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678B1 -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 Google Patents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678B1
KR102163678B1 KR1020180053054A KR20180053054A KR102163678B1 KR 102163678 B1 KR102163678 B1 KR 102163678B1 KR 1020180053054 A KR1020180053054 A KR 1020180053054A KR 20180053054 A KR20180053054 A KR 20180053054A KR 102163678 B1 KR102163678 B1 KR 10216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e
pressing
vertebrae
protrus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837A (ko
Inventor
김두용
김윤석
Original Assignee
김두용
김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용, 김윤석 filed Critical 김두용
Priority to KR102018005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지탱하는 중요부 척추가 각종 질병과 사고와 바르지 못한 자세 등에 의해 척추뼈(200) 또는 디스크 등이 정 위치에서 벗어나 돌출 또는 디스크의 마모와 원인을 모르는 각종 척추병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돌출된 척추뼈(200), 디스크를 정 위치로 밀어 넣는 압박과 가압으로 척추의 정자세로 교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와,

사용자의 허리에 쉽게 착용과 이탈시킬 수 있는 착용의 용이성 및 척추뼈의 휨과 이탈되는 디스크 등으로 인한 통증완화와 이상 척추뼈를 정확히 압박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결수단의 패드부(10), 한쌍의 돌출압박부(20), 및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되는 돌출 만곡부(220)와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휨 또는 이탈되는 이상(異常)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기 위한 내향 된 압박수단인 가압돌부(21)로 간단히 구성과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발휘하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Spine Corrector for Physical Therapy}
본 발명은 척추에 밀착되어 척추를 압박할 수 있도록 부착 또는 허리에 착용하는 복대 등에 착탈시켜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척추병으로 고통받은 사용자의 통증완화와 척추 교정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휴대형 물리치료용 통증완화 및 척추교정기를 제공하고 자세교정으로 각종 척추관련 질병의 물리적 및 자연치유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단히 휴대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의 척추는 목 굽이를 이루는 7개의 경추와 가슴 굽이인 12개의 흉추, 허리 굽이의 5개 요추 그리고 5개의 골반 굽이의 천추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추체(척추)는 추체로부터 날개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되는 횡돌기와 등으로 돌출되는 극상돌기를 형성한 중앙부에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이 있고 질병에 의해 외향으로 노출된 신경이 외부 영향에 의한 압박 등에 의해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각각의 추체 사이로 형성된 디스크가 돌출되어 각종 통증을 야기하는 질병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추체는 추체와 사이로 디스크가 구성되어 추체의 휨과 같은 각종 운동을 자유롭게하고 몸의 측면방향에서 볼 때 완만한 형태의 "S"형이고, 배면에서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정상의 척추를 이루고 극상돌기를 중심으로 척추를 세움하는 척추기립근과 내부의 척추관에는 신경이 지나고 있다.
인체의 척추는 몸의 기둥 역할을 하는 척추체를 비롯해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추간판까지 다양한 관절과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지 상태나 운동 상태에서도 균형을 유지해 주는 축 역할로 상체의 체중을 지지하고 구부렸다 펴는 운동을 수행하는 관절 역할로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사람이 활동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스마트 기기(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사용 증가와 책상에서 허리를 굽힌 상태로 근무하는 현대인들은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전방으로 향한 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 기기를 보거나, 앉아있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를 오랜기간 동안하고 있으면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면서 목의 정상적인 일자형과 "S"자형 커브를 상실한 일자목이 생기게 되고, 특히, 상부 경추와 상부 흉추 부위의 연부조직이 경직되면서 거북목 현상이 가중됨과 함께, 이로인 해 정상적인 목의 커브와 반대로 역커브(Reverse curve) 현상이 발생하게 됨과 함께 또한, 자세불량, 운동저하, 및 영양 불균형과 질병이나 사고, 무리한 운동 및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Idiopathies) 등으로 인하여 요추가 일자형으로 변형되는 등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측만증과, 디스크(disc), 척추뼈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는 둥그렇고 납작한 물렁 조직이 변화되면서 연화되고 일부가 옆으로 삐져나와서 척추 신경을 누르게 되는 현상 등 각종 척추질환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진행되면, 인체 구조상 역학적으로 어깨가 앞으로 나오면서 굽어지는 둥근어깨(Round shoulder)가 만들어지면서 흉추는 보상패턴으로 관절면이 후하방(posterior, inferior)으로 밀리면서 등이 굽어지는 굽은 등(Kyphosis) 형태가 만들어 지고, 더불어, 흉추와 늑골(갈비뼈)을 연결하는 늑골척추관절(Costo-vertebral joint)에서 늑골의 위치가 후내상방(posterior, medial, superior)으로 비틀어 지게된다 따라서 늑골이 위치한 부분의 등을 만져보면 유난히 툭 튀어나와 있는 늑골이 느껴지고 이때 그 부위와 주변 연부조직의 긴장으로 심한 등의 통증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의 운동성이 저하(Joint hypo-mobility)되고 그로 인해 다른 척추의 움직임이 보상(compensation) 되면서 정상적 움직임을 갖지 못하고 불안정해지면서 그 부위의 통증이 발현(發現)된다
중력에 의한 인체무게는 나쁜 자세로 인해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척추에 가하게 되고 관절역학적으로 경추와 흉추 등은 척추관절이 밀어내면서 틀어지고 또한 회전성으로 비틀림뿐만 아니라 지속 될 경우에 불편한 자세뿐만 아니라 운동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관련된 장기와 연부조직 등에도 신경 신호 전달 체계인 생체 되먹임(biofeedback)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없고 인체의 항상성 유지 및 면역체계가 저하되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관절 역학적으로는 움직임 저하와 고착으로 정상적으로 움직여야 할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가 소실되어 장기적으로는 관절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더구나 이와 같은 잘못된 자세는 목뿐만 아니라 골반이나 몸의 균형이 삐뚤어지는 등 전반적인 몸의 불균형과 같이 오게 되어 두통이나 어지름 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척추의 허리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로도시스(lordosis) 부를 이루면서 척추의 중심으로 인체에 매우 중요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에서의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각종 척추질병을 초례하고 있다.
즉, 척추뼈에 염증이 생기거나, 암이 전이되거나 부서지거나, 한쪽으로 휘거나, 척추 디스크가 얇아지거나, 뼈의 일부가 튀어나와서 주위를 누르거나 하면 통증이 유발되는 척추질병들의 자각증상들은 중추신경의 근육과 혈과 신경 흐름의 압박으로 인한 원인과 머리에서 골반까지 내려오는 유혈의 협착과 독맥의 혈의 흐름에 문제가 있음이 그 원인으로 하므로 치료와 통증완화를 개선하기 위하여서는 우선하여 자세의 각도를 교정함으로써 등과 허리 통증과 같은 자각증상들을 없애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척추질환의 통증발생은 대개가 척추가 앞뒤로 부드러운 S자형 모양에서 벗어난 상태로 일차형으로 펼쳐지거나 좌우로 휘어진 경우에 척추의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추간판(디스크),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 등이 우리 몸의 중앙에 위치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중요한 중추 신경인 척수 등을 가압하거나, 외상을 야기 등 다양한 이유로 통증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척추질병들은 수술 및 약물투여와 함께 물리적 치료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술은 수술 후의 후유증과 회복에 대한 확신이 없고, 약물투여는 효과가 입증되지 못하다고 알려지면서 많은 유명 의사들은 척추 보호대(복대, 허리매트) 등을 사용하여, 척추의 휨 교정과 압박에 의한 교정과 통증완화를 조언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 10-0496624호에서는 통상의 복대(허리매트등 이하 복대라 함) 내측으로 척추 곡률을 따라 이루어지는 척추기립근(척추세움근)을 압박하고 통풍로를 갖는 쿳션돌기를 구성시켜 압박에 의한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한 구성과, 등록특허 제 10-0735829호는 척추기립근을 압박하는 척추지압부를 벨트에 착탈하는 구성 및 공개특허 제 10-2016-0143241호는 허리부의 추극돌기수용홈 양측으로 늑골자극돌기를 구성함과 함께 목덜미까지 점착적으로 높아지는 경추지지부로 구성된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에 누워 이동에 따른 압박에 의한 지압으로 뼈들을 전방 상측 방향으로 교정된다는 것과 함께 이와 유사한 등록 실용신안 제 20-0193647호는 척추기립근을 압박하도록 양측에 볼로 구성된 추압부재를 구성하였고 또다른 등록실용신안 제 20-0329859호는 척추기립근을 압박하도록 양측에 쿠션부재와 교정기에 이송바퀴를 구성시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 20-0381377호는 탄성의 긴 형상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척추 수용오목부에 척추 및 척추기립근이 수용되고 체중으로 척추 수용오목부 상단 가장자리부로 가해지는 척추기립근이 내측 방향으로 가압과 몸을 흔들면서 형성되는 탄성으로 척추기립근의 마사지효과를 도출하여 통증완화 및 교정할 수 있다하고 있으나, 척추질병의 근본은 척추를 이루는 추체 즉, 척추뼈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는 둥그렇고 납작한 물렁 조직의 디스크의 탈출 및 디스크의 변화와 연화로 일부가 삐져나와 신경을 누르는 문제 및 기능적 측만증, 구조적 측만증, 특발성(Idiopathies) 측만증, 선천성 측만증 등의 척추측만증, 디스크 등의 척추질병은 마치 척추기립근이 아픈것 처럼 느끼지만 척추기립근이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알려져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 척추기립근을 압박하고 마사지하는 등의 척추교정기는 그 목적하는 효과를 전혀 달성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휴대 즉, 몸에착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이 몸에 착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등록실용신안 제 20-0216070호에서는 몸에 착용되는 통상의 복대에 복수개의 포켓을 구성하고 이 포켓에 허리굽이 요추의 굽이 형태로 구성된 금속재의 교정판을 수납함으로써 착용한 복대로 요추부를 가압하여 원만한 굴곡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강제적으로 허리의 척추기립근을 가압하여 통증완화 및 교정 내지는 치료효과를 전혀 도출하지 못하고 특히, 문제를 발생하는 척추뼈를 압박과 가압하여 휘어진 뼈를 바로잡거나 돌출되는 추체와 디스크를 정위치로 밀어 넣는 등의 제어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고 단순 허리를 펼치는 기능에 불과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 10-0496624호 등록특허 제 10-0735829호 공개특허 제 10-2016-0143241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193647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329859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381377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216070호
본 발명은 종래 선행기술들의 척추 교정, 통증완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에서의 문제를 개선함과 함께, 특히, 척추질환의 근원이 되는 척추뼈의 돌출과 휨을 바로잡고, 추체 및 추체 사이로 형성된 추간판(디스크) 등의 이탈방지와 이탈된 추간판을 정상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통증완화와 치료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척추질병에 대한 교정효과를 이루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통상의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는 커다란 형상으로 휴대하거나 항시 착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몸에 간단히 휴대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인체의 허리부를 이루는 척추부를 압박시켜 척추질병으로 인한 통증완화와 척추를 바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를 구성하되,
본 발명은 체결용 밸트, 복대(1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11), 매직테이프, 훅, 단추(12) 또는 착용자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 및 일체의 원형으로 구성되는 착용패드(13) 중 어느 하나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패드부(10),
그리고 패드부(10) 중앙부에서 점차적으로 내향되고 좁아지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압박부(20)와,
돌출압박부(20) 끝단에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되는 돌출 만곡부(220)와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휨 또는 이탈되는 이상(異常)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기 위한 내향 된 압박수단인 가압돌부(21)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제공함과 함께,
상기 좌우 가압돌부(21) 하측부로부터 연결되어 가압돌부(21)를 내향으로 신축하는 탄성을 제공하여 내향으로 가압과 압박을 제어하는 압박제어수단의 신축편(22).
신축편(22)에 극상돌기(210) 간격 위치로 통공(30)을 뚫어 극상돌기(210)와 교합되도록 착용위치 및 이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돌출압박부(20)로 척추를 정자세로 압박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압박부(20) 내에 형상기억 합금재 또는 철재, 알루미늄철사, 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심재(40).
또는 허리의 요추부, 경추부의 휨 형태와 일치되는 배부름 형상으로 구성되게 변형된 배부름패드(14) 및 패드부(10) 이면과 복대(110) 사이로 위치되는 만곡된 배부름 형태의 부목(副木)(5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착용하여 교정효과를 증대하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지탱하는 중요부 척추가 각종 질병과 사고와 바르지 못한 자세 등에 의해 척추뼈(200) 또는 디스크 등이 정 위치에서 벗어나 돌출 또는 디스크의 마모와 원인을 모르는 각종 척추병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돌출된 척추뼈(200), 디스크를 정 위치로 밀어 넣는 압박과 가압으로 척추의 정자세로 교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와,
사용자의 허리에 쉽게 착용과 이탈시킬 수 있는 착용의 용이성 및 척추뼈의 휨과 이탈되는 디스크 등으로 인한 통증완화와 이상 척추뼈를 정확히 압박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결수단의 패드부(10), 한쌍의 돌출압박부(20), 및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되는 돌출 만곡부(220)와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휨 또는 이탈되는 이상(異常)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기 위한 내향 된 압박수단인 가압돌부(21)로 간단히 구성과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발휘하며, 항상 간편하게 착용 또한 복대를 이용한 착용으로 교정효과를 크게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에 착탈패드를 구성한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물리치료기용 척추교정기의 착탈패드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물리치료기용 척추교정기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물리치료기용 척추교정기에 적용되는 부목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우리 몸을 지탱하는 척추는 목의 굽이를 이루는 7개의 경추와 가슴 굽이인 12개의 흉추, 허리 굽이의 5개 요추, 그리고 5개의 골반 굽이의 천추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등으로 돌출되는 극상돌기를 형성한 각각의 추체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나열된 구성으로 몸체의 측면방향에서 완만한 형태의 "S"형이고, 요추는 전만(前彎, lordosis 또는 Lordose)으로 굽고 배면에서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의 척추와, 척추를 세움하는 척추기립근과 내부의 척추관에는 신경이 지나고 있는 중요 신체이다.
그러나, 현대인 들은 오랜 시간 동안 허리를 굽힌 상태로의 근무와 스마트 기기의 사용에 따른 자세불량, 질병, 또는 특발성 등으로 완만한 "S"자형 커브를 상실한 일자목 및 요추 휨 등이 야기되면서 척추측만증과, 목, 허리 디스크(disc)탈출증, 요통, 요부 염좌, 수핵탈출증, 좌골신경통, 퇴행성관절염, 척추관 협착증, 골다공증 등의 척추질병을 예방과 치료 및 통증완화와 개선의 효과를 도출하도록 척추을 바른 자세로 유지하고 이탈된 디스크의 복원 및 압박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물리치료용 통증완화 및 척추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의 사시도와 도 2의 본 발명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도 1의 단면도 및 사용상태인 도 3에서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용 밸트, 복대(1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체결공(11), 미도시한 착용자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 또는 복대(110) 등에 결합할 수 있는 매직테이프, 훅, 단추(12) 등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패드부(10),
상기 패드부(10) 중앙부에서 점차적으로 내향되고 좁아지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압박부(20)와,
상기 돌출압박부(20) 끝단에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되는 돌출 만곡부(220)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등 휨 또는 이탈되는 이상(異常)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기 위한 내향된 압박수단인 가압돌부(21),
그리고 좌우 가압돌부(21) 하측부로부터 연결되어 가압돌부(21)를 내향으로 신축하는 탄성을 제공하여 내향으로 가압과 압박을 제어하는 압박제어수단의 신축편(22)으로 구성되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를 이루는 구성이다.
상기 패드부(10)의 체결수단은, 복수의 체결공(11)을 형성하여 밸드, 복대(110)의 훅, 단추(12) 같은 체결수단과 체결하거나, 전후면 중 선택된 어느 면에 미도시한 매직테이프를 구성시켜 밸트, 복대(110)등에 쉽게 착탈로 사용자가 편리한 착용을 할 수 있고, 또는 패드부(10)에 인체에 무해하고 재사용 가능한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착용자가 쉽게 허리의 피부와 접착하는 착탈로 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패드부(10)를 확장하여 사용자의 배위치에서의 체결수단에 의한 착탈과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착용패드(13)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착용함과 함께 비만의 배를 함께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허리에 압박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압박 가압수단과 패드부(10)는 압박효과와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신축성이 양호한 실리콘, 합성수지 또는 탄성기능이 포함된 복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차적으로 내향되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압박부(20)는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점착적으로 내향되게 구성되어 척추의 극상돌기(210)에 의해 만곡돌출된 양측을 가압하거나 압박하고 또한 만곡돌출부 양측부와 함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을 강하게 압박하여 각종 질병 등으로 탈출된 디스크를 가압시켜 정 위치로 밀어 넣는 기능을 담당하고, 또한 허리부의 오목한 양측부를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휘어지거나 돌출되는 척추뼈(200) 및 디스크 등을 바른 위치 및 직선으로 밀어넣어 교정하도록 압박하여 비정상적인 척추뼈(200)로 인한 통증완화와 교정 및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척추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압박부(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가압돌부(21)는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된 돌출 만곡부(220)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등 이상(異常) 척추뼈를 가압과 압박함으로써 특정부를 더 가압과 압박하여 극심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와 함께 비정상적인 디스크와 척추를 정자세로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척추로 인한 통증완화와 탈출디스크 및 척추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도록 함으로 척추로 인한 각종 척추질병에 효과적인 교정, 예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 가압돌부(21) 하부측부로부터 연결되어 가압돌부(21)를 내향으로 신축하는 탄성을 제공하여 가압과 압박력을 제어하는 압박제어수단의 신축편(22)을 더 구성함으로써 신축편(22)의 탄축력에 의해 돌출디스크 및 휨된 척추에 보다 강한 압박효과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제어로 물리적 치료적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한 변형된 예는 도 4과 도 5에서와 같이 돌출압박부(20)의 끝단으로부터 신축편(22)을 일체의 수평으로 구성시켜 신축기능을 더욱 강하게 하거나, 상기 신축편(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30)을 천공하되, 통공(30)의 간격이 척추뼈(200)의 극상돌기(210)의 간격 위치로 뚫어 통공(30)이 극상돌기(210)와 일치되는 결합으로 착용위치 및 이탈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6, 도 7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압박부(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가압돌부(21)를 신축편(22) 없이 구성하여 자유로운 돌출압박부(20)에 의한 압박을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허리 휨 구조 즉, 측면에서 볼 때, 원만한 "S"자형을 유지하고 정, 배면에서 일자형으로 유지하는 정자세로 압박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압박부(20) 내로 형상기억 합금재 또는 철재, 알루미늄철사, 수지재 등 형상을 유지하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심재(40)를 구성하여 허리부의 정자세 형상으로 굽힘시켜 허리부의 만곡과 요입부와 밀착으로 가압과 압박하도록 보다 더 효과적인 척추 교정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편,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패드부(1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로 구성된 본 발명의 척추교정기에 구성되는 돌출압박부(20)와, 가압돌부(21)로 구성되는 압박가압수단, 그리고 압박제어수단과 함께 패드부(10)를 구성하되,
상기 패드부(10)를 연장하여 사용자의 몸 전체를 감싸지게 일체로 한 원형상태 또는 절단되어 단추, 훅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로 결합되는 착용패드(13)로 구성시켜 착용자의 몸에 직접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면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허리부를 감싸지도록 한 크기로 패드부(10)를 확대하여 단부에 단추(12), 미도시한 훅, 매직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구성시켜 쉽게 착탈되도록 하는 실시예와 함께, 상기 패드부(10)가 일체의 원형으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부에 착용이 쉽고 또한 배와 함께 압박하는 착용패드(13)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착용과 착용 후 운동 등에서도 이탈을 방지하고, 비만으로 형성되는 배를 함께 압박 및 허리와 배에 대한 압박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실시예와 함께, 도 9은 본 발명을 허리부 즉, 요추부 또는 경추부의 휨 형태와 일치되는 배부름 형상으로 구성되게 패드부(10)가 변형된 배부름패드(14)로 구성시켜 요추, 경추와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가압과 압박효과를 증대하여 척추 교정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10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6에서 실시되는 본 발명 척추교정기를 요추부 또는 경추부의 휨형태와 일치되도록 패드부(10) 이면과 복대(110) 사이로 위치되는 만곡된 배부름 형태의 부목(副木)(50)을 구성하는 구성하여 착용할 수 있는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우리 몸을 지탱하는 목의 굽이를 이루는 7개의 경추와, 가슴 굽이인 12개의 흉추, 허리 굽이의 5개 요추, 그리고 5개의 골반 굽이의 천추를 일체로 연결된 하나 및 상기 경추, 흉추, 요추, 천추를 각기 분리한 크기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만, 도 6과 도 8에서의 실시예 구성은 각각으로 구분한 크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허리를 감싸지게 확장되는 착용패드(13)는 얇은 막형태로 이루어지고 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공과 지압 등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지압돌기, 띠 등을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 15는 훅, 단추체결구멍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종 척추병에서의 척추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키거나, 척추질병의 예방, 척추질병의 치료 후 바른 자세로의 유지와 함께 평상시에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허리 또는 경추 등에 밀착되도록 착용하게 된다.
즉, 도 3의 사용상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압박부(20)를 척추뼈(200)를 구성하는 극상돌기(210)에 의해 외향으로 돌출된 등 부위의 돌출만곡부(220)에 밀착되게 위치시키되, 돌출압박부(20)에 형성된 가압돌부(21)가 상기 돌출만곡부(220) 양측면에 위치되고, 돌출압박부(20)은 돌출만곡부(220) 양측면과 함께 외측의 요입부를 가압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복대(110), 또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착용패드(13)를 이용하여 사용자 허리에 착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돌출압박부(20)와 가압돌출부(21)가 착용자의 허리에 형성되는 극상돌기(210)로부터 만곡돌출된 돌출만곡부(220)의 양측면과 주변의 요입부를 가압과 압박함으로서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돌출압박부(20)는 탄성 신축편(22)이 신축과 당김으로 상기 한쌍의 돌출압박부(20)와 가압돌부(21)를 돌출만곡부(220)와 극상돌기(210)를 내측으로 밀어넣어 척추를 정위치의 수직으로 정렬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과 압박으로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비뚤어진 디스크, 척추뼈(200)는 원위치로 자연스럽게 이동과 정렬됨으로써 바른자세를 유지시켜 척추질병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또한, 기다란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의 척추뼈(200)들을 일율적으로 압박함으로써 각각의 척추뼈(200)은 건강한 위치로 밀어 넣고 정렬하는 교정으로 척추뼈(200)로 인한 각종 질병, 사고 등에 의한 통증완화와 척추의 교정 및 바른 자세로 유도함으로 건강한 척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쌍의 돌출압박부(20)는 돌출되는 디스크와 비뚫어진 척추뼈(200)를 바른 자세로 압박과 가압으로 교정하고,
상기 돌출압박부(20)의 압박과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신축편(22)을 구성하거나 또는 신축편(22) 없이 자유로운 이동으로 척추뼈(200)의 상태에 쉽게 적응하여 압박될 수 있는 효과,
그리고 상기 신축편(22)에 극상돌기(210) 간격으로 통공(30)을 뚫어 본 발명의 교정기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도록 하는 실시예의 효과,
이러한 본 발명을 체결용 밸트, 복대(110)등에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패드부(10) 및 패드부(10)를 변형하여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지는 착용패드(13)로 구성시켜 착용이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인 착용 및 탄성에 따른 압박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통상의 복대(110)에 의하여 착용함과 함께 허리의 요입형태에 따라 만곡된 휨을 형성하도록 배부름패드(14) 또는 부목(50)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 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커다란 기구로 구성되어 휴대할 수 없는 문제, 척추뼈로 인하여 야기되는 질병에 대하여 척추가 아닌 허리를 압박하거나, 등을 가압 또는 기립근을 가압하는 등으로 척추질병의 근본적인 해결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척추뼈 즉, 극상돌기(210)의 돌출부와 그 주변 및 극상돌기(210)로부터 횡돌기부 그리고 등의 척추뼈에 보다 밀접하게 밀착과 압박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척추를 교정하고 돌출 이완되는 뼈를 정위치로 밀어넣어 척추병으로 인한 통증완화와 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지탱하는 척추가 각종 질병과 사고 등에 의해 척추뼈(200) 또는 디스크 등이 정 위치에서 벗어나 돌출 또는 불량한 자세 등으로 휘어져 발생하는 각종 척추 통증을 완화시키고, 돌출된 척추뼈(200), 디스크를 정 위치로 밀어 넣는 압박과 가압으로 척추의 교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 및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여성들이 자세불량 등으로 초례하는 골반이탈이나, 바르지 못한 골반 등을 교정하는 효과와 특히, 휴대로 항상 착용하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를 제공함으로써, 치료수단이 명확하지 못한 척추뼈와 관련한 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의 교정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특정 장소에서 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피가 작고 사용하기 쉽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가 간단히 착용과 휴대 또는 통상의 복대를 이용한 착용으로 항시 휴대하도록 함으로써 통증완화와 척추의 교정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 패드부 11 : 체결공 12 : 단추
13 : 착용패드 14 : 배부름패드 20 : 돌출압박부
21 : 가압돌부 22 : 신축편 30: 통공
40 : 심재 50 : 부목 110 : 복대
200 : 척추뼈 210 : 극상돌기 220 : 돌출 만곡부

Claims (3)

  1. 인체의 허리부를 이루는 척추부를 압박시켜 척추질병으로 인한 통증완화와 척추를 바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에 있어서,

    체결용 밸트, 복대(1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11), 매직테이프, 훅, 단추(12) 또는 착용자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 및 일체의 원형으로 구성되는 착용패드(13) 중 어느 하나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패드부(10),

    패드부(10) 중앙부에서 점차적으로 내향되고 좁아지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압박부(20)와,
    돌출압박부(20) 끝단에 척추의 극상돌기(210)로 형성되는 돌출 만곡부(220)와 양측면 및 탈출 디스크, 휨 또는 이탈되는 이상(異常) 척추뼈(200)를 가압과 압박하기 위한 내향 된 압박수단인 가압돌부(21)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부(21) 하측부로부터 연결되어 가압돌부(21)를 내향으로 신축하는 탄성을 제공하여 내향으로 가압과 압박을 제어하는 압박제어수단의 신축편(22),
    신축편(22)에 극상돌기(210) 간격 위치로 통공(30)을 뚫어 극상돌기(210)와 교합되도록 착용위치 및 이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압박부(20)로 척추를 정자세로 압박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압박부(20) 내에 형상기억 합금재 또는 철재, 알루미늄철사, 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심재(40),
    또는 허리의 요추부, 경추부의 휨 형태와 일치되는 배부름 형상으로 구성되게 변형된 배부름패드(14) 및 패드부(10) 이면과 복대(110) 사이로 위치되는 만곡된 배부름 형태의 부목(副木)(5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물리치료용 교정기.
KR1020180053054A 2018-05-09 2018-05-09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KR10216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54A KR102163678B1 (ko) 2018-05-09 2018-05-09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54A KR102163678B1 (ko) 2018-05-09 2018-05-09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37A KR20190128837A (ko) 2019-11-19
KR102163678B1 true KR102163678B1 (ko) 2020-10-08

Family

ID=6877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54A KR102163678B1 (ko) 2018-05-09 2018-05-09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947A (en) 1991-12-06 1993-12-07 Gene James Contour lumbar support
JP3020250U (ja) 1995-02-17 1996-01-23 宏 二見 指圧代用腰痛帯・腹巻・ベルト・腹帯・二段式腰痛帯
KR100879630B1 (ko) 2007-10-25 2009-01-21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흉요추 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47Y1 (ko) 2000-03-13 2000-08-16 김병재 간이 척추교정기
KR200216070Y1 (ko)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100496624B1 (ko) 2003-01-27 2005-06-23 (주) 메드솔 척추 보호대
KR200329859Y1 (ko) 2003-07-24 2003-10-10 이효섭 휴대용 척추 교정기
KR200381377Y1 (ko) 2005-01-25 2005-04-11 하동훈 척추교정기
KR100735829B1 (ko) 2005-06-07 2007-07-06 경무수 척추지압패드
KR200477357Y1 (ko) * 2013-09-27 2015-06-03 강현찬 허리 보호 및 척추 교정용 벨트
KR101738375B1 (ko) 2015-06-05 2017-05-22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947A (en) 1991-12-06 1993-12-07 Gene James Contour lumbar support
JP3020250U (ja) 1995-02-17 1996-01-23 宏 二見 指圧代用腰痛帯・腹巻・ベルト・腹帯・二段式腰痛帯
KR100879630B1 (ko) 2007-10-25 2009-01-21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흉요추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37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06B2 (en) Posture improving garment
RU21657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пораж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и с повреждением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9119707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20130211302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EP2856895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KR20210009259A (ko) 자세 회복 및 흉부 이동성을 위한 운동학적 브라
CN107510530A (zh) 骨科驼背固定矫正椅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CN107714254B (zh) 脊椎侧弯矫正衣
US20200268589A1 (en) Back brace with repositionable pressure nodules
KR102163678B1 (ko)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RU2545447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и суставов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CN208260064U (zh) 一种附着人体体表的压力弹簧装置
KR101861040B1 (ko)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교정용 상의
JP2022523278A (ja) 姿勢回復及び胸郭可動性のための運動学的ブラジャー
KR20100015101A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KR101485364B1 (ko) 뒤통수 밑 근육 운동 장치
RU2122392C1 (ru) Способ и.и.паюкова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грудного,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и шейно-грудного отделов позвоночника в сочетании с артрозами реберно-позвоночных суставов
KR20220129443A (ko) 척추 치료장치
JPS5828580Y2 (ja) 胡座もしくは横座り姿勢における姿勢矯正用具
CN110934676A (zh) 姿态改善服装
JP3178018U (ja) 腰痛緩和サポーター
KR20190072801A (ko) 운동기구 연동용 허리 받침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