는 다이얼조임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척추보조기에 전반적으로 형성되는 끈의 조임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장치.
KR1020170063268A 2017-05-23 2017-05-23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KR10200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68A KR102000991B1 (ko) 2017-05-23 2017-05-23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68A KR102000991B1 (ko) 2017-05-23 2017-05-23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54A KR20180128154A (ko) 2018-12-03
KR102000991B1 true KR102000991B1 (ko) 2019-10-01

Family

ID=6474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68A KR102000991B1 (ko) 2017-05-23 2017-05-23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3735U1 (de) * 2019-07-08 2019-08-06 Thuasne Deutschland Gmbh Verschluss für eine Orthe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705Y1 (ko) 2004-08-20 2004-12-03 권형철 의자에 부착 사용하는 허리 견인장치
KR100904988B1 (ko) 2007-09-08 2009-06-26 이윤선 척추 보호대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638138B1 (ko)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4-07-31 하병욱 척추보조기
KR200477357Y1 (ko) * 2013-09-27 2015-06-03 강현찬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705Y1 (ko) 2004-08-20 2004-12-03 권형철 의자에 부착 사용하는 허리 견인장치
KR100904988B1 (ko) 2007-09-08 2009-06-26 이윤선 척추 보호대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638138B1 (ko)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54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532B2 (en) Concealed magazine slot arrangement for chest harness, midriff harness, vest, or the like
US20140283826A1 (en) Quick Release Magnetic Clasp f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terface Devices
JP3084683U (ja)
US7797800B2 (en) Buckle for connecting a wrist strap to the handgrip of a pole for use in sporting activities
US11058528B2 (en) Urinary incontinence prevention clip for men
US20180207416A1 (en) Medical tubing organizer
KR102000991B1 (ko)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KR102556937B1 (ko)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080045870A1 (en) Sling holder
TWM514019U (zh) 雪鏡束帶固定結構
US20120203153A1 (en) Secure adjustable orthotic device
US10772439B2 (en) Safety harness with adjustable separation mechanism
US4969239A (en) Ski goggle arm clip
US11147659B1 (en) Dental retainer casing
KR101633418B1 (ko) 간편하게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CN209235120U (zh) 一种用于双拉头拉链的辅助连接具、双拉头拉链、及物品
CN108283538A (zh) 下颚可调式护颈圈
KR200267874Y1 (ko) 신발용 끈 고정구
CN105992606A (zh) 用于保持腹膜透析导管的外部设备的支撑件和用于附接支撑件的附加系统
KR101723884B1 (ko) 신발끈 케이스
KR101609994B1 (ko) 기능성 상의
CN219501340U (zh) 一种用于鼻部术后的冰敷装置
CN216535727U (zh) 一种具有定时功能的绑缚带
US11864612B2 (en) Headband having suspended comfort element
CN207627467U (zh) 一种防止病人坠床的束缚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