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57Y1 -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57Y1
KR200477357Y1 KR2020130008031U KR20130008031U KR200477357Y1 KR 200477357 Y1 KR200477357 Y1 KR 200477357Y1 KR 2020130008031 U KR2020130008031 U KR 2020130008031U KR 20130008031 U KR20130008031 U KR 20130008031U KR 200477357 Y1 KR200477357 Y1 KR 200477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elt
waist
vertebrae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349U (ko
Inventor
강현찬
Original Assignee
강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찬 filed Critical 강현찬
Priority to KR2020130008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5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와의 대면 부위에는 척추와 그 인접부위를 사용자들의 체형에 따라 변형되면서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한 압박부재들을 갖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Spine Correction Belt for Protection}
본 고안은 허리를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고정함과 동시에 허리 부위의 근육을 압박하여 허리의 척추(혹은 요추)가 가지런히 정렬되게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척추와의 대면 부위에는 척추와 그 인접부위를 사용자들의 체형에 따라 변형되면서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자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한 압박부재들을 갖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척추(vertebra, 脊椎)는 척추동물의 척주를 형성하는 뼈를 말하는데 척추골 또는 추골(椎骨)이라고 하는데, 척추는 단골(短骨)에 속하며, 중심체가 되는 추체(椎體)와 여기에서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추궁(椎弓), 그리고 여러 돌기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椎孔)이 형성된다.
사람들 각각의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 경추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추공이 크다. 특히 제1경추는 형태가 다른데, 추체가 결여되어 있어서 거의 고리 모양이 되므로 환추(環椎)라고도 한다. 또 제2경추의 형태도 좀 달라 추체의 위쪽에 이빨 모양의 돌기(치상돌기)가 새끼손가락 끝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환추는 이것을 축으로 하여 두개골을 실은 채로 회전하므로 축추(軸椎)라고도 한다. 치상돌기는 환추의 추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 돌기 때문에 축추는 책상다리를 한 사람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흉추·요추는 전반적으로 하위일수록 대형으로 된다. 천추는 5개가 융합되어 천골이 되고 미추는 작고 추궁이 없다. 이러한 골격들을 갖는 인간들은 살다 보면 한번쯤은 요통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있다. 요통은 아주 사소한 경중에서부터 수술이 필요한 중증의 허리디스크까지 원인도 다양하고 증상도 다양한데, 특히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허리 통증과 함께 목과 어깨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는데, 척추와 관절 통증이야말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하면 앓게 되는 고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질병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 하기 문헌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척추 교정용 벨트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교정용 벨트는, 벨트 자체로 하여금 착용자들의 허리부분을 압박하여 복부가 앞으로 나온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허리를 지나는 척추를 바로 잡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종래의 벨트(복대)는 늘어나거나 조여지는 신축성만으로 허리를 압박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벨트를 착용한 착용자가 허리를 움직일 때마다 복대가 특성에 의해 신축되어짐으로 디스크 환자와 같이 허리의 척추(요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약점이 있었다.
따라서 허리 교정벨트에는 허리부위를 조여지게 하면서도 착용자들의 척추(요추)부위에 따라 순응하여 변형하면서 그 척추와 인접된 근육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바로 잡아주는 압박 부재의 설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국내 실용 등록번호 20-0163988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정벨트의 척추와의 대면부위에 설치된 탄성력을 갖는 궁형(弓形)상의 압박부재로 하여금, 착용자들의 허리부위는 물론 척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수 있게 하고, 또한 더운 여름철의 장기 착용시 땀으로 인한 불편이 없게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통기성도 갖게 한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허리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는, 착용자들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신축(伸縮)되어지게 하면서 착용할 수 있게 한 압박 벨트; 상기 압박벨트의 척추와의 대향 면에 복수 개 설치되어 사용자들의 허리 혹은 척추 부위와 접한 상태를 이루어 해당 부위를 탄성 적으로 압박하는 궁형(弓形) 압박 부와 이 궁형 압박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척추와의 접촉부위에 지속적인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기공들을 구비한 고무 혹은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궁형 압박부의 전 둘레에 걸쳐서 상기 궁형 압박부를 상기 압박벨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궁형 압박부의 양측부의 지지판부와의 인접부위에는 상기 통기공들과 연락되는 장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압박벨트에 대하여 공기 유동이 좋은 망사지로 보호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궁형 압박부에는 원적외선을 부여하는 광물질 혹은 자성체 혹은 광물질 및 자성체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벨트에 구비된 궁형(弓形)상의 압박부재로 하여금, 착용자들의 허리부위는 물론 척추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척추의 변형 방지는 물론 변형된 것을 바로 잡아주는 지지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 착용시 땀으로 인한 불편이 없게 공기 순환이 상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통기성 효과도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벨트에서 척추와의 대면 부위에 설치된 궁형(弓形)의 압박 부재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 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동도(同圖)의 II-II선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 벨트(100)은, 하나의 예를 들어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신축가능한 탄성끈(104)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압박벨트들(102a,102b)과 그리고 압박벨트들(102a,102b)를 착용자들의 허리부위에 대하여 강하게 압박되도록 조이는 신축가능한 조임벨트(108)로 이루어져 있다.
신축가능한 탄성끈(104)의 설치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 벨트(100)은, 착용자들의 허리 사이즈에 상관없이 어느 누구라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압박벨트들(102a,102b)의 대향 단부와 그리고 조임벨트(108)에는, 이들을 서로 강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벨크로 화스너(105a,10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 조임벨트(108)에는 고정용 벨크로 화스너에 대한 표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압박벨트들(102a,102b)에서 착용자들의 척추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대면부위에는 후술하는 궁형(弓形)의 압박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궁형(弓形)의 압박부재(110)에 대하여 외기 순환은 물론 착용시 착용자들에게 압박부재(110)의 탄성력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벨트(100)에서 궁형(弓形)의 압박부재(110)가 설치된 부위는 망사지들(106a,106b)로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도 2는 도 1의 벨트에서 척추와의 대면 부위에 설치된 궁형(弓形)의 압박 부재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 도를,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사용 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압박 부재(110)은 대략 장방형을 이루게 형성되는데, 그 구성을 보면, 압박벨트들(102a,102b)의 척추와의 대면 부위에 복수 개 설치되어 착용자(1)들의 허리 혹은 척추부위와 접한 상태를 이루어 그 해당 부위 즉, 도3의 표시와 같이, 착용자(1)의 굴곡진 허리부위에 순응하면서 부드럽게 압박하는 대략 활모양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궁형(弓形) 압박 부(112)와 그리고 궁형 압박부(112)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척추와 접하는 부위에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를 유동하게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들(114)로 이루어져 있다.
압박 부재(110)에 궁형 압박부(112)를 형성한 이유는 도 3의 표시와 같이 착용자들(1)이 착용시 볼록하게 만곡된 궁형 압박부(112)로 하여금 틀어져 있던 척추부위를 압박하여 원래 위치로 정렬되게 하는 압력을 부여하면서도 착용자들에게 무리한 압력이 부여되지 않게 하는 쿳션력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궁형 압박부(112)의 전 둘레에 걸쳐서는, 궁형 압박부(112)를 압박벨트들(102a,102b)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지지판부(116)가 소정 넓이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궁형 압박부(112)의 양측부의 지지판부(116)과의 인접부위에는, 궁형 압박부(112)에 형성된 통기공들(114)과 연락되는 장공들(118)이 찢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들(114)과 연락되는 장공들(118)은, 도 3의 표시와 같이, 착용자들(1)의 허리부위에 벨트(100)을 착용시 압박벨트들(102a,102b)의 포지(布地)를 통하여 유동 되는 외기가 통기공(114) 및 장공(118)을 통하여 착용자(1)의 몸쪽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하여, 벨트와 의 밀착 부위에 땀 등이 차게 되는 일이 없이 항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압박부재(110)은 청결성 유지를 위하여 벨트(100)으로부터 탈착되게 구성하여 필요시 깨끗히 소제하여 재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압박부재(110)는 각 착용자들(1)의 체형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순응되면서 변형되게 하도록 복원력을 갖는 고무, 수지,실리콘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착용자들에게 건강에 유용한 원적외선을 부여하고자 압박부재(110)의 성형재료에 원적외선을 부여하는 광물질 예컨데, 옥, 맥반석, 게르마늄, 토르말린, 실리카 등과 같은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궁형 압박부(112)의 전면에 원적외선을 부여하는 광물질 혹은 자성체 혹은 광물질 및 자성체(117)가 설치된 것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여, 착용자들에게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원적외선 및/혹은 자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허리 보호는 물론 척추 교정에 시너지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 벨트
110 : 압박 부재
112 : 궁형(弓形)압박부
114 : 통기공
118 : 장공

Claims (3)

  1. 삭제
  2. 사용자들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신축(伸縮)되어지게 하면서 착용할 수 있게 한 압박 벨트; 및
    상기 압박벨트의 척추와의 대향 면에 복수 개 설치되어 착용자들의 허리 혹은 척추부위와 접한 상태를 이루어 해당 부위를 탄성 적으로 압박하는 궁형(弓形) 압박 부와 이 궁형 압박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척추와의 접촉부위에 지속적인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기공들을 구비한 고무 혹은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궁형 압박부의 전 둘레에 걸쳐서 상기 궁형 압박부를 상기 압박벨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궁형 압박부의 양측부의 지지판부와의 인접부위에는 상기 통기공들과 연락되는 장공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 벨트.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압박벨트에 대하여 공기 유동이 좋은 망사지로 보호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궁형 압박부에는 원적외선을 부여하는 광물질 혹은 자성체 혹은 광물질 및 자성체가 같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 벨트.
KR2020130008031U 2013-09-27 2013-09-27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KR200477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031U KR200477357Y1 (ko) 2013-09-27 2013-09-27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031U KR200477357Y1 (ko) 2013-09-27 2013-09-27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49U KR20150001349U (ko) 2015-04-06
KR200477357Y1 true KR200477357Y1 (ko) 2015-06-03

Family

ID=5303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031U KR200477357Y1 (ko) 2013-09-27 2013-09-27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40A (ko) 2019-09-09 2021-03-17 김미정 허리 보호 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1392A1 (en) * 2014-05-27 2016-02-25 Rosalie Dudkiewicz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WO2017083277A1 (en) * 2015-11-09 2017-05-18 Dudkiewicz Rosalie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102000991B1 (ko) * 2017-05-23 2019-10-01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보조기
KR102163678B1 (ko) * 2018-05-09 2020-10-08 김두용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572A (ja) * 1994-04-22 1995-11-07 My Enterp Inc 整形用パッド
KR200226261Y1 (ko) * 2000-11-23 2001-06-15 이종권 허리보호대
JP2004255198A (ja) * 2003-02-27 2004-09-16 Cho Kee Wong 背部整形パッド及び背部サポート・ベルト
KR20130089218A (ko) * 2013-06-25 2013-08-09 이봉균 척추위 중량 받침 조절복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572A (ja) * 1994-04-22 1995-11-07 My Enterp Inc 整形用パッド
KR200226261Y1 (ko) * 2000-11-23 2001-06-15 이종권 허리보호대
JP2004255198A (ja) * 2003-02-27 2004-09-16 Cho Kee Wong 背部整形パッド及び背部サポート・ベルト
KR20130089218A (ko) * 2013-06-25 2013-08-09 이봉균 척추위 중량 받침 조절복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40A (ko) 2019-09-09 2021-03-17 김미정 허리 보호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49U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57Y1 (ko)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KR101638138B1 (ko) 허리 보호대
US4991573A (en) Orthopedic support belt
KR200487233Y1 (ko) 기능성 레깅스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20150038891A1 (en) Protective sheath
US20090131841A1 (en) Thorax Supporting Device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KR200395867Y1 (ko) 척추 교정 장치
US20100168628A1 (en) Head flexion support device
KR101023551B1 (ko) 척추 교정 겸용 운동 벨트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CN205432225U (zh) 一种多功能护腰带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KR100591744B1 (ko) 자세교정용 매트
KR20180004993A (ko) 지압기능이 있는 경추치료용 롤링마사지 베개
KR101813106B1 (ko) 자세교정을 위한 개량형 탈착식 척추지지대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CN208624682U (zh) 一种可调高度的护腰垫
RU2145181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подушка
AU2015335797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20220151818A1 (en) External hea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one of masticatory muscles in patients with bruxism and/or other craniomandibular dysfunctions (cmd)
KR101126325B1 (ko) 목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